KR20120036390A -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390A
KR20120036390A KR1020100098034A KR20100098034A KR20120036390A KR 20120036390 A KR20120036390 A KR 20120036390A KR 1020100098034 A KR1020100098034 A KR 1020100098034A KR 20100098034 A KR20100098034 A KR 20100098034A KR 20120036390 A KR20120036390 A KR 2012003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rcode
dimensional barcode
dimensional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김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중 filed Critical 김석중
Priority to KR102010009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390A/ko
Publication of KR2012003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상품, 가전(소형) 등에 인쇄 또는 부착된 임의의 2차원 바코드의 개정을 통해 개인화함으로써, 개인화되어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종자의 귀가 또는 분실 및 도난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리딩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물품 개인화 서버에 상기 리딩된 2차원 바코드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여 개인별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계정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를 개인별로 생성된 계정에 등록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를 개인화하는 물품 개인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of products using 2 dimensional barcode}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류, 상품, 가전(소형) 등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내 계정에 등록해 개인화하여 실종자, 분실물, 도난품의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어린이 또는 정신장애자 및 치매노인과 같이 인지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실종된 상황이 발생하면, 실종자들은 미아보호소와 같은 보호시설에서 보호를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미아보호소 및 실종자 보호시설에 맡겨진 실종자들은 보호아동(미아) 또는 보호 실종자로 등록되어 보호자의 연락을 기다린다.
또한, 보호자 측은 자신의 보호 하에 있는 어린이 또는 정신장애자 및 치매노인과 같이 실종가능성이 많은 실종가능자의 실제 실종사실을 경찰서와 같은 행정기관에 신고 등록하여, 상기 보호시설에 등록되어 보호받고 있는 상기 보호아동 또는 보호 실종자와의 연결을 수동적으로 기다리다가 해당 보호아동 또는 보호 실종자가 있어 상호간에 연락이 이루어지면 이들 보호아동 또는 보호 실종자를 찾게 되며,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이렇게 실종자를 찾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종자들은 정보통신이 매우 발달한 현재에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데, 보건복지부의 집계 결과를 보면 0~13세 아동 실종의 경우 2006년 7064명, 2007년 8602명, 2008년 9470명으로 증가했으며, 2008년 기준으로 매일 25.9명이 실종된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60세 이상 노인 실종의 경우 2008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11.7명이 실종됐으며, 2006년 2890명에서 2008년 4266명으로 3년 간 1.5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치매환자 실종자는 2006년에 비해 1.2배 증가해 2008년 총 4246명으로, 매일 11.6명이 실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지체장애인 실종자는 하루 평균 13.3명이었으며, 이 중 미발견자는 2006년 17명, 2007명 28명, 2008년 81명 등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러한 실종자의 발생은 부모가 주소, 전화번호 등이 기재된 목걸이나 뱃지 등을 어린이 또는 정신장애자 및 치매노인에게 착용시켜 준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어린이 또는 정신장애자 및 치매노인에게 항상 목걸이나 뱃지 등을 착용시켜주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이고, 또한 실종은 부모가 전혀 우려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실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의류, 상품, 소형 가전 등의 분실물 및 도난품에 따른 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상기 분실물의 경우, 현재 지하철, 버스, 공항 등 공공장소에는 별도의 분실물 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하게 습득된 분실물의 주인을 찾아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 주인을 찾지 못하고 관할 경찰서로 넘어가서 사회복지단체 등에 기증되는 경우가 많은게 현실이다. 또한 상기 도난품의 경우, 온라인을 통한 중고매물 등을 통해 불법적으로 유통되고 있어, 분실이나 도난당한 의류, 상품, 소형 가전 등의 물품의 방지 및 예방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현재 필요한 것을 판단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류, 상품, 가전(소형) 등에 인쇄 또는 부착된 임의의 2차원 바코드의 개정을 통해 개인화함으로써, 개인화되어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종자의 귀가 또는 분실 및 도난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 등에 부착 또는 인쇄된 임의의 2차원 바코드를 개정을 통해 개인화하여 해당 의류를 입은 실종자의 경우 의류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하여 부모의 연락처를 확인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 또는 정신장애자 및 치매노인과 같이 인지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보호자나 물건의 주인이 실종 또는 분실될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여 대비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항상 그에 대한 대비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실종 가능자의 보호자 또는 물건 주인이 마음속에 늘 가지고 있는 실종 또는 분실에 대한 불안 심리를 완전하게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의 특징은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리딩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물품 개인화 서버에 상기 리딩된 2차원 바코드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여 개인별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계정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를 개인별로 생성된 계정에 등록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를 개인화하는 물품 개인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2차원 바코드를 스캐닝에 의해 이미지를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에서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스캔정보 검출부와, 상기 리더기에서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및 스캔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저장하는 2차원 