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103A - 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 Google Patents

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103A
KR20120035103A KR1020110094750A KR20110094750A KR20120035103A KR 20120035103 A KR20120035103 A KR 20120035103A KR 1020110094750 A KR1020110094750 A KR 1020110094750A KR 20110094750 A KR20110094750 A KR 20110094750A KR 20120035103 A KR20120035103 A KR 2012003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tearing
strap
filling elemen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울리히 비른바움
마르쿠스 호이도르퍼
위르겐 카임
홀거-디르크 바쉐
Original Assignee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3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1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PURPOSE: An anchor rail with a tension strap can reliably position anchor rails with a small charge. CONSTITUTION: An anchor rail(11) with a tension strap includes a rail body(12), a housing space(13), multiple anchor elements(14), a filling body(15), a filling element(16), and a tearing-out strap(21). The housing space is stretched toward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ail body. The anchor elements are proj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body. The filling body i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space of the rail body. The tearing-out strap is attach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ling element being toward the anchor elements and connected with the filing element. The tearing out strap is stretched toward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ail bod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pace.

Description

인장 스트랩을 가진 앵커 레일{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앵커 레일을 위한 충전 바디 (filling body)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충전 바디는 장방형 (oblong) 충전 요소와, 상기 충전 요소를 앵커 레일의 수용 공간 밖으로 제거하기 위한 테어링 아웃 스트랩 (tearing out strap) 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 6 항의 전제부에 따른, 장방향 충전 요소와, 상기 충전 요소를 앵커 레일의 수용 공간 밖으로 제거하기 위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을 가진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ing body for an anchor rail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The filling body is formed with an oblong filling element and a tearing out strap for removing the filling element out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anchor rail, the tearing out strap in the connecting area. 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element.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ling body having a longitudinal filling element and a tearing out strap for removing the filling element out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anchor rail,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6. In the method, the tearing out strap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in a connection area.

C 프로파일을 가진, 콘트리트 안에 매립될 수 있는 앵커 레일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앵커 레일들은 세로 방향쪽에 마주하고 있는 2 개의 레일립들 (rail lips) 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립들 사이에는 앵커 레일을 따라 뻗어 있는 개구부가 앵커 레일의 내부 공간 안에 형성되어 있다.Anchor rails are known which can be embedded in concrete with a C profile. These anchor rails have two rail lips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ning extending along the anchor rail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nchor rail between the rail lips.

이러한 앵커 레일들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안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앵커 레일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을 잃지 않기 위해 콘크리트의 침투에 대해 밀봉되어야 한다. 이는 앵커 레일들의 수용 공간 안으로 충전 요소를 도입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시적인 충전재를 가진 앵커 레일들은 예컨대 DE 87 05 644 U, US 4,532,740 A 및 DE 295 15 152 U1 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Since these anchor rails are introduced into the formwork before concrete placement, the anchor rails must generally be sealed against the penetration of concrete in order not to lose their function. This can be done by introducing a filling element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anchor rails. Anchor rails with temporary filler are known, for example, from DE 87 05 644 U, US Pat. No. 4,532,740 A and DE 295 15 152 U1.

폼 (foam) 유형의 충전재는 일반적으로 앵커 레일을 사용하기 전에 다시 제거된다. 일시적인 레일 충전재를 보다 쉽게 제거하기 위해, 예컨대 US 4,532,740 A 및 DE 87 05 644 U 로부터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레일의 세로 방향에서 충전재의 아랫면에 부착되어 있다.Foam type fillers are generally removed again before using the anchor rails. To make it easier to remove the temporary rail filler, a tearing out strap is known, for example from US Pat. No. 4,532,740 A and DE 87 05 644 U, which is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fill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앵커 레일들을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시키는 가능성은, 앵커 레일을 거푸집에 밀착시키고, 그리고 예컨대 못들을 이용해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앵커 레일을 밀착시킬 때, 앵커 레일을 따라 뻗어 있는 개구부가 (상기 개구부는 콘트리트 타설이 끝난 요소에 있어서 고정 요소 (예컨대 티헤드 볼트) 들을 수용하기 위해 바깥쪽을 가리킨다) 거푸집에 밀착한다.The possibility of placing the anchor rails prior to concrete placement is to anchor the anchor rails to the formwork and to fix them to the formwork, for example with nail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chor rails, the openings extending along the anchor rails (the openings point outward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elements (e.g. tee head bolts) in the concrete cast elemen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rmwork.

하지만 앵커 레일의 신뢰성 있는 밀착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푸집에 고정시킬 때 앵커 레일의 잘못된 방향설정이 생길 수 있으며, 그 결과 콘크리트 타설이 끝난 요소 안에서 앵커 레일의 잘못된 방향설정이 생길 수 있다.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reliable attachment of anchor rails is not always possible. In some cases, incorrect anchoring of anchor rails may occur when fastening to formwork, and as a result, misaligning of anchor rails may occur within concrete cast elements.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적은 비용으로 앵커 레일들의 특히 신뢰성 있는 포지셔닝 (positioning) 이 가능하도록 선행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rior art to enable particularly reliable positioning of anchor rails, especially at low cos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가진 앵커 레일을 위한 충전 바디와, 청구항 제 6 항의 특징들을 가진 이러한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 형태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This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rough a filling body for an anchor rail with the features of claim 1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filling body with the features of claim 6. Preferred forms of improvement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바디는,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연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 (length reserve) 을 갖고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특징지어져 있다.The filling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ing out strap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with a length reserve in at least part of the connection area.

