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522A -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 Google Patents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522A
KR20120034522A KR1020100096135A KR20100096135A KR20120034522A KR 20120034522 A KR20120034522 A KR 20120034522A KR 1020100096135 A KR1020100096135 A KR 1020100096135A KR 20100096135 A KR20100096135 A KR 20100096135A KR 20120034522 A KR20120034522 A KR 2012003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motor
bushing
screen print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4228B1 (en
Inventor
정형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228B1/en
Publication of KR2012003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5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PURPOSE: A lifting device for a screen printer worktable is provided to can be structurally simplified because a series of a task in which solvent is spread on a surface of a printing circuit substrate is completely performed with one lead screw. CONSTITUTION: A lifting device for a screen printer worktable comprises an external unit(200) and internal unit(300). The external unit is joined to a base plate. The internal unit is joined to a back table. A lead screw(100) perpendicularly stood erect is arrang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units. A transferring nut portion(400) and pulley(110) are installed in the lead screw. The pulley is connected by a second motor(60) and belt and fixed in the lower part.

Description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자재에 소정의 용제를 도포하기 위한 스크린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inter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solvent to a material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상세하게는, 스크린 프린터에 필수불가결하게 구비되는 작업 테이블을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축으로 구현되던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여 하나의 축만으로 작업에 필요한 모든 승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재가 탑재된 작업 테이블이 마스크 하방의 일정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동하여 해당 자재 표면에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vertically driving a work table that is indispensable to a screen printer, and improves an existing method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axes so that all the lifting operations required for work can be performed with only one ax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driving device of a screen printer work table in which a work table on which a material is mounted moves precisel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under the mask so that uniform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일반적으로, 스크린 프린터는 용제(도포액)를 도포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PCB)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마스크 표면에 놓인 용제가 마스크의 개구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스퀴지,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자재와 마스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렬비전, 마스크의 개구부를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클리너, 자재를 마스크 밑면으로 이동시켜 주는 작업 테이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general, a screen printer includes a conveyor for mov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applying a solvent (coating solution)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a solvent placed on the mask surface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be introduced into an opening space of the mask. It can be composed of a squeegee, an alignment vision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and mask while moving back, forth, left and right, a cleaner to wipe the opening of the mask, a work table to move the material to the bottom of the mask.

이러한 스크린 프린터는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된 자재를 작업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정렬비전으로 자재에 있는 인식마크의 위치와 마스크에 있는 인식마크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렬 테이블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자재와 마스크의 개구부와 각 접점공간을 정확하게 일치시킨다. 그러고 나서, 스퀴지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작업 테이블을 상승시켜 마스크와 자재를 밀착되게 한 다음, 스퀴지를 전후로 이동시켜 마스크의 개구부로 도포액이 낙하되면서 자재 표면상에 도포하는 방식이다.
The screen printer puts the material transported by the conveyor on the work table and checks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 on the material and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 on the mask by adjusting the alignmen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table. Match each contact space with. Then, the squeegee is lowered and the work table is raised to bring the mask and the material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squeegee is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coating liquid drops to the opening of the mask and is applied onto the material surface.

한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된 자재는 스퀴지에 의하여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자재를 양쪽에서 고정하여 주는 에지부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서 1차 상승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 테이블 전체가 마스크 하방 일정 거리에 배치되도록 2차 상승이 구현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transported by the conveyor needs to be arranged in line with the edge portion fixing the material on both sides so that uniform coating can be performed by the squeegee. In this state, the second ascent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the entire work table is placed at a distance below the mask.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1,2차 승강 구동을 구현함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도시한 방식 등이 전부였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schemes shown in FIGS. 1 and 2 are all used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lift driving.

