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42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425A
KR20120033425A KR1020100094930A KR20100094930A KR20120033425A KR 20120033425 A KR20120033425 A KR 20120033425A KR 1020100094930 A KR1020100094930 A KR 1020100094930A KR 20100094930 A KR20100094930 A KR 20100094930A KR 20120033425 A KR20120033425 A KR 20120033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vection
air
exhaust por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917B1 (ko
Inventor
남현식
조성호
백승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조리실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의 일부가 차폐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의 온도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란, 마이크로웨이브나 히터열을 사용하여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제공하는 컨벡션 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컨벡션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컨벡션 챔버,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벡션 히터, 상기 컨벡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하는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팬의 구동을 위한 컨벡션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일양태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챔버;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한 상기 조리실 및 챔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횡류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원; 및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리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백 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고, 그 내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의 후면 사이에 컨벡션 챔버를 형성하는 컨벡션 커버;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그 회전축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 및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으로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에어 가이드;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컨벡션 팬으로 크로스-플로우 팬을 사용함으로써, 조리실과 컨벡션 챔버 사이를 순환하는 유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 일부가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그 유동단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배기구의 일부가 차폐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도어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온도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팬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컨벡션 모터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보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폐 리브의 존부에 따른 도어의 온도 차이를 보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조리기기 중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팬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100)의 전면을 프론트 플레이트(110)가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100)의 후면을 백 플레이트(12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의 상하면을 각각 어퍼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가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양측면을 2개의 사이드 플레이트(150)가 형성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어퍼 플레이트(130), 바텀 플레이트(140), 및 사이드 플레이트(150)는 1개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60)이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은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160)의 후면, 상하면 및 양측면을 상기 백 플레이트(120), 어퍼 플레이트(130), 바텀 플레이트(140), 및 사이드 플레이트(150)가 형성한다. 상기 조리실(160)은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조리실(160)은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의 일측에는 전장실(170)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70)의 내부에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전장실(170)이 상기 조리실(160)의 도면상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전장실(17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조리실(160)의 후면, 즉 상기 백 플레이트(120)에는 흡기구(121)(도 2참조) 및 배기구(123)(도 2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21)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의 공기가 후술할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23)는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구(121)의 하방에 상기 배기구(123)가 위치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는 각각 다공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컨벡션 챔버의 내부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는 백 커버(180)가 설치된다. 상기 백 커버(180)는 후술할 컨벡션 커버(300)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 커버(180)가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180)의 도면상 우측면에는 냉각용 흡기구(181)(도 8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 커버(180)의 도면상 좌측면에는 냉각용 배기구(183)(도 8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 및 냉각용 배기구(183)는 후술할 컨벡션 모터(500)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가 컨벡션 모터(500)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백 커버(180)의 도면상 우측면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냉각용 배기구(183)가 컨벡션 모터(500)에서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상기 백 커버(180)의 도면상 좌측면 하단에 위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에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다수개의 가열원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미도시)이 상기 전장실(17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히터열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 히터(200)가 상기 어퍼 플레이트(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실(160)의 후방, 즉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컨벡션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 장치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 장치는, 컨벡션 커버(300), 컨벡션 팬(400), 컨벡션 모터(500), 냉각팬(600), 컨벡션 히터(710)(720) 및 제1 및 제2에어 가이드(810)(8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 커버(300)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컨벡션 챔버(30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컨벡션 커버(30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백 플레이트(120) 및 백 커버(180)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챔버(301)는, 상기 컨벡션 팬(400), 컨벡션 히터(710)(720) 및 제1에어 가이드(81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과 연통된다. 상기 컨벡션 커버(300)는, 이너 커버(310), 아웃터 커버(320) 및 2개의 사이드 커버(330)(3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는 각각 대략 U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차례로 고정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 커버(320)가 상기 이너 커버(310)를 전후방으로 차폐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에는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은 상하로 서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은 후술할 제1 및 제2팬 설치공(341)에 비하여 전방 및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 커버(330)(340)는 각각 상기 이너 커버(3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 도면상 우측의 것을 제1사이드 커버(330), 도면상 좌측의 것을 제2사이드 커버(340)라 칭한다.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에는 제1팬 설치공(331) 및 2개의 히터 설치공(3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은, 상기 컨벡션 팬(40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3)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3)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핀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핀치부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면, D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설치공(331) 및 제1히터 설치공(333)은 각각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은 상기 배기구(123)에 비하여 상기 흡기구(121)에 상대적으로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3)은 상기 흡기구(121)에 비하여 상기 배기구(123)에 상대적으로 인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의 하방에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3)이 위치된다.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는 제2팬 설치공(341) 및 히터 설치 개구(343)가 형성된다. 상기 제2팬 설치공(341)은 상기 제1팬 설치공(33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에는 후술할 히터 브라켓(730)이 고정된다.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는,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3)과 좌우로 중첩되는 영역 이상의 크기로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벡션 팬(400)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160)과 컨벡션 챔버(301) 사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 팬(400)이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 팬(400)이 구동되면,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 팬(400)으로, 그 회전축에 직교되는 평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흡배기가 이루어지는 횡류팬이 사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 팬(400)은, 3개의 디스크(310)(320)(330) 및 상기 디스크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3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310)(320)(33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40)는, 소정의 각도로 상기 디스크(310)(320)(330)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6에서 도면상 우측의 것을 제1디스크(310), 도면상 좌측의 것을 제2디스크(320), 상기 제1 및 제2디스크(310)(3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제3디스크(330)라 칭한다.
