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166A -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 Google Patents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166A
KR20120033166A KR1020100094787A KR20100094787A KR20120033166A KR 20120033166 A KR20120033166 A KR 20120033166A KR 1020100094787 A KR1020100094787 A KR 1020100094787A KR 20100094787 A KR20100094787 A KR 20100094787A KR 20120033166 A KR20120033166 A KR 2012003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ren
articulation
word
picture
d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원
Original Assignee
이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원 filed Critical 이영원
Priority to KR102010009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166A/ko
Publication of KR2012003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9/0413Cuboid d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가)기술분야
본 발명은 언어치료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음장애아동의 조음훈련 방법과 치료도구에 관한 것이다.
나)해결하고자하는 과제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습득훈련을 위한 언어치료교구의 개발과 조음습득 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과제의 해결수단
1.조음장애아동용 언어치료교구
우리말 자음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ㅈ,ㅉ,ㅊ,ㅋ,ㅌ,ㅍ,ㅎ), 자음 어중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ㄱ,ㄲ,ㄴ,ㄷ,ㄸ,ㄹ,ㅁ,ㅂ, ㅃ,ㅅ,ㅆ,ㅈ,ㅉ,ㅊ,ㅋ,ㅌ,ㅍ,ㅎ), 우리말 자음 종성 7개( ㅂ,ㅁ,ㄷ,ㄴ,ㄹ,ㄱ,ㅇ)로 총 43개의 자음군이 들어가는 단어(명사)중 조음장애아동에게 훈련단어로 적합한 대표단어 6개씩을 산출한 후 각각의 음소별 '그림단어주사위(도면 1 참조)'를 제작하여 언어치료용 교구로 제작한다.
2.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조음습득훈련방법
그림단어주사위(총 43개 도면 1 참조)를 통해 우리말 자음군의 어떤 음소장애를 지닌 아동이 언어치료실을 내원 하더라도 각 음소에 해당하는 '그림단어주사위'놀이와 단어스티커 그림단어장에 붙이기를 이용해 아동이 지루하지 않고 쉽게 다양한 상황에서 음소 반복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라)효과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전문치료교구의 제작으로 언어치료실에서는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가정에서도 조음장애아동의 지속적인 훈련이 가능하며 특수아동 및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언어습득도구로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Speech therapy theaching aids for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본 발명은 언어치료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음장애아동의 조음훈련 방법과 도구에 관한 것으로 조음장애아동이 본 교구를 이용해 교사와 놀이를 통해 재미있고 쉽게 장애가 되는 음소를 훈련할 수 있도록 제작한 언어치료용 교구이다.
우리나라에 언어치료가 도입된 시기는 대략 20년이 넘었고 언어치료 대상자는 단순언어지체, 발달장애로 인한 언어장애, 뇌손상에 의한 신경성 언어장애, 마비말장애, 유창성 장애, 음성장애 등을 포함해 전체인구의 10% 정도로 추정한다. 이중 가장 우선 치료대상이 되어야할 대상은 7세를 전후해 취학을 앞둔 아동들이다. 이 시기는 모국어의 음소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로 만약 이시기에 정상적인 음소발달이 이뤄지지 않으면 이를 조음장애로 간주할 수 있다. 현재 취학 전 언어치료실을 내원해 치료받는 아동의 치료유형 중 조음장애가 차지하는 비중이 70~80% 에 이를 정도로 조음장애 아동의 문제는 심각하다.
이는 대략 두 세 가지의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고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인간 대 인간의 의사소통 기회가 줄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면서 모국어를 배워야할 시기에 어머니가 외국인인 아동들은 어머니에 의해 자연스레 배워지는 모국어가 어머니가 한국인이 아닌 이유로 인해 모국어를 배울 기회를 상실하기 때문에 조음발달 기회조차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또 지나친 외국어조기교육의 폐해로 우리말의 조음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외국어를 습득시키다 보니 우리말의 조음이 불완전하게 발음되거나 생략되어 취학시기에 또래들에게 웃음거리가 되거나 따돌림당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언어치료의 역사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짧고 언어치료사도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언어치료를 위한 전문 교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치료사 개개인의 수작업에 의존한 교구를 사용하거나 특수교육교구가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언어치료가 전문분야인 만큼 그에 따른 교재나 교구도 전문가에 의해 전문적인 제작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본다.
