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460A -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460A
KR20120033460A KR1020100094979A KR20100094979A KR20120033460A KR 20120033460 A KR20120033460 A KR 20120033460A KR 1020100094979 A KR1020100094979 A KR 1020100094979A KR 20100094979 A KR20100094979 A KR 20100094979A KR 20120033460 A KR20120033460 A KR 2012003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calcium
acid
lactate
fermentation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971B1 (ko
Inventor
김현숙
강기권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6Lact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01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and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59/08Lactic acid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침전법을 통한 젖산의 정제 공정에 있어서 젖산 발효시 배양액 pH 첨가제로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함으로써 종래 칼슘염을 첨가함으로 발생하는 침전물 발생 및 이에 의한 발효액의 교반을 방해함으로써 발효 수율을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젖산 발효 배양액에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젖산 발효시킨 후 칼슘염을 이용하여 젖산암모늄으로부터 젖산칼슘으로의 전환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젖산 발효 배양액에 칼슘염을 직접 첨가시킨 후 젖산발효를 통하여 생성된 젖산을 젖산칼슘으로 전환시킨 후 젖산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보다 고순도의 젖산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높은 순도의 젖산은 화장품 및 식품첨가물 이외에 고분자 젖산(poly lactic acid)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 등의 고부가가치 상품에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Methods for Purifying Lactic Acid from Lactic Acid Fermented Broth Comprising Ammonium Lactate}
본 발명은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젖산(lactic acid)은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얻어지는 다양한 응용가능성이 있는 기초 화학물질이다. 젖산은 화학 원료로 부터 제조하는 화학 합성법과 당을 원료로 하는 발효법에 의해 생산된다. 최근 발효에 의해 생산되는 젖산의 정제기술이 발달하여 화학합성법에 의해 생산되는 젖산과 품질이 거의 동등한 젖산의 제조가 가능하다.
발효를 통해 생산된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은 발효공정 중에 사용되는 pH 조절제(buffer)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발효공정 중에 pH 조절제가 사용되는 이유는 미생물이 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pH 범위를 가지는데, 기본적으로 젖산을 생산하는 발효공정의 발효액의 pH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하거나, 대사를 멈추는 값으로 하락한다. 따라서 발효공정에서 pH는 젖산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고, 효율적인 젖산의 생산을 위해 일반적으로 pH 조절제를 첨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젖산 발효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이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을 pH 조절제로 사용된다.
발효를 통해 생산된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은 침전(precipitation), 추출(extraction), 흡착(adsorption), 반응증류(reactive distillation), 전기투석(electro dialysis) 및 나노여과(nano filtration) 등을 들 수 있다.
침전에 의한 방법은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이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을 pH 조절제로 이용하여 생산된 젖산칼슘(calcium lactate) 용액을 황산(sulfuric acid)으로 중화하여 칼슘(calcium) 이온을 황산칼슘(calcium sulfate) 형태로 침전시켜 여과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황산칼슘(calcium sulfate)의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지만 비교적 공정이 단순하고 정제비용이 저가이기 때문에 침전법을 통한 젖산의 정제가 산업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추출에 의한 젖산의 정제는 젖산에 대해서는 큰 분배 계수를 가지고, 다른 불순물에 대해서는 낮은 분배 계수를 가지는 용매를 이용하여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이나, 이 방법은 유기 용매가 사용되므로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적절한 용매의 선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흡착에 의한 방법은 고체 흡착제나 이온 교환 수지에 젖산을 흡착시켜 정제하는 방법으로, 낮은 농도의 젖산이나 발효액과 같은 복잡한 용액내의 젖산을 정제하는데 유리한 공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흡착 방법은 젖산뿐만 아니라 다른 부산물들도 같이 흡착이 되므로 순도가 낮은 단점이 있으며, 순도를 높일 수 있는 순차적인 다른 정제 방법들이 요구된다.
