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163A -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163A
KR20120032163A KR1020100093646A KR20100093646A KR20120032163A KR 20120032163 A KR20120032163 A KR 20120032163A KR 1020100093646 A KR1020100093646 A KR 1020100093646A KR 20100093646 A KR20100093646 A KR 20100093646A KR 20120032163 A KR20120032163 A KR 2012003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destal
installation
present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헌
Original Assignee
김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헌 filed Critical 김경헌
Priority to KR102010009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163A/ko
Publication of KR2012003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장치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기기장치와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기기장치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홈과 자웅 결합되는 제1유닛; 상기 받침대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돌기와 자웅 결합되는 제2유닛; 및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의 통해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설치유닛을 통해 받침대와 기기장치 간의 편리하고 안전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유닛에 회전체와 각도 조절수단이 마련되어 기기장치의 자유로운 각도 변경 및 이를 제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유닛에 필기구가 마련되어 기기장치를 통한 측정 및 설정 값 등의 기재가 용이하며, 또한, 기기장치가 터치 패널일 경우, 필기구를 통한 패널의 조작이 용이하고, 설치유닛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자웅의 보강부가 마련되어 제1유닛과 제2유닛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Adaptor for supporting element of device}
본 발명은 받침대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망원경 및 촬영기 내지는 측량기 등의 기기장치가 어댑터를 통해 받침대에 설치되도록 하여, 기기장치의 탈부착이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고, 또한, 내부에 마련된 회전체를 통해 기기장치의 자유로운 각도 변경 및 이를 제한할 수 있는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영, 측량 및 망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장치를 사용할 할 때, 주로 받침대와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받침대는 기기장치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것은 물론, 기기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 및 정확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기기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기장치는 받침대와 암수 자웅의 결합구조서, 도 1을 살펴보면 기기장치(10)와 받침대(20)는 자웅의 암수 돌기(12,23)를 통해 직접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와 기기장치(10)의 결합구조는 각 받침대 몸체(21)에 마련된 스크루 돌기(23)에 기기몸체(11)에 마련된 스크루 홈(13)이 서로 나사 체결되며, 이때, 나사 체결을 위해 적어도 어느 하나(받침대(20) 또는 기기장치(10))를 회전시켜야만 체결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이며, 주로 기기장치(10)의 회전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크루 방식의 직접 결합구조는 결합이 불안정하여, 결합도중 무게에 의해 기기장치(10)를 낙하시키거나, 또는 결합시 나사산이 서로 어긋나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받침대(20)를 사용해야할 정도의 기기장치는 주로 중량이 상당하여 손으로 지탱시켜 사용하기에는 벅찰 정도의 무게임으로 받침대(20)를 사용하는데, 기기장치(10)와 받침대(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기기장치(10)의 중량에 의한 미끌림 내지는 아귀의 힘이 약할 경우, 기기장치(10)가 파지한 손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 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상당한 중량에 의해 파지한 손으로부터 기기장치(10)의 이탈로 인한 파손으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기장치(10)와 받침대(20)를 서로 결합할 때, 기기장치(10)의 중량에 의해 받침대(20)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여 스크루 결합이 어긋나 나사산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시에는 부품의 교체 내지는 수리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이는 작업의 지연을 초래함과 동시에 비용발생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을 이용한 어댑터를 통해 받침대와 기기장치 간의 편리하고 안전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유닛에 회전체가 마련되어 기기장치의 자유로운 각도 변경 및 이를 제한 할 수 있는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기장치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기기장치와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기기장치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홈과 자웅 결합되는 제1유닛; 상기 받침대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돌기와 자웅 결합되는 제2유닛; 및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의 통해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를 개시한다.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이 마주하는 각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자웅의 결합 구조체로서, 상기 제1유닛 또는 제2유닛 중 어느 일 유닛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타 유닛에 형성된 홈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와 홈부는, 압입의 억지끼움이거나, 또는 슬라이드 결합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닛 혹은 제2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회전체;가 더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 통해 상기 기기장치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제1유닛 혹은 제2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필기구;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필기구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유닛 또는 제2유닛의 어느 일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일면으로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기구는, 유성, 수성 및 흑심의 팬이거나, 또는 스타일러스팬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설치유닛을 통해 받침대와 기기장치 간의 편리하고 안전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유닛에 회전체와 각도 조절수단이 마련되어 기기장치의 자유로운 각도 변경 및 이를 제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유닛에 필기구가 구비되어 기기장치를 통한 측정 및 설정 값 등의 기재가 용이하며, 또한, 기기장치가 터치 패널일 경우, 필기구를 통한 패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유닛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자웅의 보강부가 마련되어 제1유닛과 제2유닛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기장치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설명하기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100)는 기기장치(10)와 받침대(20) 사이에 설치되어 받침대(20)와 기기장치(10)간의 편리하고 안전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상당한 중량의 기기장치(10)를 받침대(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기기장치(10)의 중량에 의한 미끌림 내지는 아귀의 힘이 약할 경우, 기기장치(10)가 파지한 손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 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기장치와 받침대 사이에 자력을 이용한 설치유닛을 더 추가장착 하고, 설치유닛을 통해 기기장치와 받침대가 서로 탈부착 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받침대(20)에 설치되는 기기장치로(10)는 촬영기, 측량기 및 망원경 등과 기기로서, 중량이 상당한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경량이긴 하나 원거리를 촬영, 망원 및 측량시 사용되는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어댑터(100)는 기기장치(10)와 받침대(20)에 각각 자웅 결합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유닛(110)과, 한 쌍의 설치유닛(110) 사이에 마련된 자성체(140) 크게 구성된다.
