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847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847A
KR20120029847A KR1020100091934A KR20100091934A KR20120029847A KR 20120029847 A KR20120029847 A KR 20120029847A KR 1020100091934 A KR1020100091934 A KR 1020100091934A KR 20100091934 A KR20100091934 A KR 20100091934A KR 20120029847 A KR20120029847 A KR 20120029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ata signal
black
signal
ey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255B1 (ko
Inventor
조성학
손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2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액정패널과;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신호를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 및 정렬하여 매 프레임 단위로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타이밍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은,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보다 길고,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표시되는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을 뺀 시간 후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소자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이들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저전력 구동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되고, 이들 화소 각각에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액정표시장치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는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고 있다.
3 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는 편광 필터를 사용하는 수동(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를 사용하는 능동(active) 방식이 있다.
여기서, 셔터 글래스 방식은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프레임 별로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셔터 글래스 방식은 좌우 영상이 서로 간섭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식이 매 프레임 동안 각 화소가 일정한 데이터전압을 유지함으로써, 일정한 광투과율을 유지하는 홀딩방식이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또한, 액정의 물성특징인 점성과 탄성에 기인한 것으로, 액정이 반응하여 원하는 배열상태가 되기까지는 걸리는 시간은 한 프레임보다 길기 때문에, 좌안영상 또는 우안영상이 표현하고자 하는 휘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발명은, 셔터 글래스 방식에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액정의 늦은 응답속도로 인하여 원하는 휘도를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액정패널과;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신호를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 및 정렬하여 매 프레임 단위로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타이밍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은,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보다 길고,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표시되는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을 뺀 시간 후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상기 블랙프레임이 끝나는 시점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지 못한 액정패널에 동시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배선에 게이트하이전압을 인가하여 온 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게이트배선의 스캔 속도를 증가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단부 휘도가 해당되는 프레임 이후 목표하는 휘도 값을 갖게 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다.
3차원 입체영상을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액정패널과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신호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타이밍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신호를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 사이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블랙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은,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보다 길고,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표시되는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을 뺀 시간 후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상기 블랙프레임이 끝나는 시점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지 못한 액정패널에 동시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배선에 게이트하이전압을 인가하여 온 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게이트배선의 스캔 속도를 증가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단부 휘도가 해당되는 프레임 이후 목표하는 휘도 값을 갖게 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다.
3차원 입체영상을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한다.
본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셔터 글래스 방식에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휘도를 개선하여 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제어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데이터 스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도면.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200)과, 백라이트(800)와,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액정패널(200)에는, 행라인(row line)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게이트배선(GL)과, 열라인(column line)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데이터배선(DL)이 위치한다. 게이트배선(GL)과 데이터배선(DL)이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P)를 정의한다.
각 화소(P)는,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T)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과, 액정커패시터(Clc)와, 스토리지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배선(GL)과 데이터배선(DL)의 교차부에 형성된다.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T)는 화소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화소전극에 대응하여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화소전극에 데이터전압이 인가되고,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이 인가되면, 이들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을 구동하게 된다.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그리고 이들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은 액정커패시터(Clc)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각 화소(P)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더욱 구성되며, 이는 화소전극에 인가된 데이터전압을 다음 프레임까지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백라이트(800)는, 빛을 액정패널(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백라이트(800)로서, 냉음극관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회로부는, 타이밍제어부(300)와, 게이트구동부(400)와, 데이터구동부(500)와, 감마기준전압발생부(600)와, 램프구동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제어부(300)는, TV 시스템이나 비디오카드와 같은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영상데이터신호(D)와,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와 클럭신호와 데이터인에이블 등의 제어신호(TCS)를 입력 받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신호들은, 타이밍제어부(300)에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300)는, 입력된 제어신호(TCS)를 사용하여, 게이트구동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제어신호(GCS)와 데이터구동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또한, 램프구동부(700)를 제어하기 위한 램프제어신호(LCS)를 생성한다.
타이밍제어부(300)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영상데이터신호(D)를 전달받고, 이를 분리하게 된다. 즉, 영상데이터신호(D)를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로 분리하게 된다.
