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297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297B1
KR101743297B1 KR1020110000594A KR20110000594A KR101743297B1 KR 101743297 B1 KR101743297 B1 KR 101743297B1 KR 1020110000594 A KR1020110000594 A KR 1020110000594A KR 20110000594 A KR20110000594 A KR 20110000594A KR 101743297 B1 KR101743297 B1 KR 10174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ction
heater
chamber
cooking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359A (ko
Inventor
주모담
최시영
오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2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의 일단부가 상기 히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벡션 히터의 타단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히터 브라켓이 상기 컨벡션 챔버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컨벡션 히터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벡션 히터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란, 마이크로웨이브나 히터열을 사용하여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제공하는 컨벡션 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컨벡션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컨벡션 챔버,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벡션 히터, 상기 컨벡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하는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팬의 구동을 위한 컨벡션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한 일양태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컨벡션 챔버; 상기 조리실 및 챔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횡류팬인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모터;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적어도 1개의 컨벡션 히터; 및 상기 컨벡션 히터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컨벡션 챔버에 고정되는 히터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 히터의 일단부가 상기 히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벡션 히터의 타단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히터 브라켓이 상기 컨벡션 챔버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컨벡션 히터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양태는,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컨벡션 챔버를 형성하고, 히터 설치 개구 및 적어도 1개의 히터 설치공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형성되는 컨벡션 커버;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컨벡션 히터의 양단부에는 애자부가 구비되는 기설정된 길이의 바아 타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컨벡션 히터; 및 상기 히터 설치 개구를 차폐하고, 적어도 1개의 히터 설치공이 형성되는 히터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 히터의 애자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히터 브라켓의 히터 설치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브라켓이 상기 컨벡션 커버에 고정되면, 상기 컨벡션 히터의 애자부 중 나머지가 상기 컨벡션 커버의 히터 설치공에 삽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컨벡션 히터가 히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브라켓과 함께 컨벡션 챔버에 고정된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컨벡션 히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터 브라켓을 상기 컨벡션 챔버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컨벡션 히터를 상기 컨벡션 챔버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 히터의 교체 및 수리 등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벡션 챔버의 좌우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상기 컨벡션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컨벡션 챔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상기 컨벡션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컨벡션 히터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조리기기 중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100)의 전면을 프론트 플레이트(110)가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100)의 후면을 백 플레이트(12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의 상하면을 각각 어퍼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가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양측면을 2개의 사이드 플레이트(150)가 형성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어퍼 플레이트(130), 바텀 플레이트(140), 및 사이드 플레이트(150)는 1개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60)이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은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160)의 후면, 상하면 및 양측면을 상기 백 플레이트(120), 어퍼 플레이트(130), 바텀 플레이트(140), 및 사이드 플레이트(150)가 형성한다. 상기 조리실(160)은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조리실(160)은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의 일측에는 전장실(170)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70)의 내부에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전장실(170)이 상기 조리실(160)의 도면상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전장실(17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조리실(160)의 후면, 즉 상기 백 플레이트(120)에는 흡기구(121)(도 2참조) 및 배기구(123)(도 2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21)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의 공기가 후술할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23)는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구(121)의 하방에 상기 배기구(123)가 위치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는 각각 다공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컨벡션 챔버의 내부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는 백 커버(180)가 설치된다. 상기 백 커버(180)는 후술할 컨벡션 커버(300)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 커버(180)가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180)의 도면상 우측면에는 냉각용 흡기구(18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 커버(180)의 도면상 좌측면에는 냉각용 배기구(183)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 및 냉각용 배기구(183)는 후술할 컨벡션 모터(500)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가 컨벡션 모터(500)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백 커버(180)의 도 1에서 도면상 우측면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냉각용 배기구(183)가 컨벡션 모터(500)에서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상기 백 커버(180)의 도 1에서 도면상 좌측면 하단에 위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에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다수개의 가열원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미도시)이 상기 전장실(17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히터열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 히터(200)가 상기 어퍼 플레이트(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실(160)의 후방, 즉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컨벡션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 장치는,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 장치는, 컨벡션 커버(300), 컨벡션 팬(400), 컨벡션 모터(500), 냉각팬(600), 컨벡션 히터(710)(720) 및 제1 및 제2에어 가이드(810)(8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 커버(300)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컨벡션 챔버(30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컨벡션 커버(30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백 플레이트(120) 및 백 커버(180)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챔버(301)는, 상기 컨벡션 팬(400), 컨벡션 히터(710)(720) 및 제1에어 가이드(81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과 연통된다. 