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140A -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140A
KR20120032140A KR1020100093609A KR20100093609A KR20120032140A KR 20120032140 A KR20120032140 A KR 20120032140A KR 1020100093609 A KR1020100093609 A KR 1020100093609A KR 20100093609 A KR20100093609 A KR 20100093609A KR 20120032140 A KR20120032140 A KR 20120032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reboot
layer
unit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보
이수기
윤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9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140A/ko
Publication of KR2012003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인터넷 장비를 원격으로 정기 점검 시에 장비의 계층에 따라 단계별로 재부팅(re-booting)을 수행하며 정상 동작 유무 테스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동시일괄적인 기존의 재부팅 방식에서의 대형 고장 유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운용 요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대상 장비를 정기 점검하기 위한 정기 점검 방법은, 관리 대상 장비를 계층별로 등록하고 작업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시간에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1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1테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1테스트의 성공에 따라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2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2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Access Periodic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for High-Speed Equipments}
본 발명은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초고속 인터넷 장비를 원격으로 정기 점검 시에 장비의 계층에 따라 단계별로 재부팅(re-booting)을 수행하며 정상 동작 유무 테스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동시일괄적인 기존의 재부팅 방식에서의 대형 고장 유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운용 요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는 전국의 수십만 곳에 서비스 구현을 위한 장비들을 운용한다. 특히,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L3 장비와 L2 장비를 여러 곳에 배치 운용하고 있다. L3 장비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해 라우팅하여 정보를 전달하며, L2 장비는 물리계층과 L3 계층 사이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의 운용 센터에서는 이와 같은 L3 장비와 통신하여 L3 장비와 L2 장비의 장애 상태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시 즉각적으로 출동하여 장비를 교체하고 있다. 그러나, 고장 발생시마다 장비 유지 보수 요원이 해당 지역으로 출동하여 장비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재부팅을 하거나 장비를 교체하는 작업에 많은 유지 보수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용 센터에서는 정기 점검 시스템을 통해 원격에서 정기적으로 L3 장비와 L2 장비의 재부팅 작업을 제어해 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L3 장비와 L2 장비 등 초고속 장비의 운용시간이 오래되면 버그(Bug)나 메모리 오류 등으로 인하여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정기 점검 시스템을 통해 장비들을 정기적으로 강제 재부팅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정기 점검 시스템에서는 점검 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여 고객의 서비스 이용 시에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아 고객 불만이 많이 접수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일정 지역의 많은 장비들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재부팅할 수 있지만 이때 재부팅 후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장비들이 있어서 잠재적으로 대형 고장의 리스크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화된 운용방식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 장비를 효율적으로 원격으로 정기 점검하여 장비들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 고객 서비스의 중단없이 인터넷 망을 운용할 수 있는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초고속 인터넷 장비의 계층에 따라 단계별로 재부팅(re-booting)을 수행하며 정상 동작 유무 테스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대형 고장 유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운용 요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대상 장비를 정기 점검하기 위한 정기 점검 방법은, 관리 대상 장비를 계층별로 등록하고 작업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시간에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1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1테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1테스트의 성공에 따라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2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2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계층별 등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3 장비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2 장비를 포함하는 각 그룹에 대하여 등록한다.
상기 각 그룹 마다 상기 제1재부팅, 상기 제1 테스트, 상기 제2 재부팅, 및 상기 제2 테스트를 위한 제어 명령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그룹 마다 해당 작업 시간에 상기 재부팅과 상기 테스트를 단계별로 진행한다.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는 해당 장비의 정상 동작 유무 판별을 위한 핑(Ping) 테스트 또는 텔렛(Telet) 테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 또는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상기 재부팅 또는 상기 테스트를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그 이후의 상기 재부팅 또는 상기 테스트를 자동 중지하며, 해당 실패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최상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를 통한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대역폭 이하로 떨어지는 기간 중에서 선택된 시간을 상기 작업 시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은, 관리 대상 장비를 계층별로 등록하는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 및 상기 관리 대상 장비를 작업 시간에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원격 작업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작업 실행부는, 상기 작업 시간을 설정하는 작업 여부 결정부;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재부팅 제어를 위한 재부팅 제어부; 및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테스트를 위한 이상 여부 테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부팅 제어부가 상기 작업 시간에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1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1테스트하며, 상기 재부팅 제어부는 상기 제1테스트의 성공에 따라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2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2테스트한다.
상기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는,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계층별 등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3 장비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2 장비를 포함하는 각 그룹에 대하여 등록한다.
