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149A -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블록 재사용 - Google Patents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블록 재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149A
KR20120030149A KR1020127001331A KR20127001331A KR20120030149A KR 20120030149 A KR20120030149 A KR 20120030149A KR 1020127001331 A KR1020127001331 A KR 1020127001331A KR 20127001331 A KR20127001331 A KR 20127001331A KR 20120030149 A KR20120030149 A KR 2012003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ignals
channel information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009B1 (ko
Inventor
루 자오
스테판 브뤼케
아르민 데코르시
볼프강 그란초프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3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하나의 제공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신호들 중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고, 제1 신호들에 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비해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특정 레벨 미만인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제2 신호들에 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 제1 채널 정보의 랭킹에 기초하여 배정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을 수신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은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된다.

Description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블록 재사용{RESOURCE BLOCK REUSE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자원 할당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6월 1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Resource Block within a Cluster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이고,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통합되는,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제61/187,804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섹션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해 배경기술이나 맥락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의 설명은 추구될 수 있는 개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전에 추구되거나 착상되어 온 개념들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원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것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항들 및 설명에 대한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포함되는 것이 선행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이 아니다.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들은 다수의, 지리적으로 분산된 안테나들(액세스 포인트들), 서빙하는 다중-섹터 셀들을 갖도록 구성되고, 중앙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에 접속되며, 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사용자 장비 또는 UE)와의 통신 링크들은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서빙되는 인접한 섹터들 간에 핸드-오프될 수 있고, 단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되는 섹터들 간에 이동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및 제어의 구성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CoMP)의 사용에 적합하다. 다수의 지리적으로 분포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송신의 조정은 UE에서 신호-대 잡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은 셀 에지(edge) 데이터 처리량 및 평균 스펙트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기술 요구사항 TR 36.814인 "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 Physical Layer Aspects (Release 9)"에 의한 LTE-어드밴스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하여 고려된다. CoMP의 하나의 제안된 유형은 근접한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서빙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PRB)을 사용하여 CoMP 할 수 있는 단일 UE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조인트 프로세싱/송신(JP/T)이며, LTE-어드밴스드에 대하여, PRB는 신호들을 상이한 도달 시간들과 결합하기 위한 RAKE 수신기 기술을 사용하여, 지정되는 타임 슬롯 내에서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서브-캐리어들의 특정 세트로서 정의된다. 다중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UE로의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의 할당은 CoMP-JP/T에 의해 서빙되는 중인 UE에서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빙되지만,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서빙되는 클러스터의 섹터들 내의 UE들로의 PRB들의 재할당을 위한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에, 할당된 PRB들은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다른 UE들을 서빙하기 위해 이용가능하지는 않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은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신호들을 위한 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relative to)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제2 신호들을 위한 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제2 신호들은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제1 채널 정보의 랭킹(ranking)에 기초하여 배정(assign)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allocation)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이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된다.
다른 제공되는 실시예들은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은,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복수의 송신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섹터 내의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1 송신 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신호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포인트에서,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신호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송신 포인트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들을 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들로부터의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다른 송신 포인트로부터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2 섹터 내에서, 상기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제공되는 실시예들은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 및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제공되는 실시예들은,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첨부한 도면들의 특징들로 도시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자원 블록 재사용을 예시하는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자원 블록 재사용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자원 블록 재사용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자원 블록 재사용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한다.
다음의 기술에서, 제한이 아닌 설명의 목적들로, 세부사항 및 기술들이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들 세부사항들 및 기술들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듯이,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한 것,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그리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localize)될 수 있고/있거나 둘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컴포넌트들은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에 따르는 것과 같이,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전달할(communicate) 수 있다 (예,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및/또는 로컬 시스템, 분포된 시스템 내에서의 또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추가로, 특정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비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기술된다. 사용자 장비는 또한 사용자 단말이라고 불릴 수 있고,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무선 단말, 이동 디바이스, 노드,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사용자 에이전트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휴대 전화, 무선(cordless)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스마트폰, 무선 로컬 루프(WLL) 국, 휴대 정보 단말기(PDA), 랩톱, 소형 통신 디바이스, 소형 컴퓨팅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무선 모뎀 카드 및/또는 무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또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양상들은 기지국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기술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고, 또한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 노드, 노드 B, 이볼브드 노드B(eNB), 송신 포인트 또는 몇몇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라고 불릴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무선(air)-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무선-인터페이스 프레임들을 IP 패킷들로 변환함으로써 무선 단말과 나머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라우터로서 동작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속성들의 관리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 간의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 실시예들 또는 특징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의 면에서 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할 수 없고/없거나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이들 접근들의 조합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 설명에서, 단어 "예시적인"은 '예시, 보기, 또는 예로서 서빙하는'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예 및/또는 설계가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설계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단어 '예시적인'의 사용은 구체적으로 개념들을 제시하도록 의도된다.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통신 시스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NF)의 서브캐리어들로 효율적으로 파티셔닝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OFDM)를 활용하고,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주파수 서브-채널들, 톤들 또는 주파수 빈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OFDM 시스템에 대하여, 송신될 데이터(즉, 정보 비트들)는 코딩된 비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특정 코딩 방식으로 먼저 인코딩되고, 그리고 코딩된 비트들은 그 다음에 변조 심볼들에 맵핑되는 멀티-비트 심볼들로 추가로 그룹화된다. 각 변조 심볼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 변조 방식(예, M-PSK 또는 M-QAM)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 내의 포인트에 대응한다. 각 주파수 서브캐리어의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는 각 시간 간격에서, 변조 심볼은 각각의 NF 주파수 서브캐리어에서 송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OFDM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친 감쇄의 상이한 양들에 의해 특성화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의해 야기되는 심볼-간 간섭(ISI)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 송신들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그리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하여 구축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 및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독립 채널들은 또한 공간 채널들로서 지칭되며, 여기서, NS≤ min{NT, NR}이다. NS개의 독립 채널들의 각각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되는 추가적인 차원성(dimensionality)이 활용되는 경우, MIMO 시스템은 향상된 성능(예, 더 높은 처리량(throughput) 및/또는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들을 지원한다. TDD 시스템에서, 상호성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 상에 있다. 다수의 안테나들이 기지국에서 사용가능할 때, 기지국으로 하여금, 순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 빔포밍 이득을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기지국(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안테나 그룹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6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제1 안테나(104) 및 제2 안테나(106)를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안테나 그룹은 제3 안테나(108) 및 제4 안테나(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그룹은 제5 안테나(112) 및 제6 안테나(11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언급된 안테나 그룹들의 각각은 2개의 안테나를 갖는 것으로서 식별되고,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이 각 안테나 그룹에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되어야 한다.