상기 컨벡션 커버(300)는, 이너 커버(310), 아웃터 커버(320) 및 2개의 사이드 커버(330)(3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는 각각 대략 U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차례로 고정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 커버(320)가 상기 이너 커버(310)를 후방에서 차폐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에는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은 상하로 서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은 후술할 제1 및 제2팬 설치공(341)의 전방 및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 커버(310) 및 아웃터 커버(320)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 커버(330)(340)는 각각 상기 이너 커버(3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 도면상 우측의 것을 제1사이드 커버(330), 도면상 좌측의 것을 제2사이드 커버(340)라 칭한다.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에는 제1팬 설치공(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은, 상기 컨벡션 팬(40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은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에는 제1히터 설치부(333)가 형성된다.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일부가 도면상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일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에는 2개의 제1히터 설치공(335)이 형성된다.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면, D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은,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일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은 상기 배기구(123)에 비하여 상기 흡기구(121)에 상대적으로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는 상기 흡기구(121)에 비하여 상기 배기구(123)에 상대적으로 인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의 하방에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 즉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이 위치된다.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는 제2팬 설치공(341) 및 히터 설치 개구(343)가 형성된다. 상기 제2팬 설치공(341)은 상기 제1팬 설치공(33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를 통과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는,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과 좌우로 중첩되는 영역 이상의 크기로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는 히터 브라켓(350)이 고정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35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되어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를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 브라켓(350)은, 적어도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히터 브라켓(350)은,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히터 브라켓(350)은,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 브라켓(350)에는 제2히터 설치부(35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히터 설치부(351)는, 상기 히터 브라켓(350)이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히터 설치부(333)에 대응하는 상기 히터 브라켓(350)의 일부가, 도면상 좌측, 즉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333)(35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330)(340)의 내면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히터 설치부(351)에는 2개의 제2히터 설치공(3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히터 설치공(353)은,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히터 설치공(353)에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양단부 중 나머지 하나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히터 설치공(353)도,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과 동일하게,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D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팬(400)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160)과 컨벡션 챔버(301) 사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 팬(400)이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 팬(400)이 구동되면,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 팬(400)으로, 그 회전축에 직교되는 평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흡배기가 이루어지는 횡류팬이 사용된다.
상기 컨벡션 모터(500)는 상기 컨벡션 팬(400) 및 냉각팬(6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에는 모터 샤프트(510)(52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510)(520)는 상기 컨벡션 모터(500)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터 샤프트(510)(520) 중 도 3에서 도면상 좌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제1모터 샤프트(510), 도 3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상기 제2모터 샤프트(520)라 칭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모터 샤프트(510)(520)는 1개의 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 샤프트(510)는 상기 제1팬 설치공(331)을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모터 샤프트(510)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일단부, 즉 상기 컨벡션 팬(400)의 도면상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모터 샤프트(520)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컨벡션 모터(500)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컨벡션 모터(500)는, 모터 브라켓(530)에 의하여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는, 상기 제1모터 샤프트(510)가 관통하는 사프트 관통공(531)이 형성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컨벡션 팬(400)의 타단부, 즉 상기 컨벡션 팬(400)의 도면상 좌측단부는 팬 샤프트에 의하여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팬(600)은 상기 컨벡션 모터(500)의 냉각을 위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팬(600)으로 축류팬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600)은 상기 제2모터 샤프트(5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600)은,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컨벡션 모터(5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는, 상기 컨벡션 팬(4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 상에서, 상기 컨벡션 팬(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에 의한 상기 컨벡션 팬(4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로는, 예를 들면, 바아 타입의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는, 빛 및 열을 발생시키는 필라멘트(711)(721), 상기 필라멘트(711)(721)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튜브(713)(723), 및 상기 필라멘트(711)(7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단자(715)(7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711)(721)는 상기 조리실(160) 및 컨벡션 챔버(301) 사이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빛 및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튜브(713)(723)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애자부(714)(724)는, 상기 튜브(713)(723)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715)(725)는, 상기 애자부(714)(724)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단자(715)(725)의 일단부는 상기 필라멘트(711)(721)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715)(725)의 타단부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일단부,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애자부(714)(72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히터 설치공(335)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 즉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애자부(714)(724) 중 나머지는 상기 제2히터 설치공(353)에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애자부(714)(724)의 단부는, 상기 애자부(714)(724)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차지게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애자부(714)(724)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공(335)(353)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D자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애자부(714)(724)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애자부(714)(724)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공(335)(353)에 삽입되고, 상기 애자부(714)(724)의 나머지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 및 히터 브라켓(350)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양단부, 즉 상기 애자부(714)(724)의 단부 사이의 길이(L1)는,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333)(351)의 내면 사이의 거리(D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711)(721)의 길이(L2)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 즉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330)(340)의 내면 사이의 거리(D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된다.(도 7 참조)