공지의 앵커 레일에서는 충전 요소가 레일립들 사이의 특정한 조건들하에 바깥으로 앵커 레일 밖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이 돌출은 공지의 앵커 레일을 거푸집에 포지셔닝할 때 보여지는 어려움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관찰되었다. 왜냐하면 충전 요소가 앵커 레일 밖으로 돌출하면, 레일립들의 영역에는 평탄한 밀착면이 더 이상 주어지지 않고, 따라서 레일은 거푸집에 밀착할 때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seen that in known anchor rails the filling element protrudes out of the anchor rail out under certain conditions between the rail ribs, and this protrusion may cause difficulties seen when positioning the known anchor rail in the formwork. Observ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cause when the filling element protrudes out of the anchor rail, the area of the rail ribs is no longer given a flat contact surface, so that the rail can tilt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rmwork.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요소의 돌출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와, 그러므로 레일을 포지셔닝할 때의 어려움은 공지의 충전 바디들의 구현형태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즉, 공지의 충전 바디들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전체 표면에 걸쳐 충전 요소 상에 접착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응력이 없는 상태에서, 접착 결합을 형성하는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일부와, 접착된 표면은 같은 길이를 가진다. 하지만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원칙적으로 보다 큰 인장강도를 가지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폼 재료보다 큰 인장강성을 가진다. 그 결과, 공지의 충전 바디에 있어서 강성은 충전 바디의 횡단면에 걸쳐 볼 때 일정하지 않다. 이렇게 횡단면에 걸쳐 동일하지 않게 분배된 강성들은, 중심 힘들의 작용이 발생하면, 및/또는 온도 변경시 테어링 아웃 스트랩과 충전 요소가 서로 다른 열적 팽창계수들로 인해 그들의 길이에 있어서 서로 달리 변경되면 결합 재료의 뒤틀림을 초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recognized that the undesirable effects of the protrusion of the filling element, and therefore the difficulty in positioning the rail, may b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known filling bodies. That is, in known filling bodies the tearing out strap is glued onto the filling element over the entire surface. In other words, in the absence of stress, the portion of the tearing out strap forming the adhesive bond and the bonded surface have the same length. However, tearing out straps have in principle greater tensile strength, and generally greater tensile strength than foam materials. As a result, the rigidity in known filling bodies is not constant when viewe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filling body. These unequally distributed stiffnesses across the cross section may occur if the action of the central force occurs and / or when the tearing out strap and filling element change differently in their length due to different thermal coefficients of expansion upon temperature change. It can lead to warping of the bonding material.

그러므로, 충전 요소와 테어링 아웃 스트랩과의 일반적인 조합에 있어서, 충전 요소의 아래에 인장 스트랩을 배치시킬 때 가열로 인해 충전 요소의 상향 뒤틀림이 생길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인장 스트랩이 폼의 팽창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그곳에서 폼은 레일립들을 통해 바깥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평탄한 밀착면이 더 이상 주어지지 않고, 그리고 레일을 포지셔닝할 때의 상기 언급된 어려움이 발생한다.Therefore, in a general combination of the filling element and the tearing out strap, heating may cause upward warping of the filling element when placing the tension strap underneath the filling element, because the tension strap prevents the foam from expanding. Because. As a result, there the foam is pressed out through the rail ribs, so in some cases a flat contact surface is no longer given, and the above mentioned difficulties arise when positioning the rail.

충전 요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뒤틀림은 전체 표면에 걸쳐 접착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을 가진 공지의 레일들에 있어서 가열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레일 내부의 수용 공간의 벽들이 평탄하지 않지 않고 융기부들 (raised areas) (상기 융기부들은 예컨대 레일 앵커의 앵커링 바디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을 가질 때에도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융기부들은 충전 바디 안으로 눌려질 수 있으며, 이때 부드러운 충전 요소는 이 변형을 문제 없이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테어링 아웃 스트랩 (상기 테어링 아웃 스트랩 안으로 상기 융기부들이 마찬가지로 누른다) 은 상기 융기부들을 통해 공간적으로 옮겨지며, 그리고 존재하는 인장강성으로 인해 스트랩 안에 상당한 인장력이 형성된다. 그 결과, 아래쪽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현악기의 현과 유사하게 인장되고, 레일립들 사이의 폼을 바깥으로 누른다.Undesirable warping of the filling element not only occurs upon heating in known rails with a tearing out strap bonded over the entire surface, but also the walls of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rail are not flat and raised areas ( The ridges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the anchoring body of the rail anchor). In this case, the ridges can be pressed into the filling body, wherein the soft filling element can absorb this deformation without problems. In contrast, a tearing out strap (the ridges likewise push into the tearing out strap) is spatially transferred through the ridges, and due to the tensile stiffness present, a significant tensile force is formed in the strap. As a result, the lower tearing out strap is tensioned similar to the strings of a stringed instrument and presses out the foam between the rail ribs.

상기 두 효과에서 공통적인 것은, 특히 평탄한 밀착면이 더 이상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레일립들 사이에 눌려져 돌출된 폼은 거푸집에 레일을 못으로 고정시킬 때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Common to both effects is that a foam pressed and projected between the raillips can act negatively when nailing the rail to the formwork, especially since a flat contact surface is no longer given.

여기에서 본 발명이 시작되며, 충전 요소의 구현형태를 제공하고, 상기 구현 형태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에서, 이웃한 충전 요소에 대한 길이 예비부분, 즉 길이 과잉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길이 예비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연결 영역에서의 스트랩은 충전 요소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지 않고 충전 요소에 대한 그의 간격은 연결 영역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은 이웃한 충전 요소의 표면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공간 방향 (spatial direction) 으로 뻗어 있으며, 이때 길이 예비부분은 이 추가적인 공간 방향에서 유래한다. 즉, 특히 길이 예비부분이란 연결 영역에서의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길이가 연결 영역에서의 충전 요소의 세로 방향 연장부보다 크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The invention starts here, and provides an implementation of a charging element, in which the tearing out strap has a length preliminary part, ie an excess length part, for a neighboring charging element in the connection area. To form this length preliminary part, for example, the straps in the connection region do not extend parallel to the charging element and their spacing to the charging element can vary along the connection region. In this case, the strap extends in an additional spatial direction compared to the surface of a neighboring filling element, wherein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comes from this additional spatial direction. That is, in particular, the length preliminary part may mean that the length of the tearing-out strap in the connection area is greater than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harging element in the connection area.