도 1로 돌아가서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비(116)는, 제1 순방향 링크(120)를 통해 제1 사용자 장비(116)에 정보의 송신 및 제1 역방향 링크(118)를 통해 제1 사용자 장비(116)로부터 정보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5 안테나(112) 및 제6 안테나(114)와 통신 중이도록 도시된다. 도 1은 또한 제2 순방향 링크(126)를 통해 제2 사용자 장비(122)로의 정보의 송신 및 제2 역방향 링크(124)를 통해 제2 사용자 장비(122)로부터 정보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3 안테나(108) 및 제4 안테나(110)와 통신 중인 제2 사용자 장비(122)를 도시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도 1에서 도시되는 통신 링크들(118, 120, 124 및 126)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순방향 링크(120)는 제1 역방향 링크(118)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하도록 설계되는 영역 및/또는 안테나들의 각 그룹은 기지국의 송신 섹터 또는 섹터로서 종종 지칭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되는 상이한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0)의 섹터 내의 사용자 장비에 전달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20 및 126)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100)의 송신 안테나들은 상이한 사용자 장비(116 및 122)를 위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잡음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빔포밍을 활용한다. 또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랜덤하게 산재된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위해 빔포밍을 사용하는 기지국은, 모든 기지국의 사용자 장비에 단일 안테나를 통해 전-방향으로(omni-direcionally) 송신하는 기지국보다 이웃하는 셀들 내의 사용자 장비에 간섭을 덜 야기한다.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부응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되는 논리적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다운링크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페이징 정보를 전달하는 다운링크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PCCH), 하나 또는 몇몇의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들에 대한 제어 정보 및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스케줄링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대-다중점 다운링크 채널인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구축한 후에, MCCH는 오직 MBMS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들에 의해 사용된다. 전용 제어 채널(DCCH)은 전용 제어 정보(예를 들어, RRC 접속을 갖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특정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점-대-점 양-방향의 채널인 또 다른 논리적 제어 채널이다. 공통 제어 채널(CCCH)은 또한 랜덤 액세스 정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논리적 제어 채널이다. 논리적 트래픽 채널들은,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전용되는 점-대-점 양-방향의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은 트래픽 데이터의 점-대-다중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일부에 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로 분류되는 논리적 전달 채널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DL 전달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다운링크 공용 데이터 채널(DL-SDCH), 멀티캐스트 채널(M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포함할 수 있다. UL 전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요청 채널(REQCH), 업링크 공용 데이터 채널(UL-SDCH) 및 복수의 물리적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채널들은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동기화 채널(SCH), 공통 제어 채널(CCCH), 공용 다운링크 제어 채널(SD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 공용 업링크 배정 채널(SUACH), 확인응답 채널(ACKCH), 다운링크 물리적 공용 데이터 채널(DL-PSDCH), 업링크 전력 제어 채널(UPCCH), 페이징 표시자 채널(PICH), 로드 표시자 채널(LI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하이브리드 ARQ 표시자 채널(PHI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용 채널(PDSCH) 및 물리적 멀티캐스트 채널(PM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QICH), 확인응답 채널(ACKCH), 안테나 서브세트 표시자 채널(ASICH), 공용 요청 채널(SREQCH), 업링크 물리적 공용 데이터 채널(UL-PSDCH), 광대역 파일럿 채널(BPI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업링크 공용 채널(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다음의 용어 및 특징들은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G 3세대
3GPP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ACLR 인접 채널 누출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PR 인접 채널 전력비
ACS 인접 채널 선택도
ADS 어드밴스드 설계 시스템
AMC 적응성 변조 및 코딩
A-MPR 추가 최대 전력 감소
ARQ 자동 반복 요청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
BTS 기지국 트랜시버
CDD 사이클릭 지연 다이버시티
CCDF 상보적 누적 분포 함수
C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FI 제어 포맷 표시자
Co-MIMO 협력적 MIMO
CP 사이클릭 프리픽스
CPICH 공통(common) 파일럿 채널
CPRI 공통 공중(public) 무선 인터페이스
CQI 채널 품질 표시자
CRC 순환 중복 검사
DCI 다운링크 제어 표시자
DFT 이산 푸리에 변환
DFT-SOFDM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
DL 다운링크(기지국에서 가입자로의 송신)
DL-SCH 다운링크 공용 채널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DT 개발 도구세트(toolset)
DVSA 디지털 벡터 신호 분석
EDA 전자적 설계 자동화
E-DCH 어드밴스드 전용 채널
E-UTRAN 이볼브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MBMS 이볼브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eNB 이볼브드 노드 B
EPC 이볼브드 패킷 코어
EPRE 자원 엘리먼트당 에너지
ETSI 유럽 전기통신 표준 협회
E-UTRA 이볼브드 UTRA
E-UTRAN 이볼브드 UTRAN
EVM 에러 벡터 크기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FT 고속 푸리에 변환
FRC 고정 기준 채널
FS1 프레임 구조 유형 1
FS2 프레임 구조 유형 2
GSM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HARQ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DL 하드웨어 기술 언어
HI HARQ 표시자
HSDP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HSPA 고속 패킷 액세스
HSU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IFFT 역 FFT
IOT 상호운용성 시험
IP 인터넷 프로토콜
LO 로컬 오실레이터
LTE 롱 텀 에볼루션
MAC 매체 액세스 제어
MBM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SFN 단일-주파수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MCH 멀티캐스트 채널
MIM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SO 다중 입력 단일 출력