다시 말하면,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길이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좌우폭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출력은 상기 필라멘트(711)(721)의 길이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고,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필라멘트(711)(721)의 길이도 증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좌우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 공간을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303)(이하에서는 '흡입 영역'이라 칭함)과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305)(이하에서는 '배출 영역'이라 칭함)을 구획한다. 또한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와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를 고르게 순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일단이 상기 흡기구(121) 및 배기구(12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선단이 상기 배기구(123)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의 타단이, 상기 컨벡션 팬(400)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소정의 곡률로 밴딩되어 상기 배출 영역(305)의 유동단면적이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흡입 영역(303) 및 배출 영역(305)을 구획한다. 즉,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는, 상기 배출 영역(305)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컨벡션 팬(400)에서 상기 배기구(123)를 향하여 증가되도록,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를 구획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냉각팬(6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하는 공기를 안내한다. 즉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용 배기구(18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냉각팬(6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모터(50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백 커버(180)의 상부 및 상기 컨벡션 커버(300)의 상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어 상기 컨벡션 모터(500)의 냉각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냉각팬(600)의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평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일부를 수평부(821),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일부를 수직부(823)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일단, 즉 상기 수평부(821)의 일측단 및 상기 수직부(823)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모터 브라켓(53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821)의 전단은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백 플레이트(120)의 후면 및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의 내면(실질적으로 상기 수평부(821)의 저면 및 상기 수직부(823)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안내될 것이다.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는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서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향하여 상방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수평부(821)는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서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823)는 상기 모터 브라켓(530)에서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의 유동단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냉각용 흡기구(181)를 통하여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에어 가이드(820)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향하여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330)를 따라서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냉각용 배기구(18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에 인접하는 상기 백 커버(180) 및 컨벡션 커버(300)의 하부 사이의 공간을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간접적으로 냉각되거나, 상기 컨벡션 모터(500)를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일종의 에어 커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미스터 설치공(311)(321)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900)가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서미스터(900)는 상기 흡기구(121) 및 컨벡션 팬(40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미스터(900)는,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컨벡션 팬(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미스터(900)는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조리물의 조리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하여 각종 가열원이 동작된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상부 히터(200)의 히터열 등이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공급되어 조리물의 조리에 사용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 과정에서, 컨벡션 장치가 동작하면,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하여 조리실(160)의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121)를 통하여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컨벡션 팬(40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기구(12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및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에어 가이드(810)에 의하여 구획된다. 또한 상기 배기구(123)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에어 가이드(81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를 고르게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컨벡션 히터(710)(720)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60)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어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컨벡션 히터를 설치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컨벡션 히터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컨벡션 히터(710)(720)의 일단부, 즉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애자부(714)(724) 중 어느 히터 설치 개구(343)를 통과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삽입한다. 도면상으로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를 관통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가 도면상 우측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면,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애자부(714)(724)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제1사이드 커버(330)의 제1히터 설치공(335)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일단부가 각각 상기 제1히터 설치공(355)(3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의 테두리에 지지될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히터 설치 개구(343)를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로 돌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히터 브라켓(350)을 제2사이드 커버(340)의 외측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히터 브라켓(350)은,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 즉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애자부(714)(724) 중 나머지 하나는 제2히터 설치공(353)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대한 상대위치가 결정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 브라켓(350)은 별도의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히터 브라켓(350)이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되면,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양단부, 즉 상기 애자부(714)(724)는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양단부에 전원의 공급을 위한 와이어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1 및/또는 제2컨벡션 히터(710)(720)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제1 및/또는 제2컨벡션 히터(710)(720)를 분리한다. 