이 길이 예비부분으로 인해, 비교적 인장강성을 가진 스트랩이 팽창될 필요 없이 충전 요소의 세로 방향으로의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길이 확대가 가능하다.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 확대는 오히려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길이 예비부분에서 유래하며, 즉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 확대는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변형에 의해 초래되는 것이 아니라 스트랩의 기하학적 재배치에 의해 초래된다. 그러므로, 길이 예비부분으로 인해, 스트랩은 실제의 인장강성보다 적은 유효 인장강성을 구비한다.This length preliminary allows for the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tearing out str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ling element without the need to expand the relatively tensile stiff strap. The longitudinal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ather derived from the length preliminary part of the tearing out strap, ie the longitudinal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not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tearing out strap but by the geometrical repositioning of the strap. Therefore, due to the length reserve, the strap has less effective tensile stiffness than actual tensile stiffness.

감소된 유효 인장강성으로 인해 이번에도, 스트랩과 충전 요소 간의 조임이 생기지 않으면서 스트랩은 충전 요소의 열적 팽창 및/또는 충전 요소의 기계적 변형 - 예컨대 안으로 누르는 융기부들에 의해 초래되어 - 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폼이 눌려져 레일립들을 통해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과, 그리고 그 결과 레일을 포지셔닝할 때 생기는 선행기술에 알려진 어려움은 본 발명에 따라 저지된다.Due to the reduced effective tensile stiffness, too, the strap can absorb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filling element and / or the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filling element, such as caused by bulging inwards, without causing a tightening between the strap and the filling element. . Therefore, the difficulty known in the prior art when the foam is pressed and protrudes out through the rail ribs and consequently the positioning of the rail is preven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테어링 아웃 스트랩 안의 길이 예비부분은 특히 적어도 실내 온도 (20℃) 에서 및/또는 적어도 앵커 레일 안으로 충전 바디를 도입시키기 전에 존재할 수 있다. 길이 예비부분은 적어도 1%, 특히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또는 13%,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5% 일 수 있으며, 즉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이웃한 충전 바디의 표면보다 이 퍼센트 만큼 길다. 그러면 길이 예비부분은 실내 온도를 넘어선 가열시 충전 요소의 열적 변형을 또는 앵커 레일 안으로의 도입시 충전 요소의 기계적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예비부분은, 성형체 (moulded body) 가 직선으로 뻗어 있으면, 즉 상기 성형체가 앵커 레일의 내부에도 갖고 있는 기하학적 형상 (geometric configuration) 안에 상기 성형체가 위치하면 존재한다.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in the tearing out strap may in particular be present at least at room temperature (20 ° C.) and / or at least before introducing the filling body into the anchor rail.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may be at least 1%, in particular at least 5%, preferably at least 10% or 13%,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15%, ie the tearing out strap is two percent above the surface of the neighboring filling body. long.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can then absorb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filling element upon heating beyond the room temperature or the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filling element upon introduction into the anchor rail.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exists if the molded body extends in a straight line, ie if the molded body is located in a geometric configuration that the molded body also has inside the anchor rail.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되어 (fiber-reinforced) 있을 수 있다.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캐리어 스트랩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며, 상기 캐리어 스트랩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요소는 특히 폼 요소일 수 있으며, 그리고 예컨대 플라스틱 폼, 예컨대 폴리에틸렌 폼,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LDPE) 또는 폴리스티롤 폼을 구비할 수 있다.The tearing out strap may preferably be fiber-reinforced. The tearing out strap is more suitably equipped with a carrier strap, which carrier strap may for example comprise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he filling element may in particular be a foam element, and may comprise, for example, a plastic foam such as polyethylene foam, low density polyethylene foam (LDPE) or polystyrol foam.

연결 영역 (그 안에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The connection area, in which the tearing out strap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may or may not be engaged.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예비부분은 충전 요소의 연결 영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집중적인 (concentrated) 예비부분들이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예비부분들은 예컨대, 후에 충전 요소 안으로 누르는 융기부들이 존재하는 곳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충전 요소의 연결 영역의 일부에서만 길이 예비부분을 갖고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적인 예비부분들은 롤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롤은 그의 둘레를 따라 변화하는 표면 기하학을 구비한다. 즉, 예컨대 270°의 각도 범위에 걸쳐 원형 모양의 둘레를 가지며, 그리고 남아 있는 각도 범위에 걸쳐 (여기에서는 예컨대 90°) 톱니들이 제공되어 있는 롤이 제공될 수 있다. 충전 요소가 이 롤을 통해 안내되면, 롤의 매 회전시 집중적인 예비부분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과잉 영역들이 예컨대 리벳들을 위해 만들어질 수 있다.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nnection region of the filling element. Concentrated spare parts may, however, also be provided, which are provided where, for example, there are ridges which later press into the filling element. Thus, it may be sufficient that the tearing-out strap has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only in a part of the connection region of the charging element and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Intensive preliminary par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roll, the roll having a surface geometry that changes along its circumference. That is, a roll may be provided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over an angular range of, for example, 270 ° and provided with teeth over the remaining angular range (here for example 90 °). When the filling element is guided through this roll, a concentrated reserve is made at every turn of the roll. Therefore, continuously repeating excess regions can be made for example for rivets.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연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연결 영역에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길이 예비부분을 갖고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미앤더 형태로, 특히 물결 모양으로 충전 요소에 대한 변화하는 간격을 갖고 충전 요소에 접하여 뻗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미앤더 모양의 형태에 의해 한편으로는 매우 큰 길이 예비부분이 달성될 수 있다. 동시에, 미앤더 모양의 형태에 의해 충전 요소와의 특히 많은 접촉부위들이 실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좋은 결합이 주어진다. 특히, 스트랩과 충전 요소는 단면이 미앤더 형태인 상부 방향전환점들에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tearing-out strap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area (in which connection the tearing-out strap has a length reserve and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in the form of a meander, in particular a wavy shape, with varying spacing for the charging element.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o have it in contact with the filling element. By means of the meander shape a very large length preliminary part can be achieved on the one hand. At the same time, particularly many contacts with the filling element can be realized by means of the meander shape, thus giving particularly good coupling. In particular, the strap and the charging element may be connected at the upper turning points having a meander shape in cross section.

