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792A -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792A
KR20120031792A KR1020100093389A KR20100093389A KR20120031792A KR 20120031792 A KR20120031792 A KR 20120031792A KR 1020100093389 A KR1020100093389 A KR 1020100093389A KR 20100093389 A KR20100093389 A KR 20100093389A KR 20120031792 A KR20120031792 A KR 20120031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ession
information
servic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742B1 (ko
Inventor
이승룡
이영구
지샨 퍼레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7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클라우드 내의 특정 웹 서버에 얽매이지 않는 분산된 세션 관리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은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클라우드 내의 제1 노드를 선택하고, 제1 노드로 라우팅하는 단계와, 제1 노드에서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세션 식별자(session identifier)를 확인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세션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METHOD OF DISTRIBUTED SESSION MANAGEMENT IN SaaS AND SESSION MANAGEMENT SYSTEM THER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온라인 임대사업인 SaaS(Software as a Service)에서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IT의 모든 것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지금까지는 IT환경을 이용하기 위해서 서버, 스토리지, SW, 솔루션 등의 각 요소들을 통합해서 기능을 만들었고 다시 웹사이트,메일, ERP, CRM등 각 솔루션등을 개발했다. 따라서, 개발 과정에서 SW를 도입하고 시스템간 통합하고 커스터마이징하는 과정을 겪어야 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이런 개별 기술에 대한 전문성 없이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로 IT환경을 구축하고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크게 SaaS(Software as a Service)ㅋ, PaaS(Platform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와 같이 3개의 각 분야로 나뉠 수 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란 서비스로써 SW(software)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란 SW가 아닌 표준화된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란 인프라 스터럭쳐, 예를 들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들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최근 호스트 제공자들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세션 관리방법은 웹 아키텍처에서 잘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웹 아키텍쳐 구조에서는 "사용한 만큼만 지불"이라는 개념이 없으며, 자원의 활용은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 대신에 서비스 제공자들은 서비스의 제공 가능성, 신뢰성, 견고성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웹 서버에서 사용되는 세션 관리 알고리즘은 자원들이 세션의 라이프 사이클 동안에 가능하다는 가설에 의해 개발되었다. 비록 웹 서버들은 다중 서버들의 세션 정보를 복사해 두어 복구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으나, 클라우드 관리 콘솔에서 단일 명령으로 자원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클라우드의 동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클라우드 내의 특정 웹 서버에 얽매이지 않는 분산된 세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요구가 있을 때마다 즉시 서비스를 공급하고, 서비스 요구가 없을 때에는 사용된 자원들을 환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은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클라우드 내의 제1 노드를 선택하고, 제1 노드로 라우팅하는 단계와, 제1 노드에서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세션 식별자(session identifier)를 확인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세션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를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클라우드와 연결하는 클라우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세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내의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여 라우팅하는 자원 관리서버와, 클라우드 내의 노드별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세션 관리서버는 노드의 사용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자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노드 관리부와, 세션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하고, 세션 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처리하는하는 작업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세션 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노드를 통한 세션 정보 전송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노드, 제3 노드를 이용한 세션 정보 전송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의 세션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세션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클라우드 내의 제1 노드를 선택하고, 제1 노드로 라우팅한다(110). 즉, 클라이언트가 게이트웨이(200)를 통하여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SaaS 클라우드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노드를 선택하고, 해당 노드로 라우팅하는 것이다. 여기서, 최적의 노드는 클라이어트의 SLA에 따라 컴퓨트 노드와 서비스 인스턴스 등의 리소스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리소스 유형은 각 노드의 처리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리소스 활용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선택한 노드가 현재 자원 활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서비스에 대한 지원이 지연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 클라우드 내의 연결된 노드들의 자원 활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어느 노드가 자원 활용이 가능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노드에서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세션 식별자(session identifier)를 확인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한다(120). 여기서, 제1 노드는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가장 적합한 리소스를 가진 노드를 말한다. 제1 노드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제1 노드에서는 해당 클라이언트가 보내온 세션 요청 정보 중 세션 식별자를 확인한다. 해당 세션 식별자와 매칭되는 세션 정보가 제1 노드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게 된다(130).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포스트 요청의 경우, 일단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각 서비스는 세션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세션 관리방법의 경우 서비스의 특정 인스턴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세션은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컴퓨트 노드에 영향을 받는다. 클라우드 내에 세션을 위치시키기 위해, 세션 식별자는 세션 정보를 간직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제1 노드에서 세션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측에 세션 정보를 전송한다(170). 이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와 제1 노드 간의 세션이 성립하게 된다.