상기 정기 점검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각 그룹 마다의 상기 제1재부팅, 상기 제1 테스트, 상기 제2 재부팅, 및 상기 제2 테스트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 설정부; 및 상기 명령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명령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작업 실행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재부팅 제어부와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를 통해 상기 각 그룹 마다 해당 작업 시간에 상기 재부팅과 상기 테스트를 단계별로 진행한다.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에서 해당 장비의 정상 동작 유무 판별을 위한 핑(Ping) 테스트 또는 텔렛(Telet)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 또는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상기 재부팅 제어부는 상기 재부팅을 다시 시도하가나,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테스트를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그 이후의 상기 재부팅 또는 상기 테스트를 자동 중지하며, 해당 실패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상기 작업 여부 결정부는, 최상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를 통한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대역폭 이하로 떨어지는 기간 중에서 선택된 시간을 상기 작업 시간으로 설정한다.
상기 정기 점검 시스템은, 상기 관리 대상 장비에 대한 계정 등록과 변경을 지원하는 장비 계정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기 점검 시스템은,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가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회하도록 지원하는 조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최적화된 운용방식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 장비를 효율적으로 원격으로 정기 점검하여 장비들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대 고객 서비스의 중단없이 인터넷 망을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초고속 인터넷 장비의 계층에 따라 단계별로 재부팅을 수행하며 정상 동작 유무 테스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대형 고장 유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운용 요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이 사용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의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 작업 실행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작업 실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이 사용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100)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100)은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되는 L3 장비와 L2 장비를 포함하는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을 포함하며,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과 통신하여 L3 장비, L2 장비, 기타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많은 인터넷 운용 장비들의 장애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운용 센터를 포함한다.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IPTV 등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들은 L2 장비에 연결되고, L2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과 L3 장비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라우팅에 따라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운용 센터에서는 L3 장비, L2 장비, 기타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많은 인터넷 운용 장비들로부터 장애 상태에 따른 경보 정보를 접수할 수 있으며, 운용 센터의 장비 유지 보수 요원은 장애가 있는 해당 장비의 수리나 교체를 위하여 즉각적으로 출동에 대비하고 있다.
특히, L3 장비와 L2 장비 등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은 운용시간이 오래되면 버그(Bug)나 메모리 오류 등으로 인하여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들은 노이즈에 의한 하드웨어의 일시적 동작 정지, 운영 체계 등 소프트웨어 상에서 처리 과정 중의 무한 루프 발생 등 일시적 오류에 기인하는 경우 강제 재부팅을 통해 간단히 정상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의 장애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운용 센터(또는 관리 장치)에 정기 점검 시스템을 구비하여 원격 명령으로 정기적인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의 재부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장비의 계층에 따라 단계별로 재부팅을 수행하며 정상 동작 유무 테스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장비들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형 고장 유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운용 요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겨서 대 고객 서비스의 중단없이 인터넷 망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운용 센터에 구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은,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된 관리 대상 장비인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을 계층별로 등록하고,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최한시 등으로 작업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을 해당 시간에 자동으로 상위 장비(예를 들어, L3 장비)부터 단계별로 재부팅하되, 핑(ping) 테스트나 텔렛(telet)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다음 하위 장비(예를 들어, L2 장비)의 재부팅과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은 재부팅과 테스트 과정을 포함한 정기 점검 작업은 자동으로 정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기 점검 작업은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된 수십만 개의 초고속 장비들에 대하여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지만, 작업과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 그룹으로 L3 장비를 나누고 해당 L3 장비에 연결된 L2 장비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각 그룹마다 해당 작업 시간이 되면 재부팅과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기 점검 작업의 관리 대상 장비로서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운용센터(또는 관리 장치)에서 정기 점검 작업이 요구되는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 상위의 다른 관리 대상 장비나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 하위의 다른 관리 대상 장비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정기 점검 작업 방식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정기 점검 작업의 관리 대상 장비로서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2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200)은, 제어부(210), 데이터베이스(211),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원격 작업 실행부(230), 조회부(240),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250), 명령어 설정부(260), 및 장비 계정 관리부(270)를 포함한다. 정기 점검 시스템(200)은 이외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기 점검 시스템(200)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정기 점검 시스템(200)의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211)에는 원격 작업 실행부(230),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250), 명령어 설정부(260), 및 장비 계정 관리부(270)에서 수행되는 설정, 등록, 변경, 또는 작업 결과 등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조회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되는 위와 같은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정기 점검 시스템(200)에 접속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키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점검 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장비 계정 관리부(270)는 관리 대상 장비에 대한 계정 등록과 변경을 지원한다(S21). 예를 들어, 운용 센터의 운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관리 대상 장비, 즉,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의 각 계층별 장비의 계정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장비 계정 관리부(270)는 입력되는 각 장비의 계정을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운용 센터의 운용자는 기 관리되고 있는 장비의 계정을 삭제하거나 계정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비 계정 관리부(270)는 각 정보 변경의 입력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11)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250)는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 관리되는 관리 대상 장비, 즉,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을 계층별로 등록할 수 있으며 그룹화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용 센터의 운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도 4와 같이, 어느 그룹의 상위 계층 L3 장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계층 L2 장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250)는 해당 선택된 계층별 장비들을 데이터베이스(211)에 관리 대상 장비로서 등록할 수 있다(S22). 여기서 L3 장비 마다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도 있고, 복수의 L3 장비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도 있다(S23). 또한, 각 L3 장비에 연결된 모든 L2 장비들을 하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서 등록할 수도 있지만, 운용자는 그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관리 대상 장비로서 등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명령어 설정부(260)는 위와 같이 그룹화된 관리 대상 장비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하여 각 그룹 마다의 제어명령을 설정한다(S24).