이 이외에,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연결 영역에서 충전 요소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목적에 부합한다. 이를 통해, 스트랩과 충전 요소 간의 결합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을 위해 예컨대 스트랩은 접착층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serves a purpose that the tearing-out strap is bonded to the filling element in the connection area. In this way, the coupling between the strap and the charging element can be achieved in a particularly simple manner. For adhesion, for example, the strap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특히, 특히 큰 길이 예비부분과 관련하여, 하지만 또한 제조 비용과 관련하여 충전 요소가 연결 영역에서 적어도 거의 평탄한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may be desirable for the filling element to have at least an almost flat surface in the connection area, especially with regard to large length preliminaries, but also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은 또한 레일 바디를 가진, 건축물의 부분 안에 주입될 수 있는 앵커 레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일 바디는 상기 레일 바디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앵커 레일은 상기 수용 공간 안에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바디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바디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을 갖고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그 탁월함을 나타낸다. 수용 공간 안에 배치된 충전 바디의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길이 예비부분에 의해, 즉 스트랩이 충전 요소의 상응하는 풀림 (unwinding) 보다 긴 길이를 가짐으로써, 충전 바디가 온도 변경시 레일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nchor rail having a rail body, which can be injected into a part of a building, said rail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said rail body, said anchor rail being in said receiving space. A charging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tearing-out strap has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in at least part of the connection area and is shown to be superior by being connected to the charging element. By the length preliminary part of the tearing-out strap of the filling body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ie the strap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corresponding unwinding of the filling element, ensuring that the filling body does not come out of the rail upon temperature change. do.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연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의 형성하에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특징지어져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filling bod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tearing out strap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under the formation of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in at least part of the connecting area.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길이 예비부분은, 성형체가 직선으로 뻗어 있으면 및/또는 상기 성형체가 앵커 레일의 내부에도 갖고 있는 기하학적 형상 안에 상기 성형체가 위치하면 주어진다. 충전 바디의 아랫면에 비해 확대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길이에 의해, 인장 스트랩 자체가 인장력을 흡수해야만 하기 전에 만회될 수 있는 인장신율을 위한 충전 바디의 팽창 예비부분이 발생한다. 예컨대 융기부들을 통해 레일 바디 안에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인 늘리기 (lengthening) 조차 분배된 예비부분들을 통해 흡수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국부적으로 제한된 팽창차이들이 빨리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length preliminary part is given if the molded body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and / or in the geometric shape that the molded body also has inside the anchor rail. The extended length of the tearing out strap relative to the underside of the filling body results in an expansion preliminary portion of the filling body for tensile elongation that can be retrieved before the tensioning strap itself must absorb the tensile force. Even local lengthening that can occur in the rail body, for example through the ridges, can be absorbed through the distributed spares, since locally limited expansion differences can be quickly eliminated.

예컨대, 충전 요소는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세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고, 특히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상기 충전 요소의 신장된 영역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요소는 적어도 아랫면에서 탄성적으로 길어진다. 이 단계에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아랫면에 접착된다. 뒤따르는 원래대로의 변형에 있어서, 압력에 대해 부드러운 테어링 아웃 스트랩 안에는 압축응력이 발생될 수 없다. 그 결과, 응력이 없이 제공된 스트랩은 그의 본래의 길이를 유지하며, 상기 본래의 길이는 이제 충전 요소의 길이보다 길다. 이로 인해, 길이 예비부분이 스트랩 안에 형성된다.For example, the charging element can extend longitudinally in at least some areas, in particular elastically, and the tearing out strap can be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in the extended area of the filling element. Thus, the filling element is elastically elongated at least on the underside. In this step, the tearing out strap is glued to the underside. In the subsequent deformation, no compressive stress can be generated in the soft tearing out straps against pressure. As a result, the strap provided without stress retains its original length, which is now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lling element. As a result,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is formed in the strap.

충전 요소는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그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신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인장하중이 충전 요소의 마주하고 있는 단부들에 가해질 수 있다. 충전 요소가 그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신장되는 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동시에 충전 요소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충전 요소는 일부 영역들에서만 신장될 수도 있으며, 그 후 스트랩은 상기 신장된 영역 상에 제공된다. 이는 특히 연속적인 방법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매 시점에서 충전 요소의 전체 길이의 한 영역만 신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lling element may extend in its full length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tensile load can be appli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filling element. As long as the filling element is stretched over its entire length, the tearing out strap can be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filling ele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harging element may be stretched only in some areas, after which a strap is provided on the stretched area. This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connection with continuous processes. Here, only one reg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filling element may be stretched at any point in time.