도 1과 2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구성되는 작업 테이블의 개략적인 승강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식에 따르면 백테이블(B)을 승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크류(A)와, 상기 스크류(A)들이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C)를 승강시키기 위한 또 다른 스크류(A)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한 다수의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하여 하부모터(M) 및 측부모터(M)가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show a schematic lifting structure of a work tabl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t least one screw A for lifting the back table B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other screw (A) for elevating the base plate (C) on which the screws (A) are supported should be provided, and the lower motor (M) and the side motor (M) are provided to rotate and drive the plurality of screws. Can be configured.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스크류(A)가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편, 상기 벨트는 측부모터(M)와 축 결합됨으로써 측부모터의 구동으로 백테이블(B) 하방의 스크류(A)들을 구동시켜 상승 또는 하강을 유도하고, 이와는 달리 베이스플레이트(C) 저면에 배치된 스크류(A)는 또 다른 하부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하강 되는 구조이다.
As shown in Figure 1, a plurality of screws (A) are interconnected by a belt, while the belt is axially coupled to the side motor (M) by the drive of the side motor to drive the screws (A) below the back table (B) Drive to induce a rise or fall, unlike the screw (A)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C) is a structure that is moved up and down while rotating by another lower motor (M).

다시 말해서, 이러한 반복적인 승강 작용은 각각 독립 배치된 수직이동스크류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어서 구조적으로 간소화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작동 방식이 복잡해져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구성품이 과다 사용됨에 따라 생산 단가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며, 또한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져 이에 따른 수리 혹은 부품 교체 등의 보수작업이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In other words, this repetitive lifting action is a structure that can only be performed individually by vertically disposed vertically moving screws, so that it is not structurally simplified, and the operation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unnecessary components are removed. It is pointed out that excessive use results in higher production costs, and more likely to cause malfunctions, making it difficult to repair or replace par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극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스크류로 승강 구동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에서 벗어나, 하나의 스크류만으로도 다단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olve the problem of configuring the driving device of the screen printer work table so that the multi-stage can be achieved with only one screw, away from the conventional technical idea that the lifting and driving with a plurality of screws. It is a task.

상기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하 구동장치는,
Vertical dr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problems,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외부유닛; 및 백테이블과 결합되는 내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유닛과 내부유닛의 중심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직립되는 리드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는 제1모터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이송너트부와, 제2모터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서 고정되는 풀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xternal unit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n inner unit coupled to the back table, and including a lead screw vertically upright from the center side of the outer unit and the inner unit, and the transfer nut part connected to the lead screw by the first motor and the bel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ey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motor and the belt is fixed at the lower end.

그리고, 상기 이송너트부는 제1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벨트가 권취되는 회전체;와, 제1모터가 탑재되고 볼베어링이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끼워져 볼베이링에 외면이 연접되는 지지부싱; 및 상기 지지부싱 내측에 수용되어 이와 볼트 체결되는 제1너트형부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fer nut part includes a rotating body in which a belt is woun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can be transmitted; and a fixing frame in which the first motor is mounted and the ball bearing is mount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bearing is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The support bushings connected thereto; And a first nut-type bushing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bushing and bolted thereto.

그리고, 상기 내부유닛은 양쪽 측판과 후방판체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판체는 고정프레임과 볼트 체결되고 그 배면 양단에는 보강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안내될 수 있도록 요홈이 장방향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unit includes both side plates and a rear plate body, and the rear plate body is bolted to the fixed frame and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guided to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members. It is done.

그리고, 상기 내부유닛은 회전체 및 제1너트형부싱이 제1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리드스크류를 타고 오르내림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elevated as the rotor and the first nut-type bushing are driven by the first motor to move up and down on the lead screw.

그리고, 상기 외부유닛은 리드스크류와 고정된 풀리가 제2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되게 하여 제2너트형부싱이 위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ternal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lead screw and the pulley fixed to the lead screw to be rotated by the second motor so that the second nut bushing can be lifted by causing a change in posi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 표면상에 용제가 도포되는 일련의 작업이 단일의 리드스크류만으로 완벽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series of operations in which the solven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mpletely performed by a single lead screw,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또한, 간소화된 구조로 작업 테이블을 다단 승강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구성품의 간편화로 인해 장치 생산에 따른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것은 물론, 작업구현 과정이 복잡하지 않아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작동 방식이 간편해져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파생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work table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multiple stages with a simplified structure, which greatly reduces the cost of producing the device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components, and also prevents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work implemen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is simplified, and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work efficiency is deri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구성되는 작업 테이블의 개략적인 승강 구조.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동장치의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발췌 도시한 요부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에 의해 승강이 구현되는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동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8은 1차 상승 구동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9는 2차 상승 구동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공급된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도.
도 11은 1차 상승에 따라 상향 구동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도.
도 12는 1차 상승된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것을 보인 배치도.
1 is a schematic elevation structure of a work table constructed by the prior art;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1. FIG.
Figure 3 is an external view of a vertical drive device configured b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coupled to extract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is implemented by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ure 7 is a sid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drive device configured b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rising drive;
Fig. 9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econd rising drive.
10 is a layout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su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ayout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driven upward according to a first rise.
12 is a layout view showing that the first raised PCB is fixed.