상기 제1 및 제2디스크(310)(320)에는 상기 블레이드(340)의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블레이드 고정홀(311)(3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고정홀(311)(321)은 상기 제1 및 제2디스크(310)(320)의 테두리 부분에 설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디스크(310)(320)에는 제1 및 제2커플러 고정홀(313)(3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 고정홀(313)(323)은, 상기 컨벡션 팬(400)을 후술할 제1모터 샤프트(510) 및 팬 샤프트(370)에 고정하기 위하여 후술할 제1 및 제2커플러(351)(361)가 고정되는 곳이다.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 고정홀(313)(323)은 상기 제1디스크(310)의 중앙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벡션 팬(400)의 양측,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 고정홀(313)(323)에는 각각 제1 및 제2커플러(351)(36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플러(351)에는 제1모터 샤프트(510)가 결합되고, 상기 제2커플러(361)에는 팬 샤프트(370)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351)(361)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351)(361)는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 고정홀(313)(323) 이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 고정홀(313)(323)에 각각 억지 끼움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팬 샤프트(370)는 상기 제2커플러(36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 즉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의 외부로 연장되는 상기 팬 샤프트(370)는 베어링(381)에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381)은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38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 모터(500)는 상기 컨벡션 팬(400) 및 냉각팬(6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에는 모터 샤프트(510)(52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510)(520)는 상기 컨벡션 모터(500)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터 샤프트(510)(520) 중 도 3에서 도면상 좌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제1모터 샤프트(510), 도 3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상기 제2모터 샤프트(520)라 칭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모터 샤프트(510)(520)는 1개의 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 샤프트(510)는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을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모터 샤프트(510)는 상기 제1커플러(35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모터 샤프트(520)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컨벡션 모터(500)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컨벡션 모터(500)는, 모터 브라켓(530)에 의하여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는, 상기 제1모터 샤프트(510)가 관통하는 사프트 관통공(531)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냉각팬(600)은 상기 컨벡션 모터(500)의 냉각을 위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팬(600)으로 축류팬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600)은 상기 제2모터 샤프트(5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600)은,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컨벡션 모터(5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는, 상기 컨벡션 팬(4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 상에서, 상기 컨벡션 팬(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에 의한 상기 컨벡션 팬(4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로는, 예를 들면, 바아 타입의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일단부,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핀치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 즉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핀치부 중 나머지는 히터 브라켓(730)에 지지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730)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핀치부 중 나머지 하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히터 브라켓(730)에는 2개의 제2히터 설치공(7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브라켓(730)은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를 차폐한 상태로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된다.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 공간을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303)(이하에서는 '흡입 영역'이라 칭함)과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305)(이하에서는 '배출 영역'이라 칭함)을 구획한다. 또한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를 고르게 순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일단이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선단이 상기 배기구(123)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타단이, 상기 컨벡션 팬(400)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소정의 곡률로 밴딩되어 상기 배출 영역(305)의 유동단면적이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흡입 영역(303) 및 배출 영역(305)을 구획한다. 즉,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상기 배출 영역(305)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컨벡션 팬(400)에서 상기 배기구(123)를 향하여 증가되도록,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를 구획한다.
다시 도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냉각팬(6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하는 공기를 안내한다. 즉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용 배기구(18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냉각팬(6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모터(50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백 커버(180)의 상부 및 상기 컨벡션 커버(300)의 상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어 상기 컨벡션 모터(500)의 냉각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냉각팬(600)의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평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일부를 수평부(821),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일부를 수직부(823)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일단, 즉 상기 수평부(821)의 일측단 및 상기 수직부(823)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모터 브라켓(53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821)의 전단은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 및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내면(실질적으로 상기 수평부(821)의 저면 및 상기 수직부(823)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안내될 것이다.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서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향하여 상방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수평부(821)는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서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823)는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서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의 유동단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향하여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를 따라서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냉각용 배기구(18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에 인접하는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의 하부 사이의 공간을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간접적으로 냉각되거나,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일종의 에어 커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900)가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서미스터(900)는 상기 흡기구(121) 및 컨벡션 팬(40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미스터(900)는,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컨벡션 팬(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미스터(900)는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서미스터(900)의 선단은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축과 상기 이너 커버(310)의 내면 상단 사이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다량의 공기가 유동되는 부분에 상기 서미스터(900)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가 상하로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의 바닥면, 전면(실질적으로는 상기 도어의 이면) 및 천장면을 따라서 유동할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축의 상방에 해당하는 부분을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축의 하방에 해당하는 부분을 유동하는 공기의 양에 비하여 많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미스터(900)의 선단이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축의 상방에 위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다 정확한 온도의 감지를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컨벡션 모터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보인 배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하여 각종 가열원이 동작된다. 