설치유닛(110)은 기기장치(10)와 자웅의 결합을 통해 설치되는 제1유닛(120)과, 받침대(20)와 자웅의 결합을 통해 설치되는 제2유닛(130)으로 구성된다.
제1유닛(120)은 평판의 플레이트 구조로서, 기기장치(10)와 맞닿아 설치되는 일면에 제1유닛 돌기(121)가 형성되고, 제1유닛 돌기(121)는 기기장치(10)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홈(13)과 나사 체결을 통해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된 기기장치(10)와 제1유닛(120)의 결합이 보강되도록 서로 맞닿는 일면에 제1패드(12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패드(123)는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의 재질로서, 탄성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기기장치와 제1유닛(120)의 체결상태의 보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유닛(130)은 받침대(20)와 맞닿아 설치되는 일면에 제2유닛 홈(131)이 형성되고, 제2유닛 홈(131)은 받침대(20)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돌기(23)와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대(20)와 제2유닛(130)이 맞닿는 일면에 제2패드(133)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제2패드(133)는 제1패드(123)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유닛(120)과 제2유닛(130)은 자성체(140)를 통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며, 이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00)는 제1유닛(120)과 제2유닛(130)으로 구성된 한 쌍의 설치유닛(110)과, 각 유닛(120,130)이 서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각 일면에 자성체(140)가 마련된다.
자성체(140)는 제1유닛(120)에 설치된 복수의 제1자성체(141)와 제2유닛(130)에 설치된 복수의 제2자성체(143)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성체(140)는 각 유닛(120,130)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성체(141,143)는 각 유닛(120,130)을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매우 바람직하며, 일례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직 또는 수평 내지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교번한 설치 및 전면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140)의 형상은 도시된 원형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각형, 타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자성체(140)는 각 제1자성체(141)와 제2자성체(143)가 서로 자석이거나, 또는 자석과 금속으로 이뤄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자석의 세기에 따른 선택적인 적용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자성체(140)를 통한 제1유닛(120)과 제2유닛(130)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수단이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닛(120)과 제2유닛(130)이 마주하는 각 일면이 자웅의 보강부(150)가 더 형성된다.
보강부(150)는 제1유닛(120)에 형성된 돌출부(151)와, 제2유닛(130)에 형성된 홈부(153)로 구성되며, 홈부(153)는 돌출부(151)와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을 통한 억지끼움으로 각 유닛(120,130)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유닛(120)에 형성된 돌출부(151)와 제2유닛(130)에 형성된 홈부(153)가 형성된다고 하였으나, 이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각 돌출부(151)와 홈부(153)는 제1유닛(120)과 제2유닛(130) 중 선택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a), 사각형(b) 및 다각형(c)의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a)일 경우, 제1유닛(120)과 제2유닛(130)간의 회전 가능하게 해야할 경우 적용될 수 있으며, 사각형(b) 내지 다각형(c)일 경우, 상기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부(15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자성체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150)는 압입의 결합구조가 아닌 슬라이드 결합구조로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댑터(100)의 설치유닛(110)을 통해 기기장치(10)가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60)가 더 구비된다.
회전체(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닛(130)의 고정부(161)와 회전부(16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부(163)가 회전체(160)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회전체(160)를 통해 기기장치(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촬영, 망원 및 측량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회전체(160)를 축으로 기기장치(10)를 회전시킬 경우, 그 회전을 제어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수단(165)이 더 마련된다.
