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554A -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554A
KR20120035554A KR1020100097140A KR20100097140A KR20120035554A KR 20120035554 A KR20120035554 A KR 20120035554A KR 1020100097140 A KR1020100097140 A KR 1020100097140A KR 20100097140 A KR20100097140 A KR 20100097140A KR 20120035554 A KR20120035554 A KR 2012003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emotional
matching
wireless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훈 filed Critical 신동훈
Priority to KR102010009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554A/ko
Publication of KR2012003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이 개시된다. 서버에서 고객 유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 정보와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감성 매칭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무선 메시지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이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이 등록한 무선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이 등록한 무선단말인 경우, 서버에서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가진 다른 사용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ensibility Matching, Program Record Medium}
본 발명은 고객 무선단말간 송수신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문장이나 문구, 단어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인식하여, 다른 고객의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 다른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나 또는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보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휴대폰, 메신저, 인터넷 전화, 카페, 블로그 등 매우 다양해져 왔다.
전술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사용자들은 상호간의 의사 표현을 수행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이기종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통신도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대부분은 친구나 지인들이 대다수 이며, 감성과 같은 사용자만의 특이성과 연관있는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문장이나 문구, 단어를 통해 무선 메시지 전송 고객의 감성을 인지하고, 동일한 감성이 인지된 다른 제2, 제3, ..., 제n의 무선 메시지 전송 고객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동일한 감성이 인지된 다른 제2, 제3, ..., 제n의 무선 메시지 전송 고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은, 서버에서 고객 유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 정보와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감성 매칭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무선 메시지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이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이 등록한 무선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이 등록한 무선단말인 경우, 서버에서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은, 상기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감성 매칭 대상 무선 메시지로 등록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등록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에 매칭되는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에서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의 무선 메시지와 상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간 감성 키워드 매칭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산출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은, 서버에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고객들을 그룹핑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그룹핑된 고객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은,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수단과,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수단과,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고,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감성 매칭 대상 무선 메시지로 등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은, 상기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등록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에 매칭되는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은, 문자 대화 내용과 상기 문자 대화 내용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둘 이상의 무선단말간의 문자 대화 내용(1)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 매칭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고객 무선단말과, 상기 전송된 문자 대화 내용(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와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추출(또는 확인)하고,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의 문자 대화 내용(1)과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간 감성 키워드 매칭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산출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은, 서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둘 이상의 무선 단말간 문자 대화 내용(1)을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 매칭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문자 대화 내용(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이 기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문자 대화 내용(1)과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문자 대화 내용(1)과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1)과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과 문자대화를 실시하는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메시지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가진 다른 사용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사용자들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연계 사업 수익을 발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성이 동일(또는 유사)한 무선 메시지 이용 고객을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동일(또는 유사) 감성 사용자간 통신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객의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단말간 송수신되는 문자 대화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성이 동일(또는 유사)한 문자 대화 이용 고객을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성이 동일(또는 유사)한 무선 메시지 이용 고객을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은, 감성 매칭 서버(100),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를 등록하는 고객 유무선 단말과,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고객의 무선단말 및 저장매체로 구성되어 있다.
감성 매칭 서버(100)는 고객으로부터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등)를 제공받아 서비스 이용을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고객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의 등록 신청이 가능하다.
감성 매칭 서버(100)는 고객 단말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서비스 이용 신청 고객이 전송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과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135)에 저장한다.
