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551A -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551A
KR20120031551A KR1020100092984A KR20100092984A KR20120031551A KR 20120031551 A KR20120031551 A KR 20120031551A KR 1020100092984 A KR1020100092984 A KR 1020100092984A KR 20100092984 A KR20100092984 A KR 20100092984A KR 20120031551 A KR20120031551 A KR 2012003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bulary
subtitle
user
lexica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문수
Original Assignee
(주)로직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직소프트 filed Critical (주)로직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9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1551A/en
Publication of KR2012003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5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generating subtitles according to user vocabulary level is provided to display vocabulary subtitle based on the user's foreign language level. CONSTITUTION: Foreign language subtitles are acquired(S110). Vocabulary is extracted from the foreign language subtitles(S120). The meaning of the extracted vocabulary is searched in a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a selected vocabulary level(S130). A vocabulary subtitle is genera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extracted vocabulary(S140). The vocabulary subtitle is displayed(S150).

Description

사용자의 어휘 레벨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How to create subtitles based on your vocabulary level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본 발명은 자막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어 자막에 포함된 어휘의 의미를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의미를 기초로 어휘 자막을 생성하는 자막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title gener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title generation method for retrieving a meaning of a vocabulary included in a source subtitle from a dictionary database and generating a lexical subtitle based on the retrieved meaning.

외국어에 대한 리스닝(listening)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외국 영화, 드라마 및 뉴스 등의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흥미있는 콘텐츠를 시청함으로써 어려울 수 있는 외국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재미라는 요소를 가미하므로 쉽게 질리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시사성을 나타내는 어휘 습득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학습 방법이므로 콘텐츠를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은 더욱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atching content such as foreign films, dramas and news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y to listen to foreign languages.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access foreign languages that can be difficult by watching interesting contents, and also because it adds the element of fun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it is not easy to get tired. In particular,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the content is more preferred because it is a very useful learning method for acquiring vocabulary indicating topicality.

그런데 이러한 콘텐츠를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서 몇 가지의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다.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such contents.

콘텐츠의 외국어 수준이 사용자의 외국어 수준보다 월등히 높은 경우에 사용자는 어려운 어휘가 들리지 않으므로 리스닝이 어렵게 되고, 결국 흥미마저 잃게 될 수 있다.When the foreign language level of the content is much higher than the foreign language level of the user, the user does not hear a difficult vocabulary, so that listening is difficult, and eventually, interest may be lost.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막을 사용함으로써 리스닝을 돕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자막은 외국어를 자국어로 번역한 자막일 수도 있고, 번역 과정을 거치지 않는 원어 자막(외국어를 그대로 문자로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자막을 사용하는 대안 역시 눈으로 자막을 읽기에만 급급해지기 때문에 리스닝 실력 향상에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다.An alternative is to use listening to help with listening. Here, the subtitle may be a subtitle translated from a foreign language into a native language, or may be a native subtitle (translated from a foreign language as it is) without a translation process. However, alternatives to using subtitles are not only helpful for improving listening skills because they are only urgent for reading subtitles.

본 발명은 원어 자막에 포함된 어휘의 의미를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의미를 기초로 어휘 자막을 생성하는 자막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title generation method for retrieving the meaning of a vocabulary included in a original subtitle from a dictionary database and generating a vocabulary subtitle based on the retrieved meaning.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은 (a) 원어 자막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원어 자막에 포함된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어휘의 의미를 복수 개의 어휘 레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휘 레벨에 따라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의미를 기초로 어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btitle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obtaining a native subtitle; (b) extracting a vocabulary included in the original subtitle; (c) searching for a meaning of the vocabulary extracted in step (b) in a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a vocabulary level select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And (d) generating a lexical subtitle based on the meaning retrieved in step (c).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은 (e)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어휘 자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ption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 displaying the lexical caption generated in the step (d).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은 상기 (a)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복수 개의 어휘 레벨에 따른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subtitle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generating the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lexical levels before performing step (a).

상기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상기 어휘의 사용 빈도, 난이도, 사용자의 연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y one of a frequency of use of the vocabulary, a difficulty level, an age of a user, and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a) 단계는, 상기 원어 자막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원어 자막을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p (a) may include downloading the original subtitles through a network; And extracting the native subtitle from the video file.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어휘 레벨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과 관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의미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c), it is preferable to search for the meaning in the dictionary database related to the lexical level above the lexical leve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exical levels.