MME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P 최대 출력 전력
MPR 최대 전력 감소
MU-MIMO 다중 사용자 MIMO
NAS 비-액세스 층(stratum)
OBSAI 개방 기지국 구조 인터페이스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PAPR 피크-대-평균 전력비
PAR 피크-대-평균비
PB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P-CCPCH 제1 공통 제어 물리적 채널
PCFI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
PCH 페이징 채널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P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용 채널
PHICH 물리적 하이브리드 ARQ 표시자 채널
PHY 물리적 계층
PRA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PMCH 물리적 멀티캐스트 채널
PMI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
P-SCH 제1 동기화 신호
PUC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SCH 물리적 업링크 공용 채널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부응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된 MIMO 통신 시스템(200)은 MIMO 통신 시스템(200) 내의 송신기 시스템(210)(예,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및 수신기 시스템(250)(예, 액세스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송신기 시스템(210)으로서 지칭되고 사용자 장비는 수신기 시스템(250)으로서 지칭되더라도, 이러한 시스템들의 실시예들은 양-방향의 통신을 할 수 있다고 당업자는 인식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들 "송신기 시스템(210)" 및 "수신기 시스템(250)"은 각 시스템으로부터 단일한 방향의 통신을 시사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도 2의 송신기 시스템(210) 및 수신기 시스템(250)은 도 2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다른 수신기 및 송신기 시스템들과 각각 통신할 수 있음에 또한 유의하여야만 한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제공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적인 송신기 시스템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알려진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전형적으로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다. 그 다음에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 및 멀티플렉싱 파일럿은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된다(심볼 맵핑됨).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변조, 코딩 및 데이터 레이트는 송신기 시스템(210)의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인 블록도에서,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될 수 있고, TX MIMO 프로세서(220)는 변조 심볼들을(예, OFDM에 대해)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 시스템 트랜시버(TMTR)(222a 내지222t)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TX MIMO 프로세서(220)는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및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각 송신기 시스템 트랜시버(222a 내지 222t)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인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며,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컨디셔닝은 증폭, 필터링, 상향-변환 등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송신기 시스템 트랜시버(222a 내지 222t)에 의해 생성된 변조 신호는 그 다음에 도 2에서 도시되는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들은 수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수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개별적인 수신기 시스템 트랜시버(RCVR)(254a 내지 254r)에 제공된다. 각 수신기 시스템 트랜시버(254a 내지 254r)는 개별적인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컨디셔닝은 증폭, 필터링, 하향-변환 등과 같은 작동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에 기초하여 수신기 시스템 트랜시버들(254a 내지 254r)로부터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한다. 일 예시에서,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은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송신된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2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과 상보적일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데이터 싱크(264)에 프로세싱된 심볼 스트림들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채널 응답 추정치는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해 발생되고,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공간/시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전력 레벨들을 조절하고, 변조 레이트들 또는 방식들을 변경하고/하거나 다른 적절한 작동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의 신호-대-간섭비(SIR) 및 신호-대-잡음비(SNR)와 같은 채널 특성들을 추가로 추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추정된 채널 특성들을 프로세서(27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의 RX 데이터 프로세서(260) 및/또는 프로세서(270)는 또한 시스템에 대한 "동작(operating)" SNR의 추정치를 추가로 유도할 수 있다. 수신기 시스템(250)의 프로세서(270)는 또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제공할 수 있고, 채널 상태 정보(CSI)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예를 들어, 동작 SNR 및 다른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는 적절한 결정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스케줄링, MIMO 세팅들, 변조 및 코딩 선택들 등에 관한)을 하기 위해 송신기 시스템(210)(예, 기지국 또는 eNode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프로세서(270)에 의해 생성되는 CSI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수신기 시스템 트랜시버들(254a 내지 254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그리고 송신기 시스템(210)에 의해 다시 송신된다. 게다가, 수신기 시스템(250)에서의 데이터 소스(236)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프로세싱될 추가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에서의 프로세서(270)는 또한 사용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유형화(formulate)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 및/또는 통신 링크에 관한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역방항 링크 메시지는 수신기 시스템(250)에서의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고, TX 데이터 프로세서(238)는 또한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된 정보는 그 다음에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수신기 시스템 트랜시버들(254a 내지 254r)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그리고 송신기 시스템(210)에 다시 송신된다.