바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 DB에서 선택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선택부와, 상기 리더기를 통해 캡쳐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나, 2차원 바코드 정보 DB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들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선택부에서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해 임의로 선택되는 2차원 바코드의 선택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품 개인화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또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2차원 바코드를 검출하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부를 통해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2차원 바코드를 등록하여 저장하고,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저장된 2차원 바코드에 해당되는 보호자/소요자의 개인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신고물품 처리부와, 회원 가입시 입력되는 개인 정보와,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의 등록으로 개인화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와,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물품 중 분실 또는 해당 물품의 사용인이 실종되어 접수된 물품의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의 특징은 (A) 2차원 바코드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물품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리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와, (B) 상기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와, (C) 물품 개인화 서버에 상기 검출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2차원 바코드를 물품 개인화 서버에 등록하여 개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검출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추가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방법의 다른 특징은(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차원 바코드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개인화 등록을 선택하는지 신고 등록을 선택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개인화 등록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 개인별로 생성된 회원의 계정에 상기 입력된 2차원 바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신고 등록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창을 제공하여 신고자, 해당 물품의 소요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를 입력받아, 입력된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와 함께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신고 물품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d)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있는 경우, 매칭된 2차원 바코드에 상응하는 보호자/소요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별 계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 자신이 등록한 2차원 바코드 정보의 리스트 및 히스토리 정보를 검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물품 개인화 서버에 등록된 2차원 바코드 정보의 수정 및 삭제의 편집이 가능하며, 자신이 등록한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분실된 물품이나 미아의 소지품 등을 선택하여 직접 신고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d)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신고자, 해당 물품의 소요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를 입력없이 접속이 종료되면,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입력될 때 함께 입력된 기타정보를 2차원 바코드 정보와 함께 신고 물품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입고 다니는 의류에 2차원 바코드를 부착하고, 상기 부착된 2차원 바코드의 개정을 통한 개인화를 통해 실종 가능자들이 실제 실종되었을 때, 상기 개인화된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여 효과적이고 완벽하게 보호자를 만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미아를 포함한 실종자가 실종자 자신 및 보호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어떤 것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입고 있는 의류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통해 실종자 및 보호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실종가능자의 보호자가 마음속에 늘 가지고 있는 실종 가능자의 실종에 대한 불안 심리를 완전하게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의류, 상품, 가전(소형) 등에 인쇄 또는 부착된 임의의 2차원 바코드의 개정을 통해 개인화함으로써, 개인화되어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통해 분실 및 도난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생산된 물품에 고유의 2차원 바코드가 인쇄 또는 부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도 4] 도 1의 물품 개인화 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참고로, 2차원 바코드는 QR 코드, MS TAG 등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를 말한다.
도 1과 같이,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에 연계되어 물품 생산업체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와, 물품 개인화 서버(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물품 생산업체 서버(100)는 의류, 상품, 가전(소형) 등의 물품을 생산하는 생산 업체들로서, 생산된 물품에 고유의 2차원 바코드(10)를 인쇄 또는 부착하여 제공한다. 도 2(a)(b)(c)는 생산된 물품에 고유의 2차원 바코드(10)가 인쇄 또는 부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이용되는 물품으로는 의류, 도서, 장난감, 인형, 문구, 소형 가전제품 등 2차원 바코드(10)의 인쇄 또는 부착이 가능한 모든 물품이 가능하다. 도 6a는 2차원 바코드 중 QR 코드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물품 생산업체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2차원 바코드(10)를 리딩하고, 상기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리딩된 2차원 바코드(10)의 정보(이미지 또는 고유 코드)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등)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물품 개인화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여 개인별 계정을 생성하고, 이후, 계정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10) 정보 및 기타정보를 개인별로 생성된 계정에 등록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를 개인화한다.
