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182B1 -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82B1
KR101313182B1 KR1020120056317A KR20120056317A KR101313182B1 KR 101313182 B1 KR101313182 B1 KR 101313182B1 KR 1020120056317 A KR1020120056317 A KR 1020120056317A KR 20120056317 A KR20120056317 A KR 20120056317A KR 101313182 B1 KR101313182 B1 KR 10131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pattern
electronic devices
consumption pattern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원
박근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48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 G01R11/50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for measuring re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 전력선에서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들의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주 전력선에 연결되고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전력사용량을 실측하는 검출부,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고, 실제소비전력패턴과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POWER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 전력선에서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들의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별적인 기기의 전력량의 절대치를 적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등에게 총소비전력 사용량을 알려준다. 그런데 사용한 전력량에 대한 요금은 누진수가가 적용이 되어 많이 사용할수록 더 많은 요금이 부과된다. 또, 요금 부과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어느 일정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요금이 급격히 증가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사용량을 미리 조절하여 이러한 전력량 사용요금 체계에 대응하여 전력요금을 절감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즉, 총소비전력 사용량에서 비 정상적인 전력 소비만을 감시하여 전력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이나, 또는 각 기기별로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하여 전력 사용을 개별 기기 단위로 제어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력 사용 제어를 위한 종래의 전력 감시 방법들은 시스템의 구현 비용의 측면과 개별적인 소비 전력 및 총소비전력의 분석의 정확도 및 편의성 측면에서 모두 만족할만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6-0022425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07-0084789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별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과 전체 사용량의 소비 전력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분석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의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의 면에서 경제적이어서 소비 전력 감시 시스템의 대중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 전력선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전력사용량을 실측하는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총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실제소비전력패턴과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패턴과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을 합산하여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패턴 및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 중 서로 겹치지 않는 차이점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에 상기 차이점패턴을 합산하여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실측된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등록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 각각의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이 전자기기 각각의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여 전력을 소비한 해당기기에 대한 위험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 소비 전력을 실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총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대한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제소비전력 패턴과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실측된 총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 인입되는 주 전력선에 연결된 개별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과 이들 기기들에 대한 전체 사용량의 소비 전력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정확하고 간편하게 객관적인 지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댁내 전력 사용을 조절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소비 전력 감시 시스템의 대중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서 이용되는 개별 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예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분석되는 총전력사용량을 예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총전력사용량으로부터 개별 기기의 소비 전력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서 이용되는 개별 기기의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예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외부 전력은 주 전력선(100)을 통해서 인입되어 각각의 개별 전력선(101 내지 104)으로 분기되어 전달된다. 그래서 외부 전력은 각각의 전자기기(D1 내지 D4)로 전달되어 소비된다. 여기서 전자기기(D1 내지 D4)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기로 구동되는 모든 전력 소비 기기(예를 들어 텔레비전, 냉장고, 사무기기, 자동화 기기 등)가 전자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10)는 주 전력선(100)에 연결되어 전자기기(D1 내지 D4)의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한다. 도 1의 소비 전력 감시 장치(10)는 검출부(11), 제어부(12),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입력부(16)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경고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출부(11)는 주 전력선(100)에 직접 연결되어 주 전력선(100)을 통해 공급받는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소비 전력은 주 전력선(10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도 1에 의하면 전자기기 D1 내지 D4)가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소비하는 총전력사용량을 의미한다.
검출부(11)는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부(11)에 의해 측정되는 총전력사용량(즉, 주 전력선(100)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D1 내지 D4)가 소비하는 총전력 사용량)은 단위 시간 간격으로 검출되어 감시될 수 있다. 또한 총전력사용량은 시간 간격 없이 연속적으로 감시될 수도 있다. 검출된 총전력사용량은 일별, 월별, 연도별로 기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총전력사용량으로부터 일별, 월별, 연도별의 목표 사용량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즉,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개별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준 시간 동안의 소비전력사용량)과 총전력사용량은 동일한 기준의 시간 동안 측정된 정보가 이용된다. 즉,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기별 전력 사용 패턴과 대비될 수 있도록 총전력사용량 중 전력 사용 패턴과 동일한 기준의 시간 동안 측정된 총전력사용량 정보가 이용된다.
또한, 검출부(11)에 의해 측정되는 총전력사용량은 개별 전자기기의 소비 전력 감시를 위한 분석 과정을 거치기 위해 제어부(12)에 전달된다.