각도 조절수단(165)은 회전부(163)에 설치되어, 이를 수직방향으로 회전 시, 고정부(161)와의 마찰력을 통해 회전부(163)가 회전체(16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되, 미세각도 조절 및 사용의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다이얼 형태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 조절수단(150)은 정밀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주시 되는 방향을 요하는 기기장치(10)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측량을 위한 기기장치(10)에 적용될 경우, 측정의 정밀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기기장치(10)를 통한 설정 내지는 측정값 등의 기재가 용이하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유닛(110)에 필기구(170)가 더 구비된다.
필기구(170)는 제1유닛(120) 또는 제2유닛(130) 중 어느 하나에 매립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그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닛(120)에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기구(170)는 사용의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제1유닛(120)에 마련된 매립홈(171)을 통해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필기구(170)는 유성, 수성 및 흑심 중 어느 하나의 팬일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이 장착된 기기일 경우, 조작이 용이하도록 스타일러스팬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기장치 11 : 기기몸체
13 : 스크루 홈 20 : 받침대
21 : 받침대 몸체 23 : 스크루 돌기
100 : 어댑터 110 : 설치유닛
120 : 제1유닛 121 : 제1유닛 돌기
123 : 제1패드 130 : 제2유닛
131 : 제2유닛 홈 133 : 제2패드
140 : 자성체 141 : 제1자성체
143 : 제2자성체 150 : 보강부
151 : 돌출부 153 : 홈부
160 : 회전체 161 : 고정부
163 : 회전부 165 : 각도 조절수단
170 : 필기구 171 : 체결수단

Claims (7)

  1. 기기장치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기기장치와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기기장치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홈과 자웅 결합되는 제1유닛;
    상기 받침대에 미리 형성된 스크루 돌기와 자웅 결합되는 제2유닛; 및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의 통해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기장치용 받침대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이 마주하는 각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자웅의 결합 구조체로서,
    상기 제1유닛 또는 제2유닛 중 어느 일 유닛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타 유닛에 형성된 홈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홈부는,
    압입의 억지끼움이거나, 또는 슬라이드 결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혹은 제2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회전체;가 더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 통해 상기 기기장치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유닛은,
    상기 제1유닛 혹은 제2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필기구;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필기구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유닛 또는 제2유닛의 어느 일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일면으로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유성, 수성 및 흑심의 팬이거나, 또는 스타일러스팬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KR1020100093646A 2010-09-28 2010-09-28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KR20120032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46A KR20120032163A (ko) 2010-09-28 2010-09-28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46A KR20120032163A (ko) 2010-09-28 2010-09-28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163A true KR20120032163A (ko) 2012-04-05

Family

ID=4613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46A KR20120032163A (ko) 2010-09-28 2010-09-28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1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50B1 (ko) * 2013-07-19 2014-10-08 신영측기(주) 마그넷을 이용한 퀵마운터를 구비한 스탠드 어셈블리
CN114321665A (zh) * 2022-01-14 2022-04-12 浙江四维远见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测绘工程辅助测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50B1 (ko) * 2013-07-19 2014-10-08 신영측기(주) 마그넷을 이용한 퀵마운터를 구비한 스탠드 어셈블리
CN114321665A (zh) * 2022-01-14 2022-04-12 浙江四维远见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测绘工程辅助测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9619B (zh) 接头
CN104285124A (zh) 用来测量物体表面的表面微结构纹理或粗糙度的测量设备和方法
WO2018090766A1 (zh) 镜头调整模组及投影设备
KR20120032163A (ko) 기기장치 받침대용 어댑터
KR200484868Y1 (ko) 계측장비용 마운트 장치
CN103716570B (zh) 一种镜头调整装置和投影机
CN211667434U (zh) 一种具有gps功能的测绘仪器
CN208424632U (zh) 摄像头300cm远场测试机
CN207682955U (zh) 一种自动调平3d打印机
CN208952948U (zh) 一种高端装备制造用精确找平测绘仪
CN218884967U (zh) 一种新型建筑构件检测用激光投线仪
JP2009244004A (ja) 非接触式変位センサ用冶具
KR1014680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CN206946073U (zh) 棱镜装置及监测装置
KR20130142447A (ko) 스탠드 타입 디스플레이
CN210660861U (zh) 一种方便安装的适配头
CN208206132U (zh) 一种自动旋转底座
CN204405059U (zh) 便携式红外线水平仪
CN207737518U (zh) 一种升降舵平衡台
CN204961518U (zh) 平衡螺丝及悬臂组件
CN106545733A (zh) 手扭式四驱挂钩和显示墙
KR20180114431A (ko) 높이 조절 기구
CN211338397U (zh) 一种电梯投影广告仰角调整装置
CN208520553U (zh) 一种焦度计用固定镜片支架
CN104005752B (zh) 便携式探管检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