여기에서, 타이밍제어부(300)는,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D) 사이에 블랙데이터(black data)신호(BD)를 삽입한다.
즉, 타이밍제어부(300)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신호(D)를 좌우안영상신호(LD, RD)로 분리 후, 좌우안영상신호(LD, RD)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일정한 주기로(예를 들면, 1 프레임(frame)) 교대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차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와, 블랙데이터신호(BD) 동시에 지칭하고자 할 경우, 출력데이터신호(Dout)라고 한다.
게이트구동부(400)는, 타이밍제어부(30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다수의 게이트배선(GL)을 순차적으로 스캔한다. 예를 들면, 매 프레임 동안 다수의 게이트배선(GL)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배선(GL)에 대해 게이트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게이트전압에 의해, 해당 행라인에 위치하는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T)는 턴온된다. 한편, 다음 프레임의 스캔시까지는 게이트배선(GL)에 턴오프전압이 공급되어,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T)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데이터구동부(500)는, 데이터구동부(500)는, 타이밍제어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제어신호(DCS)와 출력데이터신호(Dout)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을 다수의 데이터배선(DL)에 공급하게 된다. 즉, 감마기준전압(Vgamma)을 사용하여, 출력데이터신호(Dout)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배선(DL)에 출력하게 된다.
감마기준전압발생부(600)는, 고전위전압과 저전위전압을 분압하여 다수의 감마기준전압(Vgamma)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구동부(500)에 공급한다.
램프구동부(700)는, 타이밍제어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램프제어신호(LCS)에 응답하여, 백라이트(8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램프들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가 표시되는 프레임인 경우, 다수의 램프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block)으로 나누어, 블록 단위로 순차적으로 다수의 램프들을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다수의 램프들을 두 개의 블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에 대응되는 게이트배선(GL)에 게이트하이전압이 인가 된 후, 해당되는 블록을 구성하는 다수의 램프들이 동시에 온(on)된다.
또한, 블랙데이터신호(BD)가 표시되는 프레임인 경우, 다수의 램프들을 오프(off)되도록 한다. 다수의 램프들을 오프하여 액정패널(200)에 빛을 차단하게 된다.
즉, 램프구동부(800)는,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다수의 램프들을 온-오프 할 수 있다.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가 표시되는 프레임은 예를 들면 블록 단위로 다수의 램프들을 온-오프 할 수 있으며, 블랙데이터신호(BD)가 표시되는 프레임은 다수의 램프들을 오프 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제어부(3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 하기 위하여 셔터 글래스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셔터 글래스 방식은 프레임 별로 좌안 및 우안영상신호(LD, RD)를 표시하는 액정패널(200)과 이에 동기하여 개폐되는 셔터 글래스로 구성된다.
이 방식은 양안 시차가 존재하도록 제작된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가 프레임 별로 번갈아 가며 액정패널(200)에 표시된다. 이에 동기하여, 좌안영상신호(LD)시에는 셔터 글래스의 좌측만 개방되고, 우안영상신호(RD)시에는 셔터 글래스의 우측만 개방됨으로써 양안 시차를 만들어낸다.
이 때, 액정층의 반응속도가 느림에 따라 예를 들면 이전 프레임에서 표시된 좌안영상신호(LD)가 현재 프레임의 우안영상신호(RD)에 나타나는 모션 블러(motion blur)현상과 휘도 감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가 표시되는 프레임 사이에 블랙데이터(BD)를 삽입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제어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제어부(300)는, 제어신호생성부(310)와, 영상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신호생성부(310)는, 입력된 제어신호(TCS)를 사용하여, 게이트구동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제어신호(GCS)와 데이터구동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또한, 램프구동부(700)를 제어하기 위한 램프제어신호(LCS)를 생성한다.
