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843A -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843A
KR20120034843A KR1020100096163A KR20100096163A KR20120034843A KR 20120034843 A KR20120034843 A KR 20120034843A KR 1020100096163 A KR1020100096163 A KR 1020100096163A KR 20100096163 A KR20100096163 A KR 20100096163A KR 20120034843 A KR20120034843 A KR 20120034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call
call
free
provid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9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843A/ko
Publication of KR2012003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은 상기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의 가입 접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업체로부터 상기 무료 통화를 제공 받을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등록된 업체를 무료 통화 제공 주체로서 상기 고객의 프로파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고객에 대응하는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송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에게 상기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료 통화의 기록을 근거로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LL FREE CALL USING IP MULTIMEDIA SUBSYSTEM}
본 발명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VoIP/SoIP 단말기 이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에, 통화 대기시에 VoIP/SoIP 단말기의 화면 상에 무료 통화 제공 업체에 대한 안내 영상/음원을 송출하고 통화 요금을 해당 업체에 과금하는 무료 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시장은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관련 통신 서비스도 양적, 질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통신 서비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성 통신뿐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대체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를 들 수 있는데, IMS는 IP기반에서 멀티미디어를 이동 통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IMS는 고정 전화망이나 이동 통신망 등, 종래의 공중 통신 서비스를 IP기술이나 인터넷 전화에 쓰이는 프로토콜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로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참고로, SIP 프로토콜은 세션의 개시, 종료,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IMS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SoIP 단말을 이용해야 한다.
SoIP(Service over IP)란 VoIP(Voice over IP) 개념이 확장된 것으로서, 기존의 음성 위주의 VoIP에 추가하여 화면을 이용한 영상, 문자 및 각종 정보와 데이터 위주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용자는 SoIP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하거나 각종 생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위주의 서비스들은 종래의 음성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됨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시간은 종래에 비해 증가함으로써, 결국, 이용자의 통신비용은 크게 절감되지 못하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이용자의 통신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무료 쿠폰 등을 이용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무료 쿠폰을 사용 전에 미리 등록해야 하거나, 보유중인 무료 쿠폰을 사용하기 위해 발신 시에 상대방 전화 번호 이외에 교환 센터로 전화를 걸거나 별도의 인증 번호를 추가로 입력해야만 해서, 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00-0029282호에는 "전화기를 이용한 상업광고 서비스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통신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수신 시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전화 이용자가 무료 통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통신 서비스 업체에 상업 광고 수신에 동의하는 가입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무료 통화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광고 내용을 상당한 시간 동안 모두 청취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화 이용자에게 번거로운 과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00-0005455호에는 "통화료 감면의 광고 서비스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통신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수신 시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전화 이용자가 무료 통화를 제공 받기 위해서 사전에 통신 서비스 업체에 광고 수신에 동의 하는 절차를 별도로 밟아야 하며, 또한, 제공되는 광고의 청취 시간에 비례하여 무료 통화가 제공되기 때문에 전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이익은 적은 반면 상대적으로 많은 불편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 이용자에게 추가적인 절차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으로 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요금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는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MS와 연동되는 SoIP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별도의 절차를 요구하지 않고도 통화 연결 대기시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짧은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화면 및 안내 멘트를 보고 듣는 것 만으로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료 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IMS와 연동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의 가입 접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업체로부터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상기 업체를 무료 통화 제공 주체로서 등록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발신 요청시에 상기 이용자 단말의 화면에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로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료 통화의 기록을 근거로 상기 업체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IMS와 연동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용자 단말로부터 발신 호 연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를 선택하는 단계, IMS를 통하여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상기 이용자 단말의 화면에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의 통화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한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요금을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에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버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 정보 관리부,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이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이용자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무료 통화 등록 인증을 실시하는 업체 인증부,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생성, 관리하는 영상/음원 관리부, IMS로부터의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료 통화 