신장, 즉 충전 요소의 양성 (positive) 팽창은 충전 요소의 전체 횡단면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순수 (pure) 인장하중에 일치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신장이 충전 요소의 아랫면에만 주어져 있으면, 즉 스트랩과 연결되는 쪽에 주어져 있으면 충분하다. 남아 있는 횡단면 영역들에서는, 적은 양성 팽창 또는 심지어 음성 (negative) 팽창도 존재할 수 있다.Elongation, ie, positive expansion of the filling element, can act in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filling element. This corresponds to the pure tensile load. In principle, however, it is sufficient if the elongation is only given to the underside of the charging element, ie on the 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strap. In the remaining cross-sectional areas, there may be less positive expansion or even negative expansion.

이 이외에, 충전 요소가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구부러지며, 특히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며, 구체적으로는 특히 롤 둘레로 및/또는 강제 가이드 둘레로 구부러지고,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상기 충전 요소의 구부러진 영역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변형예에 따르면, 충전 요소는 구부러지며, 따라서 그의 아랫면은 중립적인 테어링 아웃 스트랩에 대해 길어진다. 이는 예컨대 롤을 통한 회전시 생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트랩이 제공된다. 충전 바디의 굽힘이 감소하자마자, 충전 요소의 길어진 아랫면은 다시 그의 본래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래의 길이는 중립적인 섬유의 길이와 같다. 이때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눌려진다. 그것은 압축강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 영역들에서는, 길이 예비부분을 형성하는 분리 및 물결 주름들이 생긴다.In addition to this, the filling element is bent in at least some areas, in particular elastically bent, in particular bent around the roll and / or around the forced guide, and the tearing out strap is bent area of the filling element It is preferred to connect with the charging element a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ariant, the filling element is bent, so that its underside is lengthened with respect to the neutral tearing out strap. This may occur, for example, when rotating through a roll. In this state, a strap is provided. As soon as the bending of the filling body decreases, the elongated underside of the filling element again has its original length, which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neutral fiber. At this time, the tearing-out strap is pressed. Since it does not have compressive stiffness, in some regions, there are separate and wavy folds forming a length preliminary part.

충전 요소는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그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구부러질 수 있다. 충전 요소가 그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구부러지는 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동시에 충전 요소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요소는 일부 영역들에서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후 스트랩은 구부러진 영역 상에 제공된다. 이는 특히 연속적인 방법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매 시점에서 충전 요소의 전체 길이의 한 영역만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The filling element can be bent over its entire length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long as the charging element is bent in its full length, the tearing out strap can be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harging ele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harging element can only be bent in some areas, after which the strap is provided on the bent area. This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connection with continuous processes. Here, only one reg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filling element can be bent at any point in time.

굽힘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충전 요소의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뻗어 있는 축 둘레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스트랩이 충전 요소의 아랫면에 제공되면 적어도 굽힘축은 목적에 보다 부합하여 충전 요소의 위쪽에서 뻗어 있다.The bending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around an axis extending transversely, preferab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ling element, wherein if the strap is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filling element at least the bending axis is more in line with the purpose. The charging element stretches from the top.

본 발명의 그 밖의 바람직한 구현형태에 따르면, 충전 요소는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프로파일링되며, 특히 탄성적으로 프로파일링되고, 구체적으로는 특히 톱니롤을 수단으로 프로파일링되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상기 충전 요소의 프로파일링된 영역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된다. 예컨대, 충전 요소의 뒷면에 걸쳐 톱니롤은 돌출 톱니들과 함께 주행할 수 있다. 이 톱니들은 충전 요소 안으로 눌려지며, 그리고 이로써 아랫면에서의 충전 요소의 풀림면을 길게 한다. 뒤따라 테어링 아웃 스트랩을 제공할 때, 이것은 각인된 프로파일을 따라가는데, 왜냐하면 안으로 눌려진 부분의 탄성적인/점성이 있는 복원이 시간상 지체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충전 바디의 변형이 감소하자마자 충전 요소의 아랫면은 다시 그의 본래의 치수를 갖는다. 이때, 테어링 아웃 스트랩이 눌려진다. 그것은 압축강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 영역들에서는, 길이 예비부분을 형성하는 분리 및 물결 주름들이 생긴다. 상기 언급된 실시 변형예들과는 달리, 아랫면 늘리기는 이 실시형태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비연속적으로 수행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lling element is profiled in at least some areas, in particular elastically profiled, specifically in particular by means of tooth rolls, and the tearing out strap is It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in the profiled area of the charging element. For example, the tooth roll can travel with the protruding teeth over the back side of the filling element. These teeth are pressed into the filling element, thereby lengthening the loosening side of the filling element at the bottom. When subsequently provided with a tearing out strap, this follows the imprinted profile, because the elastic / viscous restoration of the pressed inward part appears delayed in time. As soon as the deformation of the filling body decreases, the underside of the filling element again has its original dimensions. At this time, the tearing-out strap is pressed. Since it does not have compressive stiffness, in some regions, there are separate and wavy folds forming a length preliminary part. Unlike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variants, the underside stretching is carried out discontinuously rather than continuously in this embodiment.

