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812A -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812A
KR20120032812A KR1020100094346A KR20100094346A KR20120032812A KR 20120032812 A KR20120032812 A KR 20120032812A KR 1020100094346 A KR1020100094346 A KR 1020100094346A KR 20100094346 A KR20100094346 A KR 20100094346A KR 20120032812 A KR20120032812 A KR 20120032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electric network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319B1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0009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3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단일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사용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접속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 (a) 상기 단일 전기망의 전체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전체 전력사용량의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전체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전력사용량의 증가/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체 전력사용량이 증가된 경우, 전력사용량의 증가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일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별 전력사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각 전자기기별 소모전력량과 전기요금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전기에너지 절약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A Monitoring Method For Electric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접속되거나 또는 접속해제된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각 전자기기별 전기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여러가지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따라 여러가지 전자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등급이 전자기기의 구매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었으며, 또한 가정 또는 회사 내에서 각종 전자기기의 전력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력사용 절감장치들 중 하나로서 각종 전자기기의 전력사용 여부와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사용량 측정장치의 경우 전자기기별로 전류센서를 구비하여 각 기기별로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었으나, 통상적으로 전자기기에 전류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가정 또는 회사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특정 콘센트에 전류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콘센트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해당 콘센트를 통해 소비되는 전력사용량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해당 콘센트에 어떠한 전자기기가 연결되는지 식별할 수 없고, 또한 해당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자기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자기기별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별 고유 소모전력량 정보를 이용하여 회사 또는 가정 내의 전기망에 접속하는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저장할 수 있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사용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접속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a) 상기 단일 전기망의 전체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전체 전력사용량의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전체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전력사용량의 증가/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체 전력사용량이 증가된 경우, 전력사용량의 증가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일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c) 단계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여 ID를 부여하고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c) 단계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내의 소모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목록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d) 상기 (c) 단계에서 식별된 전자기기와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망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별 전기사용량을 산출/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e)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체 전력사용량이 감소된 경우, 전력사용량의 감소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일 전기망에 접속 해제된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해당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f)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요청에 상응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전기망에 연결되어 전기망을 통하여 소모되는 전기 사용량을 센싱하여 출력하는 전기센서; 상기 전기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전기망에 전자기기의 접속/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기기 감지부; 상기 전기센서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망의 전체 전기사용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기 측정부; 상기 전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사용량의 변화량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식별된 전자기기별로 고유의 ID를 부여하는 기기 ID 부여부; 및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관련정보가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비교부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여 ID를 부여하고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은, 전자기기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기기정보를 입력받는 기기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전술한 비교부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내의 소모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목록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상기 기기 선택부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기기 선택부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은 식별된 전자기기와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망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별 전기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요청에 상응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방법 및 확인시스템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별 전력사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별로 연결되는 전자기기를 별도로 설정/저장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으며, 만일 콘센트별로 연결되어야할 전자기기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전자기기를 식별하여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전자기기별 소모전력량과 전기요금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전기에너지 절약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그래프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일반적인 경우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전기 콘센트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또한, 가정 또는 회사 내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컴퓨터, 프린터, 모니터, 텔레비젼 등)는 각 전자기기별로 고유의 소모전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전자기기별 고유 소모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가정 또는 회사 내의 전기망에 연결되어 전기망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각종 전자기기(110)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기기(110)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저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에는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가정 내 전기망에 연결되어 해당 전기망을 통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하게 구성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는 댁내 전기망을 통해 전력이 소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댁내 전기망을 통해 전력이 소모되는 경우 소모되는 전력량을 산출하여 저장된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산출된 소모전력량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식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기망의 전체 소모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전체 소모전력이 증가하는 경우 증가된 소모전력량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전기망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체 소모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감소된 소모전력량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전기망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기망에 접속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해당되는 전자기기가 전지망에 접속된 