주체 안내 정보의 검색 및 상기 IMS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 제어부 및 상기 IMS로부터 전송 받은 통화 시간 정보를 토대로 무료 통화 제공 주체에 대한 과금 금액을 결정하는 과금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은,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 및 무료 통화를 제공받는 이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업체의 고유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관리하며, 제공된 무료 통화 정보에 근거하여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을 결정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 및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자의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IMS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SoIP 단말기 이용자들에게 별도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지 않고도 무료 통화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SoIP 단말기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무료 통화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통신 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는 불특정 다수가 아니라 해당 업체의 실제 고객들 또는 구매 가능성이 높은 예비 고객들로 한정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고, 무료 통화 제공시에 해당 업체가 제공하는 것을 알릴 수 있어서 실질적인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더불어 고객 충성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된 무료 통화의 과금 금액의 결정 방법에 대한 세부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는 무료 통화를 제공받는 이용자 단말(100),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을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전화를 수신하는 착신자 단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100)은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로부터 무료 통화를 제공받는다. 이용자 단말(100)은 SoIP 단말일 수 있으며, 문자 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용자 단말(100)은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로부터 무료 통화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자 정보 이용 동의를 요청 받을 수 있다. 이용자 정보 이용 동의가 요구되는 이용자 정보는 무료 통화 제공을 위해 법률적, 기술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정보는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이용자 단말(100)의 전화 번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의가 요구되는 이용자 정보를 최소한으로 하여 개인 정보 노출에 대한 이용자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다.
착신자 단말(200)은 일반 유선 단말, 무선 이동 통신 단말 또는 인터넷 전화일 수 있고, 이용자 단말(100)과 동일한 방식의 SoIP 단말일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이용자 단말(100)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이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 등록하고,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착신자 단말(200)로의 전화 발신시에 이용자 단말(100)에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전송하여 표시한다.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자신의 서비스나 제품을 구매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은품, 선장품, 홍보용의 용도 등으로 무료 통화 제공을 권유할 수 있을 것이다.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이용자 단말(100)에 무료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 및 업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대상이 되는 고객을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의 실제 고객이거나 고객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예비 고객으로 한정하여, 무료 통화 제공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은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의 정보 및 무료 통화를 제공 받는 이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발신 요청시에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이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은 제공된 무료 통화 정보에 근거하여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대략적인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는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서 수행되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가입을 접수한다(S210).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의 서비스 가입이 승인되면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 등록되고, 제공할 무료 통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S220).
이후,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이용자의 정보를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 등록한다(S230). 이때, 이용자 별로 제공할 무료 통화 상품을 다르게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또는, 모든 이용자에게 동일한 무료 통화 상품을 제공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에의 가입 절차 및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는 직접 방문, 우편을 통한 제출 및 온라인 상의 웹 페이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면 해당 이용자 단말(100)의 프로파일에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가 무료 통화 제공 주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는 무료 통화를 제공할 고객 등록 시에 무료 통화 등록 인증을 할 수 있다(S240).
고객으로 등록된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발신 호 요청이 있는 경우,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은 해당 이용자 단말(100)의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50).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는 짧게는 수 초 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 통화가 아닌 경우에는 통화중인 동안 계속해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가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는 업체의 로고, 상표와 같은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잔여 무료 통화 시간 안내 멘트일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단말(100) 상에 화면이 없는 경우, 음원만으로 이루어진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통화는 XX쇼핑몰에서 제공하는 무료 통화입니다” 등으로 짧고 명료하게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되는 업체명을 소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우선적으로 또는 높은 비율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무료 통화 제공 주체의 업체가 더 높은 금액의 서비스를 선택한다면 해당 업체는 다른 업체들 보다 차등적으로 더 우선적으로 또는 더 높은 비율로 무료 통화 제공 주체로서 고객에게 안내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용자 단말(100)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에, 이용자 단말(100)에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100)에 무료 통화가 제공되어, 이용자 단말(100)과 착신자 단말(200) 간에 통화가 연결된다(S260).
착신자 단말(200)과의 통화가 종료되면, 해당 통화의 통화 시간, 착신자 단말(200)의 종류 등의 통화 기록이 저장되어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에게 전달된다(S270).
