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932A -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932A
KR20120033932A KR1020100099028A KR20100099028A KR20120033932A KR 20120033932 A KR20120033932 A KR 20120033932A KR 1020100099028 A KR1020100099028 A KR 1020100099028A KR 20100099028 A KR20100099028 A KR 20100099028A KR 20120033932 A KR20120033932 A KR 2012003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ultrafiltration
filtration
storage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상
신창섭
이창현
황인국
김현영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932A/ko
Publication of KR2012003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23L2/7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using membranes, e.g. osmosis, ultr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10Tapping of tree-juices, e.g. caoutchouc, g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수액, 특히 고로쇠수액을 한외여과법으로 수액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이 개시되는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채취된 수액을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기공크기 0.1?0.5㎛의 사전 필터 하나 이상을 통과시킨 후, 기공크기 0.1?0.4㎛의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시켜서 한외여과하여 구성되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Shelf-life Extension Technique of Acer mono Sap Using Ultra Filtration}
본 발명은 수액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하고 유브이(UV)살균하여 고로쇠수액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액이란 수목의 도관이나 사부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음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음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수종으로는 고로쇠나무, 당단풍나무, 자작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거제수나무 및 사스래나무 등이 있다. 수액의 채취 시기는 수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액의 이동이 빠른 3월경을 전ㆍ후로 하여 주간과 야간의 온도차가 10℃ 가량 될 때 한시적으로 채취하여 음용하고 있다. 수액은 위장병, 고혈압, 신경통 및 산후증 등에 좋다고 하여 민간에서 음용되는 건강음료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구소련, 중국 및 일본에서도 음용된 역사가 있으며, 특히 고로쇠나무 수액은 우리나라에서 뼈에 이롭다 하여 골이수라 불리며 가장 많이 음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들 수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종 및 채취시기에 따른 수액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및 무기질 등 수액의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밖에 수액채취방법, 수액채취수종 분포 및 수액채취량에 관한 연구가 보고 된 바 있다. 최근 논문 등에서는 수액을 재래식 간장제조에 이용하여 간장의 품질특성을 검토한 것도 있고, 유사균 발효를 이용한 자작나무 수액의 저장성 및 기호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보고 되는 등 수액을 가공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웰빙 붐을 타고 자연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수액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로쇠나무가 자생하는 지역에서는 수액채취 및 음용이 임가의 소득에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수액은 단기간에 많은 양이 분출되고, 채취 후 갈변되거나 세균오염 등의 문제로 인하여 채취 즉시 음용하여야 하므로 신선한 상태의 수액을 소비자들에게 공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수액의 채취방법, 채취 후 포장 및 보관, 가공기술 등이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한시적으로 음용하던 수액을 장기간 음용 가능할 수 있도록 적합한 가공저장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식품산업에서 비열처리 방법의 하나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기술인 막분리 기술은 정밀여과막이 1968년 생맥주의 제조에, 역삼투막이 1979년 토마토 과즙 농축에 사용되기 시작한 후 식품가공 산업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막분리 기술 중 한외여과법(ultra filtration)은 과일주스의 청징화, 효소적 갈변현상 억제 수단뿐만 아니라 열처리에 민감한 액상식품의 제균, 고분자 물질의 분획 및 분리, 저온 저에너지 농축 등에 이용되며, 폐수 중 유효성분의 회수, 효소의 정제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지만 고로쇠수액의 저장성 증진을 위한 한외여과공정 적용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수액음료 등의 제조방법에 한외여과법이 사용된 종래기술은 찾을 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 제10-178423호에서는 수액음료의 제조방법을 개시하면서 그 첫 번째 공정에서 살균처리 된 200?300메시의 여과망으로 수집되는 수액을 여과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으나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여과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없고, 등록특허 제10-944358호에서도 역시 수액음료 제조방법을 개시하면서 그 공정 중 하나로 수액에 벤토나이트를 혼합시킨 후 0.01?0.1마이크로미터의 망목을 갖는 한외여과법으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나,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여과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없다.