시간동안과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을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량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전자기기를 처음 접속되는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고, 신규 ID를 부여한 후 산출된 소모전력을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전력소모량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되어 관련정보가 저장된 후, 해당 전자기기가 다시 전기망에 접속되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이전 단계에서 저장된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소모전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출력된 전자기기 목록을 살핀 후 선택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미리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와 실제 기기가 소모하게 되는 소모전력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소모전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중 사용자가 연결된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기기의 기 저장된 소모전력정보가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 저장된 소모전력정보를 실제 산출된 소모전력정보로 갱신하여 해당 전자기기 관련정보를 정확하게 수정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기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구비된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입력하는 전자기기를 해당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로 저장하고,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의 전술한 바와 같은 신규기기 처리방식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하나의 방식이 채택될 수 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방식이 혼합되어 채택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고자 하는 경우 무조건 새롭게 측정된 소모전력이 있는 경우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고 새로운 ID만을 부여하는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와 전자기기 식별의 정확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경우 산출된 소모전력에 해당되는 전자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산출된 소모전력과 선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목록과 사용자가 전자기기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전자기기 목록 중 선택하는 전자기기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로 결정하여 관련정보를 저장한 후 전력소모량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저장된 전자기기별 전력사용량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저장된 전기요금 산출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월에 사용된 특정 전자기기의 전기요금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전자기기의 총 전력사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모니터링이 개시된 후 해당 전자기기의 총 전력사용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부(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게 되며, 사용자가 특정 전자기기의 해당 월 전기요금을 요청하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해당 월 전기요금 과금대상이 되는 기간의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전력사용량을 미리 설정된 전기요금 산출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해당 월 전기요금을 산출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기기별 전력사용량 정보를 통계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고, 통계처리된 정보(기기별 전력사용량 비교정보, 기기별 월평균 전력사용량 정보, 특정 기기의 월별 전력사용량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용도는 통계처리 알고리즘 자체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는 보다 바람직하게 전기센서(122), 기기 감지부(124), 전기 측정부(126), 데이터베이스(128), 비교부(130), 기기 선택부(132), 기기 ID 부여부(130), 저장부(136) 및 출력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센서(122)는 댁내 전기망에 연결되어 전기망을 통하여 소모되는 전기 사용량을 센싱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센서(122)는 전류계, 전압계, 전력계 중 필용에 따라 적절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센싱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기센서(122)는 댁내 전기사용량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전력원(100)에 최근접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기 감지부(124)는 전기센서(122)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전기망에 전자기기의 접속/분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그래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여 기기 감지부(12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도 2a의 '기기감지'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또는 전류량)이 서서히 상승하게 되며, 전자기기기 전기망에서 분리되는 경우 도 2a의 '기기감지'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사용량(또는 전류량)이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기기 감지부(124)는 전기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이 서서히 상승되는 경우 전자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력사용량이 서서히 감소되는 경우 전자기가 전기망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전기 측정부(126)는 전기센서(122)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망의 전체 전기사용량을 측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전술한 기기 감지부(124)와 전기 측정부(126)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된 전기망의 전체 전기사용량을 측정한 결과, 전체 전기사용량에 변화가 발생된 경우(기기 감지부(124)가 별도로 구성된 경우 기기 감지부(124)로부터 전자기기 연결정보 또는 분리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전기 측정부(126)는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된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하여 변화된 전기사용량을 산출하여 비교부(130)로 출력하게 된다.
비교부(130)는 전기 측정부(126)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사용량의 변화량과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된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연결/분리된 전자기기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28)에는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구조화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신규 전자기기로 식별된 전자기기에 대한 소모전력정보가 저장된다.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2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가 생산될 때 기본적으로 조사되어 저장된 일반적인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교부(130)는 산출된 전기사용량의 변화량에 해당되는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산출된 소모전력으로부터 오차범위 내에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목록과 사용자가 전자기기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출력부(13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기 선택부(132)를 통해 제공된 전자기기 목록 중 선택하는 전자기기 또는 직접 입력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128)에 선택된 또는 입력된 전자기기와 산출된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고 모니터링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되는 기기 선택부(132)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등 공지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 측정부(126)와 비교부(130)의 동작과정을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소모전력으로서 가W를 가지는 '가 기기'와 나W를 가지는 '나 기기'가 전기망에 시간차를 두어 연결되어 사용되던 중, '가 기기'가 전기망에서 분리되는 경우의 전력사용량의 변화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첫 기기감지 구간에서 전력사용량의 점진적인 증가가 감지되면, 전기 측정부(126)는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안정화된 후(기기감지 구간의 도과 후)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비교부(130)로 출력하여 전자기기 식별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2a에서 전체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이 0W인 상태에서 가W로 증가되었으므로, 전기 측정부는 변화량에 해당되는 가W를 비교부(130)로 출력하고, 비교부(130)는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와 가W를 비교하여 가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고 있는 '가 기기'를 전기망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식별하고 '가 기기'에 대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나 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되어 총 전력사용량이 '가+나'W가 되면, 전기 측정부(126)는 전체 전력사용량이 '가'W에서 '가+나'W로 증가하였으므로 변화량에 해당되는 나W를 비교부(130)로 출력하고, 비교부(130)는 데이터베이스(128)를 참조하여 나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는 '나 기기'를 전기망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식별하고 '나 기기'에 대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 더 시간이 경과되어, '가 기기'가 전기망으로부터 분리되어 총 전력사용량이 '나'W가 되면, 전기 측정부(126)는 전체 전력사용량이 '가+나'W에서 '나'W로 감소하였으므로 변화량에 해당되는 가W를 비교부(130)로 출력하고, 비교부(130)는 데이터베이스(128)를 참조하여 가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는 '가 기기'를 전기망으로부터 분리된 전자기기로 식별하고 '가 기기'에 대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을 종료하게 된다.