반응증류를 이용한 젖산의 정제는 먼저 젖산을 적절한 알코올과 반응시켜 에스테르(ester)를 만든 후에 증류하여 얻은 에스테르를 다시 가수분해하여 순수한 젖산을 얻는 것인데, 이 방법을 사용하면 고순도의 젖산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발효액으로부터의 젖산 일차 정제에는 적합하지 않다.
전기투석에 의한 젖산의 정제는 탈염 전기투석을 사용하여 발효액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 분해 전기투석에서 락테이트(lactate) 형태를 젖산으로 만드는 것인데, 이 방법은 pH 조절 성분의 회수가 가능하므로 경제성이 좋고 환경부하가 적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투석을 이용한 정제법은 막의 오염 문제와 설비 투자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나노여과에 의한 젖산의 정제는 나노여과막을 사용하여 발효액 내에 존재하는 비이온성 물질을 크기 차이에 의해 배제시키고, 이온성 물질을 막의 특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제시켜 원하고자 하는 젖산을 얻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연속공정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좋으며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투석 방법과 마찬가지로 나노여과와 같은 막을 이용한 정제법은 막의 오염 문제와 설비 투자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에 의하여 생산된 젖산을 침전법을 이용하여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산 수율, 정제 및 높은 순도의 젖산을 수득할 수 있는 신규한 젖산 정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침전법을 이용하여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고수율로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에 칼슘염을 첨가하여 젖산 암모늄으로부터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을 통하여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고수율로 정제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젖산 암모늄이 포함된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젖산 및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의 젖산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a)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에 칼슘염을 첨가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 의하여 젖산 발효액에 포함된 젖산 칼슘으로부터 젖산을 분리 또는 정제하는 단계.
본 발명자들은 침전법을 이용하여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고수율로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에 칼슘염을 첨가하여 젖산 암모늄로부터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을 통하여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고수율로 정제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젖산 발효액”은 젖산 발효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결과물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젖산 발효액은 젖산 발효 후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 배양액 또는 젖산 발효 후 배양액으로부터 젖산 발효 미생물을 분리하고 남은 발효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젖산 발효액은 젖산 발효 미생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한 후 젖산 발효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젖산 발효 미생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한 후 젖산 발효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 발효 미생물을 분리하고 남은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는 공정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를 통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침전법을 이용하여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데 매우 수한 젖산 정제 효과를 발휘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젖산 발효 미생물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침전법은 젖산 발효 미생물 배양시 pH 조절제로서 수산화칼슘이나 탄산칼슘과 같은 칼슘염을 배양액에 첨가한 후 젖산 발효를 하는 공정을 이용한다. 그러나 pH 조절제로 수산화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사용할 경우 생산되는 젖산칼슘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발효액으로부터 석출되어 발효액의 교반을 방해하여 발효 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수산화칼슘 또는 탄산칼슘의 물에 대한 용해도도 낮기 때문에, 미생물이 효율적으로 젖산을 생산할 수 있도록 발효액의 pH를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H 조절제로서 용해도가 높은 수산화암모늄(NH4OH 또는 암모니아수)을 이용함으로써, 젖산 발효액의 pH 조절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젖산 발효 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젖산암모늄은 물에 대한 용해도 높아 젖산 발효 공정 및 젖산균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젖산 발효 수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수산화암모늄을 젖산 발효 배양액에 첨가하는 경우 젖산 배양액은 pH 값은 3-1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젖산 배양액의 pH 값은 5-10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8의 pH 값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수율로 생산된 젖산암모늄을 젖산칼슘의 형태로 전환시켜 전통적인 방식인 침전법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젖산을 정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염(salt)’은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하고 있는 이온성 물질인 화합물을 의미하며, 용어 ‘칼슘염’은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염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 단계 (a)에서의 칼슘염을 젖산 발효액에 첨가하는 경우 젖산 암모늄을 젖산칼슘으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단계 (a)에 의한 젖산암모늄으로부터 젖산칼슘로의 전환율은 4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5%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단계 (b)에서의 첨가되는 칼슘염은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및 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칼슘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 및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칼슘염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과 염화칼슘을 1:99-99:1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칼슘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과 염화칼슘을 1:8-1:10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칼슘염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a)에서 칼슘염을 첨가하였을 때의 젖산 발효액은 3-12 pH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젖산 발효액의 pH 값은 5-10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8의 pH 값을 가진다.