이와 같은 설정에 따라 원격 작업 실행부(230)는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그룹의 관리 대상 장비를 각 그룹 마다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작업 시간이 되면 정기적으로 재부팅과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정기 점검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S25).
원격 작업 실행부(230)는 초고속 장비들(110, 120, 130)을 해당 작업 시간에 자동으로 상위 계층의 장비(예를 들어, L3 장비)부터 단계별로 재부팅하되, 핑(ping) 테스트나 텔렛(telet)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다음 하위 장비(예를 들어, L2 장비)의 재부팅과 테스트를 수행한다.
명령어 설정부(260)는 이와 같은 원격 작업 실행부(230)에서의 단계별 재부팅과 테스트를 위한 각 그룹별 명령을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L3 장비의 재부팅 및 테스트를 위한 제어명령과 L2 장비의 재부팅 및 테스트를 위한 제어명령이 데이터베이스(211)에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제어명령들은 각 그룹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작업 실행부(230)는 재부팅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3 장비 또는 L2 장비는 해당 신호에 따라 소정 회로를 이용해 전원을 오프하고 수초 후 다시 전원을 온하여 재 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 작업 실행부(230)는 핑 테스트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3 장비 또는 L2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 등 단말로부터 적절한 응답을 수신하면 테스트 성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작업 실행부(230)는 텔렛 테스트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3 장비 또는 L2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 등 단말로부터 접속 성공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테스트 성공으로 분류할 수 있다. 텔렛 테스트 제어 명령에는 해당 단말에 접속을 위한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원격 작업 실행부(23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격 작업 실행부(230)는 작업 여부 결정부(231), 타이머(232), 재부팅 제어부(244), 및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를 포함한다.
작업 여부 결정부(231)는 데이터베이스(211)에 등록된 관리 대상 장비를 데이터베이스(211)에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작업 시간이 되면 정기적으로 점검을 수행해 나가도록 하기 위한, 해당 작업 시간을 설정한다.
작업 여부 결정부(231)는 타이머(232)가 나타내는 시간을 기초로 최상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예를 들어, L3 장비)를 통한 사용자 단말들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대역폭(예를 들어, 10Mbps) 이하로 떨어지는 기간 중에서 선택된 시간(예를 들어, 최한시로서 가장 트래픽이 적은 시간)을 해당 작업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되는 작업시간은 매주, 매월, 또는 몇 개월 주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매주의 어떤 요일 중 몇 시로 정해지거나, 매월 몇 일 중 몇 시, 또는 수개월 단위로 몇일 몇 시로 정해질 수 있다.