MIMO 통신 시스템(200)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은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공간 멀티플렉싱은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 상에서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고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발생한다. 이는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이 다수의 송신기 시스템들 안테나들(224a 내지 224t)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인,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들의 사용과는 대조적이다.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는 MIMO 통신 시스템(200)에서,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보장하기(ensure) 위해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프리코드 매트릭스는 서로로부터 충분히 무상관(decorrelate)된다. 임의의 특정 수신기 시스템 안테나(252a 내지 252r)에서 도착하는 합성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개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은 다른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로부터 다른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달하는 신호들이 존재할 때 결정될 수 있음을, 무상관이 보장한다.
스트림들 간의 교차-상관의 양이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 시스템(250)이 수신된 신호들에 관한 정보를 송신기 시스템(210)에 피드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송신기 시스템(210) 및 수신기 시스템(250) 모두는 다수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가진 코드북을 포함한다. 몇몇 예시들에서, 이러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의 각각은 수신된 신호 내에서 겪는 교차-상관의 양에 관련될 수 있다. 매트릭스 내의 값들보다는 특정 매트릭스의 인덱스를 전송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 송신기 시스템(210)으로 전송되는 피드백 제어 신호는 특정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인덱스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몇몇 예시들에서, 피드백 제어 신호는 또한 공간 멀티플렉싱에서 얼마나 많은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들이 사용될지를 송신기 시스템(210)에 표시하는 랭크 인덱스를 포함한다.
MIMO 통신 시스템(200)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기술된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 방식 대신에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들을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은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을 통해서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에 전달되는 데이터 레이트는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 MIMO 통신 시스템(200)보다 전형적으로 낮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통신 채널에 강건함 및 신뢰도를 제공한다. 송신 다이버시티 시스템에서,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로부터 송신된 각각의 신호들은 상이한 간섭 환경(페이딩, 반사, 다중-경로 위상 쉬프트들)을 겪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에서 수신되는 상이한 신호 특성은 적절한 데이터 스트림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랭크 표시자는 전형적으로 1로 설정되어, 송신기 시스템(210)에 대해 공간 멀티플렉싱을 사용하지 않도록 알린다.
다른 실시예들은 공간 멀티플렉싱 및 송신 다이버시티의 조합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을 활용하는 MIMO 통신 시스템(200)에서, 제1 데이터 스트림은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 중 2개 상에서 송신될 수 있고,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남은 2개의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 상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랭크 인덱스는 프리코드 매트릭스의 완전한 랭크보다 더 낮은 정수로 설정되어, 송신기 시스템(210)이 공간 멀티플렉싱 및 송신 다이버시티의 조합을 이용하도록 표시한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 신호들은 송신기 시스템 안테나들(224a 내지 224t)에 의해 수신되고, 송신기 시스템 트랜시버들(222a 내지 222t)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송신기 시스템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며,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기 시스템(210)의 프로세서(230)는 그 다음에 향후 순방향 링크 송신들을 위해 사용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고, 그 다음에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30)는 향후 순방향 링크 송신들에 대하여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보고된 CSI는 송신기 시스템(210)의 프로세서(230)에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하여 사용될 코딩 및 변조 방식들뿐 아니라 데이터 레이트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정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은 그 다음에 수신기 시스템(250)에 이후의 송신들에서 사용 및/또는 양자화를 위해 송신기 시스템(210)에서의 하나 이상의 송신기 시스템 트랜시버들(222a 내지 222t)에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보고된 CSI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14) 및 TX MIMO 프로세서(220)에 대하여 다양한 제어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송신기 시스템(210)의 프로세서(23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신기 시스템(210)의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CSI 및/또는 다른 정보는 데이터 싱크(244)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기 시스템(210)에서의 프로세서(230) 및 수신기 시스템(250)에서의 프로세서(270)는 자신들의 개별적인 시스템들에서 동작들을 지시할 수 있다. 추가로, 송신기 시스템(210)에서의 메모리(232) 및 수신기 시스템(250)에서의 메모리(272)는 개별적으로, 송신기 시스템 프로세서(230) 및 수신기 시스템 프로세서(27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위해 저장장치(storage)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다양한 프로세싱 기법들이 NT개의 송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검출하기 위한 NR개의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은, "연속적인 널링(nulling)/등화 및 간섭 제거"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 및/또는 "연속적인 간섭 제거" 또는 "연속적인 제거"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의 등화 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의(spatial) 및 공간(space)-시간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블록 재사용을 예시하는 무선 네트워크(3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에서, 3개의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들(또한 송신 포인트들로서 알려짐)(AP1, AP2 및 AP3)은 각각 3개의 1차 섹터들을 서빙하고, 기저대역 프로세서(301)에 의해 관리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프로세서(230) 또는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의 컴포넌트, 모듈 또는 서브시스템일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는 복수의 섹터들을 서빙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및 AP3)과 통신 중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AP1은 섹터들 1A, 1B 및 1C를 서빙하고, 액세스 포인트 AP2는 2A, 2B 및 2C를 서빙하며,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AP3는 섹터들 3A, 3B 및 3C를 서빙한다. 특히, 섹터들 1A, 2B 및 3C는, 각 섹터가 3개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에 의해 서빙되는 1차 섹터인 근접한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넷 이상의 섹터들 또는 셋 미만의 섹터들을 각각 서빙할 수 있다. 클러스터의 일 섹터 내의 UE(예, UE1)는 신호들의 강도 및 품질이 우세한 채널 조건들에 의존할 클러스터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다음의 논의에서, 예를 들어, 3GPP 기술 규격 TS 36.311인 "E-UTRA 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Specification"에 따른 정상 콜(call) 절차들은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이 가능한 UE들로 하여금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통신을 구축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고 가정된다.