첫째 :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습득 훈련교구
현재 조음장애아동의 조음훈련교구는 규격화된 학습교구가 없고 각각의 언어치료실에서 치료사의 재량에 따라 수작업에 의한 낱말카드나 기존의 한글 교구를 부분적으로 활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전문적인 치료 교구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습득 훈련방법
조음장애 아동의 경우 음소습득훈련은 아동이 오조음하는 음소의 정확한 산출방법을 가르친 후 그 음소가 활용되는 여러 가지 단어를 반복해서 연습함으로써 정조음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취학 전 아동들의 경우 무의미한 단어 반복을 지속적으로 할 경우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기 쉽고 금방 지루해 하는 경향이 있어 지속적인 반복학습이 어렵다. 때문에 아동의 흥미를 유지하면서 놀이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교구가 필요하다.
1.조음장애아동의 음소습득훈련교구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습득을 위해 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목표 음소로 구성된 '그림단어주사위(도면 1-1,1-2,1-3 참조)'를 만들어 아동이 놀이를 통해 목표 음소의 반복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말 자음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도면 1-1 참조)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ㅈ,ㅉ,ㅊ,ㅋ,ㅌ,ㅍ,ㅎ)음소를 각각의 주사위에 이 음소가 들어있는 대표단어 6개를 산출해 그림으로 꾸며진 '그림단어주사위'를 만든다.
예) 'ㄱ'음소 : 가방,가재,가지,가위,감자,개미
'ㄲ'음소 : 까치,껍질,꿀벌,꽃병,꽁치,꼬리
'ㄴ'음소 : 나무,나비,냄비,네모,눈썹,낙지
'ㄷ'음소 : 다리,단지,달력, 담배, 도끼 ,두부........
우리말 자음 어중초성 18개(도면 1-2 참조)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ㅈ,ㅉ,ㅊ,ㅋ,ㅌ,ㅍ,ㅎ)음소를 각각의 주사위에 이 음소가 들어있는 대표단어 6개를 산출해 그림으로 꾸며진 '그림단어주사위'를 만든다.
예)'ㄱ'음소 : 아가,조개,농구, 모기, 장갑, 당근
'ㄲ'음소 :미끄럼틀 ,배꼽,조끼, 토끼,코끼리,도끼........
우리말 자음 종성 7개(도면 1-3 참조)
( ㅂ,ㅁ,ㄷ,ㄴ,ㄹ,ㄱ,ㅇ)음소를 각각의 주사위에 이 음소가 들어있는 대표단어 6개를 산출해 그림으로 꾸며진 '그림단어주사위'를 만든다.
예) 'ㄱ'종성음소 : 북,책, 혹, 달력, 수박, 주먹
'ㄴ'종성음소 : 눈, 산, 문, 손, 풍선, 안경........
위에 제시한 우리말 자음의 총 43가지 활용도를 바탕으로 조음장애아동이 오조음 할 수 있는 모든 자음군을 포함시켜 '정육면체 목각 그림 낱말주사위'로 제작한다.(도면 1-1,1-2,1-3 참조)
2.조음장애아동의 조음습득 훈련방법
첫째 : 치료사는 '그림단어주사위' 상자에서 아동이 보이는 특정 낱말의 오조음에 대해 훈련할 단어가 들어있는 낱말주사위와 그림단어장을 꺼내 차례를 정해 '그림 단어주사위'던지기를 하고 던져서 나온 그림단어의 명칭을 크게 말하게 한 후 그림과 똑같은 단어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보상으로 제공한다. 아동은 그림단어장에 스티커를 붙이면서 단어를 반복해서 말하게 하고 교사도 아동과 같은 방법으로 놀이에 동참하면서 아동에게 반복적인 음소훈련을 하게 유도한다. 그림단어장이 완성되면 아동에게 사전에 약속된 강화물을 준다.
(가정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조음장애아동의 훈련이 가능하다.)
둘째 : 만약 취학 전이라도 이미 문자해독이 가능한 아동이라면 글자단어카드(2-1 참조)와 실물그림카드(2-2)를 이용해 같은 음소가 들어가는 단어찾기나 그림찾기 놀이를 병행할 수 있고 상황에 따른 다양한 변형학습이 가능하다.
1. 조음장애아동에게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고 아동은 놀이를 통해 학습에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할 수 있다.
2. 언어치료사가 치료교구제작에 대한 고민과 수업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3. 언어치료 분야의 전문 교구 제작에 대한 관심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4. 어린이집, 유치원, 특수학교, 다문화가정 등에 언어교재로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다.
5. 교구를 이용해 조음장애아동이 가정에서도 조음훈련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음소에 대한 반복훈련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의 사시도"
1-1 : 그림단어주사위(우리말 자음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
1-2 : 그림단어주사위(우리말 자음 어중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
1-3 : 그림단어주사위(우리말 자음 종성 7개)
2-1 : 그림단어주사위의 개별 단어카드
2-2 : 그림단어주사위의 개별 실물그림카드
3-1 : 각 음소별 그림스티커
3-2 : 그림단어장
도면 1은 취학 전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용 교구상자의 전면도안이다.