도 3 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리더기(210)와, 스캔정보 검출부(220)와, 2차원 바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와, 선택부(240)와, 표시부(250), 출력부(260)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폰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리더기(210)는 의류, 상품, 가전(소형) 등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스캐닝에 의해 이미지를 캡쳐하여 JPG 파일이나 TIFF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210)는 스마트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이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정보 검출부(220)는 리더기(210)에서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표준 코드, 상품정보 등)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등)를 검출하고 2차원 바코드 정보 DB(230)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 DB(230)는 상기 리더기(210)를 통해 스캔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및 상기 스캔정보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와 기타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선택부(240)는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 DB(230)에서 특정의 표준 코드를 선택한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260)를 통해 외부로 해당 2차원 바코드의 고유정보와 기타정보를 출력시킨다.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리더기(210)를 통해 캡쳐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나, 2차원 바코드 정보 DB(230)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들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부(240)에서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해 임의로 선택되는 2차원 바코드의 선택을 용이하게 제공한다.
도 4 는 도 1의 물품 개인화 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물품 개인화 서버(300)는 입력부(310)와, 매칭부(320)와, 신고물품 처리부(330)와, 저장부(340)와, 출력부(350)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또는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고유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310)는 물품 개인화 서버(300)의 회원 가입시 입력되는 이름, 성별, 생년월일,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 보호자/소요자 정보 등의 개인 정보의 입력시에도 이용된다.
상기 매칭부(320)는 상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저장부(3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2차원 바코드를 검출한다.
상기 신고물품 처리부(330)는 상기 입력부(310)를 통해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입력될 때, 앞전의 선택이 개인화 등록인 경우는 상기 매칭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동일한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 한 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회원의 2차원 바코드로 등록하여 저장부(340)에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신호물품 처리부(330)는 상기 입력부(310)를 통해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입력될 때, 앞전의 선택이 신고 등록인 경우는 상기 매칭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저장부(3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2차원 바코드를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2차원 바코드에 해당되는 보호자/소요자의 개인 정보를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매칭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저장부(3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2차원 바코드를 검출되지 않으면, 입력된 해당 2차원 바코드 정보를 분실 또는 해당 물품의 사용인 실종에 따른 신고 물품 정보로 분류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40)는 물품 개인화 서버(300)의 접속을 통해 회원 가입시 입력되는 이름, 성별, 생년월일,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 보호자/소요자 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342)와,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의류, 도서, 장난감, 인형, 문구, 소형 가전제품 등의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의 등록으로 개인화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표준 코드, 상품정보 등) 및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2차원 바코드 정보 DB(344)와,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의류, 도서, 장난감, 인형, 문구, 소형 가전제품 등의 물품 중 분실 또는 해당 물품의 사용인이 실종되어 접수된 물품의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신고 물품 정보 DB(34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5a 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과정이며, 도 5b 는 물품 개인화 서버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회원 가입된 사용자는 도 6a와 같은 2차원 바코드(10)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물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2차원 바코드(10)를 리딩하여 이미지를 캡쳐한다(S10). 이때 상기 회원 가입은 온라인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공지된 기술로 도 6b와 같이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생성하며, 도 6c와 같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 보호자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물품 개인화 서버(300)는 이러한 회원 정보들을 저장부(340)내 회원정보 DB(342)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표준 코드, 상품정보 등)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등)를 검출하고(S20),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상기 검출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2차원 바코드를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등록하여 개인화를 수행한다(S30). 이때, 등록은 도 6d와 같이 자신이 제공한 2차원 바코드 이미지 및 고유 저보와 함께 2차원 바코드의 해당되는 물품명을 함께 기입하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 단말기(200)내 스캔정보 검출부(220)에서 인식되는 2차원 바코드의 상품정보를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와 함께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전송하여 별도의 물품명을 기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어 도 5b를 참조하여,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물품 개인화 서버(300)는 회원으로부터 2차원 바코드의 정보(이미지,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등)가 입력되면(S100), 도 6b와 같은 회원 인증 창을 제공하고 ID 및 PW를 입력받아 물품 개인화 서버(300)에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여부를 저장부(340)내 회원정보 DB(342)에 저장된 정보와 매칭시켜 회원여부를 인증한다(S110).