재부팅 제어부(244)는 작업 시간에 해당 관리 대상 장비의 재부팅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재부팅 제어부(244)의 재부팅 제어를 위한 신호 발생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수초 후에 해당 관리 대상 장비가 정상적으로 재기동 되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작업 실행부(2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위와 같이 작업 여부 결정부(231)에 의해 최한시가 작업 시간으로 결정되면(S31), 재부팅 제어부(244)는 타이머(232)를 체크하여 해당 작업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2), 해당 작업 시간이 되면, 제1계층(상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예를 들어, L3 장비)(복수 가능)로 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3). 재부팅 제어 신호는 해당 장비의 목적지 주소, 재부팅 정보, 재부팅 조건 등의 정보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으며, 재부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해당 L3 장비는 소정 회로를 이용해 전원을 오프하고 수초 후 다시 전원을 온하여 재 기동시킬 수 있다. 이때, L3 장비는 회로에 저장된 일정 펄스 패턴의 신호가 상기 재부팅 조건에 따라 생성한 펄스 패턴의 신호와 일치할 때 위와 같은 재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부팅 제어부(244)에 의한 L3 장비의 재부팅 제어 과정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경과후, 예를 들어, 수초 후에,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예를 들어, L3 장비)가 정상적으로 재기동 되었는지를 테스트한다(S34).
예를 들어,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데이터베이스(211)의 핑 테스트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3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 등 단말로부터 적절한 응답을 수신하면 테스트 성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데이터베이스(211)의 텔렛 테스트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3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 등 단말로부터 접속 성공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테스트 성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이와 같은 테스트 과정에서 테스트 실패가 발생되면, 이 후의 재부팅 또는 테스트 과정을 자동 중지시키며, 해당 실패 정보(예를 들어, "접속 실패 입니다."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실패는 해당 그룹의 L3 장비가 복수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L3 장비라도 테스트에 실패되는 경우일 수 있다.
다만, 해당 그룹의 L3 장비가 복수인 경우에 그 중 어느 하나 이상 에 테스트 실패가 발생되면, 재부팅 제어부(244)에 의한 재부팅 제어와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에 의한 테스트가 해당 실패된 장비에 대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다시 시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에 의해 위와 같은 테스트 과정에서 테스트가 성공되면(접속 성공)(S35), 이에 따라 재부팅 제어부(244)는 제2계층(하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예를 들어, L2 장비)(복수 가능)로 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6). 여기서도 재부팅 제어 신호는 해당 장비(들)의 목적지 주소, 재부팅 정보, 재부팅 조건 등의 정보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으며, 재부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해당 L2 장비(들)는 소정 회로를 이용해 전원을 오프하고 수초 후 다시 전원을 온하여 재 기동시킬 수 있다. 이때, L2 장비는 회로에 저장된 일정 펄스 패턴의 신호가 상기 재부팅 조건에 따라 생성한 펄스 패턴의 신호와 일치할 때 위와 같은 재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부팅 제어부(244)에 의한 L2 장비(들)의 재부팅 제어 과정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예를 들어, 수초 후에,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예를 들어, L2 장비)(복수 가능)가 정상적으로 재기동 되었는지를 테스트한다(S37).
예를 들어, 여기서도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데이터베이스(211)의 핑 테스트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2 장비(들)에 연결된 컴퓨터 등 단말로부터 적절한 응답을 수신하면 테스트 성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데이터베이스(211)의 텔렛 테스트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장비로 전송함으로써, L2 장비(들)에 연결된 컴퓨터 등 단말로부터 접속 성공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테스트 성공으로 분류할 수 있다(S38).
이때,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는 이와 같은 테스트 과정에서 테스트 실패가 발생되면, 이 후의 재부팅 또는 테스트 과정을 자동 중지시키며, 해당 실패 정보(예를 들어, "접속 실패 입니다." 또는 "테스트 실패 입니다."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실패는 해당 그룹의 L2 장비가 복수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L2 장비라도 테스트에 실패되는 경우일 수 있다.
다만, 해당 그룹의 L2 장비가 복수인 경우에 그 중 어느 하나 이상 에 테스트 실패가 발생되면, 재부팅 제어부(244)에 의한 재부팅 제어와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에 의한 테스트가 해당 실패된 장비에 대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다시 시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격 작업 실행부(230)의 정기 점검 동작은 타이머(232)를 체크해 각 그룹별(도 4참조)로 데이터베이스(211)를 참조하여 각 그룹 마다 해당 작업 시간에 재부팅 제어부(244)의 재부팅 동작과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의 테스트 동작이 단계별로 진행되는 형태로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상 여부 테스트부(234)가 각 단계별로 테스트하는 작업 결과, 즉, 테스트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 관리되며, 조회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되는 위와 같은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120, 130: 초고속 장비
200: 정기 점검 시스템
210: 제어부
211: 데이터베이스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
230: 원격 작업 실행부
240: 조회부
250: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
260: 명령어 설정부
270: 장비 계정 관리부

Claims (16)

  1. 정기 점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대상 장비를 정기 점검하기 위한 정기 점검 방법에 있어서,
    관리 대상 장비를 계층별로 등록하고 작업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시간에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1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1테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1테스트의 성공에 따라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2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2테스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계층별 등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3 장비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2 장비를 포함하는 각 그룹에 대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 마다 상기 제1재부팅, 상기 제1 테스트, 상기 제2 재부팅, 및 상기 제2 테스트를 위한 제어 명령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그룹 마다 해당 작업 시간에 상기 재부팅과 상기 테스트를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는 해당 장비의 정상 동작 유무 판별을 위한 핑(Ping) 테스트 또는 텔렛(Telet)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 또는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상기 재부팅 또는 상기 테스트를 다시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그 이후의 상기 재부팅 또는 상기 테스트를 자동 중지하며, 해당 실패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최상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를 통한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대역폭 이하로 떨어지는 기간 중에서 선택된 시간을 상기 작업 시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방법.