다음,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은 상기 통화 기록을 기초로 과금 금액 및 과금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과금 금액은 후술할 IMS에 의해 과금 대상에게 과금될 수 있다. 여기서, 과금되는 금액 통계는 일정 기간을 합산하여 이용자 및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에게 SMS로 발송되거나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S280).
다음으로,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1000)은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 및 IMS(1200)를 포함한다. 또한, IMS(1200)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210), HSS(Home Subscriber Server)(1220), MRF(Multimedia Resource Function)(1230) 및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 및 무료 통화를 제공받는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업체의 고유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관리하며, 이용자 단말(100)에 제공된 무료 통화 정보에 근거하여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을 결정한다.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SCF(1210)와 연동하며,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서비스 로직을 제공한다. 또한,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IMS(1200)의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IMS(120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와 연동하여 이용자 단말(100)의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참고로 IMS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의 약어로서, IP 기반에서 멀티미디어를 이동 통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IMS는 IP 기술에 쓰이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고정 전화망이나 이동 통신망 등을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한다.
CSCF(1210)는 IMS(1200) 상에서 SIP 서버로서 동작하며 SIP 신호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CSCF(1210)는 IMS(1200) 상에서 SIP 서버로서 동작하며 세션 제어를 수행하고, 후술할 HSS(1220)와 연동하여 이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발신 호 처리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며, SIP를 사용하여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와 연동하여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직을 제어한다.
또한, CSCF(1210)는 HSS(1220)로부터 이용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업로드하고,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수행에 필요한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며, 통화 정보를 기초로 과금 금액을 결정하며, 착신자 단말(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후술할 MRF(1230)를 제어하여 이용자 단말(100)에게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CSCF(1210)는 이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발신 호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이용자 단말(100)의 프로파일을 검사하여 무료 통화 제공 대상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에 서비스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발신자가 무료 통화 제공 대상자인 경우에는 CSCF(121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에게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할 것을 지시하고,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또는 MRF(123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음원은 이용자 단말(100)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SCF(1210)는 IMS(1200)의 이용자 단말(100)에 대한 식별자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CSCF(1210)는 이용자 단말(1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HSS(1220)는 IMS(1200) 상에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 동작한다. HSS(1220)는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와 관련된 이용자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이용자의 인증 및 허용을 위한 보안 정보, 이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포함한 이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하며, 착신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HSS(1220)는 IMS(1200) 상에서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 및 다른 응용 서버들에 대한 공용 DB 로서 동작할 수 있다.
MRF(1230)는 IMS(1200) 상에서 미디어 소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로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MRF(123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와 연동하여 이용자 단말(100)에게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RF(1230)는 이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하는 통화 안내 방송(음성/영상)을 관리하며, 미디어 회의, 문자와 음성간 변환/음성 인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 등을 위한 멀티미디어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MGCF(1240)는 IMS(1200)와 기존의 레거시망인 PSTN, ISDN, CDMA 등과의 연동을 위한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MGCF(1240)는 기존망과 IMS(1200) 호 제어 프로토콜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MGCF(1240)는 PSTN에서 IMS(1200)로 들어오는 호에 대한 신호의 변환 및 변환된 발신 요청 메시지를 CSCF(1210)로 포워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료 통화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업체 정보 관리부(1110), 이용자 정보 관리부(1120), 업체 인증부(1130), 통신 인터페이스(1140), 신호 처리 제어부(1150), 영상/음원 관리부(1160) 및 과금 처리부(1170)를 포함하며, 무료 통화 이력 발송부(1180) 및 데이터베이스(1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업체 정보 관리부(1110)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의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업체 정보 관리부(1110)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의 가입 요청을 접수하고,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가 선택한 무료 통화 상품의 등록 및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용자 정보 관리부(1120)는 무료 통화를 제공 받을 고객의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 정보 관리부(1120)는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고객의 등록 요청을 받아서, 해당 고객에 대응하는 이용자 단말(100)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정보 관리부(1120)는 이용자 단말(100)의 프로파일에 연결된 업체 정보 테이블의 생성 및 업체 레코드의 추가, 삭제, 변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정보 관리부(1120)는 이용자 단말(100)의 프로파일을 생성, 관리하기 위해 HSS(1220)의 공용 DB와 연동될 수 있다.