교구상자는 원목나무 상자이며 도면 1의 그림1-1은 우리말 자음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에 대한 각각의 대표단어 6개씩을 산출해 아동이 조음훈련시 사용할 수 있도록 원목을 이용해 '그림단어주사위'로 만든다.
도면 1의 그림1-2는 우리말 자음 어중 초성에 오는 음소 18개에 대한 각각의 대표단어 6개씩을 산출해 아동이 조음훈련시 사용할 수 있도록 원목을 이용해 '그림단어주사위'로 만든다.
도면 1의 그림 1-3은 우리말 자음 종성 7개에 대한 각각의 대표단어 6개씩을 산출해 아동이 조음훈련시 사용할 수 있도록 원목을 이용해 '그림단어주사위'로 만든다.
도면 1의 그림 2-1은 그림1-1,1-2,1-3의 '그림단어주사위'에 사용된 낱말들을 이용해 단어카드를 만들어 '그림단어주사위'와 연계해 다양한 언어치료교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도면 1의 그림 2-2는 그림1-1,1-2,1-3의 '그림단어주사위'에 사용된 그림들을 이용해 그림단어카드를 만들어 '그림단어주사위'와 연계해 다양한 언어치료교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도면 1의 그림 3-1은 그림1-1,1-2,1-3의 '그림단어주사위'에 사용된 낱말들을 이용해 '그림단어스티커'를 제작해 조음장애 언어치료시 아동에게 그림단어주사위 놀이를 통해 음소훈련의 흥미를 더해줌과 동시에 지속적인 반복이 가능하도록 그림단어주사위에 있는 그림을 이용해 단어스티커를 제작해 강화물로 만든다.
도면 1의 그림 3-2는 단어스티커를 붙이는 그림단어장으로 아동이 그림단어주사위놀이를 통해 자신의 목표단어를 조음할 때마다 치료사는 반복한 단어를 확인하고 해당 그림스티커를 강화물로 붙여 줄 수 있게 그림단어장으로 만든다.

Claims (2)

  1.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2. 그림단어 주사위 언어치료교구
KR1020100094787A 2010-09-29 2010-09-29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KR20120033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87A KR20120033166A (ko) 2010-09-29 2010-09-29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87A KR20120033166A (ko) 2010-09-29 2010-09-29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66A true KR20120033166A (ko) 2012-04-06

Family

ID=4613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787A KR20120033166A (ko) 2010-09-29 2010-09-29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1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888A (ko) 2020-02-28 2021-09-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촉진 및 치료를 위한 장난감 조작장치
KR102526845B1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디브 스티커를 활용한 학습 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888A (ko) 2020-02-28 2021-09-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촉진 및 치료를 위한 장난감 조작장치
KR102526845B1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디브 스티커를 활용한 학습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li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slamic Perspective
KR20120033166A (ko) 조음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교구
Mamadayupova WAYS OF TEACHING FOREIGN LANGUAGES AT AN EARLY AGE
Meganathan Rhyming the rhyme: Rhymes and songs as inputs and instruments for familiarising children with the English language
Qodirova et al. Theory and methodology of speech growth
Shavkatovna METHODS OF TEACHING ENGLISH TO CHILDREN
Sherman Using the Six Syllable Types to Teach Word Attack Skills.
Yuldoshova et al. Theory and methodology of speech growth
Biswas A Study on Gandhiji’s Basic Education and its Relevance in the Modern Education
Erdoğan The effects of language games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knowledge of young learners
Ionescu TH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S VOCABULARY THROUGH THE DIDACTIC GAME
Erman Can the Lindamood-Bell LiPS reading program be used with a student who has autism and has trouble staying on task?
Wagner The experimental preschool group of Clarke School
Koshenova et al. Teaching English for young learners
Yunanti Improve Understanding of English by Using Music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khtiyorovna IMPORTANT ASPECTS OF TEACHING THE RUSSIAN LANGUAGE TO SCHOOL-AGE CHILDREN
Abdusamatova THE IMPORTANCE OF PHONETIC ASPECT IN TEACHING A FOREIGN LANGUAGE
Samadovna et al. Physiological features of learning english at preschool age
Gavrilović Smolić Early Language Learning and the Art of Movement
Johnson The Pre-Reading Program of the Chicago Public Schools
Story et al. Greek to Me
Matthews The Principles of Intellectual Education
Hart In the School-room: Chapters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Raymond Spelling Rules, Riddles and Remedies: Advice and activities to enhance spelling achievement for all
THAKKAR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COMMUNICATIVE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