  8. 관리 대상 장비를 계층별로 등록하는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 및 상기 관리 대상 장비를 작업 시간에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원격 작업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작업 실행부는, 상기 작업 시간을 설정하는 작업 여부 결정부;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재부팅 제어를 위한 재부팅 제어부; 및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테스트를 위한 이상 여부 테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부팅 제어부가 상기 작업 시간에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1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1테스트하며,
    상기 재부팅 제어부는 상기 제1테스트의 성공에 따라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로 제2재부팅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제2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장비 설정부는, 상기 관리 대상 장비의 계층별 등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3 장비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2 장비를 포함하는 각 그룹에 대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각 그룹 마다의 상기 제1재부팅, 상기 제1 테스트, 상기 제2 재부팅, 및 상기 제2 테스트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 설정부; 및
    상기 명령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명령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작업 실행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재부팅 제어부와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를 통해 상기 각 그룹 마다 해당 작업 시간에 상기 재부팅과 상기 테스트를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에서 해당 장비의 정상 동작 유무 판별을 위한 핑(Ping) 테스트 또는 텔렛(Telet)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 또는 상기 제2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상기 재부팅 제어부는 상기 재부팅을 다시 시도하가나,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테스트를 다시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는, 상기 제1 테스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의 실패 시에 그 이후의 상기 재부팅 또는 상기 테스트를 자동 중지하며, 해당 실패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여부 결정부는, 최상위 계층의 관리 대상 장비를 통한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대역폭 이하로 떨어지는 기간 중에서 선택된 시간을 상기 작업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장비에 대한 계정 등록과 변경을 지원하는 장비 계정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여부 테스트부가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회하도록 지원하는 조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기 점검 시스템.
KR1020100093609A 2010-09-28 2010-09-28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2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09A KR20120032140A (ko) 2010-09-28 2010-09-28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09A KR20120032140A (ko) 2010-09-28 2010-09-28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140A true KR20120032140A (ko) 2012-04-05

Family

ID=4613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09A KR20120032140A (ko) 2010-09-28 2010-09-28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536A (ko) * 2014-09-04 2017-05-08 지티이 코포레이션 사물인터넷의 설비 고장 퇴치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536A (ko) * 2014-09-04 2017-05-08 지티이 코포레이션 사물인터넷의 설비 고장 퇴치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0289B (zh) 自动网络控制
US11017333B2 (en) Web-based support subscriptions
CN105518629B (zh) 云部署基础结构确认引擎
CN100417081C (zh) 检查和修复网络配置的方法和系统
US90491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managing event records associated with network incidents
JP6095140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144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 availability subscription service
WO2013071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placement and repair of communications network devices
US8855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iagnostics 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11475758B2 (en) Monitoring control panels of a fire control system
US201101530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monitoring robot application and robot driven thereby
CN110119325A (zh) 服务器故障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31749B (zh) 一种fpga云服务器管理平台及其使用方法
Tola et al. On the resilience of the NFV-MANO: An availability model of a cloud-native architecture
US76310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terconnections of network devices
JP2008059413A (ja) 障害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
KR102192313B1 (ko)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JP6015750B2 (ja) ログ収集サーバ、ログ収集システム、ログ収集方法
JP2011175494A (ja) 保守作業支援システム
US8074121B2 (en) Automated information technology error and service request correlation
KR20120032140A (ko) 초고속 시설 정기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N116504039A (zh) 一种室内设备的异常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Gautam et al. A novel approach of fault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network services in IoT cluster to ensure disaster readiness
JP6569247B2 (ja) 障害検証装置及び障害検証方法、検証対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04514A (ko)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