업체 인증부(1130)는 고객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무료 통화 등록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업체 인증부(1130)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가 고객을 등록할 때에 무료 통화 등록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무료 통화 등록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고객에 대한 고객 등록 절차를 비정상 종료시킬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4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와 연동되는 IMS(1200) 및 웹 서버(미도시)와의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40)는 IMS(1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CSCF(1210)로부터 SIP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MRF(1230)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등록 또는 업체 인증을 지원하는 웹 사이트로부터 고객 등록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과금 통계에 대한 단문 메시지(SMS)를 발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CSCF(1210)를 경유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 SMS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제어부(115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CSCF(1210)로부터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 데이터베이스(1190)와 영상/음원 관리부(1160)를 제어하여, MRF(1230)로 영상/음원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1150)는 제어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음원 관리부(1160)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별로 고유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의 생성, 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영상/음원 관리부(1160)는 미디어 파일을 저장,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MRF(1230) 상에서 동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과금 처리부(1170)는 SCSF(1210)로부터 전송 받은 무료 통화 시간 정보를 토대로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과금 금액은 미리 정해진 서비스 내용에 따라 종류별, 시간별, 대상별로 다르게 과금될 수 있다. 과금 대상의 선택 방법 및 과금 금액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과금 처리부(117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 내에 구축될 수 있고, IMS(1200)와 연동되는 별도의 과금 시스템에서 처리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금 처리부(1170)는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통화 시간, 통화 종류 등)를 처리하고, 별도의 과금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제 과금되는 과금 금액을 산출하고 이를 청구할 수 있다.
무료 통화 이력 발송부(118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누적된 무료 통화 내역을 이용자 단말(100) 또는 무료 통화 주체에게 SMS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MS를 통해 이용자는 자신이 제공 받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잔여 무료 통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무료 통화 주체는 현재 자신이 제공하는 무료 통화 시간 및 과금 현황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료 통화 내역을 SMS 형태로 전송하지 않고,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무료 통화 내역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에서 누적 무료 통화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통화별 무료 통화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통화별 무료 통화 이력 정보에는 착신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통화 시간, 무료 통화 제공 업체명, 무료 통화로 제공된 금액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90)는 이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119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 내에 구축될 수 있고, 별도의 DB 서버에 작성되어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HSS(1220) 상의 공용 DB 내에 구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는 IMS(1200) 상의 다른 응용 서버에서 공유되어 IMS(1200) 상의 다른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IMS(1200)와 무료 통화 제공 서버(12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두 구성 요소가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적으로 구현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에서의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 요청은 IMS(1200)로 전달된다(S500).
이후, IMS(1200)는 HSS(1220)를 통하여 해당 이용자 단말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용자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에게 취득한 이용자 단말(100)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요청한다(S502). 한편,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의 데이터베이스(1190)가 HSS(1220)의 공용 DB에 통합되어 구현된 경우에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를 거치지 않고 HSS(1220)로 직접 이용자 정보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요청 받은 이용자 정보를 IMS(1200)에 제공하고 해당 이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제공 대상임을 알려준다(S504). 한편,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의 데이터베이스(1190)가 HSS(1220)의 공용 DB에 통합되어 구현된 경우에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가 아닌 HSS(1220)에서 요청된 이용자 정보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이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제공 대상인 경우에 IMS(120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에게 해당 이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요청한다(S506).
이후,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요청 받은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IMS(1200)에 전송한다(S508). 한편, 영상/음원 관리부(1160)가 MRF(1230) 상에서 동작되도록 통합 구성된 경우에는,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은 MRF(1230)상에서 관리될 수 있으며, 요청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MRF(123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IMS(1200)는 이용자 단말(100)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전송한다(S510).