이러한 것은 종래기술이 본 발명의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자체와는 달리 수액음료의 제조방법 중 여과단계를 거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10-497048호에서는 수액살균방법 및 수액음료를 개시하면서 종래기술로 한외여과법을 언급하고 있으나 한외여과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시대의 필요성에 의해서 수액, 특히 고로쇠수액을 한외여과법으로 수액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채취된 수액을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기공크기 0.1?0.5㎛의 사전 필터(pre-filter)하나 이상을 통과시킨 후, 기공크기 0.1?0.4㎛의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시켜서 한외여과하여 구성되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의 기공크기는 일반 세균크기 2?4㎛, 또는 아주 작은 0.2㎛크기의 세균도 존재하므로 이들을 감안해 초기 세균 수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며,
또한 수액 내에 존재하거나 채취 시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전필터의 크기를 정한 것이고, 또한 기공크기가 너무 클 경우 불순물이나 세균 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으며 너무 작으면 필터의 막힘 현상이 일어나고 여과량이 너무 적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물론 UV살균처리하여 무균상태로 최종 포장한다.
또한, 상기에서의 사전필터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중공사막필터는 폴리술폰 재질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사전필터는 수액이 가진 이물질 제거와 동시에 수액이 가진 주요 영양성분인 미네랄의 손실이 없어야 하므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에 있어서는 미네랄 제거에 영향을 주지 않아 사용하게 되었고, 활성탄을 사용할 경우 미네랄까지 흡착되어 미네랄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중공사막필터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UF필터의 경우 수질 대상으로 많이 사용되며 수액 등의 내약품성이 뛰어나기에 폴리술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의 한외여과는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25?35㎖/분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량의 경우에는 하한값은 없으며 상한값의 경우가 존재하며 상한값 역시 유량보다는 압력에 의해 좌우된다. 즉, 필터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최대 압력이 결정되며 필터 통과 전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압력을 조절하여 필터를 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한 필터는 최대압력이 120 psi의 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여과 후 UV살균을 할 수 있는데 이는 UF의 제균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관로형 관안에 UV램프를 설치하고 그곳으로 수액을 통과시켜 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수액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한외여과 방법을 이용하여 한외여과 전ㆍ후의 이화학적특성과 저장 중 미생물 및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여과 전ㆍ후 수액의 조회분, 조단백질, 무기성분, 유리당, 유기산 함량, pH, 총 산도 등 이화학적 특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여과 후 갈색도 및 탁도는 감소하였고 수액 내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여과 전 수액의 pH는 저장 중 감소하였고, 총 산도, 갈색도 및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여과 후 수액은 큰 변화가 없었다. 여과 전 수액의 초기 미생물 수는 1.7×103 CFU/㎖에서 저장 중 4.7×104 CFU/㎖까지 증가하였고, 여과 후 수액의 미생물 수는 -1과 4℃ 저장 중 62일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나 10℃에서는 4.8×102 CFU/㎖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외여과는 수액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어 수액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a는 한외여과 전 고로쇠수액의 pH 변화 그래프.
도 1b는 한외여과 후 고로쇠수액의 pH 변화 그래프.
도 2a는 한외여과 전 고로쇠수액의 총 산도 변화 그래프.
도 2b는 한외여과 후 고로쇠수액의 총 산도 변화 그래프.
도 3a는 한외여과 전 고로쇠수액의 저장 중 갈색도 변화 그래프.
도 3b는 한외여과 후 고로쇠수액의 저장 중 갈색도 변화 그래프.
도 4a는 한외여과 전 고로쇠수액의 탁도 변화 그래프.
도 4b는 한외여과 후 고로쇠수액의 탁도 변화 그래프.
도 5a는 한외여과 전 저장기간 중 미생물 수 변화 그래프.
도 5b는 한외여과 후 저장기간 중 미생물 수 변화 그래프.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함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의 준비]
본 실시예에 사용된 고로쇠수액은 2009년 3월에 충북 단양군 소백산 국립공원 일대에 자생하는 고로쇠나무에서 채취한 것으로 채취 후 -20℃ 냉동고에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냉동 고로쇠수액은 한외여과와 이화학적 특성 및 총 균수를 측정하기 전에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한외여과]
고로쇠수액의 여과에 사용된 필터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의 기공크기(pore size) 0.5㎛ 이하인 사전 필터(pre-filter. FILTECH KOREA, Seoul, Korea)와 폴리술폰(polysulfone) 재질의 기공크기 0.4㎛ 이하인 중공사막 필터(FILTECH KOREA, Seoul, Korea)를 사용하였다. 한외여과는 정량펌프(MP-1000, EYELA, Rikakika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2개의 사전 필터를 통과시킨 후 1개의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시키고 클린벤치(clean bench)내에서 멸균된 용기에 담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유속은 30㎖/분으로 하였다.