도 3에서, 섹터 1A 내의 UE는 CoMP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은 제1 다운링크 통신 채널(302)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 AP1으로부터 신호들을, 제2 다운링크 통신 채널(304)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 AP2로부터 신호들을, 제3 다운링크 통신 채널(306)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 AP3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UE1은 각 수신 신호의 신호 강도(예,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또는 RSRP)를 결정하고, 수신된 신호 강도들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를 2개의 그룹들로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들의 제1 그룹(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최대 RSRP)를 갖는 신호 및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된 신호로서 정의된 전력 임계치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된 레벨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 미만의 X 데시벨일 수 있어서, 최대RSRP-X db의 전력 임계치보다 더 큰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임의의 신호는 제1 신호들 중 하나일 것이다. 전형적으로, 가장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는 UE에 가장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예, 도 3의 UE1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 AP1)로부터의 신호일 것이지만, 반드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알고리즘들 및 채널 조건들에 의존하는 경우가 아닐 수 있다.
신호들의 제2 그룹(제2 신호들)은 전력 임대치 미만의(예, 최대RSRP-X db보다 적은) 수신 신호 강도들을 갖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들은 UE와 관련하여 낮은 간섭 섹터들로 분류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온다.
도 3에서 예를 들어, UE1은 AP1으로부터의 신호는 가장 높은 신호 강도를 갖고, AP2로부터의 신호는 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므로, AP1으로부터의 신호와 함께 제1 그룹 내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UE1은 또한 AP3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전력 임계치 미만이므로, 신호들의 제2 그룹 내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UE1은 UE에 가장 높은 신호 강도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업링크 채널(예, AP1으로의 업링크(303)) 상에서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로 제1 신호들에 관한 채널 정보(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정보는 수신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섹터 인덱스는 UE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 내에 포함되고, 그리고 수신 신호가 발신된 송신 섹터 및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한다. 제1 채널 정보는,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공용 채널(PUSCH)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SI는 각 수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포함할 수 있고, CQI는 예를 들어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QICH)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채널 품질 표시자는, 다양한 채널 조건들(예, 간섭, 페이딩 레이트들 및 다중-경로 조건들)에 대응하는 코딩 레이트 조합들 및 미리-정의된 변조 방식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301) 내의 테이블을 가리킬 수 있다. UE1은 또한 CoMP 통신 모드 내에서 동작하기 위해 UE1의 용량을 기저대역 프로세서(301)에 알릴 수 있다.
UE1은 제2 신호들(예, AP3으로부터의 신호)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동일한 업링크 채널(예, 업링크 채널(303)) 상에서 제2 신호들에 관한 채널 정보(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UE1으로부터 수신된 제1 채널 정보 및 UE1의 CoMP 능력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는 제1 신호들을 랭킹(rank)(예, CQI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함)하고, 제1 신호들과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들을 UE1에 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은 그 다음에 랭킹들 및 배정들에 기초하여 AP1 및 AP2로부터의 물리적 자원 블록(PRB)들의 할당을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사용은 오직 예시적이고,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는 제2 신호들과 연관된 송신 포인트(예, AP3)는 낮은 간섭 섹터(예, UE1에 비하여)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는 낮은 간섭 섹터(예, 섹터 2B) 내에서 또 다른 UE(예, UE2)에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예, UE1에 이미 할당된 PRB들)을 재할당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400)의 동작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무선 네트워크(40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및 AP3)을 포함하고, 각 액세스 포인트는 CoMP 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 1) 및 CoMP 할 수 없는 레거시(legacy)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각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406)를 통해 기저대역 프로세서(301)에 연결된다. 네트워크(406)는, 예를 들어, 인터넷, 사설 광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광섬유, 마이크로파 또는 유선 네트워크), 공중 스위칭된 원격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UE1은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1에 가장 강한 신호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기저대역 프로세서(301)에 제1 채널 정보 및 제2 채널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채널 정보 보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301)는 UE들 및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 자원 할당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조인트 스케줄러 모듈(401)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스케줄러 모듈(401)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1과 같은 CoMP 할 수 있는 UE로부터 제1 채널 정보 및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정보 수신기 모듈(40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스케줄러(401)는 또한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에서 UE들로부터 제1 채널 정보 및 제2 채널 정보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정보 평가 모듈(40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스케줄러(401)는 또한, UE가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을 때,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예, AP1 및 AP2)로부터 제1 UE(예컨대, UE1)에 물리적 자원 블록들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자원 블록 할당 모듈(404)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스케줄러(401)는 또한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을 제2 UE(예컨대, UE2)에 재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자원 블록 재할당 모듈(4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 UE1)에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500)이다. 동작 50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한다. 동작 50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채널 정보를 제1 신호들에 제공하고,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동작 50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채널 정보를 제2 신호들에 제공하고, 제2 신호들은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동작 50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채널 정보의 랭킹에 기초하여 배정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은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600)이다. 동작 602에서는,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1 송신 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가장 높은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신호들을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섹터 내의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604에서,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신호들을 위해, 제1 송신 포인트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606에서,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송신 포인트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들을 배정하고, 송신 포인트들로부터 자원 블록들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한다. 동작 608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2 섹터 내에서, 자원 블록들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한다.