이 때, 전송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은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다(S512). 또한, 이용자 단말(100)에 화면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음원만 송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IMS(1200)는 착신자 번호를 기초로 착신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착신자 단말(200)로 착신 요청을 할 수 있다(S514). 또한, 착신자 단말(200)이 기존의 유선 전화 또는 무선 전화인 경우에는 MGCF(1240)를 통해 신호 변환이 수행된 후에 기존 레거시 망으로 변환된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착신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자 단말(200)로부터 착신 응답이 수신된다(S516). 착신자 단말(200)로부터의 착신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 이용자 단말(200)에는 링백톤 음원 또는 대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착신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착신 응답은 IMS(1200)를 통해 이용자 단말(100)로 전달된다(S518).
이후, 이용자 단말(100)과 착신자 단말(200)간 통화가 연결되어 통화 상태가 된다(S520).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료 통화에 대한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의 결정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된 무료 통화의 과금 금액의 결정 방법에 대한 세부 흐름도이다. 이하의 단계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 상에서 수행된다.
이용자(100)의 발신 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발신 호 정보를 취득한다(S600).
그 후, 해당 발신 호에 대해 무료 통화를 제공할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를 후술할 무료 통화 제공 업체 결정 방법을 통해 선택한다(S602).
이후, 이용자 단말(100)에게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을 송출한다. 송출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영상/음원은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S604).
이용자(100)의 무료 통화가 종료된 후, 해당 통화 시간, 착신자 단말(200)의 종류 등의 통화 기록을 IMS(1200)로부터 취득한다(S606).
이후, 취득한 통화 기록에서 추출한 해당 통화 시간과 이용자 단말(100)에게 제공된 무료 통화 제공 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통화 시간이 제공된 무료 통화 제공 시간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에는 단계 S610로 진행하고, 해당 통화 시간이 제공된 무료 통화 제공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단계 S612로 진행한다(S608).
만일, 해당 통화 시간이 제공된 무료 통화 제공 시간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에는 해당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금액을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에 과금한다(S610).
반면, 해당 통화 시간이 제공된 무료 통화 제공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제공된 무료 통화 제공 시간에 해당되는 금액을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에 과금한다(S612). 이때, 1회 통화 시에 제공되는 무료 통화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만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무료 통화가 제공되는 총 통화 횟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시간이 초과된 부분에 대해서는 이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다. 하지만, 이용자는 이미 무료 통화 안내 제공 안내 멘트를 들었기 때문에, 예측치 못한 통화 과금에 불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무료 통화 제공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통화를 강제로 중단 시키거나,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가 초과 통화료를 부담하고 사후 정산하거나 전체 무료 통화 시간에서 차감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무료 통화 제공 서버 운영 주체가 해당 초과 통화료를 할인해주는 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서 이용자가 무료 통화 제공 주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고객에 대한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있으며, 고객 프로파일에는 해당 고객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에 관한 업체 정보 테이블(T)이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업체가 한 고객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업체 정보 테이블(T)에는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업체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업체 정보 테이블(T)은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레코드(R10, R20, R3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레코드는 복수개의 필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업체 레코드는 업체명(C10), 시내통화 제공여부(C20), 시외통화 제공여부(C30), 무선전화 제공 여부(C40), 국제전화 제공여부(C50), 무료 통화 제공 시간(C60), 순서 플래그(C70)등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업체명(C10)이 ‘AAA’인 업체 레코드(R10)는 시내(C20), 시외(C30) 및 무선전화(C40)에 대해 무료 통화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제공되는 총 무료 통화 시간은 100분(C60)이다.