즉,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상부 히터(200)의 히터열 등이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공급되어 조리물의 조리에 사용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 과정에서, 컨벡션 장치가 동작하면,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조리실(160)의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121)를 통하여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및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에어 가이드(810)에 의하여 구획된다. 또한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를 고르게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컨벡션 히터(710)(720)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어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을 위하여 컨벡션 모터(500)가 구동되면, 제2모터 샤프트(520)에 결합된 냉각팬(600)도 회전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가 냉각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팬(600)이 회전하면,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 모터(500)가 위치되는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제2에어 가이드(8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다.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냉각팬(60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제1사이드 커버(330)를 따라서 하방으로 유동하고, 다시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여 냉각용 배기구(183)를 통하여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에 인접하는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의 하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거나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히터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의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폐 리브의 존부에 따른 도어의 온도 차이를 보인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의 도면부호를 참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에어 가이드(810)의 일단, 즉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선단에 차폐 리브(811)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 리브(811)는 실질적으로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의 공기가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23)의 일부를 차폐한다. 이는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도어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폐 리브(811)는 상대적으로 상기 흡기구(121)에 인접하는 상기 배기구(123)의 일부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 리브(811)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 리브(811)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121)의 상부 일부가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 리브(811)가 상기 배기구(123)의 상부를 통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의 공기의 배출을 간섭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 배기구(123)가 상기 흡기구(121)의 하방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123)가 상기 흡기구(121)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 리브(811)가 상기 배기구(123)의 하부 일부를 차폐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구(123)가 상기 흡기구(121)의 측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 리브(811)가 상기 흡기구(121)에 인접하는 상기 배기구(123)의 일단 일부를 차폐할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 안착되는 조리물은 상기 조리실(160)의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123)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의 조리물을 향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기구(123)의 상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의 조리물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도어를 향하여 직접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 리브(811)에 의하여 상기 배기구(123)의 상부를 통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의 공기의 배출이 간섭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공기가 하향경사지게 배출된다. 즉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상기 도어를 직접적으로 향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리브(811)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배출 영역(305)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컨벡션 팬(400)에서 상기 배기구(123)를 향하여 유동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상기 배출 영역(305)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배기구(123)의 위치에서 상기 차폐 리브(811)에 의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전체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를 고르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배기구(123)의 높이(H)와 상기 차폐 리브(811)의 높이(h)의 비가 아래와 같은 경우에 상기 도어의 온도의 증가가 저감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하여 손으로 파지하는 과정에서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챔버;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한 상기 조리실 및 챔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횡류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원; 및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리브;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에 의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를,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 영역과,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배출 영역으로 구획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영역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횡류팬에서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증가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리브는 상기 흡기구에 인접하는 상기 배기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흡기구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구획 리브는 상기 배기구의 상부 일부를 차폐하는 조리기기.
  7.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백 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고, 그 내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의 후면 사이에 컨벡션 챔버를 형성하는 컨벡션 커버;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그 회전축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 및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으로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에어 가이드;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의 유동단면적은,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증가되는 조리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대적으로 상기 흡기구에 인접되는 상기 배기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조리기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흡기구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배기구의 상부 일부를 차폐하는 조리기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의 선단 일부가 밴딩되어 형성되는 차폐 리브가 상기 배기구를 차폐하는 조리기기.
KR1020100094930A 2010-09-30 2010-09-30 조리기기 KR10172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30A KR101728917B1 (ko) 2010-09-30 2010-09-3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30A KR101728917B1 (ko) 2010-09-30 2010-09-30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25A true KR20120033425A (ko) 2012-04-09
KR101728917B1 KR101728917B1 (ko) 2017-04-20

Family

ID=4613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930A KR101728917B1 (ko) 2010-09-30 2010-09-3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748A3 (de) * 2015-09-11 2016-05-25 V-Zug AG Backofen mit rückwärtige kammer zum heissluftumlau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7503B2 (ja) * 2001-06-12 2006-06-21 日立ホーム・アンド・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4028513A (ja) 2002-06-28 2004-01-29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748A3 (de) * 2015-09-11 2016-05-25 V-Zug AG Backofen mit rückwärtige kammer zum heissluftumlau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917B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79948A1 (en) Cooking appliance
EP3685103B1 (en) Oven
US10697643B2 (en) Cooker
KR101728917B1 (ko) 조리기기
KR101727751B1 (ko) 조리기기
KR101744976B1 (ko) 조리기기
KR101743298B1 (ko) 컨벡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38166B1 (ko) 조리기기
KR101760942B1 (ko) 조리기기
KR100935545B1 (ko) 전자레인지
KR101453273B1 (ko) 대류형 전자레인지
KR101743297B1 (ko) 조리기기
KR100789831B1 (ko) 전기 오븐
KR100918852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1B1 (ko) 전자레인지
KR101751066B1 (ko) 컨벡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0231B1 (ko) 전자레인지
KR100930232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584B1 (ko) 전자레인지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3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2B1 (ko) 전자레인지
KR100935546B1 (ko) 전자레인지
KR20090065060A (ko) 전자레인지
KR20110051113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