본 발명은 또한 레일 바디를 가진, 건축물의 부분 안에 주입될 수 있는 앵커 레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바디는 상기 레일 바디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충전 바디는 본 발명에 상응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충전 바디는 수용 공간 안으로 도입될 수 있고, 이때 적어도 충전 바디의 도입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을 갖고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chor rail having a rail body that can be injected into a portion of a building, the rail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body. In this way, the filling body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filling body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wherein at least upon introduction of the filling body the tearing out strap is preliminary in length at least in part of the connection area. It has a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언급된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품들에서도 이용될 수 있으며, 정반대로 제조품들과 관련하여 언급된 특징들은 방법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The features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also be used in articles of manufa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바디를 가진 앵커 레일의 횡단면도;
도 2 는 보다 잘 알아볼 수 있도록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미앤더 형태가 실제보다 매우 높게 도시되어 있는, 도 1 의 충전 바디의 측면도;
도 3 은 보다 잘 알아볼 수 있도록 테어링 아웃 스트랩의 미앤더 형태가 실제보다 매우 높게 도시되어 있는, 충전 바디의 그 밖의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4 는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형태;
도 5 는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2 실시형태;
도 6 은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3 실시형태;
도 7 은 충전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4 실시형태이다.
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anchor rail with a filling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charging body of FIG. 1 with the meander shape of the tearing out straps shown to be much higher than actual for better visibility; FIG.
3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rging body, in which the meander shape of the tearing out strap is shown to be much higher than actual for better visibility;
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producing a filling body;
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producing a filling body;
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producing a filling body;
7 is a fourth embodiment of a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manufacturing a filling body.

건축물의 부분 안에 주입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레일 (11) 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앵커 레일 (11) 은 레일 바디 (12) 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 바디는 상기 레일 바디 (12) 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용 공간 (13) 을 구비하고, 이때 도 1 의 횡단면도의 경우 세로 방향은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다. 이 이외에, 앵커 레일 (11) 은 레일 바디 (12) 의 아랫면에서 돌출하는 다수의 앵커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앵커 요소들 중 도 1 에서는 단 하나의 앵커 요소 (14) 를 알아볼 수 있고, 상기 앵커 요소는 나머지 앵커 요소들을 덮고 있다. 레일 바디 (12) 의 수용 공간 (13) 안에는 충전 바디 (15) 가 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예컨대 LDPE 폼으로 구성될 수 있는 충전 요소 (16) 와,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으로 구성된다.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앵커 요소 (14) 들을 향해 있는 충전 요소 (16) 의 아랫면에 접착하며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어 있다.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앵커 요소 (14) 들을 향해 있는 수용 공간 (13) 의 아랫면에서, 레일 바디 (12) 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을 통해 힘이 충전 바디 (15) 에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힘은 충전 바디 (15)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 (13) 밖으로 제거시키는데 이용된다.An anchor rail 1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can be injected into a part of a building is shown in FIG. 1. The anchor rail 11 shown has a rail body 12, which has a receiving space 1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body 12, in the case of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plane. In addition to this, the anchor rail 11 has a plurality of anchor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nderside of the rail body 12, in which only one anchor element 14 can be seen in FIG. 1. The element covers the rest of the anchor elements. The filling body 15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rail body 12. It consists of a filling element 16, which may for example be made of LDPE foam, and a tearing out strap 21. The tearing out strap 21 adheres to the filling element 16 and adheres to the underside of the filling element 16 facing the anchor elements 14. The tearing out strap 2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body 12 on the under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 towards the anchor elements 14. A force can be exerted on the filling body 15 via the tearing out strap 21, which force is used to at least partially remove the filling body 15 out of the receiving space 13.

도 2 는 도 1 의 충전 바디 (15) 의 측면도를 보이고 있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를 따라 뻗어 있는 연결 영역 (1) 에서, 충전 요소 (16) 의 아랫면에서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 (1) 은 충전 요소 (16)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다. 하지만 연결 영역 (1) 은 원칙적으로 충전 요소 (16) 의 부분 길이에만 걸쳐 뻗어 있을 수도 있다.FIG. 2 shows a side view of the filling body 15 of FIG. 1. As can be seen in FIG. 2,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16 at the underside of the charging element 16 in the connection region 1 extending along the charging element 16. . In the embodiment shown, the connection region 1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filling element 16. However, the connection region 1 may in principle only extend over the partial length of the charging element 16.

도 2 가 또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영역 (1) 에서의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아랫면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면에서 볼 때 충전 요소 (16) 에 대한 변화하는 간격을 갖고 미앤더 형태로 (meander-shaped) 뻗어 있다. 이 미앤더 형태로 인해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안에는 길이 예비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예비부분은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과의 조임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과 연결된 충전 요소 (16) 가 세로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s also shown in FIG. 2, the tearing-out strap 21 in the connection region 1 does not extend parallel to the underside of the charging element 16, but rather for the charging element 16 in cross section. It is meander-shaped with varying intervals. Due to this meander shape,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is formed in the tearing-out strap 21, and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is formed with the tearing-out strap 21 and without tightening with the tearing-out strap 21. It is possible for the connected charging element 16 to exp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초과 길이 (24) 를 구비하며, 상기 초과 길이와 함께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아랫면을 넘어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초과 길이는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을 붙잡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tearing out strap 21 has an excess length 24, with the tearing out strap 21 protruding beyond the underside of the filling element 16, and the excess length being the tearing out. It is possible to hold the strap 21.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바디 (15) 의 그 밖의 실시형태를 측면도로 보이고 있다. 도 3 의 실시형태는, 미앤더 형태와, 그러므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의 길이 예비부분이 연결 영역 (1) 의 일부에만 주어져 있다는 점에서 도 2 의 실시형태와 구별된다. 특히, 길이 예비부분은 앵커 요소 (14) 들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여기에서, 길이 예비부분을 통해 저지될 수 있는 조임이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3 shows a further embodiment of a filling body 15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embodiment of FIG. 3 is distinguish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2 in that the meander shape and therefore the length preliminary part of the tearing-out strap 21 are given only to a part of the connection region 1. In particular,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anchor elements 14, since here, a tightening that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length preliminary portion can be expected.