즉,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분리하고, 상기 히터 브라켓(350)을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를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외부로 분리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컨벡션 히터(710)(720)를 교체나 수리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를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설치하는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를 상기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설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사이드 커버(340)에 2개의 히터 관통공(345)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 관통공(345)은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의 일부가 컨벡션 히터(710)(720)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히터 관통공(345)을 각각 관통하여 컨벡션 챔버(301)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일단부, 즉 애자부(714)(724) 중 어느 하나가 제1히터 설치공(335)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가 상기 히터 관통공(345)에 의하여 각각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가 각각 상기 히터 관통공(345)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히터 브라켓(350)을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벡션 히터(710)(720)의 타단부가 제2히터 설치공(353)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2사이드 커버(340)에 대한 상기 히터 브라켓(350)의 상대 위치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 히터가 컨벡션 히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반드시 상기 컨벡션 히터의 개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컨벡션 히터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컨벡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조리기기, 예를 들면, 전기 오븐이나 전기 오븐레인지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 및 히터 브라켓의 일부가 각각 상기 컨벡션 챔버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1사이드 커버 및 히터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일부만 상기 컨벡션 챔버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Claims (13)

  1.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컨벡션 챔버를 형성하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컨벡션 커버;
    상기 제1사이드 커버의 일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히터 설치부;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횡류팬인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모터;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적어도 1개의 컨벡션 히터; 및
    상기 제2사이드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사이드 커버에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히터 설치부를 구비하는 히터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 커버에는, 상기 컨벡션 히터가 통과하도록 상기 컨벡션 히터의 직경보다 큰 설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컨벡션 히터는, 상기 제2히터 설치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벡션 히터의 타단부가 상기 제1히터 설치부에 고정되어,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 설치부에는, 상기 컨벡션 히터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브라켓은, 적어도 상기 설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브라켓에는, 상기 컨벡션 히터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의 내면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의 내면 사이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히터는, 빛과 열을 발생시키는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가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와, 상기 필라멘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의 내면 사이의 거리(D2)는, 상기 필라멘트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컨벡션 챔버를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의 제1히터 설치공이 형성되는 제1히터 설치부를 구비하는 제1사이드 커버와, 상기 제1사이드 커버와 서로 마주보며, 히터 설치 개구가 형성되는 제2사이드 커버를 가지는 컨벡션 커버;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 팬;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 및 컨벡션 챔버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양단부에는 애자부가 구비되며, 기설정된 길이의 바아 타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컨벡션 히터; 및
    상기 히터 설치 개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사이드 커버에 고정되며, 적어도 1개의 제2히터 설치공이 형성되는 제2히터 설치부를 구비하는 히터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히터 설치부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의 일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히터 설치부는, 상기 제2사이드 커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브라켓의 일부가 상기 컨벡션 챔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컨벡션 히터의 애자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히터 브라켓의 제2히터 설치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브라켓이 상기 제2사이드 커버에 고정되면, 상기 컨벡션 히터의 애자부 중 나머지가 상기 컨벡션 커버의 제1히터 설치공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커버는,
    상기 컨벡션 챔버의 나머지 면을 형성하는 커버 본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의 내면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의 내면 사이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부의 단부 사이의 길이(L1)는,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의 내면 사이의 거리(D1)보다 길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히터는,
    필라멘트;
    상기 필라멘트가 그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애자부가 양단부에 위치되는 튜브; 및
    상기 애자부를 관통하여 상기 필라멘트에 연결되고, 상기 필라멘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단자;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의 내면 사이의 거리(D2)는, 상기 필라멘트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히터 설치부 사이의 거리 이상인 조리기기.
KR1020110000594A 2011-01-04 2011-01-04 조리기기 KR10174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94A KR101743297B1 (ko) 2011-01-04 2011-01-04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94A KR101743297B1 (ko) 2011-01-04 2011-01-04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59A KR20120079359A (ko) 2012-07-12
KR101743297B1 true KR101743297B1 (ko) 2017-06-02

Family

ID=4671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94A KR101743297B1 (ko) 2011-01-04 2011-01-0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2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513A (ja) * 2002-06-28 2004-01-29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513A (ja) * 2002-06-28 2004-01-29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59A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KR20080044965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KR20010060688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1743297B1 (ko) 조리기기
KR101743298B1 (ko) 컨벡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05029922A1 (en) Microwave oven
KR101728917B1 (ko) 조리기기
JP2013245872A (ja) 加熱装置
KR101207306B1 (ko)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1744976B1 (ko) 조리기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KR101727751B1 (ko) 조리기기
KR101760942B1 (ko) 조리기기
KR100789831B1 (ko) 전기 오븐
KR101738166B1 (ko) 조리기기
JP2010243116A (ja) 加熱調理器
CN110873341B (zh) 加热烹调器
KR100487348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KR101724156B1 (ko) 전기 오븐
KR101004518B1 (ko) 조리기기
KR200371494Y1 (ko) 석영관 히터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KR100377740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1751066B1 (ko) 컨벡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20037236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057092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