상기 원어 자막과 상기 어휘 자막은 동일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riginal subtitle and the lexical subtitle preferably include the same synchronization time.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ubtitle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모든 내용을 표시하는 종래의 자막 표시 방법과는 달리, 사용자의 외국어 수준에 따라 어휘 자막을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자막을 눈으로만 쫓아가는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리스닝에 의존하게 되므로 리스닝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Unlike conventional subtitle display methods that display all contents, lexical subtitle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foreign language level,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ny side effects that only follow the subtitles but also relies on listening to improve listening skills.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휘 자막은 콘텐츠의 오디오와 동기화된 원어 자막과 동일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콘텐츠의 오디오(예컨대, 드라마의 대사)가 들리는 비슷한 시간에 어휘 자막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스닝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모르는 어휘 및 의미를 어휘 자막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xical subtit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same synchronization time as the original subtitles synchronized with the audio of the content, the user can view the lexical subtitles at a similar time when the audio of the content (eg, the dialogue of the drama) is heard. Therefore, the user can listen and learn vocabulary and meaning that the user does not know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vocabulary subtitles.

또한,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어휘의 사용 빈도, 난이도 사용자의 연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 개의 어휘 레벨에 따라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외국어 수준에 맞춰 어휘 레벨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어휘 레벨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알고 있는 쉬운 단어는 자막으로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모르는 어려운 단어는 어휘 자막을 통해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어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ctionary database is configur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determine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ocabulary, the difficulty of the user, and a combination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the vocabulary level according to his / her foreign language level. By selecting the lexical level, easy words that the user knows are not displayed as subtitles, and difficult words that the user does not know are displayed through lexical subtitles, thereby helping the user to learn vocabula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ca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원어'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의 언어를 지칭한다. '어휘'는 원어 자막에 포함된 단어, 숙어 등을 지칭한다. 또한, '어휘 자막'은 원어 자막에 포함된 어휘의 의미를 표시하는 자막을 지칭한다.Hereinafter, 'original language' refers to a language of audio included in content. 'Vocabulary' refers to words, idioms, etc. included in the original subtitles. In addition, the term "lexical caption" refers to a caption displaying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original ca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btitle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어휘 레벨에 따른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100).Referring to FIG. 1, a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is generated (S100).

여기서,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어휘의 사용 빈도, 난이도, 사용자의 연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된다.Here,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ocabulary, the difficulty, the age of the user, and a combination thereof.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사용 빈도에 따라 '☆☆☆', '★☆☆', '★★☆', '★★★'과 같이 별의 개수를 달리하여 4개의 어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난이도에 따라 '초급', '중급' 및 '고급'과 같이 3개의 어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유치원생',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과 같이 6개의 어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사용 빈도, 난이도, 사용자의 연령을 모두 고려하여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개의 어휘 레벨로 결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are classified into four vocabulary levels by varying the number of stars such as '☆☆☆', '★ ☆☆', '★★ ☆', and '★★★'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Can b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vocabulary levels, such a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depending on the difficulty level.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may be classified into six vocabulary levels such as 'kindergarten student', 'elementary school student', 'junior high school student', 'high school student', 'college student' and 'public person' according to the user's ag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may be determined as fir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vocabulary levels in consideration of frequency of use, difficulty, and age of the user.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원어 어휘(단어 및 숙어 등)의 의미를 자국어로 저장한다. 재생되는 콘텐츠에 따라 원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자국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 사용자가 미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경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영어 어휘의 의미를 한국어로 저장한다. 또한, 독일인 사용자가 일본 영화를 시청하는 경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독일어 어휘의 의미를 일본어로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 및 사용자가 시청하는 콘텐츠에 따라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에게 원어 어휘의 의미를 자국어로 제공할 수 있다.The dictionary database store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vocabulary (words and idioms) in its own language. The original language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tent to be played, and the national language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 For example, when a Korean user watches an American drama, the dictionary database stores the meaning of the English vocabulary in Korean. In addition, when a German user watches Japanese movies, the dictionary database stores the meaning of the German vocabulary in Japanese. Therefore,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 content viewed by the user, the dictionary database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meaning of the original vocabulary in the native language.

사전 데이터베이스의 각 어휘 레벨은 특성에 알맞은 복수 개의 어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원어가 영어이고 자국어가 한국어일 경우, '유치원생' 어휘 레벨은 'apple: 사과', 'sky: 하늘' 및 'car: 자동차' 등의 미취학 아동이 배울 수 있는 쉬운 어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neutrality: 중립성', 'isotope: 동위원소' 및 'lawsuit: 소송' 등의 다소 어려운 어휘는 '고등학생'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에 포함될 수 있다.Each vocabulary level in the dictionary database contains a plurality of vocabular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For example, if the native language is English and the native language is Korean, the preschool vocabulary level may include easy vocabulary that preschoolers can learn, such as apple: apple, sky: sky, and car: car. Can be. Conversely, rather difficult vocabulary such as 'neutrality', 'isotope: isotope' and 'lawsuit: lawsuit' can be included in the vocabulary level above the 'high school' vocabulary level.