도 4 는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4 가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충전 요소 (16) 는 세로 방향으로 신장되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후 충전 요소 (16) 의 인장하중이 사라지며, 따라서 상기 충전 요소는 탄성적으로 원래대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예비부분이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안에 형성된다.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filling body 15. As shown in FIG. 4, in this case the charging element 16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said charging element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charging element 16. After connection, the tensile load of the filling element 16 disappears, so that the filling elemen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t this time, the length preliminary part is formed in the tearing-out strap 21.

도 5 는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5 가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충전 요소 (16) 는 전체적으로 롤 (40) 을 빙 둘러 구부러지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충전 요소와 연결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충전 요소 (16) 의 롤 (40) 로부터 멀리 향하는, 그러므로 굽힘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쪽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후 충전 요소의 굽힘이 사라지며, 따라서 상기 충전 요소는 탄성적으로 예컨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직선 상태로 원래대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예비부분이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안에 형성된다.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filling body 15. As FIG. 5 shows, in this case the filling element 16 is bent around the roll 40 as a whole, and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said filling element in the bent state of the filling element 16. Specifically, it is connected to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roll 40 of the filling element 16 and therefore away from the bending axis. The bending of the filling element disappears after connection, so that the filling elemen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for example in a straight state as shown in FIG. 2. At this time, the length preliminary part is formed in the tearing-out strap 21.

도 6 은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6 의 실시예에 상응하여, 충전 요소 (16) 는 연속적으로 롤 (41) 을 빙 둘러 안내되며, 그리고 이때 국부적으로 롤 (41) 에서 구부러진다. 이 국부적인 굽힘의 영역 (44) 에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된다. 롤 (41) 로부터 멀리 뻗어 있는 충전 요소 (16) 의 영역들에서는 충전 요소 (16) 의 굽힘이 사라지며, 따라서 충전 요소 (16) 는 직선 상태로 원래대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예비부분이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안에 형성된다.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filling body 15.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the filling element 16 is continuously guided around the roll 41, which is then bent locally on the roll 41. In this region of local bending 44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In areas of the filling element 16 extending away from the roll 41, the bending of the filling element 16 disappears, so that the filling element 16 can be deformed in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length preliminary part is formed in the tearing-out strap 21.

도 7 은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 상응하여, 충전 요소 (16) 는 연속적으로 톱니롤 (50) 을 지나 안내되며, 그리고 이때 프로파일링된 (profiled) 영역 (55) 이 충전 요소 (16) 의 표면에 형성된다. 프로파일링된 영역 (55) 에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며, 이때 연결은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니롤 (50) 의 작용을 통해 수행되고, 하지만 원칙적으로는 톱니롤 (50) 로부터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톱니롤 (50) 로부터 멀리 뻗어 있는 충전 요소 (16) 의 영역들에서는 충전 요소 (16) 의 프로파일링이 완화되며, 따라서 충전 요소 (16) 는 프로파일링되지 않은 상태로 원래대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예비부분이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안에 형성된다. 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filling body 15.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the filling element 16 is continuously guided past the toothed roll 50, where a profiled region 5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ling element 16. . In the profiled area 55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where the connection is carried out via the action of the tooth roll 50 as shown in FIG. 7, but in principle It may be carried out separately from the toothed roll (50). In areas of the filling element 16 extending away from the toothed roll 50, the profiling of the filling element 16 is relaxed, so that the filling element 16 can be deformed in its original state without being profiled. At this time, the length preliminary part is formed in the tearing-out strap 21.

Claims (9)

앵커 레일 (11) 을 위한 충전 바디 (15) 로서, 상기 충전 바디는 장방형 충전 요소 (16) 와, 상기 충전 요소 (16) 를 앵커 레일 (11) 의 수용 공간 (13) 밖으로 제거하기 위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을 구비하며, 상기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 (1) 에서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어 있는, 앵커 레일 (11) 을 위한 충전 바디 (15) 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연결 영역 (1) 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을 갖고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레일 (11) 을 위한 충전 바디 (15).
Filling body 15 for anchor rail 11, which is a rectangular filling element 16 and tearing for removing the filling element 16 out of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anchor rail 11. In the filling body (15) for the anchor rail (11), which has an out strap (21), said tearing out strap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in the connection region (1).
The tearing-out strap 21 for the anchor rail 11,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ing-out strap 21 has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in at least part of the connecting region 1 and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제 1 항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연결 영역 (1) 의 적어도 일부에서 미앤더 형태로 충전 요소 (16) 에 대한 변화하는 간격을 갖고 충전 요소 (16) 에 접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바디 (15).
The method of claim 1,
The tearing-out strap 2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ing-out strap 21 extends in contact with the filling element 16 at varying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filling element 16 in a meander shape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region 1. ).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연결 영역 (1) 에서 충전 요소 (16) 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바디 (15).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ling body 15,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ing out strap 21 is adhered to the filling element 16 in the connecting region 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요소 (16) 는 연결 영역 (1) 에서 적어도 거의 평탄한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바디 (15).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harging body 15,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element 16 has at least an almost flat surface in the connection region 1.
레일 바디 (12) 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용 공간 (13) 을 구비한 레일 바디 (12) 를 가진, 건축물의 부분 안에 주입될 수 있는 앵커 레일 (11) 에 있어서,
수용 공간 (13) 안에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 바디 (15) 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바디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연결 영역 (1) 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을 갖고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레일 (11).
In an anchor rail (11) which can be injected into a part of a building, having a rail body (12) with a receiving space (1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body (12),
In the accommodating space 13 a charging body 15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s provided, in which the tearing-out strap 21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regions 1. Anchor rails (11),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 length preliminary in part and are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장방향 충전 요소 (16) 와, 상기 충전 요소 (16) 를 앵커 레일 (11) 의 수용 공간 (13) 밖으로 제거하기 위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을 가진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연결 영역 (1) 에서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어 있는,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테어링 아웃 스트랩은 연결 영역 (1) 의 적어도 일부에서 길이 예비부분의 형성하에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바디 (15)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ling body 15 having a longitudinal filling element 16 and a tearing out strap 21 for removing the filling element 16 out of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anchor rail 11.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ling body 15, the tearing-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16 in the connecting region 1.
The tearing out str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in the form of a length preliminary portion in at least part of the connecting region (1).
제 6 항에 있어서,
충전 요소 (16) 는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세로 방향으로 신장되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신장된 영역에서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harging element (16) is longitudinally elongated in at least some areas, and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the charging element (16) in the extended area of the charging element (16).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충전 요소 (16) 는 특히 롤 (40, 41) 둘레로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구부러지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구부러진 영역 (44) 에서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filling element 16 is in particular bent in at least some areas around the rolls 40, 41, and the tearing out strap 21 is connected with the filling element 16 in the bent area 44 of the filling element 16. Connected.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요소 (16) 는 특히 톱니롤 (50) 을 이용해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프로파일링되며, 그리고 테어링 아웃 스트랩 (21) 은 충전 요소 (16) 의 프로파일링된 영역 (55) 에서 충전 요소 (16) 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filling element 16 is in particular profiled in at least some areas with the tooth roll 50, and the tearing out strap 21 is filled in the filled element 16 in the profiled area 55 of the filling element 16. ) Is connected to the method.
KR1020110094750A 2010-10-04 2011-09-20 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KR201200351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1904A DE102010041904A1 (en) 2010-10-04 2010-10-04 Anchor rail with drawstring
DE102010041904.4 2010-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103A true KR20120035103A (en) 2012-04-13