상기 인증 결과(S110), 가입된 회원이 아닌 경우는 공지된 통상의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회원 가입을 유도하여, 도 6c와 같은 회원 가입 창을 통해 ID, PW와 함께 사용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 보호자/소요자 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40)내 회원정보 DB(342)에 저장하여, 회원 개정을 생성한다(S120).
한편, 상기 인증 결과(S110), 가입된 회원인 경우는 입력된 2차원 바코드가 개인화하기 위한 등록인지, 실종 또는 분실에 따른 신고를 위한 등록인지를 확인한다(S130). 이때, 상기 확인 방법으로는 접속된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요청하여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개인화 등록이 선택되면(S130), 매칭부(320)를 통해 입력부(310)로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저장부(3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S140). 이때 저장부(340)내 2차원 바코드 정보 DB(344) 및 신고 물품 정보 DB(34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모두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결과(S140),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S150), 도 6d와 같이 입력된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등록 창을 제공하고 등록확인 및 해당 2차원 바코드의 이름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별로 생성된 회원의 계정에 입력된 2차원 바코드 정보 및 기타정보를 저장하여 2차원 바코드의 개인화를 수행한다(S160). 한편, 상기 비교결과(S140),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있는 경우(S150), 입력된 2차원 바코드는 벌써 개인화가 이루어진 2차원 바코드이거나 도난당한 물품의 2차원 바코드이므로 개인화 수행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신고 등록이 선택되면(S130), 매칭부(320)를 통해 입력부(310)로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저장부(3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S170). 이때 저장부(340)내 2차원 바코드 정보 DB(344) 및 신고 물품 정보 DB(34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모두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S170),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S180), 도 6e와 같이 입력창을 제공하여 신고자, 해당 물품의 소요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를 입력받은 후(S210), 입력된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와 함께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저장부(340)내 신고 물품 정보 DB(346)로 신고 물품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220). 이때, 도 6e와 같이 별도의 입력창을 통해 신고자, 해당 물품의 소요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를 입력받도록 함으로써,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지 않고도 차후에 도 6e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앞 전의 회원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위 과정(S130->S170->S180->S210->S220)의 진행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비교결과(S170),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S180), 신고자가 더 이상의 진행을 하지 않고 아무런 조치 없이 종료(비정상종료)시에는 해당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입력될 때(S100), 함께 입력된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등)를 2차원 바코드 정보와 함께 저장부(340)내 신고 물품 정보 DB(346)로 신고 물품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220).
그리고 상기 비교결과(S170),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있는 경우(S180), 도 6f와 같이, 매칭된 2차원 바코드에 상응하는 보호자/소요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부(342)내 회원정보 DB(342)에서 검출하여(S190)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한다(S200).