제어부(12)는 검출부(11)에 연결되고, 또한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입력부(16) 등의 각 구성부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2)는 검출부(11)로부터 전달된 총전력사용량을 기반으로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이용하여 전자기기(D1 내지 D4) 각각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분리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기준 시간 동안의 각 기기별 전력의 소비 패턴으로서, 입력부(16)을 통해 입력되거나, 제어부(12)에 미리 저장되거나, 저장부(13)에 미리 저장되고 제어부(12)가 필요한 경우 독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 중에서,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과 총전력사용량 정보를 대비하여,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산출된 개별 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이 해당 기기의 기준 소비전력사용량(경고 제한치)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사용한 해당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3)는 제어부(12)와 연결되고 제어부(12)를 통해 취득되거나 분석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한편으로는 제어부(12)가 저장부(13)로부터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저장부(13)는 제어부(12)에 연결되어 구성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형태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부(13)는 입력부(16)에 직접 연결되고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가 직접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저장부(13)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 외부의 다른 장치에 구성되고, 후술하는 통신부(14)를 통하여 제어부(12)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신부(14)는 제어부(12)와 연결되고 제어부(12)에서 생성된 신호들을 외부 기기에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제어부(12)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14)는 외부 전자기기에 대한 신호 전달을 매개하도록 구성되지만, 내부 구성간 신호 전달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5)는 제어부(12)에 연결되어, 입력부(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 제어부(12)에서 처리하는 정보 및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또는 경고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영상 또는 문자를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부(15)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총전력사용량,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 상기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 상기 제어부(12)가 산출한 개별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는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소비 전력의 기 설정된 기준 소비전력사용량, 즉 전력 사용 제한치를 초과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경고의 표시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표시 방법은 연결될 다수의 전자기기 중 기준 소비전력사용량(경고 제한치)을 초과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등이 점멸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경고 알림부(도면 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표시부(15)의 경고 표시와 함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입력부(16)는 제어부(12)에 연결되고, 주 전력선(100)에 연결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이 입력될 수 있다.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입력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각 전자기기의 등록 정보가 입력되고, 각 전자기기별로 전력 사용 패턴 정보가 수동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기기의 기능별, 용량별, 사용 시간대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각 기기의 실제 사용을 통해 실측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이로부터 전력의 소비 패턴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기 확보된 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부(16)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2)가 각 기기별로 소비 전력을 실측하여 해당 기기별 소비전력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는 주 전력선(100)에 연결된 개별 전자기기의 전원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를 직접 감지하거나, 공지된 수단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전자기기가 동일하게 사용되는 상황에서 특정 전자기기가 턴온/턴오프 되는 경우에, 제어부(12)는 검출부(11)로부터 수신되는 총전력사용량의 차이로, 특정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는 설정에 따라서, 저장부(13)에 저장된 해당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업데이트 하거나, 추후 표시부(15)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 정보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에 대해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각 전자기기별 소비 전력의 절감을 위해 바람직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는 입력부(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경고 제한치)으로 설정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12) 또는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제어부(12)는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 및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을 포함한다.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저장부(13)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각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한다.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 등록된 전자기기 중 주 전력선에 현재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패턴을 선택적으로 추출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저장부(13)에 저장된 해당 전자기기별 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측되어 업데이트된 전자기기별 소비전력패턴에 대해서, 입력부(16)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전자기기별 소비전력패턴은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 전달된다.
또한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그 조합에 따른 총합 패턴을 추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이 조합된 다양한 총합 패턴 역시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 패턴은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서, 검출부(11)로부터 수신되는 총전력사용량과 대비되어 추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2)를 구성하는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은 검출부(11)로부터 총 사용 전력량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총 소비전력 사용량으로부터 상기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에서 전달된 전자기기별 소비전력패턴 또는 주 전력선과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 패턴의 총합 패턴을 이용하여 실제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한다. 그런 다음,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은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이용하여 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한다. 구체적인 전자기기별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는 방법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전자기기 각각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한 후 해당 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은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 정보는 절전을 위한 경고 제한치(기준 소비전력사용량)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 전달될 수도 있다.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이 산출되어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 전달되면,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은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 제한치(기준 소비전력사용량)에 초과되었는지 비교, 판단한다. 만일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 제한치(기준 소비전력사용량)에 초과되어 전력을 소비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인 위험기기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은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 및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 연결된다.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는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서 산출한 전자기기의 개별 소비 전력량 정보를 전달받고,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서 생성된 위험기기 정보를 전달받는다.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는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한 개별 소비전력사용량 정보를 취합하고 분류하여 저장부(13)에 전달한다. 또한 경고 제한치(기준 소비전력사용량)를 초과하는 전력 소비를 한 것으로 판단되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인 위험기기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자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한다.