각각의 업체 레코드에는 순서 플래그(C70) 필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순서 플래그(C70) 필드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고객으로부터 발신 호 요청을 받은 경우,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해당 고객의 업체 정보 테이블(T)에서 순서 플래그(C70)가 ‘1’인 업체 레코드(F)를 찾아서 해당 발신 호 요청에 대한 무료 통화 제공 업체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발신 호 정보를 검사하여 해당 발신 호의 종류가 선택된 업체에서 제공하는 무료 통화 종류가 아닌 경우에는, 선택된 업체 필드의 순서 플래그(F)를 ‘0’으로 변경하고, 다음 레코드에 해당하는 업체를 선택하여 상기의 검사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업체에 의해 고객에게 무료 통화가 제공된 경우, 해당 무료 통화가 종료되고 난 후에 해당 업체 레코드의 무료 통화 제공 시간(C60)필드를 제공된 무료 통화 시간만큼 차감한 값으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무료 통화 제공 시간(C60) 필드는 전체 무료 통화 시간이 아니라 회당 무료 통화 시간을 저장할 수 있으며, 회당 초과 통화 시간에 대해서는 전술한 다양한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할 수 있다.
순서 플래그(C70)는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있는 경우 그 무료 통화 제공 및 안내 멘트 제공의 순서를 표시한다. 특정 업체의 무료 통화 주체 안내 멘트가 제공되었다면 순서 플래그(C70)를 ‘0’으로 변경한다. 이와 함께, 다음 순서의 업체 레코드의 순서 플래그(C70)를 ‘1’로 변경하여 다음 번 무료 통화 제공 업체임을 표시한다.
우선 순위(C80) 필드는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사이에서도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순서 플래그(C70) 필드의 변경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총 6번의 무료 통화 제공에 대해서 업체(AAA) 한 번, 업체(BBB)가 세 번, 업체(CCC)가 두 번의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비율이라며, 각각의 업체가 무료 통화를 제공할 때 마다 우선 순위(C80) 필드의 값은 1씩 감소한다. 우선 순위(C80) 필드의 값이 0이 될 때까지 순서 플래그(C70)는 0으로 변경되지 않으며, 우선 순위(C80)가 0이 된 경우 비로서 순서 플래그(C70)은 0으로 변경되고 다음 업체의 순서 플래그(C70)이 1로 변경된다. 상기 우선 순위 값은 업체가 가입하는 서비스의 등급 또는 업체간의 경쟁 입찰 등으로 통해 차등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해당 고객에 대한 무료 통화 제공 업체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업체 정보 테이블(T)의 제일 마지막 레코드로 신규 업체를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를 업체 레코드의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구현 가능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 레코드에 우선순위 필드를 추가하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무료 통화 제공 업체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공 시간대 필드를 추가하여, 각각의 업체들이 지정된 시간대에만 무료 통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업체 레코드(T) 및 고객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는 HSS(1220) 상에 구성될 수도 있고, HSS(1220)와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 양쪽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HSS(1220)상의 DB와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상의 DB는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서 무료 통화 제공 업체(300)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100)은 SoIP 단말이며,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용자 단말(100)에서 발신자 단말로 발신 호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발신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CSCF(121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로부터 해당 이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한다.
이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제공 대상인 경우, CSCF(1210)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에게 무료 통화 제공 서비스의 수행을 요청하고,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는 이용자 단말(100)에 대응되는 업체 정보 테이블(T)로부터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레코드를 읽어서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도 8과 같이 표시한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목록(P10, P20, P3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이용자가 선택한 정보는 CSCF(1210)를 거쳐서 무료 통화 제공 서버(1100)로 전송된다.
화면 상에 표시되는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목록(P10, P20, P30)에는 업체명, 잔여 제공 시간, 무료 통화 가능한 통화 종류(시내, 시외, 무선, 국제 등)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IMS(IP Multimedia Subsystem)와 연동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의 가입 접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업체로부터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상기 업체를 무료 통화 제공 주체로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의 발신 요청시에 상기 이용자 단말에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로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료 통화의 기록을 근거로 상기 업체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료 통화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에, 발신 요청 전의 이용자 단말 화면에 상기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를 표시하여 선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통화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는 상기 업체의 로고 및 안내 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는 영상 통화 및 음성 통화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의 가입 접수 및 상기 이용자의 등록은 웹 상에서 수행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는 상기 이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인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에 의해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가 차등적으로 제공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9. IMS와 연동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로부터 발신 호 연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를 선택하는 단계,
    IMS를 통하여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상기 이용자 단말에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의 통화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한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요금을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에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한 통화 시간이 미리 정해진 무료 통화 제공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한 통화 시간이 미리 정해진 무료 통화 제공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료 통화 초과 시간에 대한 과금은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자 또는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서버의 운영자에게 부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업체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에, 상기 이용자 단말에 상기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중 하나의 선택을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통화 제공 방법.