또한, 감성 매칭 서버(100)는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로부터 상기 고객의 감성을 인지하기 위하여, 감성 인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135)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성은 인간의 인식능력으로써, 복잡한 표현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감성적이다.”라고 하면, 그 사람의 감성이 어떤지 표현하기 어렵지만, “그 사람은 비가 오면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을 읽는다.”라고 하면, 그 사람의 감성을 일부 느끼거나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매체(135)는, 사람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예컨대, 감성인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나 문자, 문구, 이모티콘 들이 어떤 문장에 포함되어 있다면, 그 문장을 작성한 사람의 감성을 어느 정도는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고객 무선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Motorola사의 DataTAC 방식 또는 Erricson사의 Mobitex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CDMA 기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또는 상기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 인터넷 단말, 또는 상기 DataTAC/ Mobitex 기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감성 매칭 서버(100)는,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 정보 등록수단(110), 정보 확인수단(115), 추출(또는 확인)수단(120), 메시지 확인수단(125), 정보 전송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은,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 유선 또는 무선 단말로 상기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예컨대, 회원정보 등)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단말이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은 상기 고객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 또는 통신 프로그램으로 제공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이 제공하는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시간이나 이용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등록수단(110)은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신청 고객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한다.
정보 확인수단(115)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메시지 전송시, 상기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 무선 단말이 감성 매칭 서비스를 등록한 고객의 무선 단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 확인수단(115)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메시지 전송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요청 정보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별도의 메시지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추출(또는 확인) 수단(120)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또는 확인)수단(120)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상기 무선 메시지로부터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또는 확인)수단(120)이 추출(또는 확인)하는 사용자 감성 키워드는 우울함, 외로움 등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표현일 수 있다.
또한 추출(또는 확인)수단(120)은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 등의 사용개수, 반복여부 등을 토대로 지수(또는 지표)로 무선 단말 고객의 감성을 확인할 수 있다.
추출(또는 확인)수단(120)이 무선 메시지로부터 고객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써, 그 첫 번째는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포함된 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반복횟수 등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일반적인 감정이나 기분의 표현을 확인하거나 그러한 감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것과, 두 번째, 특정 문장(또는 단어) 자체를 그 사람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키워드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비(RAIN)”라는 감성 키워드를 통해 인식되는 일반적인 감성은, 우울함, 외로움, 시원함, 깨끗함 등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비가 오니 왠지 기분이 우울하여,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책이나 읽고 싶다.”라는 무선 메시지를 입력했다면, 추출(또는 확인)수단은 상기 문장에서 “비”, “기분”, “우울”, “조용한”, “소설책”, “읽고” 등의 고객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를 먼저 감성 키워드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된 감성 키워드가 지닌 일반적인 또는 객관적인 의미를 통합하여 상기 무선 메시지를 입력한 고객의 현재 감성을 “우울”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추출(또는 확인)수단(120)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특정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의 감성을 객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추출(또는 확인)수단(120)은 고객이 “비가 오니 왠지 기분이 우울하여,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책이나 읽고 싶다.”라는 무선 메시지를 입력했다면, 입력된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고객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를 따로 해석함 없이 무선 메시지 그대로를 고객의 감성 키워드로 인지할 수 있다.
메시지 확인수단(125)은 다른 고객이 입력(또는 등록)한 무선 메시지와 동일한 단어나 어구, 말투 등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고객들을 구분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시지 확인수단은, 상기 무선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감성 키워드를 근거로 무선 메시지 전송 고객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이 인지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또는 고객들이 등록한 무선 메시지)를 확인한다.