경고 신호는 통신부(14)를 경유하여 상기 경고 신호를 외부의 지정된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신호가 표시부(15)에 전달되어, 표시부(15)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이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은 취득된 개별 소비전력사용량 정보, 전력 사용의 경고가 필요한 해당 전자기기의 정보, 및 전력 사용 제한치를 초과한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5)에 정보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2)의 각 구성과 배치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이러한 실시예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어부(12)에 연결된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등은 반드시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2)의 다양한 구성에 연결되어 해당 정보들을 즉각적으로 저장하거나, 전달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서 이용되는 개별 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크게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동작 시간(OPT)과 휴지하는 대기 시간(SBT) 각각의 전력 사용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이 반복되어 전자기기의 동작 주기(OPC)를 구성한다.
동작 시간(OPT)에 소비되는 전력이 동작 전력(OPP)이고, 대기 시간(SBT)에 소비되는 전력이 대기 전력(SBP)이다. 만일 해당 전자기기가 휴지되면서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대기하였다가 필요한 때 전원이 공급되는 소비 형태를 가진다면 대기 전력(SBP)는 0가 된다.
전자기기의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 동작 전력(OPP)과 대기 전력(SBP), 및 동작 주기(OPC)가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총전력사용량에 대입하여 실제 사용된 전자기기들을 추출할 수 있는 전력 패턴의 비교 인자가 된다.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이 작성되는 전체 시간을 패턴 주기로 정할 수 있는데, 상기 패턴 주기를 1일, 1주일, 1개월, 또는 1년 등의 기간으로 필요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일을 주기로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패턴 주기를 기준으로 각 단위 시간별로 구한 평균 전력 사용량을 표로 표시한 것이지만, 표시 형태는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턴 주기를 결정하여 단위 시간별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구하면 도 3과 같은 형태로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의 동작 주기(OPC)를 반복하는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3의 소비전력패턴은 일례일 뿐이고, 전자기기의 사용 기능과 시간에 따라 다양한 패턴이 얻어지며, 일정한 동작 주기(OPC)를 반복하는 패턴이 아닐 수도 있다.
소비 전력의 사용 패턴을 구하는 기본 단위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시간마다 측정되는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도 4에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일별 전력 사용량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전자기기들의 기초전력사용패턴의 패턴 주기는 1일이며, 패턴을 구한 단위시간은 1시간을 기준한 것이다.
또한 도 4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가정에 공급되는 주 전력선과 연결된 가정용 전자기기들의 패턴을 상정한 것이다. 전자기기들 중에서 A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대기 시간에 사용되는 대기 전력량이 다른 전자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간헐적으로 집중적으로 구동되는 동작 시간의 사용 전력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형태이다. A기기의 예를 들면, 다른 전자제품에 비해 대기 시간의 대기 전력 사용량이 높은 냉장고를 들 수 있다.
B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1일 동안 낮은 소비 전력을 사용하면서 대기하고 있지만, 오전에 단시간 동안 급격하게 전력을 사용하는 전력 소비 패턴을 가진다. B기기에는 가정에서 주부들이 오전에 집안 일을 할 때 사용하는 세탁기, 청소기 등의 전자기기들이 해당될 수 있다.
C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대기 전력이 0이고, 필요한 때에만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형태이다. 아침, 점심, 및 저녁에 한 번씩 구동되는 전력 사용 패턴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C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주로 식사시간에 사용되는 주방용 전자기기들이 C기기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D기기는 C기기와 마찬가지로 대기 전력이 0이고, 필요한 때에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전력을 소비하는데, 주로 오후나 저녁 때에 상당히 장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많은 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패턴을 가진 전자기기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컴퓨터, 에어컨과 같은 전자기기들의 전력 소비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주 전력선에 연결된 개별 전자기기 각각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사용자가 총전력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구하거나, 혹은 개별 전자기기의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계로부터 실시간 자동적으로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여 구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추출된 전자기기 각각의 소비전력패턴은 도 1의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되어 본 발명의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이용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분석되는 총전력사용량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5와 같은 총전력사용량(총소비전력)은 주 전력선에 연결된 도 1의 검출부(11)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적용하려면, 상기 검출되는 총전력사용량은 기 취득된 전자기기 각각의 소비전력패턴의 패턴 주기와 동일한 시간 동안 사용된 전력량이어야 한다. 또한 총전력사용량을 검출하는 단위시간 역시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측정 단위 시간과 동일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4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전력패턴의 패턴 주기가 1일이고 측정 단위 시간은 1시간을 기준하였을 경우, 도 5에서 측정되는 주 전력선의 총전력사용량은 1일 동안, 1시간 단위로 측정된 전력량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분석되는 총전력사용량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5와 같은 형태로 1일 동안에 총전력사용량이 검출되어 검출부(11)를 통해 제어부(12)에 전달되면, 제어부(12)에서는 도 4와 같이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별 소비 전력량을 산출한다.