기기 ID 부여부(130)는 비교부(130)에서 식별된 전자기기별로 고유의 ID를 부여하게 되며, 이때 부여되는 기기별 I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 내에서 각종 정보를 저장/검색함에 있어 고유식별정보로서 이용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기준은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되므로 동일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경우 동일한 전자기기로 판단되어 동일한 ID가 부여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된 기기에는 이미 ID가 부여되어 관련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28)에 같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기 ID 부여부(130)는 새롭게 연결된 신규 전자기기에 대해서만 새로운 ID를 부여하고, 관련정보가 기저장된 전자기기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ID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기기 ID 부여부(130) 경우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며, 기기명 자체가 고유 식별정보로 이용되는 경우 기기 ID 부여부(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36)는 전기망의 전체 전기사용량 정보, 전자기기별 전기사용량 정보 등의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와 운영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출력부(138)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연결된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면서,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의 변화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2). 즉,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도 2a에 도시된 기기감지 구간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기감지 구간이 검출되는 경우 전자기기가 전기망에 새롭게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전력사용량이 변화하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은 전력사용량이 증가되는지 또는 감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이때,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은 기기감지구간와 과도기를 경과하여 전력사용량이 안정화된 시점에서의 변화량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력사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즉, 소모전력 증가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2, S314).
판단한 결과, 매칭되는 데이터, 즉 산출된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기망에 새롭게 연결된 전자기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기기로 식별하고 해당 전자기기에 부여된 ID를 할당한다(S316).
판단한 결과, 매칭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기망에 새롭게 연결된 전자기기를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한 후 산출된 소모전력을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신규 ID를 부여한다(S320).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신규 전자기기 식별/저장과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방식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별도의 선택/입력과정 없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소모전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무조건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한 범위의 오차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규 전자기기의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반하여 신규 전자기기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전기망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식별과정이 종료되면,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해당 전자기기의 전기소모량을 측정/저장하는 동시에 S300 단계로 되돌아 간다(S318).
한편, 전술한 S304 단계에서 전력사용량이 감소된 경우,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감소된 소모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모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전기망에서 분리된 전자기기를 식별한다(S306, S308). 이때, 전기망에 연결되는 모든 전자기기는 연결단계에서 식별되므로,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이상 감소된 소모전력량에 매칭되는 전자기기가 필연적으로 존재해야할 것이다. 다만, 거의 동시에 복수의 전자기기가 전기망에서 분리되는 경우 등 예외적인 경우에 있어 산출된 감소 소모전력량에 매칭되는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전술한 신규 전자기기 식별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수행하여 전기망에서 분리되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매칭되는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저장되어 있는 전자기기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전자기기를 전기망에서 분리되는 전자기기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망에서 분리된 전자기기가 식별되면,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종료하고 S300 단계로 되돌아 간다(S310).
