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16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167A
KR20120030167A KR1020100091328A KR20100091328A KR20120030167A KR 20120030167 A KR20120030167 A KR 20120030167A KR 1020100091328 A KR1020100091328 A KR 1020100091328A KR 20100091328 A KR20100091328 A KR 20100091328A KR 20120030167 A KR20120030167 A KR 20120030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pagation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9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0167A/ko
Publication of KR2012003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OMPUT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신하여 사용자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을 통칭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여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또는 무선 인터넷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시스템의 입장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알아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식점"의 위치를 요청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주변의 "음식점"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지도 찾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우선은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소정 반경의 지도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이동통신망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 서비스 또는 소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어야 하는데, 그 방안으로써 GPS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는 방안이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의 위치를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로 추정하는 방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방안은 GPS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경우에는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두 번째 방안은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반경이 너무 넓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정 오차가 너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모듈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산출 또는 추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전파 지연 검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기지국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전파 지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기지국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 범위를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전에 통신한 기지국 및 해당 기지국의 안테나 방향 정보를 저장해 두고 추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산출 시 이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범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지국에 포함된 3 개의 섹터별 안테나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추정 산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이동통신망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신호 및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100)과, 그 이동통신망 시스템(100)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통신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에 구비된 기지국(11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 또는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도 1에서는 다른 통신 단말기나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서버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과 위치 추적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고,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위치 추적 서버(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기지국(110)은 통신 시스템에 따라 BTS(Base-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와 BSC(Base Station Controller)의 구성 또는 eNB(Enhanced Node 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110)은 복수 개의 안테나(예를 들어 각각 120도 방향으로 설치된 3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신호가 어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하나의 셀이 A,B,C 세 개의 섹터로 구분되고, 각각의 섹터에 대해 각기 다른 안테나(111,112,113)가 커버를 하는 경우, 기지국(110)은 A 섹터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 안테나가 A 섹터를 커버하는 안테나(11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Sequence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의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전송하는 통신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기지국(110) 간의 거리에 따라 그 도착 시간이 변하게 되는데, 기지국(110)은 이러한 수신 전파의 지연 시간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CAZAC Sequence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지연 시간을 판단 및 검출하는 과정 자체는 기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기지국(110)은 검출한 전파 지연 시간을 기초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공기중 전파의 전송속도는 알려져 있는 것이고, 속도와 시간을 아는 경우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은 물리법칙에 의해 자명하므로,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200)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이렇게 산출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까지의 거리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통신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110)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 아이디 및 해당 기지국의 안테나 아이디)를 위치 추적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추적 서버(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200)까지의 거리 정보와 기지국(110) 정보, 특히 기지국(110)의 안테나 아이디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A 섹터를 커버하는 안테나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위치 추적 서버(120)는 해당 안테나(111) 방향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범위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범위가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은 섹터 A의 일정한 반경을 갖는 범위(a)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에 해당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위치 추적 서버(120)는 도 3의 산출 위치(a)를 나타내는 호 선상의 중심점을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라 판단(산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산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는 저장될 수 있는데, 위치 추적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 기 저장된 이전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위치 추적 서버(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및 해당 기지국 안테나(111,112,113)의 방향 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A섹터에서 통신을 함으로써 위치 추적 서버(120)가 A 섹터의 특정 반경의 범위(a)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로 산출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B섹터로 이동하는 경우 위치 추적 서버(120)는 B 섹터의 특정 반경의 범위(b) 중 A 섹터와 만나는 소정 근처 범위(b')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로써 산출할 수 있고, 이때 기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전 위치 정보가 이용되는 것이다.
이처럼 기지국(110)과 위치 추적 서버(12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신하는 기지국 안테나(111,112,113) 방향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인 위치가 산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전 위치 정보(특히 이전 기지국 안테나(111,112,113) 방향)를 고려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범위를 보다 한정하여 구체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이 기지국(110)과 위치 추적 서버(120)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의 구성 및 각 구성 요소들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즉, 기지국(110)의 일부의 기능이 위치 추적 서버(120)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위치 추적 서버(120)의 일부의 기능이 기지국(110)에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고, 따라서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에는 기지국(110) 및 위치 추적 서버(120)의 구분 없이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의 각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은 신호 수신부(130), 전파 지연 검출부(140), 기지국 정보 추출부(150), 데이터베이스부(160), 위치 정보 산출부(170), 저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데이터베이스부(16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및 기지국 안테나(111,112,113)의 방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기지국(110)이 3개의 섹터에 대응되는 각 안테나(111,112,11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기지국(110) 및 해당 기지국(110)의 3개의 안테나(111,112,113) 방향 정보가 모두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부(18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산출부(170)에서 산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이때 저장부(180)에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이전에 통신한 기지국(110) 및 해당 기지국(110)의 안테나(111,112,113) 방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파 지연 검출부(140)는 신호 수신부(130)에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CAZAC Sequence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 정보 추출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및 해당 기지국 안테나(111,112,113)의 방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60)에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산출부(170)는 전파 지연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기지국 정보 추출부(150)에서 추출한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및 해당 기지국 안테나(111,112,113)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위치 정보 산출부(170)는 상기 전파 지연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기지국 정보 추출부(150)에서 추출한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및 해당 기지국 안테나(111,112,113)의 방향 정보는 물론이고,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도 1의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의 신호 흐름 및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시스템(100)은 LTE 방식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신호를 기지국(110)에 전송한다(단계 S1).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신호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00) 전원이 새로 켜지거나 핸드오버 발생시 또는 타이밍이 어긋났다고 판단하는 경우 등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수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신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한다(단계 S3). 그리고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에 따라 TA(Time Advance)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단계 S5) 랜덤 액세스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7).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수신된 TA 제어 신호에 따라 타이밍을 조정한다(단계 S9).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수신된 TA 제어 신호에 따라 타이밍을 조정한다는 예를 들어 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전파 지연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발신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조금 앞당긴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 지연을 해소하는 과정은 기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기지국(110)은 전파 지연 시간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단계 S111).
그리고 기지국(110)은 계산된 거리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안테나 아이디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120)에 전송한다(단계 S13).
위치 추적 서버(1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및 기지국 안테나(111,112,113)의 방향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60)가 기 구축되어 있는데(단계 S15), 위치 추적 서버(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즉,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기지국(110) 간의 거리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기지국 안테나 아이디)와,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기지국(110)의 정보(예를 들어 해당 기지국(110)의 위치 좌표와 해당 안테나 아이디에 대응되는 방향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의 위치를 추정 산출한다(단계 S17).
이때 위치 추적 서버(12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이동통신망 시스템 2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통신 기지국 120 : 위치 추적 서버
130 : 신호 수신부 140 : 전파 지연 검출부
150 : 기지국 정보 추출부 160 : 데이터베이스부
170 : 위치 정보 산출부 180 : 저장부