기기별 소비 전력량의 산출 과정은 도 6에서와 같이 총전력사용량 그래프로부터 개별 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도입하여 분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총전력사용량으로부터 개별 기기의 소비 전력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총전력사용량의 그래프를 검출부(11)로부터 취득하면,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 기기들의 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총합 패턴을 대입하여 총전력사용량의 그래프 패턴의 형태와 일치하는 총합 패턴을 추출한다. 그러면 해당 총합 패턴을 나타내는 전자기기의 조합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총전력사용량은 해당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검출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총전력사용량 그래프와 전자기기 조합의 총합 패턴을 대비하면, 소정의 전자기기에서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총합 패턴에 비해 총전력사용량의 높이에 있어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총전력사용량의 그래프는 전자기기의 패턴 조합을 반영한 것이므로 전체 형태가 일치하게 되어 그로부터 해당 전자기기의 패턴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총전력사용량의 그래프에 전자기기의 조합에 따른 총합 패턴을 대비할 때 비교 인자들은 패턴 주기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 동작 전력(OPP)과 대기 전력(SBP), 및 동작 주기(OPC)이 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총소비전력의 그래프가 도 5의 경우와 같이 도출되고, 이에 형태가 일치하는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대입한 것으로서, 전자기기 A, B, C, D의 소비전력패턴이 종합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총소비전력 그래프에 형태가 일치하는 총합 패턴으로부터 전자기기의 조합을 추출한 후 각 전자기기의 초과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여 구체적인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산출한다.
도 6에서 정상적인 전력의 소비일 경우 총소비전력은 각 전자기기 A, B, C, D의 소비 패턴을 조합한 총합 패턴의 그래프 내에 속하는 범주에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 A, B, C, D 중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할 경우 해당 총전력사용량 그래프는 해당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총합 패턴 중 전력 소비가 증가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패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증가할 것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해당 전자기기의 증가된 소비 전력량을 구체적으로 산출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1 기간에서의 총전력사용량(총소비전력)은 전자기기 A와 전자기기 B의 해당 시간에 대한 소비 전력량을 합한 것이다.
정상적인 전력의 소비인 경우, 실제 총전력사용량은 전자기기 A의 소비전력패턴의 전력량(PPa)과 전자기기 B의 소비전력패턴의 전력량(PPb)을 더한 값 PP1 이하의 범위 내에 속한다.
그러나, 총전력사용량 그래프 중 P1 기간 이외의 다른 기간 동안의 총전력사용량은 정상 그래프 내에 속하나, P1 기간에서 총전력사용량이 PPx으로 증가하였다면, 이는 전자기기 B의 소비 전력량이 상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전자기기 A의 소비 전력이 상승하였다면 다른 기간에서도 총전력사용량이 상승되었을 것이지만, P1 기간에만 소비 전력량이 상승한 것은 전자기기 B의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P1 기간에서의 총전력사용량의 증가분(PPx-PP1)을 전자기기 B의 소비 전력량 증가분으로 판단하여 전자기기 B의 실제소비전력량(PPb+(PPx-PP1))이 산출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전자기기 B의 실제소비전력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전력 사용 제한치)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기기 B에 대한 전력 사용의 경고를 알릴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의 전력량 분석의 예로서, P2 기간의 총전력사용량은 전자기기 A와 전자기기 D의 패턴에 기록된 전력량의 합이다. P2 기간 동안의 총전력사용량만 증가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의 총전력사용량은 정상 범위 내인 경우, P2 기간의 증가된 소비 전력량은 전자기기 D가 사용한 전력량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2 기간의 증가된 소비 전력량과 전자기기 D의 패턴에 기록된 전력량을 합하면 실제 전자기기 D의 소비 전력량을 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능별로 더 세분화 되거나 반대로 통합되어 다양한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체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를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자기기별로 기초소비전력 패턴이 취득된다(S1).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전자기기별로 실측된 소비 전력을 바탕으로 얻어진다. 전자기기의 제조 단계에서 또는 별도의 과정에서 전력량 검출계를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소비 전력이 검출된 후 이를 바탕으로 각 전자기기별로 기초소비전력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 전달되어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S2). 기초소비전력패턴은 하나의 전자기기라 하더라도 용량, 측정 시기, 측정 기간 등의 기준별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주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는 총전력사용량을 측정한다(S3). 이때 측정되는 총전력사용량은 주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각 전자기기들의 사용 전력의 총합이다.