이러한 과정을 도 2a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가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의 변화여부를 검출하는 중, 도 2a에 도시된 첫 기기감지 구간에서 전력사용량의 점진적인 증가가 감지되면,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기망에 전자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연결된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안정화된 후(기기감지 구간의 도과 후)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를 식별한다. 도 2a에서 전체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이 0W인 상태에서 가W로 증가되었으므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가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는 전자기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검색한 결과 '가 기기'가 가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가 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가 기기'의 전력소모량을 측정/저장한다. '가 기기'의 전력소모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가 기기'의 단위시간당 소모전력은 일정하므로 '가 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되어 있던 시간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가 기기'의 총 소모전력량을 측정/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가 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된 후 지속적으로 전기망의 전력사용량의 변화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사용자가 '나 기기'를 전기망에 연결하면, 전기망의 총 전력사용량이 '가+나'W가 되고 그에 따라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또 다른 전자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증가된 전력사용량을 산출한다. 이때, 증가된 전력사용량은 나W이므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나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는 전자기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검색한 결과 '나 기기'가 나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나 기기'가 전기망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나 기기'의 전력소모량을 측정/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가 기기'의 사용을 중지하면, 전기망의 총 전력사용량이 '나'W가 되고,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고 연결되었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가 전기망에서 분리되었음을 알게 된다. 전력사용량의 감소량이 가W이므로,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120)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가W를 소모전력으로 가지는 '가 기기'를 전기망으로부터 분리된 전자기기로 식별하고 '가 기기'에 대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을 종료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전원 110 : 전자기기
120 : 전자기기 모니터링 장치 122 : 전기센서
124 : 기기 감지부 126 : 전기 측정부
128 : 데이터베이스 130 : 비교부
132 : 기기 선택부 134 : 기기 ID 부여부
136 : 저장부 138 : 출력부

Claims (11)

  1. 단일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사용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접속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a) 상기 단일 전기망의 전체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전체 전력사용량의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전체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전력사용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전력사용량의 증가/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체 전력사용량이 증가된 경우, 전력사용량의 증가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일 전기망에 접속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여 ID를 부여하고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내의 소모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목록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d) 상기 (c) 단계에서 식별된 전자기기와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망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별 전기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e) 상기 (b)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체 전력사용량이 감소된 경우, 전력사용량의 감소량과 저장된 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일 전기망에 접속 해제된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해당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은,
    (f)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요청에 상응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8. 댁내 전기망에 연결되어 전기망을 통하여 소모되는 전기 사용량을 센싱하여 출력하는 전기센서;
    상기 전기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전기망에 전자기기의 접속/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기기 감지부;
    상기 전기센서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망의 전체 전기사용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기 측정부;
    상기 전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사용량의 변화량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된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식별된 전자기기별로 고유의 ID를 부여하는 기기 ID 부여부; 및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관련정보가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전자기기로 판단하여 ID를 부여하고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은,
    전자기기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기기정보를 입력받는 기기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에 해당되는 기기별 소모전력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내의 소모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목록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상기 기기 선택부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기기 선택부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전자기기를 산출된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을 소모전력으로 갖는 전자기기로 결정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은 식별된 전자기기와 전자기기별 소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망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별 전기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요청에 상응되는 전자기기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KR1020100094346A 2010-09-29 2010-09-29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KR10114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46A KR101145319B1 (ko) 2010-09-29 2010-09-29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46A KR101145319B1 (ko) 2010-09-29 2010-09-29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812A true KR20120032812A (ko) 2012-04-06
KR101145319B1 KR101145319B1 (ko) 2012-05-14

Family

ID=4613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346A KR101145319B1 (ko) 2010-09-29 2010-09-29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550A (ko) * 2014-02-28 201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제어 시스템, 이에 포함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방법
KR20190002171A (ko) * 2017-06-29 2019-01-08 (주)큐센텍 전기장치의 개별 소비전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학습 방법
WO2020009293A1 (ko) * 2018-07-06 2020-01-09 한국전력공사 스케줄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531A (ko) * 2022-01-28 2023-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116A (ja) 2003-03-05 2004-09-30 Toshiba Corp 使用電力量一括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KR100629559B1 (ko) * 2004-11-02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용 전력 사용량 관리 장치
JP4601631B2 (ja) * 2006-10-23 2010-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550A (ko) * 2014-02-28 201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제어 시스템, 이에 포함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방법
KR20190002171A (ko) * 2017-06-29 2019-01-08 (주)큐센텍 전기장치의 개별 소비전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학습 방법
WO2020009293A1 (ko) * 2018-07-06 2020-01-09 한국전력공사 스케줄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319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801B2 (en) Analytical gateway device for measurement devices
US9176192B2 (en) Identifying the operation of a specified type of appliance
KR101666226B1 (ko) 전력량 검출장치
TWI491136B (zh) 電器負載監測方法與系統
KR20130056150A (ko)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전기기구 탐지 방법과 시스템
KR101145319B1 (ko)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JP5914640B2 (ja) 機器識別装置および機器識別装置の登録方法
JP6395083B2 (ja) 電力使用状況推定装置、プログラム
JP2013009500A (ja) 電力管理装置
KR20120068328A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US201601094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ng electricity consumption
US20130110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power
KR20130115021A (ko) 전자 기기 관리 방법 및 장치
JP5455231B2 (ja) 電気機器判別装置、電気機器判別方法および電気機器判別プログラム
JP2010181159A (ja) 電力測定装置
KR20110009338A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JP5039580B2 (ja) 電力計測装置
KR101970186B1 (ko) 전력 사용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방법
JP2015102526A (ja) 電力推定装置及び電力推定方法
JP6331909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Temneanu et al. Hardware and software architecture of a smart meter based on electrical signature analysis
KR20200100311A (ko) 전기차 충전소 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WO2015182217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機器、サーバ、監視機器の動作方法、サーバ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872915A (zh) 判定方法和判定装置
KR101313182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