게이트제어신호(GCS)는, 게이트스타트펄스(Gate Start Pulse : GSP), 게이트쉬프트클럭(Gate Shift Clock : GSC), 게이트출력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 GOE)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제어신호(DCS)는 소스스타트펄스(Source Start Pulse : SSP), 소스샘플링클럭(Source Sampling Clock : SSC), 소스출력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 SOE), 극성신호(Polarity : P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스타트펄스(GSP)는 1수직(Vertical) 중에서 화면의 시작 라인 즉, 첫 번째 라인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게이트쉬프트클럭(GSC)은 액정패널(200)의 화소(P)에 구성된 스위칭박막트랜지스터(T)가 온 되는 시간을 지정해준다. 또한, 게이트출력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구동부(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소스스타트펄스(SSP)는 1수평(Horizontal) 중에서 데이터의 시작점 즉, 첫 번째 화소(P)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소스쉬프트클럭(SSC)은 상승, 하강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를 래치(latch)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스출력인에블신호(SOE)는 데이터구동부(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극성신호(POL)는 액정을 정(+)극성 또는 부(-)극성으로 구동하기 위해 극성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영상처리부(320)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영상데이터신호(D)를 전달받고, 이를 분리하게 된다. 즉, 영상데이터신호(D)를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로 분리하고 이를 각각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출력 한다.
또한, 영상처리부(300)는,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즉, 영상처리부(320)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신호(D)를 좌 및 우안영상신호(LD, RD)로 분리 후, 좌 및 우안영상신호(LD, RD)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각각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일정한 주기로(예를 들면, 1 프레임) 교대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영상처리부(320)는 예를 들면, 라인 메모리(line memory) 또는 프레임 메모리(frame memory)를 구비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32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데이터신호(D)에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3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데이터신호(BD)의 스캔(scan)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데이터삽입(BD) 과정을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 n 번째 프레임에서는 영상데이터신호(D)에서 분리된 좌안영상신호(LD)(또는, 우안영상신호(RD))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즉, 액정패널(200)에는 좌안영상신호(LD)(또는, 우안영상신호(RD))가 표시된다(s1).
제 n+1 번째 프레임에서는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즉, 액정패널(200)에는 블랙데이터신호(BD)가 표시된다(s2).
그 후, 제 n+2 번째 프레임에서는 영상데이터신호(D)에서 분리된 우안영상신호(RD)(또는, 좌안영상신호(LD))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즉, 액정패널(200)에는 우안영상신호(RD)(또는, 좌안영상신호(LD))가 표시된다(s3).
제 n+3 번째 프레임에서는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즉, 액정패널(200)에는 블랙데이터신호(BD)가 표시된다(s4).
즉, 액정패널(200)에 좌안영상신호(LD), 블랙데이터신호(BD), 우안영상신호(RD), 블랙데이터신호(BD)가 예를 들면 매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반복하여 표시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영상처리부(32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320)는, 영상분리부(321)와, 블랙데이터삽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분리부(321)는, 입력된 영상데이터신호(D)에서 좌안영상신호(LD)를 분리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이때, 좌안영상신호(LD)는 예를 들면 한 프레임(예를 들면 제 n 번째 프레임)을 이루어 액정패널(200)에 표시 된다.
또한, 영상분리부(323)는, 입력된 영상데이터신호(D)에서 우안영상신호(RD)를 분리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이때, 우안영상신호(RD)는 예를 들면 한 프레임(예를 들면 제 n+2 번째 프레임)을 이루어 액정패널(200)에 표시된다.
블랙데이터삽입부(322)는,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즉,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가 서로 교번될 때,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액정패널(200)에 제 n 번째 프레임이 좌안영상신호(LD)가 표시되었다면, 제 n+1 번째 프레임은 블랙데이터신호(BD)가 삽입되어 표시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데이터삽입부(322)의 블랙데이터신호(BD)의 스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영상신호(LD)과 우안영상신호(RD)를 표시하는 프레임의 다음 번째 프레임 예를 들면 제 n+1, n+3 번째 프레임에서는 블랙데이터신호(BD)가 액정패널(200)에 표시된다.
즉, 블랙데이터삽입부(322)는, 제 n+1, n+3 번째 프레임에서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고 이를 액정패널(20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블랙데이터신호(BD)를 표시하는 프레임에서 블랙데이터신호(BD)의 스캔 시작(즉, 삽입 시작)은 해당 프레임에서 제1시간(t1) 후에 시작된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블랙데이터신호(BD)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블랙프레임(BF)(black frame)이라고 칭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가 해당 프레임에서 스캔이 끝난 후, 바로 블랙데이터신호(BD)가 블랙프레임(BF)에 스캔 되는 것이 아니라, 제1시간 후(t1)에 블랙데이터신호(BD)가 스캔 된다.