다음에는, 원어 자막을 획득한다(S110).Next, a native subtitle is obtained (S110).

구체적으로는, 원어 자막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고, 또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original subtitles can be downloaded via a network or extracted from a video file.

원어 자막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자막 파일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면, .smi, .srt, .rt, .sst, .sub 등의 확장자를 갖는 자막 파일)와 동영상에 함께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된 텍스트 스트림(text stream)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면, 클로즈드 캡션)이다.Native subtitl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for subtitle files (for example, subtitle files with extensions of .smi, .srt, .rt, .sst, .sub, etc.) and videos. If there is a text stream multiplexed together (e.g. closed captioning).

자막 파일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원어 자막을 획득할 수 있고, 동영상에 함께 멀티플렉싱 된 텍스트 스트림 경우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하여 원어 자막을 획득할 수 있다.If a subtitle file exists separately, the original subtitle can be obtained by downloading through a network, and in the case of a text stream multiplexed together in the video, the original subtitle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from the video file.

다음에는, 원어 자막에 포함된 어휘를 추출한다(S120).Next,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original subtitle is extracted (S120).

예를 들어, 원어 자막이 "Uh, the way you crushed Mike at ping pong was such a turn-on."라는 문장이면, 이 문장에서 way, you, crushed, ping pong, such, turn-on 등의 어휘를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riginal subtitle is "Uh, the way you crushed Mike at ping pong was such a turn-on.", The phrases such as way, you, crushed, ping pong, such, turn-on Can be extracted.

다음에는, 추출된 어휘의 의미를 복수 개의 어휘 레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휘 레벨에 따라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30).Next, the meaning of the extracted vocabulary is searched in the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the vocabulary leve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S130).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어휘 레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과 관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의미를 검색한다.Specifically, a meaning is searched for in a dictionary database associated with a lexical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a lexical level select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lexical levels.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등학생이면(또는, 고등학생 레벨의 외국어 수준일 경우) 사용자는 '고등학생' 어휘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고등학생' 어휘 레벨은 고등학생 정도의 외국어 수준을 갖는 사용자에게 어려운 어휘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등학생' 어휘 레벨을 선택한 경우, '고등학생'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인 '고등학생, '대학생' 및 '일반인' 어휘 레벨과 관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어휘의 의미를 검색한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a high school student (or at a foreign language level of the high school student level), the user may select a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The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includes a vocabulary that is difficult for a user having a foreign languag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s searched in a dictionary database related to the 'high school student,' college student 'and' public person 'vocabulary levels that are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이로써, 어휘 자막이 출력되는 화면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고등학생'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에 포함되는 어휘가 모두 표시되고, '고등학생' 어휘 레벨 미만의 어휘 레벨에 포함되는 어휘는 표시되지 않는다.As a result, all of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vocabulary level above the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which the vocabulary subtitle is output, and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vocabulary level less than the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is not displayed.

앞에서 들었던 예를 가지고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출된 어휘인 way, you, crushed, ping pong, such, turn-on을 '고등학생', '대학생' 및 '일반인' 어휘 레벨과 관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그러면, '고등학생'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에 포함되는 crushed 및 turn-on의 의미만 검색된다.More specifically with the previous examples, the extracted vocabulary, way, you, crushed, ping pong, such, turn-on, is searched in a dictionary database related to the 'high school', 'college student' and 'public' vocabulary levels. . Then, only the meanings of the crushed and turn-on included in the vocabulary level above the 'high school student' vocabulary level are searched.

다음에는, 검색된 의미를 기초로 어휘 자막을 생성한다(S140).Next, a lexical subtitle is generated based on the retrieved meaning (S140).

예를 들어, 'crushed'의 의미는 '이기다'이고, 'turn-on'의 의미는 '(속어)((사람을)) 흥분시키다'일 경우, 어휘 자막은 "crush: 이기다, turn-on: (속어)((사람을)) 흥분시키다"와 같이 어휘와 의미를 함께 포함하는 어휘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eaning of 'crushed' is 'win,' and the meaning of 'turn-on' is '(slang)', the vocabulary subtitle is 'crush: win, turn-on' Vocabulary subtitles that contain both vocabulary and meaning.

바람직하게는, 원어 자막과 어휘 자막은 동일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original and lexical subtitles contain the same synchronization time.