Claims (7)

  1. (a)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e) 단계에서 산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와, 상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전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 및 해당 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전파 지연 검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기지국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전파 지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기지국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지연 검출부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Sequence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의 전파 지연 시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6.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에서 산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상기 전파 지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파 지연 시간과, 상기 기지국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및 해당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전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 및 해당 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KR1020100091328A 2010-09-17 2010-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0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328A KR20120030167A (ko) 2010-09-17 2010-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328A KR20120030167A (ko) 2010-09-17 2010-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167A true KR20120030167A (ko) 2012-03-28

Family

ID=4613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328A KR20120030167A (ko) 2010-09-17 2010-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01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510B2 (en) Network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106990415B (zh) 改进车辆定位服务
US10101434B2 (en) Position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3139905B (zh) 对用户设备进行定位的方法和装置
US9161237B2 (en) Checking a validity of coverage area position information
US104773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location tracking of multiple wireless terminals
JP2020515105A (ja) チャネル待ち時間決定方法、測位方法および関連機器
CN104918323A (zh) 一种终端定位方法及设备
CN105992259B (zh) 定位检测方法及装置
CN100499920C (zh) Cdma移动目标的手持式探测设备及探测方法
EP2533569A1 (en) Method for identifying missing neighbors and for updating current neighbors in wireless networks
CN109819490B (zh) 小区间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50087340A1 (en) Base station positioning apparatus, base station positioning method, and base station positioning program
CN109564271B (zh) 在网络内的用户设备的位置检测
KR1012344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8445A (ko) 단말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정보를 단말에 제공해주는 방법
KR20040067533A (ko) 기지국 위치정보와 이동전화로부터 수신된 전파특성정보및 기 측정된 전파특성정보를 이용한 이동전화 위치추정방법
KR100680294B1 (ko) 이동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장치 및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9277527B2 (en) Wireless access node calibration capability for improved mobile wireless device location accuracy
KR201200301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871390B2 (ja) 無線通信端末の位置に応じてサービス提供の可否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02807B1 (ko)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KR102391139B1 (ko) Nlos 환경에서 거리기반 확률 추정을 이용한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996639B1 (ko) 위치 측위 시 오차 요인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120035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관리 서버 및 그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