만약, 제1 노드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500)를 검색한다(140). 이는, 클라우드 내의 연결된 다수의 노드들 중에서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500)를 찾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1 노드에서는 자신의 핑거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세션 식별자를 가진 노드를 확인하고, 제2 노드(500)에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제2 노드(500)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한다(150). 다시 말해, 제1 노드는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500)를 검색하여 세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만약,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500)에 식별정보를 핑거 테이블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제2 노드(500)와 연결된 가장 근접한 제3 노드(400)를 검색하고, 제3 노드(400)로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160). 즉, 제1 노드의 핑거 테이블에 세션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드가 없는 경우에, 차선책으로 제2 노드(500)에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제3 노드(400)를 검색하고, 제3 노드(400)에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3 노드(400)는 제1 노드로부터 세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핑거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드인 제2 노드(500)로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제2 노드(500)에서는 세션 요청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제3 노드(400)가 아닌 제1 노드로 직접 전송한다. 이는, 세션 정보를 제3 노드(400)를 경유하여 전송하지 않고, 직접 전송함으로써, 응답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제1 노드로 전송된 세션 정보를 클라이언트 측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제2 노드(500)간의 세션이 성립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노드를 통한 세션 정보 전송 예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노드(500), 제3 노드(400)를 이용한 세션 정보 전송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내에는 최대 16개의 컴퓨트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chord 링에서 검은색의 원은 컴퓨트 노드의 부재를 나타내고, 하얀색의 원은 실제 라우팅될 수 있는 컴퓨트 노드를 나타낸다. 각 컴퓨트 노드는 chord 링을 유지하고, 처리 용량에 관한 자원 관리를 위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자동적으로 라우팅을 요청하고, 서비스 스케일링에 도움을 준다. 각 컴퓨트 노드는 chord의 successor에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다른 노드들에 세션 검색 쿼리를 라우트하기 위한 핑거 테이블을 획득한다.
도 2a에서, 클라우드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자원 관리서버(250)는 가장 적합한 노드를 검색한다. 클라우드 게이트웨이(200)는 SaaS의 출입 지점이다. 클라우드에 의해 공급되는 모든 서비스는 클라우드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들은 오직 클라우드 게이트웨이(200)와 소통하기 때문에, 하나의 서비스에 다중 인스턴스들이 실행될 때에 서비스 바인딩을 변화할 필요가 없다.
자원관리 서버는 클라우드 내의 전체 노드의 자원 활용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는 병목 현상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자원 관리서버(250)는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지속적으로 최적의 활용 리소스들로 라우팅을 한다. 예를 들어, 3번 노드가 제1 노드로 선택되면, 자원 관리서버(250)는 3번 노드의 세션 관리서버(300)로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세션 관리서버(300)는 자신의 핑거 케이블을 이용하여,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추출하여 자원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SaaS 클라우드내의 분산된 세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노드인 3번 노드의 세션 관리서버(300)에서 세션 정보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500)를 검색하여 세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제2 노드(500)에 대한 직접적인 세션 식별자 정보 등을 알 수 없는 경우 제2 노드(500)와 가장 근접한 제3 노드(400)를 검색하게 된다. 제1 노드측에서 제3 노드(400)로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면, 제3 노드(400)는 이를 수신하고 해당 세션 식별자를 가지는 노드를 검색하여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노드(500)는 제3 노드(400)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세션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세션 정보에 대하여 이를 제3 노드(4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이를 제1 노드에 직접 전송한다. 이는 응답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노드는 제2 노드(500)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자원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2 노드(500)와 제3 노드(400)를 이용하는 세션 관리방법과 관련해서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의 세션 관리서버(3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의 세션 관리서버(300)는 통신부(310), 노드 관리부(330), 작업 처리부(350), 세션 관리부(370), 서비스 관리부(39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클라우드 내의 다른 노드와 네트워크 통신을 하고, 자원 관리서버(250)와도 데이터 통신을 하는 역할을 한다.
노드 관리부(330)는 클라이언트의 SLA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 인스턴스를 선택함으로써, 자원 관리서버(250)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노드 관리부(330)는 주기적으로 리소스 활용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자원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 노드 관리부(330)는 노드의 응답 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웹 서버의 워커 스레드(worker thread)를 감시한다. 같은 노드에 너무 많은 요청이 곁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노드 관리부(330)는 지속적으로 노드의 처리 용량을 검사하고, 이를 자원 관리서버(250)로 업데이트한다.
작업 처리부(350)는 자원 관리서버(250)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한다. 작업 처리부(350)는 예를 들어, 키 밸류(세션 식별자) 검색, 핑거 테이블(finger table) 스캔, 세션 요청 정보 전달 등과 같은 기능을 제어한다. SaaS 클라우드에서, 작업 처리부(350)는 모든 활성화된 세션의 일부를 저장한다. 자원 관리서버(250)는 컴퓨트 노드에 독특한 작업 식별자를 할당한다. 세션들은 작업 식별자에 대응하여 각 컴퓨트 노드에 할당된다.