예를 들어, SMI 자막 파일의 경우, 원어 자막인 "Uh, the way you crushed Mike at ping pong was such a turn-on."의 동기화 시간이 <SYNC Start=5997>이면 어휘 자막인 "crush: 이기다, turn-on: (속어)((사람을)) 흥분시키다" 역시 동기화 시간이 <SYNC Start=5997>이다.For example, for an SMI subtitle file, if the synchronization time of the original subtitle "Uh, the way you crushed Mike at ping pong was such a turn-on." Is <SYNC Start = 5997>, then the lexical subtitle "crush: wins" , turn-on: (slang) ((person)) excite "" also has a synchronization time of <SYNC Start = 5997>.

다음에는, 생성된 어휘 자막을 표시한다(S150).Next, the generated vocabulary caption is displayed (S150).

어휘 자막은 TV, 모니터, PDA 및 휴대폰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어 자막의 동기화 시간과 어휘 자막의 동기화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콘텐츠의 오디오(예컨대, 드라마의 대사)가 들리는 비슷한 시간에 어휘 자막을 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리스닝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모르는 어휘 및 의미를 어휘 자막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Vocabulary caption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multimedia playback devices such as TVs, monitors, PDAs, and mobile phones. As described above, by displaying the synchronizing time of the original subtitles and the synchronizing time of the vocabulary subtitles in the same manner, the user can view the vocabulary subtitles at a similar time when the audio of the content (eg, the dialogue of the drama) is heard. As a result, the user can listen and learn vocabulary and meaning that the user does not know through the vocabulary subtitles.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짓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at all description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a) 원어 자막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원어 자막에 포함된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어휘의 의미를 복수 개의 어휘 레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휘 레벨에 따라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의미를 기초로 어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
(a) obtaining a native subtitle;
(b) extracting a vocabulary included in the original subtitle;
(c) searching for a meaning of the vocabulary extracted in step (b) in a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a vocabulary level select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And
(d) generating a lexical subtitle based on the meaning retrieved in step (c)
Subtitle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e)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어휘 자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e) displaying the lexical caption generated in the step (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복수 개의 어휘 레벨에 따른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step (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dictionary databas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어휘 레벨은 상기 어휘의 사용 빈도, 난이도, 사용자의 연령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vocabulary level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ocabulary, the difficulty, the age of the user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원어 자막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원어 자막을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
Downloading the original subtitles via a network; And
Subtitle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the original subtitle from the video f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어휘 레벨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어휘 레벨 이상의 어휘 레벨과 관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의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in the step (c), searching for the meaning in a dictionary database associated with a lexical level above the lexical leve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exical lev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어 자막과 상기 어휘 자막은 동일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title generating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iginal subtitle and the lexical subtitle include the same synchronization time.
KR1020100092984A 2010-09-27 2010-09-27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KR201200315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984A KR20120031551A (en) 2010-09-27 2010-09-27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984A KR20120031551A (en) 2010-09-27 2010-09-27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51A true KR20120031551A (en) 2012-04-04

Family

ID=4613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984A KR20120031551A (en) 2010-09-27 2010-09-27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15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501A (en) * 2017-03-1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languag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501A (en) * 2017-03-1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languag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599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ynchronize second screen content with audio/video programming using closed captioning data
Neves 10 fallacies about Subtitling for the d/Deaf and the hard of hearing
KR101899588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gn language animation data,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broadcasting method
US200500806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07150724A (en) Video view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KR20040039432A (en) Multi-lingual transcription system
Romero-Fresco Reception studies in live and pre-recorded subtitles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Peng et al. Slidecho: Flexible non-visual exploration of presentation videos
JP5202217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extracting current keywords from broadcast contents
KR101066651B1 (en) Language learning method
KR10222913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of digital broadcasting using real time translation
KR20120031551A (en) Method for producing subtitle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of user
JP3998187B2 (en) Content commentary data gener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thereof, and content commentary data present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2004362280A (en) Broadcast program accumulation device
KR20140122807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language learning data
US8130318B2 (en) Method and audio/video device for generating response data related to selected caption data
CN110675672B (en) Foreign language teaching system for original film and television
KR20140077730A (en) Method of displaying cap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apparatus for perfoming the same
CN112313726A (en) 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language through multimedia
JP655558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KR1011370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search result using caption information
CN109977239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6050215A (en)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Sari SUBTITLING STRATEGY IN CLASH-A-RAMA ANIMATION SERIES SEASON 1 EPISODE 6: A KNIGHT TO REMEMBER
Mochizuki et al. Development of a Closed Caption TV Corpus Retrieval System to Seek Video Scenes Containing Useful Expressions for Languag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