본 발명은 스크린 프린터에 구비되는 작업 테이블을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리드스크류만으로 작업에 필요한 모든 승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된 작업 테이블이 마스크 하방의 일정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동하여 해당 기판 표면에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1축 2단 상하 구동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driving a work table provided in a screen printer up and down. The work table equipp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is configured under a mask by being configured to perform all the lifting operations required for work with only one lead screw. It relates to a single-axis two-stage up and down drive device that moves precisely to a position to allow uniform application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to be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동장치의 외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발췌 도시한 요부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에 의해 승강이 구현되는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is an external view of the vertical drive device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coupled to extract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is implemented by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Figure 6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이 상하 구동되는 외부유닛(200);과 내부유닛(300);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200,300)들을 상하 구동되게 하기 위한 리드스크류(1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n outer unit 200 and an inner unit 300, each of which is driven up and down, the lead screw 100 for driving the unit 200, 300 up and down );

상기 외부유닛(200)은 인쇄회로기판(3)을 스퀴지 하방에 이르기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측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브래킷(210)이 구비되고, 하단부 중앙 영역에는 통공을 천공하여서 제2너트형부싱(600)이 수용되게 한다. 그리고, 외부유닛(200) 하단부를 통해 끼워진 제2너트형부싱(600)은 볼트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시켜 외부유닛과 일체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너트형부싱(600)의 내면에 리드스크류(100)와 동일한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리드스크류(100)와 제2너트형부싱(600)이 서로 치합될 수 있게 하였다.The external unit 200 is a component for rais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3 down to the squeegee, and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210 are provid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plate 10 at an upper side thereof. In the center region of the lower end, the second nut bushing 600 is accommodated by drilling the through hole. In addition, the second nut-type bushing 600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be firmly coupled to the external unit by using a bolt or the like, and the second nut-type bushing 600 may be configured. By forming the same screw thread as the lead screw 1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e lead screw 100 and the second nut-type bushing 60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내부유닛(300)은 외부유닛(200) 내측에 배치되어 백테이블(20)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양쪽 측판(310)과 후방판체(320)를 포함한다. 내부유닛(300)의 양쪽 측판(310)에는 외부유닛의 것과 동일하게 고정브래킷(301)을 다수 장착하여 백테이블(20)의 밑판(20a)과 서로 고정 체결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내부유닛의 후방판체(320)는 하기에 후술할 고정프레임(430)과 볼트 체결되고, 후방판체(320)의 배면 양단에는 보강부재(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에 안내될 수 있도록 요홈(320a)이 장방향 구비된다.The inner unit 30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unit 200 and is a component for raising the back table 20, and includes both side plates 310 and a rear plate body 320. Both side plates 310 of the inner unit 300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301 in the same way as the outer unit so as to b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plate 20a of the back table 20, while the The rear plate 320 is bolted to the fixing frame 43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ar end of the rear plate 320 to be guided to the guide rail 31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member 30 on both ends ( 320a)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리드스크류(100)는 외부유닛(200)과 내부유닛(300)의 중심 영역에서 수직하방으로 직립되게 배치하여 내?외부유닛의 실질적인 상하 구동을 도모하게 되는바, 제1모터(50)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이송너트부(400)와, 제2모터(60)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서 고정되는 풀리(110)가 장착될 수 있다.
The lead screw 100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 in the center area of the outer unit 200 and the inner unit 300 to substantially drive up and down the inner and outer units, the first motor 50 and The transfer nut 400 connected by the belt, the pulley 110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60 and the belt and fixed at the lower end may be mounted.