앞서 기술한 첫 번째 고객 감성 인지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 확인수단(125)은 “우울함”이라는 감성 키워드를 가진 제2, 제3, ..., 제n의 고객이나 상기 고객들이 등록(또는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고객이 입력하거나 등록한 무선 메시지가 “비가 오는데, 차도 밀려 지각도 하고 상사한테 혼도 나서 꿀꿀하다.”이라면, 상기 메시지 확인수단(125)에 의해 제2 고객이 입력(또는 등록)한 무선 메시지도 “우울함”이란 감성 키워드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면, 메시지 확인수단(125)은 상기 제2 고객도 상기 고객과 같이 “우울”이라는 감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고객 또는 상기 제2 고객이 등록(또는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검색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전술한 두 번째 고객 감성 인지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 확인수단(125)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 포함된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가 유사하게 포함되어 있는 문장(또는 문구)을 입력(또는 등록)한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2, 제3, ..., 제n의 사용자가 입력(또는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을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비가 오는 날은 집에서 소설책을 읽고 싶다.”라는 문장을 입력(또는 등록)하였고, 제3 사용자가 “우울할 때 카페에서 책이나 읽자.”라는 문장을 입력(또는 등록)하였다면, 메시지 확인수단(125)은 상기 제2, 제3 사용자들이 입력(또는 등록)한 문장에 포함된 단어나 문구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것과 유사(또는 동일)한 것으로 인지하여, 제2, 제3 사용자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가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전송수단(130)은 메시지 확인수단을 통해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이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상기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등록(또는 전송)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2, 제3, .., 제n 고객의 무선 메시지들을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상기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는, 회원 ID,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수단(130)은, 상기 메시지 확인수단(125)을 통해 확인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를 고객 감성에 부합되는 순위별로 배열한 후, 상기 확인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를 상기 배열된 고객 감성 부합되는 순위에 따라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전송수단(130)은 고객이 입력한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단어 등이 사용된 비율(%) 또는 매칭되는 비율(%)을 산정하여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수단(130)은 상기 고객 감성 부합 순위 및 매칭 비율을 포함하는 메뉴를 구성하여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무선 메시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감성을 인식하고,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고객을 매칭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서버에서 고객들의 감성을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매칭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한다(S200). 여기서 감성 매칭 정보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검색어, 댓글, 게시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검색하기 위한 무선 메시지가 수신되면(S210), 수신된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감성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한다(S220).
만약, 상기 수신된 무선 메시지에 고객 감성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확인되면(S230), 서버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성 인지 정보를 참조하여, 무선 메시지에 대응하는 고객 감성을 인지한다(S240).
그리고, 서버는 인지된 고객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고객을 검색한다(S250).
여기서 상기 제2, 제3, ..., 제n 고객은 상기 고객의 무선 메시지에 대응하는 감성을 내재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고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고객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고객이 검색되면(S260), 서버는 고객 감성에 부합되는 순위별로 배열한다(S270).
여기서, 서버는 고객이 입력하여 전송한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단어 등이 사용된 비율(%) 또는 매칭되는 비율(%)을 확인하여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동일(또는 유사) 감성 사용자간 통신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무선 메시를 판독하여 고객의 감성을 인식하고,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고객이 매칭 검색된 후, 상기 매칭 검색된 하나 이상의 동일(또는 유사) 감성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서버에서 고객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가 확인되거나, 상기 고객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갖는 무선 메시지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중 연결을 원하는 특정 고객을 선택(또는 입력)하거나, 상기 고객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갖는 무선 메시지에 대한 댓글을 남기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객 무선 단말로 전송한다(S300).
고객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대상 고객 정보가 선택(또는 입력)되면(S310), 고객 무선 단말에서 선택(또는 입력)된 연결 대상 고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3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고객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갖는 무선 메시지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고객 무선 단말에서 상기 입력된 댓글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에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고객이 연결을 원하는 연결 대상 고객 정보를 수신 및 확인하고(S330), 확인된 연결 대상 고객의 무선 단말로 연결 요청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40).
상기 연결 대상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연결 수락 정보가 수신되면(S350),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간 통신 채널을 연결한다(S360).
여기서, 상기 단말간 통신 채널은 문자통화 채널, 음성통화 채널, 영상통화 채널, 웹채널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객의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감성 매칭 시스템을 통해 고객들이 전송하는 무선 메시지와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각 무선 메시지로부터 추출되는 감성 키워드는 동일 감성의 고객들을 매칭하여 연결해주거나, 또는 동일한 감성의 무선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도 4에 따르면, 고객 A와 고객 E의 감성 키워드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객 A의 무선단말로 고객 E의 정보(또는 고객 E가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고객 E의 단말로 고객 A의 정보(또는 고객 A가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제공하여,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고객을 매칭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단말간 송수신되는 문자 대화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성이 동일(또는 유사)한 문자 대화 이용 고객을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은, 감성 매칭 서버(500),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를 등록하는 고객 유무선 단말과, 문자 대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무선단말 및 저장매체로 구성되어 있다.