[저장성 실험]
한외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을 50㎖씩 멸균용기에 담아 밀봉한 후 -1, 4 및 10℃(±0.5℃)의 저장고에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외여과 처리를 하지 않은 수액은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미생물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26일 동안 저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한외여과처리 후의 수액은 62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및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한외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의 일반성분은 AOAC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수분은 105℃ 상압가열법, 회분은 550℃ 직접회화법 그리고 조단백질은 세미-마이크로(semi-micro) 켈달(Kjeldahl)법으로 정량하였다.
[무기성분 분석]
한외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의 무기질 성분변화는 습식법으로 분해 시킨 후 0.5 N HNO3 10㎖를 넣고 균질화시킨 다음 GF/C(90㎜, Cat No. 1822 090, Whatman International Ltd., Maidstone, England) 여과지로 여과하고 0.5 N HNO3로 25㎖로 정용한 다음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ICP, Thermo Jarrell Ash, Franklin, MA, USA)로 Ca, Cu, Mg, Mn, Fe 및 K를 분석하였다.
[유리당 분석]
한외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의 유리당 함량변화는 수액 2㎖을 0.45㎛의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Sartorius AG, Gㆆttingen, Germany)로 여과 한 후 HPLC(Waters 2695, Waters, New Castle, DE, USA)로 분석하였다. 컬럼은 카보하이드레이트(carbohydrate column. 4.6×150㎜, Waters)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ELSD(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Waters 2420, Waters)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물(acetonitrile:water. 75:25% (v/v))를 1.0㎖/분 유속으로 흘려주었고 20㎕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표준물질로는 프록토스(fructose) 및 서크로스(sucros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유기산 분석]
한외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의 유기산 함량변화는 수액 2㎖를 0.4㎛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HPLC로 분석하였다. 컬럼은 aminex HPX-87H ion exclusion column(7.8×300㎜; Bio-Rad, Hercules, CA, USA)과 micro-Guard Cation H cartridge(4.6×30㎜, Bio-Rad)를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UV검출기(Spectra System UV1000; Thermo Separation Products)로 21㎚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은 0.008 N sulphuric acid 용액을 0.6㎖/분 유속으로 흘려주었고 20㎕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표준물질로는 citric acid 및 marlic acid(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pH 및 산도 측정]
저장조건에 따른 고로쇠수액의 pH 변화는 pH meter(Orion 4 STAR, Thermo Scientific, BeverBe, MA, USA)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총 산도는 수액 20㎖를 취하여 1%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0.1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소비된 NaOH 용액의 ㎖수를 lactic acid 함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갈색도 및 탁도 측정]
저장조건에 따른 고로쇠수액의 갈색도 및 탁도 변화는 UV-VIS spectrophotometer(UV-1650PC,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420 및 590㎚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균수 측정]
저장조건에 따른 고로쇠수액의 총 균수 측정은 수액을 단계별로 희석하여 TSBA(tryptic soy broth agar)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colony수를 계측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및 측정의 결과]
[한외여과 전?후 수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총 균수]
한외여과 전?후 고로쇠수액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조회 분은 여과 전 0.32%에서 여과 후 0.30%로 미세한 감소를 보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여과 전?후 6.80mg%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액의 무기성분은 구리, 망간, 철,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 6종이 검출되었고 칼슘 및 칼륨 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및 망간의 순이었고 구리 및 철은 미량 검출되었다. 수액의 주요 무기성분인 칼슘 및 칼륨은 여과 전에는 각각 26.87 및 18.12㎎/ℓ이었던 것이 여과 후에는 각각 21.14 및 14.44㎎/ℓ의 함량을 나타내어 여과 후 약간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고로쇠 수액의 무기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칼슘의 경우 98.55?153.30㎎/ℓ, 63.8㎎/ℓ, 47.19?88.00㎎/ℓ 및 548㎎/ℓ 등 다양한 함량범위로 보고 되어 있으며, 채취 지역, 시기 및 생육조건 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지만, 고로쇠나무에 함유된 주요 무기성분은 칼슘 및 칼륨인 것으로 보고 되었다. 