그리고, 상기 풀리(110)는 도 6에서와 같이 리드스크류(100)의 하측 단부와 결속되어 제2모터(60)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상기 풀리(110)에 전달되면서 리드스크류(100)를 회전되게 하고, 이러한 과정에 따라 리드스크류(100)에 맞물린 제2너트형부싱(600)이 위치 변화됨으로써 외부유닛(200) 또한 동일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And, the pulley 1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ad screw 100, as shown in Figure 6, while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ulley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60 to lead the screw 100 The external unit 200 may also realize the same movement by rotating the second nut-shaped bushing 600 which is engaged with the lead screw 100 according to this process.

상기 이송너트부(400)는 제1모터(50)와 연계 형성되어 내부유닛(300)을 상하 움직이게 하는 직접적인 구동수단으로, 회전체(410); 고정프레임(430); 지지부싱(440); 및 제1너트형부싱(500);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fer nut part 400 is 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motor 50 and is a direct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inner unit 300 up and down, the rotating body 410; A fixed frame 430; Support bushing 440; And a first nut bushing 500.

상기 회전체(410)는 리드스크류(100)에 치합되고 제1모터(50)와 벨트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제1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제1너트형부싱(500)과 함께 리드스크류(100)를 타고 상하 구동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유닛(300)의 후방판체(320)와 볼트 체결되며 그 선단부에 제1모터(50)가 일부 탑재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볼베어링(420)을 내면에 장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싱(440)은 내부를 중공이 되게 관통 형성하여 제1너트형부싱(500)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 이들은 서로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부싱(440)이 고정프레임(430)에 끼워져 회전체(410)와 볼트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너트형부싱(500)은 제2너트형부싱(600)과 동일하게 그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리드스크류(100)와 제1너트형부싱(500)이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body 410 is engaged with the lead screw 1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50 and the belt,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motor to lead screw 100 together with the first nut bushing 500. ) Is driven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frame 430 is bolted to the rear plate body 320 of the inner unit 300 and is formed to a size such that a portion of the first motor 50 can be mounted at the front end thereof. Preferably, it includes penetrating the center to mount the ball bearing 420 to the inner surface. In addition, the support bushing 440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to accommodate the first nut-type bushing 500, as well as they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support bushing 440 is fixed frame 430 It is inserted in the bolt is fastened to the rotor 410. In addition, the first nut bushing 500 is threa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nut bushing 600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nut bushing 600 so that the lead screw 100 and the first nut bushing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sh with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이러한 구조는 리드스크류(100)가 상기 이송너트부(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430)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부싱(440)은 회전체(410)와 볼트 체결되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1너트형부싱(500)을 동일하게 회전되게 하고, 이로써 리드스크류(100)와 치합된 제1너트형부싱(500)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This structure is for preventing the fixing frame 430 from being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lead screw 100 is mounted on the transfer nut part 400. That is, the support bushing 440 is bolted to the rotating body 410 so that the first nut-type bushing 500 is rotated in the same manner, and thus the first nut-type engaged with the lead screw 100. The bushing 500 was able to achieve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미설명부호 40은 받침대이고, 70은 에지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된 인쇄회로기판(3)을 양쪽에서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스퀴지에 의하여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바, 이는 종래와 동일 내지 유사한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장착되는 백테이블(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유닛(300) 측판(310) 상단부에서 고정브래킷(301)으로 결속되는 밑판(20a);과, 상기 밑판(20a)에서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수직부재(20b);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20b)는 순차 투입되는 인쇄회로기판(3)을 하방에서 들어올리는 수단이 되도록 하였다.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pedestal, and 70 denotes an edge portion, which serves to fix the printed circuit board 3 transferred by the conveyor on both sides, so that uniform coating can be performed by the squeegee. The concept is the same as to. In addition, the back table 20 is mounted 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inner plate 300, the bottom plate (20a) is bound to the fixing bracket 301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310, and the bottom plate (20a) And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0b disposed at equal intervals. The vertical members 20b serve as a means for lif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3 sequentially introduced from below.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동장치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8은 1차 상승 구동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9는 2차 상승 구동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FIG. 7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rtical drive device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imary upward drive, and FIG. 9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ary upward drive. Indicates.