감성 매칭 서버(500)는 고객으로부터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등)를 제공받아 서비스 이용을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고객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의 등록 신청이 가능하다.
감성 매칭 서버(500)는 고객 단말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서비스 이용 신청 고객이 수행하는 문자 대화를 수신(또는 확인)하고,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과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535)에 저장한다.
또한, 감성 매칭 서버(500)는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고객 무선 단말이 수행하는 문자 대화에 포함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로부터 상기 고객의 감성을 인지하기 위하여, 감성 인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535)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성은 인간의 인식능력으로써, 복잡한 표현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감성적이다.”라고 하면, 그 사람의 감성이 어떤지 표현하기 어렵지만, “그 사람은 비가 오면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을 읽는다.”라고 하면, 그 사람의 감성을 일부 느끼거나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매체(535)는, 사람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예컨대, 감성인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나 문자, 문구, 이모티콘 들이 어떤 문장에 포함되어 있다면, 그 문장을 작성한 사람의 감성을 어느 정도는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고객 무선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Motorola사의 DataTAC 방식 또는 Erricson사의 Mobitex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CDMA 기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또는 상기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 인터넷 단말, 또는 상기 DataTAC/ Mobitex 기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감성 매칭 서버(500)는, 인터페이스 제공수단(505), 정보 등록수단(510), 정보 확인수단(515), 문자대화 검색수단(520), 매칭고객 확인수단(525), 정보 전송수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제공수단(505)은,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 유선 또는 무선 단말로 상기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예컨대, 회원정보 등)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단말이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수단(505)은 상기 고객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 또는 통신 프로그램으로 제공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수단(505)이 제공하는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시간이나 이용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등록수단(510)은 모바일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신청 고객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한다.
정보 확인수단(515)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문자 대화가 수행될 때, 상기 문자 대화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이 감성 매칭 서비스를 등록한 고객의 무선 단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 확인수단(515)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문자 대화가 수행될 때,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감성 매칭 서비스 이용 요청 정보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대화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비스 이용 요청 메시지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수행되는 문자 대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수행되는 문자 대화에 포함된 고객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여, 상기 문자대화 이용 고객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상기 문자 대화로부터 추출한다.
여기서,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이 추출(또는 확인)하는 고객 감성 키워드는 우울함, 외로움 등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표현일 수 있다.
또한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은 문자 대화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 등의 사용개수, 반복여부 등을 토대로 지수(또는 지표)로 문자 대화 이용 고객의 감성을 확인할 수 있다.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이 문자 대화로부터 고객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써, 그 첫 번째는 문자 대화내의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포함된 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반복횟수 등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일반적인 감정이나 기분의 표현을 확인하거나 그러한 감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것과, 두 번째, 문자 대화내의 특정 문장(또는 단어) 자체를 그 사람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키워드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비(RAIN)”라는 감성 키워드를 통해 인식되는 일반적인 감성은, 우울함, 외로움, 시원함, 깨끗함 등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비가 오니 왠지 기분이 우울하여,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책이나 읽고 싶다.”라는 문자 대화를 입력했다면,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은 상기 문장에서 “비”, “기분”, “우울”, “조용한”, “소설책”, “읽고” 등의 고객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를 먼저 감성 키워드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된 감성 키워드가 지닌 일반적인 또는 객관적인 의미를 통합하여 상기 문자대화를 입력한 고객의 현재 감성을 “우울”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은 저장매체(535)에 저장된 특정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의 감성을 객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문자대화 검색수단(520)은 고객이 “비가 오니 왠지 기분이 우울하여,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책이나 읽고 싶다.”라는 문자대화를 입력했다면, 입력된 문자대화에 포함된 고객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를 따로 해석함 없이 문자대화내용 그대로를 고객의 감성 키워드로 인지할 수 있다.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은 다른 고객이 입력(또는 등록)한 문자대화와 동일한 단어나 어구, 말투 등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고객들을 구분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은, 상기 문자대화로부터 추출된 감성 키워드를 근거로 문자대화 이용 고객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이 인지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또는 고객들의 문자대화내용)를 확인한다.