즉, 블랙데이터삽입부(322)는, 블랙프레임(BF)에서 제1시간(t1)이 지난 후,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액정패널(200)에 표시되는 시간은, 블랙데이터신호(BD)가 액정패널(200)에 표시되는 시간보다 길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시간 후(t1)에 블랙데이터신호(BD)가 블랙프레임(BF)에 스캔 되는 바,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액정패널(200)에 표시되는 시간은 한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에 제1시간(t1)을 더한 값이 된다.
반면에, 블랙데이터신호(BD)가 액정패널(200)에 표시되는 시간은, 한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에 제1시간(t1)을 뺀 값이 된다.
따라서,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는 블랙데이터신호(BD)가 액정패널(200)에 표시되는 시간 보다 제1시간(t1)의 2배 더 표시된다.
여기에서, 제1시간(t1)은 예를 들면, 좌안영상신호(LD)(또는, 우안영상신호(RD))를 액정패널(200)에 표시하고자 할 시, 액정패널(200)의 상단부 휘도가 해당 프레임 이후 목표하는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는 시간(제2시간(t2))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제2시간(t2)은, 예를 들면 좌안영상신호(LD)의 스캔이 끝난 후, 액정패널(200)의 상단부의 휘도가 원하는 목표치 값에 도달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시간 및 제2시간(t1, t2)은 액정층의 성질, 백라이트(800) 종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동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랙프레임(BF)의 끝나는 시점(이하, END시점)에서 블랙데이터(BD)를 스캔 하지 못한 부분(이하, RESET부분)은, 블랙프레임(BF)의 끝나는 시점(END)에서 동시에 블랙데이터(BD)를 스캔 하게 된다.
즉, RESET부분은 END시점에서 동시에 블랙데이터(BD)가 스캔 된다. 예를 들면, RESET부분에 해당되는 게이트배선(GL)에 동시에 게이트하이전압이 인가되어 온 되어 대응되는 데이터배선(DL)에 블랙데이터(BD)가 전달된다.
이는, 한 프레임에 해당되는 블랙데이터신호(BD)의 전체 스캔 시간은, 제1시간(t1) 후에 시작 되는 바, 실질적으로 블랙데이터신호(BD)를 스캔하는 시간은 한 프레임보다 제1시간(t1) 만큼 작은 값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200)의 하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즉, RESET부분)에는 블랙데이터(BD)를 삽입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RESET부분에는 동시에 블랙데이터(BD)를 삽입함으로써, 제1시간(t1)만큼 부족한 시간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블랙데이터(BD)의 삽입은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의 액정층의 구동 시간을 더욱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시간(t1)만큼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의 액정층의 구동시간을 한 프레임보다 더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목표치의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100)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블랙데이터신호(BD)를 표시하는 프레임에서 블랙데이터신호(BD)의 스캔 시작(즉, 삽입 시작)은 해당 프레임에서 제1시간(t1) 후에 시작된다.
즉, 블랙데이터삽입부(322)는, 블랙프레임(BF)에서 제1시간(t1)이 지난 후,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제1시간(t1) 후에 블랙데이터(BD) 스캔이 시작 되는 바, 액정패널(200)의 하단부까지 블랙데이터(BD)를 삽입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게이트배선(GL)에 동시에 게이트하이전압을 인가하여 온 함으로써, 대응되는 데이터배선(DL)에 블랙데이터신호(BD)를 전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랙데이터(BD)의 삽입은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의 액정층의 구동 시간을 더욱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시간(t1)만큼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의 액정층의 구동시간을 한 프레임보다 더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목표치의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100)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블랙데이터신호(BD)를 표시하는 프레임에서 블랙데이터신호(BD)의 스캔 시작(즉, 삽입 시작)은 해당 프레임에서 제1시간(t1) 후에 시작된다.