다음으로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S3 단계에서 실측된 상기 총전력사용량으로부터 기기별 소비전력패턴의 각종 조합에 따른 총합 패턴을 대입하여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실제 전력을 사용한 전자기기의 조합을 추출해낸다(S4).
이어서,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실제 사용된 전자기기들의 조합을 추출한 후, 전자기기 각각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한다(S5). 여기서, 기기별 소비전력패턴의 각 단위시간당 전력 사용량의 총합에서 오차 범위를 벗어난 전력 소비인 경우, 해당 기간에 전력을 소비한 전자기기들의 다른 기간 동안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실제로 과다하게 전력을 소비한 전자기기를 검출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을 계산해낸다.
다음 단계에서 해당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이 경고 제한치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고(S6), 경고 제한치를 초과한 경우라면 해당 전자기기인 위험기기 정보를 생성하고, 위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의 초과 사용에 대하여 경고한다(S7). 경고의 알림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하거나, 해당 전자기기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거나, 혹은 경고 알림의 부저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만일 경고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전력 감시 과정을 종료한다. 이러한 전력 감시 과정은 일회성에 제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감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정에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이 경고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감시 과정을 종료하지 않고 S3 단계로 돌아가서 주 전력선의 총소비전력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즉,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서는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따라 주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전력사용량을 실측하고, 실측된 총전력사용량과 기저장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이용하여, 총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고,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산출된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변경하고, 변경된 기초소비전력패턴(기입력되어 저장된 '기초소비전력패턴'과의 구별을 위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이라 칭함)을 이용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생성하며,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서 이용되는 개별 기기의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8에는 3개의 그래프가 예시되어 있고, 상단에 예시된 그래프는 도 4에 예시된 A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에 대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8의 중단에 예시된 그래프는 A기기에 대한 실제소비전력패턴에 대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8의 하단에 예시된 그래프는 A기기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에 대한 그래프이다.
A기기에 대한 실제소비전력패턴(820)에 대한 그래프(도 8의 중단)를 참조하면, 기초소비전력패턴(810)에 비하여 실제 사용되는 시간이 조금 뒤로 미뤄진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A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810)에 따르면 A기기가 동작되는 하나의 동작 시간(OPT) 이 오전 6시부터 오전 7시까지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A기기에 대한 실제소비전력패턴(820)에 따르면 A기기가 동작되는 실제 시간이 오전 6시 10분부터 오전 7시 10분까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A기기가 실제 사용되는 시간만 변경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A기기가 실제 사용하는 전력량이 변경되거나 전력량 및 시간 모두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실제소비전력패턴(820)은 제어부(12)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2)는 도 6에서 예시된 방법에 따라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실제소비전력패턴(82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생성된 실제소비전력패턴(820)과 기초소비전력패턴(810)을 조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실제소비전력패턴(820)과 기초소비전력패턴(810)을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합산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실제소비전력패턴(820) 중 기초소비전력패턴(810)과 겹치지 않는 부분(이하, '차이점패턴'이라 칭함)(840)을 추출하고, 기초소비전력패턴(810)에 차이점패턴(840)을 합산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제어부(12)는 A기기가 실제로 동작한 시간 중 오전 7시 정각부터 오전 7시 10분까지의 시간을 차이점패턴에 상응하는 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차이점패턴에 상응하는 시간 중 A기기가 실제로 사용한 전력량에 상응하는 값을 이용하여 차이점패턴을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2)는 검출된 차이점패턴을 기초소비전력패턴에 합산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을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12)에 의하여 생성된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의 각 동작시간(OPT)은 1시간 10분에 상응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2)는 각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810) 대신에)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을 이용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생성하고,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의 조합 중 실측된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추출된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어부(12)는 기초소비전력패턴(810) 대신 변경소비전력패턴(830)을 이용하여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실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하고,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단계 S5와 S6 사이에 수행되는 단계들이거나, 단계 S7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8에서, 전자기기별 실제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한다. 이는 도 7의 단계 S5에서 산출된 기기별 실제 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9에서, 기저장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과 실제소비전력패턴을 비교한다.