도 7은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700)를 도시한다. 특히, 도 7에서 도시되는 장치(700)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액세스 포인트들 AP1, AP2 및 AP3)의 적어도 일부,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사용자 장비(UE1 및 UE2)의 적어도 일부, 기저대역 프로세서(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송신기 시스템 또는 수신기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되는 송신기 시스템(210) 및 수신기 시스템(25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장치(700)는 무선 네트워크 내에 상주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 및/또는 적절한 수신 및 디코딩 회로(예, 안테나들, 트랜시버들, 복조기들 등)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장치(700)는 또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 및/또는 적절한 인코딩 및 송신 회로(예, 안테나들, 트랜시버들, 변조기들 등)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7에서 도시되는 장치(700)는 유선 네트워크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도 7은 장치(700)가 하나 이상의 동작들(예를 들어, 신호 컨디셔닝, 분석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는 메모리(702)를 포함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도 7의 장치(700)는 메모리(702) 내에 저장되는 명령들 및/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704)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예를 들어, 장치(700) 또는 관련된 통신 장치의 동작 또는 구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7 내에 도시되는 메모리(702)가 단일 블록으로서 도시되지만, 구분된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 유닛들을 이루는 둘 이상의 구분된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프로세서(704)에 통신적으로 접속되고 있는 메모리는 도 7에 도시되는 장치(700)의 외부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채널 정보 보고 모듈(407), 채널 정보 수신기 모듈(402), 채널 정보 평가 모듈(403), 자원 블록 할당 모듈(404) 및 자원 블록 재할당 모듈(405)과 같은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컴포넌트들은 메모리(702)와 같은 메모리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메모리들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한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동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2배속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도 7의 장치(700)는 사용자 장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SD 카드, 네트워크 카드, 무선 네트워크 카드, 컴퓨터(랩톱들, 데스크톱들을 포함함), 개인 휴대 보조기(PDA)들, 휴대 전화들, 스마트폰들 또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단말과 같은 모듈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컴포넌트(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일 예시에서, 사용자 장비와 액세스 컴포넌트들 간의 접속은 본질적으로,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기지국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무선 단말인, 무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및 기지국들은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플래시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관된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라운터, 스위치 등일 수 있다. 액세스 컴포넌트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예,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액세스 컴포넌트는 셀룰러 타입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기지국들(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복수의 가입자들에게 무선 커버리지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활용된다. 이러한 기지국들(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들 및/또는 다른 무선 단말들에 커버리지의 인접한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되는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들의 일반적 문맥에서 기술되며, 네트워킹된 환경들에서 컴퓨터들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의해 일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메모리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콤팩트 디스크(CD)들,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들 등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제거가능한 및 비-제거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들의 형태로 의도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목적용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라고 적절히 일컬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radio),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는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추상적인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거나 특정 임무(task)들을 수행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들,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시들을 표현한다. 이러한 실행가능한 명령들 또는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의 특정 시퀀스는 이러한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 내에 기술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작동들의 예시들을 표현한다.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위에서 기술된 단계들 및/또는 작동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하여, 본원에 기술된 기법들은 본원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 절차들, 기능들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 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경우 프로세서의 외부일 수 있고/있거나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기법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CDMA 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이볼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설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며, E-UTRA는 업링크 상에서 SC-FDMA를 이용하고, 다운링크 상에서 OFDMA를 이용한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고 명칭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기술된다. 부가적으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고 명칭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기술된다. 게다가,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부가적으로, 페어되지 않은(unpaired) 비허가된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단- 또는 장-범위, 무선 통신 기법들을 종종 사용하는 피어-투-피어(예, 사용자 장비-대-사용자 장비)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활용하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는 개시된 실시예들과 함께 활용될 수 있는 기법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과 비슷한 성능을 갖고, 본질적으로 OFDMA 시스템의 전체 복잡도와 유사하다. SC-FDMA 신호의 인히어런트(inherent)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더 낮은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를 갖는다. SC-FDMA는 송신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 사용자 장비(예, 도 3 308, 도 5 508, 도 7 702)에게 유익할 수 있다.