즉, 블랙데이터삽입부(322)는, 블랙프레임(BF)에서 제1시간(t1)이 지난 후,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제1시간(t1) 후에 블랙데이터신호(BD) 스캔이 시작 되는 바, 액정패널(200)의 하단부까지 블랙데이터(BD)를 삽입하기 위하여, 블랙데이터신호(BD)의 삽입 속도를 증가할 수 있다. 즉, 게이트배선(GL)의 스캔 속도를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랙프레임(BF) 전체 시간 동안,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는 속도보다, 블랙프레임(BF)에서 제1시간(t1)을 뺀 시간 동안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하는 속도가 더 빠르다. 따라서, 블랙데이터신호(BD)를 삽입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게이트배선(GL)의 스캔 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블랙프레임(BF)에서 제1시간(t1)을 뺀 시간 동안, 다수의 게이트배선(GL)을 스캔하고, 선택된 게이트배선(GL)DP 게이트하이전압을 인가하여 온 시킨다.
이와 같은, 블랙데이터(BD)의 삽입은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의 액정층의 구동 시간을 더욱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시간(t1)만큼 좌안영상신호(LD)와 우안영상신호(RD)의 액정층의 구동시간을 한 프레임보다 더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목표치의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100)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발명의 실시예는 본발명의 일예로서, 본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액정표시장치 200 : 액정패널
300 : 타이밍제어부
320 : 영상처리부 321 : 좌안영상분리부
322 : 블랙데이터삽입부 323 : 우안영상분리부
BD : 블랙데이터신호 BF : 블랙데이터가 표시되는 프레임
LD : 좌연영상신호 RD : 우안영상신호

Claims (12)

  1. 액정패널과;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신호를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 사이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 및 정렬하여 매 프레임 단위로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타이밍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은,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보다 길고,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표시되는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을 뺀 시간 후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상기 블랙프레임이 끝나는 시점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지 못한 액정패널에 동시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배선에 게이트하이전압을 인가하여 온 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게이트배선의 스캔 속도를 증가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단부 휘도가 해당되는 프레임 이후 목표하는 휘도 값을 갖게 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3차원 입체영상을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
  7. 액정패널과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신호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타이밍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신호를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영상데이터신호 사이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블랙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은,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보다 길고,
    상기 블랙데이터신호가 표시되는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시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을 뺀 시간 후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상기 블랙프레임이 끝나는 시점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지 못한 액정패널에 동시에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배선에 게이트하이전압을 인가하여 온 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게이트배선의 스캔 속도를 증가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배선에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프레임에서 상기 블랙데이터신호를 스캔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단부 휘도가 해당되는 프레임 이후 목표하는 휘도 값을 갖게 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3차원 입체영상을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20100091934A 2010-09-17 2010-09-17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9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34A KR101696255B1 (ko) 2010-09-17 2010-09-17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34A KR101696255B1 (ko) 2010-09-17 2010-09-17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47A true KR20120029847A (ko) 2012-03-27
KR101696255B1 KR101696255B1 (ko) 2017-01-13

Family

ID=4613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34A KR101696255B1 (ko) 2010-09-17 2010-09-17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756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560A (ja) * 2006-03-23 2007-11-2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80105873A (ko) * 2007-06-01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 2d/3d 겸용 영상표시장치및 2d/3d 겸용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00023613A (ko) * 2008-08-22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00032284A (ko) * 2008-09-17 201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560A (ja) * 2006-03-23 2007-11-2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80105873A (ko) * 2007-06-01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 2d/3d 겸용 영상표시장치및 2d/3d 겸용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00023613A (ko) * 2008-08-22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00032284A (ko) * 2008-09-17 201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756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55B1 (ko)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1951B1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8177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백라이트 제어 방법
KR101224460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48343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1301322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3041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3165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TWI514848B (zh) 可多視角之立體影像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20120038690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20113839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20120013734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279657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85444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303425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US20120127160A1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470900B2 (en) Display unit,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riving method
KR101224461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7809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10128287A1 (en) Method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76393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69625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653030B2 (en) Driv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re panel of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62991B1 (ko)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방법
KR101846372B1 (ko) 3차원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29461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