앞서 기술한 첫 번째 고객 감성 인지 방법에 따르면,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은 “우울함”이라는 감성 키워드를 가진 제2, 제3, ..., 제n의 고객이나 상기 고객들이 등록(또는 전송)한 문자대화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고객이 입력하거나 문자대화가 “비가 오는데, 차도 밀려 지각도 하고 상사한테 혼도 나서 꿀꿀하다.”이라면, 상기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에 의해 제2 고객이 입력(또는 등록)한 문자대화도 “우울함”이란 감성 키워드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면,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은 상기 제2 고객도 상기 고객과 같이 “우울”이라는 감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고객 또는 상기 제2 고객이 입력한 문자대화내용(예컨대, 문자대화내용 일부)을 검색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전술한 두 번째 고객 감성 인지 방법에 따르면,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은 상기 고객이 입력한 문자대화에 포함된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가 유사하게 포함되어 있는 문장(또는 문구)을 입력(또는 등록)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 또는 제2, 제3, ..., 제n의 고객이 입력(또는 등록)한 문자대화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고객이 “비가 오는 날은 집에서 소설책을 읽고 싶다.”라는 문자대화를 입력(또는 등록)하였고, 제3 고객이 “우울할 때 카페에서 책이나 읽자.”라는 문자대화를 입력(또는 등록)하였다면,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은 상기 제2, 제3 고객들이 입력(또는 등록)한 문자대화에 포함된 단어나 문구가 상기 고객이 입력한 문자대화에 포함된 것과 유사(또는 동일)한 것으로 인지하여, 제2, 제3 고객을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가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전송수단(530)은 매칭고객 확인수단을 통해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이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상기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등록(또는 전송)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2, 제3, .., 제n 고객의 문자대화를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상기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는, 회원 ID,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수단(530)은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을 통해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이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상기 고객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단말과 문자대화를 수행하는 대화상대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등록(또는 전송)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2, 제3, .., 제n 고객의 문자대화를 상기 고객 무선단말과 문자대화를 수행하는 대화상대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전송수단(530)은, 상기 매칭고객 확인수단(525)을 통해 확인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를 고객 감성에 부합되는 순위별로 배열한 후, 상기 확인된 제2, 제3, ..., 제n의 고객 정보를 상기 배열된 고객 감성 부합되는 순위에 따라 고객 무선단말 및/또는 고객 무선단말과 문자대화를 수행하는 대화상대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전송수단(530)은 고객이 입력한 문자대화에 포함된 특정 단어 등이 사용된 비율(%) 또는 매칭되는 비율(%)을 산정하여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수단(530)은 상기 고객 감성 부합 순위 및 매칭 비율을 포함하는 메뉴를 구성하여 상기 고객 무선단말 및/또는 고객 무선단말과 문자대화를 수행하는 대화상대 고객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모바일 감성 매칭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대화로부터 상기 고객의 감성을 인식하고,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고객을 매칭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서버에서 고객들의 감성을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매칭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한다(S600). 여기서 감성 매칭 정보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검색어, 댓글, 게시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검색하기 위한 문자대화내용이 수신되면(S610), 수신된 문자대화에 포함된 고객 감성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한다(S620).
만약, 상기 수신된 문자대화에 고객 감성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확인되면(S630), 서버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성 인지 정보를 참조하여, 문자대화에 대응하는 고객 감성을 인지한다(S640).
그리고, 서버는 인지된 고객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고객을 검색한다(S650).