게다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들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들(예, 콤팩트 디스트(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저장 매체들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들을 표현할 수 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포함하고/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원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작동들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둘의 조합에서 직접 실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유형 내에 상주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ASIC는 사용자 장비(예, 도 10의 404)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비(예, 도 10의 404) 내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작동들 및/또는 단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내에 통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앞서 말한 개시내용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논의하지만, 다양한 변화(change)들 및 변경(modification)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이러한 교체들, 변경들 및 변형(variation)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뿐만 아니라, 기술된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술되거나 청구되더라도,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임의의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include)"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결과, 이와 같은 용어는 청구항에서 전이 단어로서 이용될 때, "포함하는(comprising)"이 해석되듯이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과 비슷한 방식으로 포괄적이도록 의도된다. 뿐만 아니라,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듯이 용어 "또는"은 배타적인 "또는"보다는 총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다르게 특정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다면, 구문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중립적이고 총괄적인 치환들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구문 "X가 A 또는 B를 사용한다"는 'X는 A를 사용한다; X는 B를 사용한다; 또는 X는 A 및 B 모두를 사용한다'는 예시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만족된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관사들 "a" 및 "an"은 다르게 특정되거나 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함이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으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신호들을 위한 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relative to)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제2 신호들을 위한 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채널 정보의 랭킹(ranking)에 기초하여 배정된(assigned)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allocation)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이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송신 섹터에 제공되고, 상기 송신 섹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송신 섹터 내에 위치(locate)되고, 다른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또 다른 송신 섹터 내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6.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고;
    제1 신호들을 위한 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 상기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제2 신호들을 위한 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그리고
    상기 제1 채널 정보의 랭킹에 기초하여 배정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이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송신 섹터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 섹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송신 섹터 내에 위치되고, 다른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또 다른 송신 섹터 내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제1 신호들을 위한 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제2 신호들을 위한 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채널 정보의 랭킹에 기초하여 배정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이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4.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섹터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제1 신호들을 위한 제1 채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1 신호들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제2 신호들을 위한 제2 채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채널 정보의 랭킹에 기초하여 배정된 송신 섹터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의 할당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이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송신 섹터로부터,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으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1 송신 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신호들을 위해,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섹터 내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포인트에서,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신호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송신 포인트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들을 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들로부터의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2 섹터 내에서, 상기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20.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1 송신 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신호들을 위해,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섹터 내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송신 포인트에서,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신호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송신 포인트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들을 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들로부터의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2 섹터 내에서, 상기 자원 블록들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23.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1 송신 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신호들을 위해,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섹터 내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제1 송신 포인트에서,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신호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채널 정보의 수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송신 포인트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들을 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들로부터의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2 섹터 내에서, 상기 자원 블록들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하여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하여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6.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1 송신 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 및 상기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특정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신호들을 위해,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1 섹터 내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송신 포인트에서, 상기 특정 레벨 미만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신호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송신 포인트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들을 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들로부터의 자원 블록들을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 내의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 상기 섹터들의 클러스터의 제2 섹터 내에서, 상기 자원 블록들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재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섹터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127001331A 2009-06-17 2010-06-17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블록 재사용 KR101363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780409P 2009-06-17 2009-06-17
US61/187,804 2009-06-17
US12/817,001 2010-06-16
US12/817,001 US8830920B2 (en) 2009-06-17 2010-06-16 Resource block reuse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PCT/US2010/039084 WO2010148254A1 (en) 2009-06-17 2010-06-17 Resource block reuse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149A true KR20120030149A (ko) 2012-03-27
KR101363009B1 KR101363009B1 (ko) 2014-02-13

Family

ID=4335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331A KR101363009B1 (ko) 2009-06-17 2010-06-17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블록 재사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30920B2 (ko)
EP (1) EP2443863B1 (ko)
JP (1) JP5485383B2 (ko)
KR (1) KR101363009B1 (ko)
CN (1) CN102461244B (ko)
TW (1) TW201116085A (ko)
WO (1) WO20101482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558A (ko) * 2012-11-08 2015-07-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 균일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커버리지에 대한 매체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1355B1 (en) * 2007-12-13 2015-07-29 Swisscom A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area of a mobile user
US8427978B2 (en) * 2009-07-16 2013-04-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CN101997583B (zh) * 2009-08-21 2015-07-01 索尼株式会社 用于协作多点传输的上行多用户mimo用户配对方法和装置
KR101769380B1 (ko) * 2009-11-05 2017-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품질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97491B1 (ko) * 2009-12-02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방법 및 장치