스크린 프린터 장비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작업 테이블에 위치된 후 인쇄회로기판에 표시된 인식마크와 마스크에 표시된 인식마크를 카메라(미도시함)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작업 테이블을 일정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승시켜 용제가 인쇄회로기판에 도포될 수 있도록 마스크 및 스퀴지가 하강된다. 이후, 도포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이 컨베이어에 안내되어 배출됨으로써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는 방식이다.When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screen printer equipment is briefly described, after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laced on the work table by the conveyor, the recognition mark display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recognition mark displayed on the mask are recognized by a camera (not shown). Accordingly, the mask and the squeegee are lowered to raise the work table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solvent can be appli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after, the printed circuit board, which has been applied, is guided to the conveyor and discharged, thereby completing a series of operation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업 테이블이 승강 및 하강하는데 있어서,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다수의 스크류로 승강 구동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스크류(100)만으로도 다단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1축 2단 상하 구동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driven more smoothly and efficiently i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 table, for this purpose, apart from the way that is driven by a plurality of screws, multi-stage with only one screw 100 One-axis, two-stage up and down driving device of the screen printer work tabl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scend.

1차 승강을 구현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first lift is as follows.

최초, 도 7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모터(50)에 신호를 주어 이와 벨트로 연결된 회전체(4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리드스크류(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410)와 함께 제1너트형부싱(500)만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에 따라 회전체(410) 및 제1너트형부싱(500)은 리드스크류(100)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고정프레임(430)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후방판체(320)를 통해 내부유닛(300) 또한 동일하게 상승되면서 이와 상측에서 고정된 백테이블(20)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백테이블(20)이 소폭 상승되면서 인쇄회로기판(3) 하방에 배치된 수직부재(20b)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에지부(70)와 동일선상이 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밀고 올라가 멈추도록 한다.First,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5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7 to drive the rotating body 410 connected to the belt, the lead screw 100 is stopped and the rotating body 410 is stopped. Only the first nut-type bushing 50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rotation body 410 and the first nut-type bushing 500 are moved upward by the lead screw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The inner unit 300 is also equally raised through the rear plate body 320 integrally coupled with the 430, and the back table 20 fixed at the upper side is raised. In addition, as the back table 20 is slightly raised, the vertical member 20b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3 gradually becomes in line with the edge 7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 Push up to stop.

여기서, 상기 내부유닛(300)은 후방판체(320) 뒷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시킨 요홈(320a)과 보강부재(30)에 형성시킨 가이드레일(31)에 의해 유연하게 슬라이드 구동된다.
Here, the inner unit 300 is slidably driven by the groove 320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plate body 320 and the guide rail 31 formed in the reinforcing member 30.

또한, 2차 승강의 구현 과정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second lift is as follows.

상기의 1차 승강이 완료되면, 제2모터(60)가 가동되면서 이의 회전축과 연결된 풀리(110)가 회전하여 상기 리드스크류(100)를 직접 구동시키는바, 이로써 제2너트형부싱(600)은 회전되는 리드스크류(100)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승 작용은 외부유닛(200)의 상승을 도모하여 상기 외부유닛(200)과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0) 또한 상승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은, 1차 승강시 에지부(70)에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던 인쇄회로기판(3)은 물론, 상기 에지부(70)를 포함한 작업 테이블을 일괄적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스퀴지 하방의 적정 위치까지 상승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스퀴지 및 마스크 일체가 하강하여 프린트를 실행하게 된다.
When the primary lifting is completed, as the second motor 60 is operated, the pulley 11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hereof rotates to directly drive the lead screw 100. As a result, the second nut bushing 600 is It is forced to rise by the lead screw 100 rotated, this synergistic action is to increase the outer unit 200 leads to the result of raising the outer unit 200 and the fixed base plate 10 also. . In this regard, the work table including the edge portion 70 as well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3 which is engaged with the edge portion 70 and held in the first ascending and descending state are collectively raised, and the squeegee downwards. After the ascending is completed to the proper position of the squeegee and the mask unit is lowered to perform printing.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공급된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1은 1차 상승에 따라 상향 구동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도이며, 도 12는 1차 상승된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것을 보인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FIG. 10 is a layout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su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layout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driven upward according to a first rise,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raised printed circuit board is fixed. The layout is shown.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된 인쇄회로기판(3)은 스퀴지에 의하여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쪽에서 고정하여 주는 에지부(70)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서 1차 상승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 테이블 전체가 마스크 하방 일정 거리에 배치되도록 2차 상승이 구현되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3 transported by the conveyor needs to be arranged in line with the edge portion 70 which is fixed at both sides so as to be uniformly applied by the squeegee. To this end, a first rise must be made, and in this state, a second rise must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entire work table is disposed at a distance below the mask.