Family

ID=4467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750A KR20120035103A (en) 2010-10-04 2011-09-20 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80431A1 (en)
EP (1) EP2436846B1 (en)
KR (1) KR20120035103A (en)
CN (1) CN102444208B (en)
DE (1) DE102010041904A1 (en)
RU (1) RU2576418C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4126A (en) * 2017-08-30 2019-03-05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A kind of watt of fixed device and using the fixed device of this watt it is fixed watt method for dismount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7174A (en) * 1970-02-13 1972-06-06 Robert W Arnett Expansible reveal with frontal tear strip for plaster walls
DE3315632C2 (en) * 1983-04-29 1986-05-07 Siegfried 7135 Wiernsheim Fricker Anchor rail for structural engineering
SU1164050A2 (en) * 1983-06-16 1985-06-30 Новосибирское Проек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Всесоюзн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 Проектного Института "Вниипроектэлектромонтаж" Arrangement for forming socket for mounted instruments
DE8504883U1 (en) * 1985-02-21 1986-06-19 Halfeneisen GmbH & Co KG, 4000 Düsseldorf Anchor channel with a C-shaped cross-section that can be embedded in concrete
DE8705644U1 (en) 1987-04-16 1987-06-04 Fricker, Siegfried, 7135 Wiernsheim, De
GB8808808D0 (en) * 1988-04-14 1988-05-18 Vantrunk Eng Ltd Insert for channel section member
DE29515152U1 (en) 1995-09-23 1995-11-23 Gefinex Gmbh Plastic foam filling for anchor channels
EP1272139B1 (en) * 2000-03-14 2008-07-16 Velcro Industries B.V. Method of forming a stretchable fastener
US7654057B2 (en) * 2005-08-08 2010-02-02 Sergio Zambelli Anchoring insert for embedding in a concrete component and concrete component provided therewith
DE102009045715A1 (en) * 2009-10-15 2011-04-21 Hilti Aktiengesellschaft Castable anchor 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6846A3 (en) 2014-01-22
CN102444208B (en) 2016-01-06
RU2576418C2 (en) 2016-03-10
RU2011140047A (en) 2013-04-10
DE102010041904A1 (en) 2012-04-05
EP2436846B1 (en) 2015-01-07
EP2436846A2 (en) 2012-04-04
US20120080431A1 (en) 2012-04-05
CN102444208A (en)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1480T3 (en) CAR DOOR WITH INSULATING ELEMENT.
WO2013168406A2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KR101284588B1 (en) Fixing device for wood and deck facility having the same
US20050072052A1 (en) Weather strip for automobile
CA2664194C (en) Synthetic shingle or tile with stress relief spacing feature
CA3204840A1 (en) Uncoupling mat
KR20120035103A (en) Anchor rail with tension strap
CN111065782A (en) Profiled beam element comprising a deformable area for absorbing deformation of said profiled beam element during fixation thereof
KR102411331B1 (en) Fastening tape
JP2753818B2 (en) Joint water stop joint of concrete structure
RU2540051C2 (en) Closed profile crossbar for vehicle rear axle
KR20120118476A (en) Assembly of a molded object that comprises a plurality of overmolded hook elements and further comprises a covering
EP3204681A2 (en) Vibration isolating insert for a pipe cl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insert
KR101124953B1 (en) Automobile roof moulding
KR102421598B1 (en) Reinforced soil block assembly
JP5223063B2 (en) Lining material for concrete wall and method for lining concrete wall using the same
KR101620802B1 (en) Bridge expansion joint having an integrated waterproof material
KR101816696B1 (en) Connection reinforcement and escape prevention brackets for lane departures
JP4192758B2 (en) Under spoiler for vehicles
JP4121965B2 (en) Construction joint
US20220213688A1 (en) A system for mounting glass roof tiles on a roof construction
JP2009221793A (en) Tile un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645893B2 (en) Joint water stop structure
JP2008285884A (en) Simple vertical steel expansion device for bridge
KR101739247B1 (en) Method of construction waterproof expansion joint device fo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