수액의 유리당은 프록토스 및 서크로스가 검출되었고 여과 전ㆍ후 각각 0.12 및 1.07%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쇠나무 수액의 유리당은 glucose 및 fructose에 비해 sucrose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sucrose 함량은 수액의 채취 지역, 시기, 생육지의 토양 및 기후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1.01?3.36%, 1.45?3.34% 및 1.64% 등의 함량범위인 것으로 보고 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액의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rlic acid가 각각 6.3 및 45.8㎎% 검출되었고 여과 후에는 각각 5.8 및 41.5㎎%로 감소하였다. pH는 여과 전 pH 6.57에서 여과 후 pH 7.04로 약간 증가하였고, 총 산도는 여과 전 0.78㎎ lactic acid eq/㎖에서 여과 후 0.39㎎ lactic acid eq/㎖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래의 한외여과공정에 의한 포도주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에서 여과 전 pH 3.26에서 여과 후 여과막의 종류에 따라 pH 3.44?3.47로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 후 밀감주스의 pH는 4.20에서 여과막의 공극크기에 따라 pH 4.22?4.27로 증가하였으며, 총 산도 역시 여과 전 0.92%에서 여과 후 0.73?0.86%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본 실험에서도 여과 후 유기산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pH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갈색도 및 탁도의 변화는 여과 전에는 각각 0.053 및 0.073의 흡광도를 나타내었지만 여과 후 수액 내에 존재하는 혼탁물질이나 불용성 부유물질이 제거되어 흡광도 값이 측정되지 않아 한외여과에 의한 청징효과를 확인하였다. 여과 후 조회분, 조단백질, 무기성분, 유기산 함량은 소량 감소하였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종래 연구자들의 보고와 일치하는 것으로 한외여과에 의한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약간의 변화가 관찰된 것은 한외여과막의 기공크기에 의해 일부 성분이 통과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외여과 전 수액의 미생물 수는 1.7×103 CFU/㎖로 나타났으나 한외여과 후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사과주, 포도주 및 복숭아주를 한외여과 후 어떠한 미생물도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한 결과 일치하며 수액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0.4㎛ 이하인 한외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한 한외여과방법은 수액의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장 온도에 따른 수액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의 pH 변화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 전 수액의 pH는 초기 6.57에서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 와 4℃에서는 pH 5.53까지 저장기간 동안 완만한 감소를 보였고, 10℃에서는 17일까지 pH 5.10으로 급격히 감소하다가 26일까지 pH 4.86?4.84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여과 후 수액의 초기 pH는 7.04에서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pH 7.06?7.40 범위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는 나타났다. 또한, 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의 총 산도변화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여과 전 총 산도는 0.78 lactic acid eq ㎎/㎖이었으며, -1 와 4℃ 저장 온도에서 0.78?3.91㎎ lactic acid eq/㎖ 범위에서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10℃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26일에는 6.25㎎ lactic acid eq/㎖으로 증가하였다. 여과 후 수액의 경우 -1과 4℃ 저장온도에서 총 산도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10℃에서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과 전 수액의 pH 감소 및 총 산도의 증가는 저장기간 중 수액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생육하면서 유기산이 생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저장 중 갈색도 및 탁도 변화는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 전에는 저장온도 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0.06?0.32 및 0.09?0.26 범위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여과 후에는 각각 0.00?0.06 및 0.00?0.04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외여과 후 갈변도 및 탁도의 변화가 적은 것은 수액내의 고분자 물질, 미생물 및 효소 등이 여과과정 중 대부분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저장 온도에 따른 수액의 총 균수 변화]