도 10 내지 12는 이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10 to 12 briefly illustrate to explain this in detail.

도 10에서와 같이 양쪽 에지부(7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상승에 의해 도 11에서와 같이 백테이블(20)의 수직부재(20b)가 상승되면서 해당 인쇄회로기판(3)을 들어올리게 되고, 이때의 상승폭은 에지부(70)와 동일선상이 되게 하였다. 또한, 1차 상승이 완료되면, 또 하나의 스크류(미도시함)와 결부되어 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하게 되는 에지부(70)가 횡 방향 이동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에 밀접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다.
As shown in FIG. 10, the printed circuit board 3,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s 7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transferred to the vertical member 20b of the back table 20 as shown in FIG. 11 by the first ri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t rises, the printed circuit board 3 is lifted up, and the rising width is in line with the edge portion 70. In addition, when the first ascent is completed, the edge portion 70 coupled with another screw (not shown) and drive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ereof is laterally moved, thereby closely suppor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3. This can be done as shown in FIG.

이상,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상하 구동장치 2: 벨트
3: 인쇄회로기판 10: 베이스플레이트
20: 백테이블 20a: 밑판
20b: 수직부재 30: 보강부재
31: 가이드레일 40: 받침대
50: 제1모터 60: 제2모터
70: 에지부 100: 리드스크류
110: 풀리 200: 외부유닛
210: 고정브래킷 300: 내부유닛
301: 고정브래킷 310: 측판
320: 후방판체 320a: 요홈
400: 이송너트부 410: 회전체
420: 볼베어링 430: 고정프레임
440: 지지부싱 500: 제1너트형부싱
600: 제2너트형부싱
A: 스크류
B: 백테이블
C: 베이스플레이트
M: 모터
1: vertical drive 2: belt
3: printed circuit board 10: base plate
20: back table 20a: base plate
20b: vertical member 30: reinforcing member
31: guide rail 40: pedestal
50: first motor 60: second motor
70: edge portion 100: lead screw
110: pulley 200: external unit
210: fixed bracket 300: inner unit
301: fixing bracket 310: side plate
320: rear plate 320a: groove
400: transfer nut portion 410: rotating body
420: ball bearing 430: fixed frame
440: support bushing 500: first nut bushing
600: second nut bushing
A: screw
B: back table
C: Base Plate
M: motor