세션 관리부(370)는 세션이 존재하지 않거나 세션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는 새로운 세션을 생성한다. 모든 세션은 특정한 기간 동안만 유효하고, 그 이후에는 제거된다. 만약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쌍방향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이는 전통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보다 신속한 응답이 필요하기 때문에 세션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된다. 게다가, 웹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스크탑과 함께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비지니스 객체들은 더 많은 메모리 공간과 감소된 검색시간을 요구하는 세션 변수가 요구되고 있다.
서비스 관리부(390)는 단일 컴퓨트 노드에서 호스트 서비스들의 모든 것을 계속 추적한다. 서비스 관리부(390)는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을 위한 스케일링이 필요한 서비스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관리부(390)는 세션 검색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되는 웹 서버의 작업 처리를 분석하여 노드 관리부(33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200 : 클라우드 게이트웨이
250 : 자원 관리서버
300 : 세션 관리서버
310 ; 통신부
330 : 노드 관리부
350 : 작업 처리부
370 : 세션 관리부
390 : 서비스 관리부
400 : 제3 노드
500 : 제2 노드

Claims (8)

  1.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클라우드 내의 제1 노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노드로 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세션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세션 식별자(session identifier)를 확인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세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세션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핑거 테이블(finger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로 상기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은,
    상기 세션 정보를 가진 제2 노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노드와 가장 근접한 제3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제3 노드로 상기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5.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를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된 클라우드와 연결하는 클라우드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세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우드 내의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여 라우팅하는 자원 관리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내의 노드별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세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서버는,
    상기 노드의 사용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상기 자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노드 관리부; 및
    상기 세션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하고, 세션 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의 세션을 승인하거나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는 세션 관리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서비스의 실행에 필요한 자원을 계산하여, 상기 자원 관리서버 및 상기 노드 관리부로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처리부는,
    상기 노드에서 상기 세션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션 정보를 가진 상기 클라우드 내의 다른 노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드로 상기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처리부는,
    상기 세션 정보를 가진 노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션 정보를 가진 노드에 가장 근접한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근접 노드로 상기 세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분산된 세션 관리 시스템.
KR1020100093389A 2010-09-27 2010-09-27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114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389A KR101146742B1 (ko) 2010-09-27 2010-09-27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389A KR101146742B1 (ko) 2010-09-27 2010-09-27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792A true KR20120031792A (ko) 2012-04-04
KR101146742B1 KR101146742B1 (ko) 2012-05-17

Family

ID=4613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389A KR101146742B1 (ko) 2010-09-27 2010-09-27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16B1 (ko) * 2013-01-15 2014-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비스 중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80B1 (ko) 2016-11-24 2018-07-06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기업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1217B2 (en) 2002-12-19 2008-1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er-to-peer authorization
KR101129810B1 (ko) * 2004-12-23 2012-03-26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0823730B1 (ko) * 2005-12-07 2008-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투피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이를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16B1 (ko) * 2013-01-15 2014-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비스 중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742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7270B (zh) 一种服务器集群的资源管理方法和装置
CN101690132B (zh) 用于执行一网域主机配置协议请求的方法和设备
US8595722B2 (en) Preprovisioning virtual machines based on request frequency and current network configuration
CN109889575B (zh) 一种边缘环境下的协同计算平台系统及方法
US8024740B2 (en) Acquisition system for distributed computing resources
EP34005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CN107431651A (zh) 一种网络服务的生命周期管理方法及设备
TW200412509A (en) Autonomic provisioning of network-accessible service behaviors within a federated grid infrastructure
KR20160087706A (ko) 가상화 플랫폼을 고려한 분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자원 할당 장치 및 할당 방법
JP6972796B2 (ja) ソフトウェアサービス実行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7966394B1 (en) Information model registry and brokering in virtualized environments
CN111352716B (zh) 一种基于大数据的任务请求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1343262B (zh) 分布式集群登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398176A (zh) 服务访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5310120A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タスク割当方法
JP2008262351A (ja) アクセス制御装置
US7716678B2 (en) Processing messages in a message queueing system
WO2015182281A1 (ja) 車載情報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処理方法
MXPA04007788A (es) Sistema y metodo para administrar distribucion de recursos entre nodos de computadora de una red.
KR101146742B1 (ko) SaaS의 분산된 세션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CN106933654B (zh) 一种基于缓存的虚拟机启动方法
CN116389599A (zh) 网关服务请求的处理、云原生网关系统的管理方法及装置
US20160269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puter system
US20210064411A1 (en)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JP2010130440A (ja) 通信管理装置及び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