한외여과 전ㆍ후 고로쇠수액을 -1, 4 및 10℃에서 여과 전 수액은 26일, 여과 후 수액은 62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여과 전 수액의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를 보면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 균 수는 1.7×103 CFU/㎖에서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 균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 초기 7일간은 균 수의 증가폭이 작았고, -1과 4℃에서 26일간 저장하면서 1.8×104 및 2.7×104 CFU/㎖으로 완만한 균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10℃ 저장 수액은 9일 이후 급격한 균 수의 증가를 보여 4.7×104 CFU/㎖까지 증가하였다. 여과 후 수액의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는 도 5B에 보는 바와 같으며, 여과 직후에서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1과 4℃에서는 저장기간 62일 동안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10℃에서 저장한 수액은 36일까지는 총 균 수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41일 이후 균 수는 4.8×102 CFU/㎖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여과 전 수액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이라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종래 연구에서 약주 및 복숭아주의 한외여과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효모 및 일반세균 등이 한외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10℃저장 수액에서 미생물이 미량 검출된 것은 일부 균이 균일하지 못한 한외여과막의 공극을 통과하여 미생물의 증식이 가능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3)

  1. 채취된 수액을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기공크기 0.1?0.5㎛의 사전필터 하나 이상을 통과시킨 후, 기공크기 0.1?0.4㎛의 중공사막필터를 통과시켜서 한외여과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필터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것이며, 중공사막필터는 폴리술폰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여과는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25?35㎖/분으로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KR1020100099028A 2010-09-30 2010-09-30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KR20120033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028A KR20120033932A (ko) 2010-09-30 2010-09-30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028A KR20120033932A (ko) 2010-09-30 2010-09-30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932A true KR20120033932A (ko) 2012-04-09

Family

ID=4613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028A KR20120033932A (ko) 2010-09-30 2010-09-30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009B1 (ko) * 2012-12-31 2014-12-23 강덕봉 아황산나트륨을 활용한 고로쇠 수액의 보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009B1 (ko) * 2012-12-31 2014-12-23 강덕봉 아황산나트륨을 활용한 고로쇠 수액의 보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28592B2 (en) Process for producing sugar cane potable water and blended sugar cane juice beverage
Echavarría et al. Fruit juice processing and membrane technology application
CN101273790B (zh) 一种石榴原汁的制备方法
CN101341999B (zh) 一种脱酸不去离子浓缩苹果清汁的制备工艺
CN101283823B (zh) 浓缩石榴清汁生产工艺
CN103385505B (zh) 一种陇上花牛苹果汁及其制备方法
Jeong et al. Consequences of ultrafiltration and ultraviolet on the quality of white birch ('Betula platyphylla'var. Japonica) sap during storage
CN103642634A (zh) 发酵型荔枝冰酒的生产方法及其产品
Cassano et al.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s of nanofiltration in food processing
Cassano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membrane distillation and osmotic distillation in agro-food applications
CN104738755A (zh) 一种多级膜并行生产甘蔗浓缩汁及甘蔗饮用水的方法
CN105472997A (zh) 用于制备汁液产品的方法
CN112143659A (zh) 一株用于果酒全过程绿色生产的克鲁维毕赤酵母及其应用
KR101278172B1 (ko) 고농도 γ-아미노낙산 함유 식품 및 음료의 제조 방법 및고농도 γ-아미노낙산 함유 식품 및 음료
Zhao et al. Evaluation of hybrid pressure-driven and osmotically-driven membrane process for non-thermal production of apple juice concentrate
KR20120033932A (ko) 한외여과법을 이용한 고로쇠수액의 저장방법
Cassano et al. Reverse osmosis in food processing
CN108342278A (zh) 一种软枣猕猴桃酒及其酿造方法
Abdullah et al. Membrane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y
KR100561103B1 (ko) 전기투석법에 의한 간장의 저염화 방법
KR100519089B1 (ko) 한외여과에 의한 혼합과채쥬스의 제조방법
CN114009637A (zh) 一种高效制备高花色苷含量蓝莓浓缩汁的方法
Malik et al. Commercial utilization of membranes in food industry
Molnár et al. Concentration of raspberry (Rubus idaeus L.) juice using membrane processes
KR101476009B1 (ko) 아황산나트륨을 활용한 고로쇠 수액의 보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