Claims (5)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외부유닛(200); 및
백테이블(20)과 결합되는 내부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유닛(200)과 내부유닛(300)의 중심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직립되는 리드스크류(100)가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100)에는 제1모터(50)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이송너트부(400)와, 제2모터(60)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서 고정되는 풀리(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An external unit 200 coupled to the base plate 10; And
It includes; the inner unit 300 is coupled to the back table 20,
A lead screw 100 is provided vertically upright from the center side of the outer unit 200 and the inner unit 300,
The lead screw 100 is provided with a transfer nut 400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50 and the belt, and a pulley 110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60 and the belt and fixed at the lower end thereof. Up and down drive of the screen printer work tab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너트부(400)는 제1모터(5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벨트가 권취되는 회전체(410);와, 제1모터(50)가 탑재되고 볼베어링(420)이 장착되는 고정프레임(430);과, 상기 고정프레임(430)에 끼워져 볼베이링(420)에 외면이 연접되는 지지부싱(440); 및 상기 지지부싱(440) 내측에 수용되어 이와 볼트 체결되는 제1너트형부싱(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nut 400 is a rotating body 410, the belt is woun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50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motor 50 is mounted and the ball bearing 420 is fixed A support bushing 440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430 and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ball bearing 420; And a first nut bushing 500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bushing 440 and bolted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닛(300)은 양쪽 측판(310)과 후방판체(320)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판체(320)는 고정프레임(430)과 볼트 체결되고 그 배면 양단에는 보강부재(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에 안내될 수 있도록 요홈(320a)이 장방향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unit 300 includes both side plates 310 and the back plate 320,
The rear plate 320 is bolted to the fixed frame 430 and the rear end of the groove 320a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guided to the guide rail 31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member 30 at both ends thereof. Up and down drive of the screen printer work tab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닛(300)은 회전체(410) 및 제1너트형부싱(500)이 제1모터(5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리드스크류(100)를 타고 오르내림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ner unit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ng body 410 and the first nut-type bushing 500 can be elevated by moving up and down the lead screw 100 while being driven to rotate by the first motor (50). Up and down drive of the screen printer work tab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유닛(200)은 리드스크류(100)와 고정된 풀리(110)가 제2모터(6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리드스크류(100)를 회전되게 하여 제2너트형부싱(600)이 위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xternal unit 200 has the second screw bushing 600 by rotating the lead screw 100 while the lead screw 100 and the fixed pulley 110 is driven by the second motor 60 to rotate. Up and down drive of the screen printer work table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causing a change in position.
KR1020100096135A 2010-10-01 2010-10-01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KR101244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35A KR101244228B1 (en) 2010-10-01 2010-10-01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35A KR101244228B1 (en) 2010-10-01 2010-10-01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522A true KR20120034522A (en) 2012-04-12
KR101244228B1 KR101244228B1 (en) 2013-03-18

Family

ID=4613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135A KR101244228B1 (en) 2010-10-01 2010-10-01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2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02B1 (en) * 2013-02-20 2014-04-11 주식회사 알엔웨어 Electric multi touch t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824B1 (en) * 2020-06-04 2021-05-31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Align table driv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3836B2 (en) * 1994-04-14 2002-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JPH08207240A (en) * 1995-02-01 1996-08-13 Toshiba Eng Co Ltd Cream solder printer
JP2004009365A (en) * 2002-06-04 2004-01-15 Art Denshi Kk Prin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02B1 (en) * 2013-02-20 2014-04-11 주식회사 알엔웨어 Electric multi touch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228B1 (en)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71824U (en) Printing platform device
KR101244228B1 (en) Up and Down Elevat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Work-table
CN116160505A (en) Automatic drilling device for circuit board production line
CN206024276U (en) Panel turnover mechanism
CN113683006A (en) Lifting machine for vehicle chassis maintenance
CN212344368U (en) PCB corner machine
KR100845013B1 (en) Provide system of print borad
CN110308359A (en) A kind of display panel bogey
CN216945069U (en) Position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battery tray
CN205522958U (en) Screen printing machine of slope swivel feeding
CN114888893A (en) High-precision punching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in circuit board processing
KR101141706B1 (en)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KR101189779B1 (en) Substrate holding apparatus
CN219129748U (en) Automatic transmission and dispensing equipment for magnetic assembly
JP5189002B2 (en) Flux printing on board and solder ball mounting device
CN105500902A (en) Screen printing machine for conveying materials in inclined rotating manner
JP2009043846A (en) Substrate conveying device
KR100628483B1 (en) Bumper back-beam processing apparatus
CN220924642U (en) Notebook keyboard scissors foot balance pan material loading equipment
JP2002100896A (en) Parts mounting machine
CN219408375U (en) Fee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component production
CN220904363U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silk screen printing of printing product
KR20090098222A (en) Apparatus for feeding chip tray
CN217546627U (en) Circuit board processing equipment
CN115339249B (en) UV prin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