이외에도, 물품 개인화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도 6h와 같이 개인별 계정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2차원 바코드 정보의 리스트 및 히스토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등록된 2차원 바코드 정보의 수정 및 삭제 등의 편집도 가능하다. 또한 도 6g와 같이, 자신이 등록한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분실된 물품이나 미아의 소지품 등을 선택하여 직접 자신이 신고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리딩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물품 개인화 서버에 상기 리딩된 2차원 바코드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여 개인별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계정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를 개인별로 생성된 계정에 등록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를 개인화하는 물품 개인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2차원 바코드를 스캐닝에 의해 이미지를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에서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스캔정보 검출부와,
    상기 리더기에서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및 스캔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저장하는 2차원 바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 DB에서 선택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선택부와,
    상기 리더기를 통해 캡쳐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나, 2차원 바코드 정보 DB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들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선택부에서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해 임의로 선택되는 2차원 바코드의 선택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개인화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2차원 바코드를 검출하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부를 통해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2차원 바코드를 등록하여 저장하고,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저장된 2차원 바코드에 해당되는 보호자/소요자의 개인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신고물품 처리부와,
    회원 가입시 입력되는 개인 정보와,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물품에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의 등록으로 개인화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와,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물품 중 분실 또는 해당 물품의 사용인이 실종되어 접수된 물품의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4. (A) 2차원 바코드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물품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리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와,
    (B) 상기 캡쳐한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와,
    (C) 물품 개인화 서버에 상기 검출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 및 기타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2차원 바코드를 물품 개인화 서버에 등록하여 개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검출한 2차원 바코드의 고유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추가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
  6.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차원 바코드 정보 및 기타정보(단말기 정보(전화번호), GPS상 위치정보,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개인화 등록을 선택하는지 신고 등록을 선택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개인화 등록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 개인별로 생성된 회원의 계정에 상기 입력된 2차원 바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신고 등록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2차원 바코드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창을 제공하여 신고자, 해당 물품의 소요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를 입력받아, 입력된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와 함께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신고 물품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d)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있는 경우, 매칭된 2차원 바코드에 상응하는 보호자/소요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별 계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 자신이 등록한 2차원 바코드 정보의 리스트 및 히스토리 정보를 검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물품 개인화 서버에 등록된 2차원 바코드 정보의 수정 및 삭제의 편집이 가능하며, 자신이 등록한 2차원 바코드 정보 중 분실된 물품이나 미아의 소지품 등을 선택하여 직접 신고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d) 단계의 매칭 결과 매칭되는 2차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신고자, 해당 물품의 소요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 및 추가 안내 문구를 입력없이 접속이 종료되면,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입력될 때 함께 입력된 기타정보를 2차원 바코드 정보와 함께 신고 물품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방법.
KR1020100098034A 2010-10-08 2010-10-08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6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034A KR20120036390A (ko) 2010-10-08 2010-10-08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034A KR20120036390A (ko) 2010-10-08 2010-10-08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390A true KR20120036390A (ko) 2012-04-18

Family

ID=4613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034A KR20120036390A (ko) 2010-10-08 2010-10-08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3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110B1 (ko) * 2013-05-14 2014-11-25 주식회사 아이엠지코퍼레이션 패턴인식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4316A (ko) 2018-10-31 2018-12-18 (주)큐알코리아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US10853436B2 (en) 2016-02-29 2020-12-01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110B1 (ko) * 2013-05-14 2014-11-25 주식회사 아이엠지코퍼레이션 패턴인식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10853436B2 (en) 2016-02-29 2020-12-01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US11157585B2 (en) 2016-02-29 2021-10-26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KR20180134316A (ko) 2018-10-31 2018-12-18 (주)큐알코리아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259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350489B (zh) 文档的智能呈现
EP3338259A1 (en) Security tag and method of using same to facilitate authorized removal of inventory items from controlled areas
JP6223735B2 (ja) 捜索制御装置、捜索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495727B (zh) 智能监控方法及装置、系统、可读存储介质
CN107000969A (zh) 向便携式电子设备提供反馈的访问控制系统
Aguinaga et al. Method for privacy-protecting display and exchange of emergency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US20200085214A1 (en) Point of sale artificial intelligence quality determination system
US201401819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cure public identification tag
KR20120036390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30121B2 (en) Method for locating a lost registered person
US10915738B2 (en) Preference implementation system for acting on preferences of facility visitors
KR101465110B1 (ko) 패턴인식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99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아찾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081442A (ja) ドアホン装置
US20180096577A1 (en) Shopping party locator systems and methods
EP3979215A1 (en) Ticket issuing system, ticket checking device, and program
KR101224879B1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및 방법
JP6944237B2 (ja) 被介護者の救護支援システム
KR101084545B1 (ko)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2차원 바코드 정보 처리 시스템
JP2017085228A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CN107004389A (zh) 交互式镜子
GB2607171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determining user interactions with smart items
WO2014181334A1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consumer products via social networks
CN210377604U (zh) 一种多功能社区门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