여기서 상기 제2, 제3, ..., 제n 고객은 상기 고객의 문자대화에 대응하는 감성을 내재한 문자대화를 수행하는 고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고객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고객이 검색되면(S660), 서버는 고객 감성에 부합되는 순위별로 배열한다(S670).
여기서, 서버는 고객이 입력하여 전송한 문자대화에 포함된 특정 단어 등이 사용된 비율(%) 또는 매칭되는 비율(%)을 확인하여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100 : 감성매칭서버 105 : 인터페이스 제공수단
110 : 정보등록수단 115 : 정보확인수단
120 : 추출(또는 확인)수단 125 : 메시지 확인수단
130 : 정보전송수단 135 : 저장매체

Claims (10)

  1. 서버에서 고객 유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 정보와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감성 매칭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서버에서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무선 메시지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이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이 등록한 무선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이 등록한 무선단말인 경우, 서버에서 상기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감성 매칭 대상 무선 메시지로 등록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등록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에 매칭되는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에서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의 무선 메시지와 상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간 감성 키워드 매칭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산출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서버에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고객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그룹핑된 고객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5.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수단;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수단;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무선 메시지 또는 상기 무선 메시지를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고,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전송한 무선 메시지를 감성 매칭 대상 무선 메시지로 등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등록한 무선 메시지의 감성 키워드에 매칭되는 무선 메시지가 등록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7. 문자 대화 내용과 상기 문자 대화 내용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둘 이상의 무선단말간의 문자 대화 내용(1)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 매칭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고객 무선단말;
    상기 전송된 문자 대화 내용(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와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추출(또는 확인)하고,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의 문자 대화 내용(1)과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간 감성 키워드 매칭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산출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시스템.
  9. 서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둘 이상의 무선 단말간 문자 대화 내용(1)을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 매칭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문자 대화 내용(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이 기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문자 대화 내용(1)과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문자 대화 내용(1)과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1)과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대화 내용(2, 3, ..., n) 또는 상기 문자 대화 내용(2, 3, ..., n)을 등록한 고객정보를 상기 감성 매칭 요청 고객 무선단말과 문자대화를 실시하는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KR1020100097140A 2010-10-06 2010-10-06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035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40A KR20120035554A (ko) 2010-10-06 2010-10-06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40A KR20120035554A (ko) 2010-10-06 2010-10-06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711A Division KR20170117358A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54A true KR20120035554A (ko) 2012-04-16

Family

ID=4613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140A KR20120035554A (ko) 2010-10-06 2010-10-06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99B1 (ko) * 2012-05-03 2014-10-06 (주)아크릴 감성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99B1 (ko) * 2012-05-03 2014-10-06 (주)아크릴 감성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180B1 (ko)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US979290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ranking of dialogue sticker based on situation and preference information
CN103080927B (zh) 使用搜索结果的自动路由
US962615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responsive sticker
CN104969173B (zh) 动态应用过滤运算器的自适应对话状态管理方法和系统
JP4423327B2 (ja) 情報通信端末、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727129B2 (ja) 位置に基づくサービス
US201200229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ed Advertising in Voicemail to Text Systems
US97929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dialogue sticker based on similar situation detection
WO2011053830A2 (en) Social search engine
WO20140472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intent in ivr using natural language queries
WO2009145988A1 (en) Techniques for input recognition and completion
US109436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neighborhood voice assistant
CN109640142B (zh) 一种内容推荐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JP5121763B2 (ja) 感情推定装置、及び方法
JP7207425B2 (ja) 対話装置、対話システムおよび対話プログラム
CN105830118A (zh) 用于判定在线会话的结果和通过会话期间情绪表达的分析的类似谈话的方法和设备
KR20160012965A (ko)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1695348B1 (ko) 메신저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7465797B (zh) 终端设备来电信息显示方法和装置
KR20120035554A (ko)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93188A (ko)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00143024A (ko) 감성 단어 기반 대화 서비스 방법
KR101996138B1 (ko)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117358A (ko) 모바일 감성 매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