단계 S10에서, 기초소비전력패턴과 실제소비전력패턴이 상이하면. 실제소비전력패턴 및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조합하여 기기별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여 저장한다(단계 S11). 즉,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실제소비전력패턴과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이한 부분을 검출하여 차이점패턴을 추출하고, 기초소비전력패턴에 차이점패턴을 합산하여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별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추출하고, 도 7의 단계 S6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기기별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측된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고,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산출된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기준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소비 전력 감시 장치 11: 검출부
12: 제어부 13: 저장부
14: 통신부 15: 표시부
16: 입력부 100: 주 전력선
101,102,103,104: 전자기기
120: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 121: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
122: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 123: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

Claims (7)

  1. 주 전력선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전력사용량을 실측하는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실제소비전력패턴과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패턴과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을 합산하여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패턴 및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 중 서로 겹치지 않는 차이점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에 상기 차이점패턴을 합산하여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실측된 총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등록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 각각의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이 전자기기 각각의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을 초과하여 전력을 소비한 해당기기에 대한 위험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7.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 소비 전력을 실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총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대한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실제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제소비전력 패턴과 상기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경소비전력패턴의 조합 중 상기 실측된 총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변경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비 전력 감시 방법.
KR1020120056317A 2012-05-25 2012-05-25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10131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317A KR101313182B1 (ko) 2012-05-25 2012-05-25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317A KR101313182B1 (ko) 2012-05-25 2012-05-25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182B1 true KR101313182B1 (ko) 2013-09-30

Family

ID=4945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317A KR101313182B1 (ko) 2012-05-25 2012-05-25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293A1 (ko) * 2018-07-06 2020-01-09 한국전력공사 스케줄 생성 장치 및 방법
EP4006493A1 (en) * 2020-11-30 2022-06-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sumer mobile application for three way commun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7A (ko) * 2006-03-09 2007-09-13 현대통신 주식회사 전력 감시 시스템
KR20100130099A (ko) * 2009-06-02 2010-12-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2514A (ko) * 2009-08-27 2011-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미터에서의 전력 소비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1286B1 (ko) 2011-10-21 2012-05-04 (주) 에코센스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를 통한 개별 전력 소비처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7A (ko) * 2006-03-09 2007-09-13 현대통신 주식회사 전력 감시 시스템
KR20100130099A (ko) * 2009-06-02 2010-12-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2514A (ko) * 2009-08-27 2011-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미터에서의 전력 소비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1286B1 (ko) 2011-10-21 2012-05-04 (주) 에코센스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를 통한 개별 전력 소비처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293A1 (ko) * 2018-07-06 2020-01-09 한국전력공사 스케줄 생성 장치 및 방법
EP4006493A1 (en) * 2020-11-30 2022-06-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sumer mobile application for three way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406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EP2740114B1 (en) Multiple and interchangeable meter reading probes
US9354271B2 (en) Multi-node electrical power monitoring, analysis, and related services
US20130116952A1 (en) Power metering system and a method of displaying reading derived from the same
US9739801B2 (en) Analytical gateway device for measurement devices
US11002773B2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04089B2 (ja) 消費電力計測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消費電力計測方法
KR101893013B1 (ko)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607828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требления мощност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содержащая ее электр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US9858796B2 (en) Mountable wall receptacles including current sensing and addressable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functionalities via power-line communication
JP2018505636A (ja) 電気的負荷の可視化システム
JP2000193695A (ja) 電力使用状態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50260759A1 (en) Tampering detection for an electric meter
US20150088441A1 (en) Energy usage estimation device and energy usage estimation method
US20130110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power
KR101313182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JP2006349519A (ja) デマンド要因分析システムおよびデマンド要因分析方法
US20240061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rc in an electrical meter
US20120086632A1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324036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101324038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KR101302160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20170036462A (ko) 기기 식별이 가능한 적응형 스마트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145319B1 (ko)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력사용량 확인방법 및 전자기기 확인 및 전자기기의 전기사용량 확인시스템
JP6116493B2 (ja) 電子式指示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