본 발명 단계 (a)는 칼슘염 첨가에 의하여 생성된 암모늄염(예컨대, 수산화암모늄 또는 염화암모늄)을 여과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모늄염을 여과하는 공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여과 공정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계 (b)는 젖산 배양액에 포함된 젖산칼슘으로부터 젖산을 분리 및 정제하는 공정을 통하여 젖산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젖산 배양액에 포함된 젖산칼슘은 젖산 배양액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결정형으로 존재하는 젖산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 단계 (b)에서 젖산칼슘은 산을 첨가함으로써 젖산 및 칼슘염으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단계 (b)에서의 젖산칼슘은 산을 첨가함으로써 중화과정을 거쳐 젖산 및 칼슘염이 전환되고, 중화과정에 의해서 생성된 칼슘염은 낮은 용해도를 가짐에 따라 수용액에 침전되며, 침전된 칼슘염은 여과 공정을 통해 젖산과 분리된다. 젖산 및 칼슘염이 포함된 수용액으로부터 칼슘염을 여과하는 공정 및 분리된 젖산의 정제 공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단계 (b)는 황산, 염산, 질산, 과염소산, 아세트산, 탄산, 과염소산, 붕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산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황산, 염산, 질산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산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황산 및 염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산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산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은 기존의 침전법을 통한 젖산의 정제 공정에 있어서 젖산 발효시 배양액 pH 첨가제로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함으로써 종래 칼슘염을 첨가함으로 발생하는 침전물 발생 및 이에 의한 발효액의 교반을 방해함으로써 발효 수율을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ⅲ) 본 발명은 젖산 발효 배양액에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젖산 발효시킨 후 칼슘염을 이용하여 젖산암모늄으로부터 젖산칼슘으로의 전환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젖산 발효 배양액에 칼슘염을 직접 첨가시킨 후 젖산발효를 통하여 생성된 젖산을 젖산칼슘으로 전환시킨 후 젖산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보다 고순도의 젖산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ⅳ)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를 통한 정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추출법,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를 통한 반응증류에 비해 경제적이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다.
(ⅳ) 본 발명은 다른 분리정제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설비를 사용할 수 있고, 전기투석과 막분리를 통한 정제법에 비해 이미 보급된 설비를 사용하여 설비 사용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뛰어나고 전력 및 스팀 등의 에너지 소비량이 매우 적다.
(ⅴ) 본 발명은 추출법이나 반응증류에 비해 가열공정이 없으므로, 고온에 따른 젖산의 라세미화(racemization)를 방지하여 광학적으로 순도 높은 젖산으로 정제가 가능하다.