CN102118825B (zh) * 2009-12-31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多点联合传输的方法、终端及系统
US20110170427A1 (en) * 2010-01-11 2011-07-14 Nokia Corporation Best Companion PMI-Based Beamforming
US8614981B2 (en) * 2010-01-29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channel information to support coordinated multi-point data transmission
CN102255641B (zh) * 2010-05-20 2014-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更新CoMP发送集的方法及其设备
US8457069B1 (en) * 2010-07-30 2013-06-04 Sprint Spectrum L.P.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handoff based on active set characteristics
CN103201972B (zh) * 2010-11-08 2018-10-19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不同形式子帧的方法和装置
US9450735B2 (en) * 2010-11-16 2016-09-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multiple communications links
CN102651909B (zh) * 2011-02-25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复用时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WO2012149178A2 (en) * 2011-04-29 2012-1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en loop spatial processing
US9014020B2 (en) 2011-05-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mote radio heads
US20120281555A1 (en) * 2011-05-02 2012-1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mote Radio Heads
US9680615B2 (en) 2011-05-02 2017-06-13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mote radio heads
CN102811487B (zh) * 2011-05-30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Ue多点传输能力的表示方法及装置
JP5711065B2 (ja) * 2011-07-26 2015-04-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281647A (zh) * 2011-09-09 201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联合调度方法及装置
US9270346B2 (en) 2011-12-02 2016-02-23 Apple Inc. Methods for operating wireless electronic devices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networks
US9166729B2 (en) 2011-12-14 2015-10-20 Marvell World Trade Ltd. Enhanc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design
WO2013093786A2 (en) * 2011-12-20 2013-06-27 Marvell World Trade Lt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9485737B2 (en) 2011-12-26 2016-11-01 Kt Corporation Controlling radio units to transmitting signal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US9357505B2 (en) * 2011-12-26 2016-05-31 Kt Corporation Processing digital signal
US9119082B1 (en) 2012-01-06 2015-08-25 Marvell International Lt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interference measurement
EP2833689B1 (en) * 2012-03-29 2017-04-26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G10201702179RA (en) * 2012-05-18 2017-04-27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spatial diversity in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wireless systems
WO2013187710A1 (ko) * 2012-06-13 2013-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모드 변경 방법 및 무선랜 시스템
WO2014018914A1 (en) * 2012-07-27 2014-01-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oint communications
KR102012696B1 (ko) * 2012-09-14 2019-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상기 장치들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US9185606B1 (en) 2012-10-12 2015-11-10 Sprint Spectrum L.P. Assignment of wireless network resources
US9351190B2 (en) 2012-10-15 2016-05-24 Headwater Partners LLC Interference characterization based on scheduling a transmission mode
US9094868B2 (en) 2012-10-15 2015-07-28 Headwater Partners Ii Llc User equipment link quality estimation based on positioning
US9413502B2 (en) 2012-10-15 2016-08-09 Headwater Partners LLC Backhaul assisted by user equipment
US9350515B2 (en) 2012-10-15 2016-05-24 Headwater Partners LLC Enhanced relay node with additional backhaul alternative and selection
US9332455B2 (en) 2012-10-15 2016-05-03 Headwater Partners Ii Llc Scheduling a user equipment transmission mode to assist uplink interference characterization
US9288273B2 (en) * 2013-01-23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association discovery of services on a network
US9706522B2 (en) * 2013-03-01 2017-07-11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raffic offloading
US9917886B2 (en) * 2013-03-22 2018-03-13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contents, correspond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40362840A1 (en) * 2013-06-07 2014-12-11 Broadcom Corporation Inter-AP coordination and synchronization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954711B2 (en) 2013-06-07 2018-04-2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tructures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s
CN104602308B (zh) * 2013-10-30 2018-10-30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将终端在多个无线ap之间进行切换的方法和系统
US9350523B2 (en) 2013-11-21 2016-05-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access manag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resources
CN106537861B (zh) * 2014-08-29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WO2016114767A1 (en) * 2015-01-13 2016-07-21 Hitachi, Ltd. Location based cooperative caching at the ran
CN107911204B (zh) * 2017-11-17 2020-07-14 上海道生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多天线多用户时分双工通讯系统的信号传输方法
CN111565410B (zh) * 2019-02-13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信号质量评估方法、电子设备及系统
AU2020253611A1 (en) * 2019-04-04 2021-04-08 Cohere Technologies, Inc. Massive cooperative multipoint network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657A (en) 1997-07-24 1999-10-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measurement and automatic frequency planning in a cellular radio system
US6334057B1 (en) 1998-06-30 2001-1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alloc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asymmetric uplink and downlink traffic
FI982473A (fi) 1998-11-16 2000-05-17 Nokia Networks Oy Kanavanosoitusmenetelmä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US6256486B1 (en) 1999-09-09 2001-07-0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o-channel interference
US6970708B1 (en) 2000-02-05 2005-11-29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hannel monitoring in a cellular system
JP2001285230A (ja) 2000-03-29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時分割多重接続通信方式における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US6816472B1 (en) 2000-07-14 2004-11-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best link for supplemental channel assignment during a handoff period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7388845B2 (en) * 2002-08-26 2008-06-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 multisector configuration
EP1424865A1 (en) 2002-11-29 2004-06-02 Siemens Mobile Communications S.p.A. Method of and device for resource allocation i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265288A1 (en) 2004-05-27 2005-12-01 Jiewen Liu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 allocation of operating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KR100640474B1 (ko) 2004-07-1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기반의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WO2007108769A1 (en) * 2006-03-21 2007-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ement-assisted dynamic frequency-reuse in cellular telecommuncations networks
KR101403822B1 (ko) 2007-09-28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8526407B2 (en) * 2009-05-14 2013-09-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coordinated multipoint cells to mitigate inter-comp-cell downlink interfere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558A (ko) * 2012-11-08 2015-07-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 균일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커버리지에 대한 매체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30920B2 (en) 2014-09-09
WO2010148254A1 (en) 2010-12-23
JP2012531109A (ja) 2012-12-06
EP2443863A1 (en) 2012-04-25
KR101363009B1 (ko) 2014-02-13
JP5485383B2 (ja) 2014-05-07
US20100322171A1 (en) 2010-12-23
TW201116085A (en) 2011-05-01
CN102461244A (zh) 2012-05-16
EP2443863B1 (en) 2018-01-03
CN102461244B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009B1 (ko) 조정된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블록 재사용
KR101437518B1 (ko) 협력형 멀티-포인트 송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송신
KR101485927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업링크 협력적 멀티포인트 통신들
KR101414117B1 (ko) Lte 어드밴스드를 위한 tdm-fdm 중계 백홀 채널
US9055576B2 (en) Uplink resource allocation for LTE advanced
EP2548402B1 (en) Random access design in a multiple component 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KR101422221B1 (ko) 제어 정보 시그널링
KR20120085887A (ko) 채널 상태 보고
KR20120089861A (ko) 협력형 멀티포인트 송신들을 위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초기화
KR2012009399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및 기준 정보의 멀티플렉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