  14. 무료 통화 제공 서버에 있어서,
    무료 통화 제공 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 정보 관리부,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이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이용자에게 무료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무료 통화 등록 인증을 실시하는 업체 인증부,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생성, 관리하는 영상/음원 관리부,
    IMS로부터의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료 통화 주체 안내 정보의 검색 및 상기 IMS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 제어부 및
    상기 IMS로부터 전송 받은 통화 시간 정보를 토대로 무료 통화 제공 주체에 대한 과금 금액을 결정하는 과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무료 통화 제공 내역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용자 단말 또는 무료 통화 제공 주체에게 발송하는 무료 통화 이력 발송부를 더 포함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이력 발송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무료 통화 제공 내역을 상기 이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발송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서버.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대 별로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를 구분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서버.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무료 통화 제공 주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이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무료 통화 제공 주체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무료 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부는 상기 이용자의 통화 시간이 상기 업체가 제공하는 무료 통화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요금을 상기 업체에 과금하고,
    상기 이용자의 통화 시간이 상기 업체가 제공하는 무료 통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요금을 상기 이용자 또는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서버의 운영자에게 과금하는 것인 무료 통화 제공 서버.
  20.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 및 무료 통화를 제공받는 이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업체의 고유한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관리하며, 제공된 무료 통화 정보에 근거하여 과금 대상 및 과금 금액을 결정하는 무료 통화 제공 서버 및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자의 통화 대기 상태 개시시에 상기 무료 통화 제공 주체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IMS를 포함하는 무료 통화 제공 시스템.

KR1020100096163A 2010-10-02 2010-10-02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34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63A KR20120034843A (ko) 2010-10-02 2010-10-02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63A KR20120034843A (ko) 2010-10-02 2010-10-02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43A true KR20120034843A (ko) 2012-04-13

Family

ID=4613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163A KR20120034843A (ko) 2010-10-02 2010-10-02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8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4080B2 (en) Call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872478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nect people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via directory assistance
US8234167B2 (en) Video advertiser-broker subsidizing VoIP calls
US8200196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enabling multimedia ring-back-within the context of a voice-call
US828001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information via connections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between people
US9712567B2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ystems, methods, network elements and applications
US20070173236A1 (en) Methods for Marketing Digital Content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s
US2007016560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ioritize a Queue
US20090006199A1 (en) Advertisement application server i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network
KR20080033316A (ko) 통신 시스템 링-백 공간에 메시지 콘텐트를 제공하는시스템
JP2007500460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追加情報の伝送のための方法、交換装置、およびユーザ局
US201100550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gion-based mobile advertising
RU2461879C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целевой рекламы и/или информации абоненту посредством инфокоммуникативных сетей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8654946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nding a missed call notification to a receiver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a caller
MX2013002470A (es) Sistema y metodo para compensar a suscriptores de telecomunicaciones para permitir reproducir anuncios publicitarios como tonos de devolucion de llamada y activacion directa de servicios anunciados.
JP2002101206A (ja) 電話通信サービス管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60036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message
KR20120034843A (ko)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47991A (ko)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광고관리서버
KR101240661B1 (ko) 광고링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광고링 제공 서비스 방법
KR101165414B1 (ko) 광고통화서비스 시스템
JP2012182511A (ja) 呼出音広告システム
KR20120011403A (ko)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무료 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2318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message
KR101163896B1 (ko) 통신 단말기 및 서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