(ⅵ) 또한,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높은 순도의 젖산은 화장품 및 식품첨가물 이외에 고분자 젖산(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 등의 고부가가치 상품에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을 통한 젖산암모늄으로부터의 젖산의 정제 공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젖산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발효액에 칼슘염의 첨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KCTC 13169)를 배양하기 위하여 제조된 배지(포도당 23%, 효모 추출물 2.0%, 소듐 아세테이트 0.1%, K2HPO4 0.2%, KH2PO4 0.1%, MgSO4 0.01%, MnSO4 0.005%)에서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pH 6.0으로 조절하고, 37℃에서 약 20-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0%의 젖산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발효액을 4000 rpm 이상의 속도의 원심분리를 통하여 균체를 제거하였다. 젖산암모늄에서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을 위해, 균체가 제거된 젖산암모늄 발효액 1000 g에 각각 1.87 당량의 탄산칼슘 222.2 g, 염화칼슘 246.4 g 및 수산화칼슘 164.5 g을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교반을 통해 젖산칼슘으로 전환된 용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분리하고, 상등액에 용해되어 있는 젖산칼슘으로 전환되지 않은 젖산암모늄을 분석하였다. 상등액에는 소량의 용해된 젖산칼슘이 포함될 수 있다. HPLC 분석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pH에 따른 젖산칼슘의 결정형성을 위한 칼슘염의 혼합 첨가
젖산암모늄에서 젖산칼슘으로 전환되어 젖산칼슘 결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젖산칼슘이 가장 높은 결정화율을 나타내는 조건에서의 전환이 필요하다. 특히 pH에 따라서 물질의 용해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pH에 따라서 고체의 결정화되는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참고로, 실시예 1에서의 실험에서 각각의 칼슘염을 첨가한 발효액의 최종 pH는 탄산칼슘, 염화칼슘 및 수산화칼슘이 각각 pH 6.0, pH 4.4 및 pH 10.6을 나타내었다.
17% 젖산암모늄을 포함한 발효액을 4000 rpm 이상의 속도의 원심분리를 통하여 균체를 제거하였다. pH에 따른 젖산칼슘으로의 결정화도를 알아보기 위해, 균체가 제거된 젖산암모늄 발효액 150 g에 염화칼슘과 수산화칼슘의 비율별로 당량의 칼슘염을 각각 염화칼슘 대 수산화칼슘이 50:50 일 때, 염화칼슘 15.54 g, 수산화칼슘 10.37 g, 염화칼슘 대 수산화칼슘이 70:30 일 때, 염화칼슘 22.20 g, 수산화칼슘 5.93 g, 염화칼슘 대 수산화칼슘이 90:10 일 때, 염화칼슘 27.75 g, 수산화칼슘 2.22 g, 염화칼슘 대 수산화칼슘이 100:0 일 때, 염화칼슘 31.07 g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교반을 통해 젖산칼슘으로 전환된 용액을 여과를 통해 상등액을 분리하고, 상등액에 용해되어 있는 젖산칼슘으로 전환되지 않은 젖산암모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염화칼슘과 수산화칼슘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젖산암모늄이 포함된 젖산발효액에 첨가하였을때, 염화칼슘과 수산화칼슘을 9:1로 첨가하였을 때 젖산암모늄으로부터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2).
상등액에는 소량의 용해된 젖산칼슘이 포함될 수 있다. HPLC 분석 결과 및 pH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3: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을 통한 젖산암모늄으로부터의 젖산의 정제
젖산암모늄의 젖산칼슘으로의 전환은 칼슘염의 종류 및 pH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첨가하는 칼슘염의 용해도도 정제되는 젖산의 순도에 영향을 미친다. 용해도가 낮은 칼슘염은 젖산칼슘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발효액 중에 남게 되어 황산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용해도가 낮은 탄산칼슘을 제외한 혼합 칼슘염 첨가를 통한 젖산암모늄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였다. 18.5% 젖산암모늄을 포함한 발효액 500 g을 4000 rpm 이상의 속도의 원심분리를 통하여 균체를 제거하였다. 균체가 제거된 젖산암모늄 발효액에 9:1 염화칼슘과 수산화칼슘의 비율로 당량의 칼슘염을 각각 염화칼슘 103.2 g, 수산화칼슘 7.4 g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교반을 통해 젖산칼슘으로 전환된 용액을 여과를 통해 상등액과 젖산칼슘을 분리하고, 96%의 황산을 첨가하여 젖산의 pKa (3.86) 이하인 pH 2.5로 조절하였다. 황산처리로 인해 젖산칼슘은 젖산과 황산칼슘으로 반응하였고, 이에 따라 젖산암모늄 발효액으로부터 정제된 젖산까지의 최종 수율은 72%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젖산 암모늄이 포함된 젖산 발효액으로부터의 젖산 정제방법:
    (a)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에 칼슘염을 첨가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 의하여 젖산 발효액에 포함된 젖산 칼슘으로부터 젖산을 분리 또는 정제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젖산 암모늄은 젖산 발효 배지에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한 후 젖산 발효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생산된 젖산 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칼슘염은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및 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칼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염은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또는 이의 혼합 칼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칼슘염은 수산화칼슘과 염화칼슘을 1:99-99:1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칼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칼슘염이 첨가된 젖산 배양액은 3-12 pH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황산, 염산, 질산, 과염소산, 아세트산, 탄산, 과염소산, 붕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산을 첨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94979A 2010-09-30 2010-09-30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KR10120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79A KR101204971B1 (ko) 2010-09-30 2010-09-30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79A KR101204971B1 (ko) 2010-09-30 2010-09-30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60A true KR20120033460A (ko) 2012-04-09
KR101204971B1 KR101204971B1 (ko) 2012-11-26

Family

ID=4613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979A KR101204971B1 (ko) 2010-09-30 2010-09-30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63B1 (ko) * 2018-12-28 2020-03-17 한국화학연구원 알돈산 생산능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알돈산의 생산 방법
CN114343060A (zh) * 2021-12-30 2022-04-15 河南金丹乳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乳酸生产中提高菌体渣中蛋白含量的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633A1 (en) * 2005-05-13 2006-11-23 Cargill, Incorporated Production of lactic aci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63B1 (ko) * 2018-12-28 2020-03-17 한국화학연구원 알돈산 생산능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알돈산의 생산 방법
CN114343060A (zh) * 2021-12-30 2022-04-15 河南金丹乳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乳酸生产中提高菌体渣中蛋白含量的工艺
CN114343060B (zh) * 2021-12-30 2023-07-25 河南金丹乳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乳酸生产中提高菌体渣中蛋白含量的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971B1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2685B2 (en) Recovery method of highly pure lactic acid and alkyl lactate
JP3502419B2 (ja) 乳酸および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CN107058416B (zh) 一种精制谷氨酸的发酵工艺
DE102006017760A1 (de) Verfahren zur enzymatischen Herstellung von 2-Hydroxy-2-methylcarbonsäuren
US11060118B2 (en) Production of vanillin by fermentation
KR101294336B1 (ko) 젖산의 정제 방법
CN113621658B (zh) 一种连续生产1,3-二羟基丙酮和赤藓酮糖的制备方法
CN114181268A (zh) 一种木糖母液联产赤藓糖醇和阿拉伯糖的方法
KR101204971B1 (ko) 젖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젖산 발효액으로부터 젖산을 정제하는 방법
CN102459621B (zh) 制备2-酮羧酸的方法
CN103804173A (zh) 一种发酵有机酸的精制方法
MXPA00012316A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y recuperar eritritol de un medio de cultivo que lo contiene.
CN110029134B (zh) 一种生产和提取谷氨酸的工艺
CN1108304A (zh) 发酵制造乳酸的方法
CN102747113B (zh) 一种高浓度发酵生产2-酮基-d-葡萄糖酸的工艺
KR101540520B1 (ko) 역삼투막을 이용한 숙신산 정제 방법
CN102321683B (zh) 采用发酵法制备富马酸发酵液及富马酸发酵液分离提取纯品富马酸的方法
CN108220351B (zh) 一种生物酶法制备L-精氨酸-α-酮戊二酸的方法
JPH09154589A (ja) エリスリトールの製造方法
JP2010130908A (ja) グリセリン酸塩の製造方法
CN108315375A (zh) 一种氧化型烟酰胺腺嘌呤二核苷酸磷酸的生产方法
CN102382868A (zh) 一种利用葡糖杆菌产生二羟基丙酮的方法
CN110607331B (zh) 一种制备和提取l-亮氨酸的工艺
WO2018089971A1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malonic acid from fermentation broth
KR102348818B1 (ko) 혼합균주를 이용한 phb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