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576A -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576A
KR20120029576A KR1020100091450A KR20100091450A KR20120029576A KR 20120029576 A KR20120029576 A KR 20120029576A KR 1020100091450 A KR1020100091450 A KR 1020100091450A KR 20100091450 A KR20100091450 A KR 20100091450A KR 20120029576 A KR20120029576 A KR 20120029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sheet
triangular
prism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규
안철흥
박찬규
연제민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576A/en
Publication of KR2012002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5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PURPOSE: A prism sheet and a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uniformly maintain brightness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without reducing the brightness by forming a complex pattern in which a triangle prism, a lenticula prism, and a curved surface triangle prism, are mixed. CONSTITUTION: A prism pattern mixes two or more prisms of different form on a base film. The prism pattern arranges a plurality of prisms. An optical source section(110) is composed of a lamp(111) and a mp reflector(112). A light guide plate(120) guides light delivered from the optical source section to an LCD panel(P). A reflective sheet(150) is arranged in the low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into an uneven shape or a dot shape in order to easily reflect and diffuse the light and transfer to a direction of the LCD panel.

Description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Prism shee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면 시야각에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시야각별 휘도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특히 인접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sm sheet and a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luminance deterioration at the front viewing angle and at the same time obtain brightness uniformity for each viewing angle, and in particular, to prevent damage to adjacent sheets. A seat and a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is on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image by using the liquid crystal (Liquid Crystal), thinner and lighter than other display devices, low driving voltage and low power consump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이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는 수광 구조이므로, 별도의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made of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 color filter substrate facing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interpos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a liquid crystal chang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as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backlight assembly for supplying separate light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의 경로를 액정표시패널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도광판,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누설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액정표시패널로 입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증가시키는 확산 시트, 상기 확산 시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프리즘 시트 및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backlight assembly includes a lamp for generating light, a light guide plate for guiding a path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amp in th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reflective sheet disposed below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leakage ligh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isposed above the light guide plate. A diffusion sheet for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the light incident to the light, a prism sheet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sheet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m. Here, the backlight assembly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otective sheet for protecting the prism sheet as necessary.

도 1은 종래의 프리즘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rism sheet.

프리즘 시트(30)의 상면에는 프리즘 시트(30)의 저면으로부터 유입된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광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사용자의 시야 방향으로 모아주는 프리즘 패턴(31)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프리즘 패턴(31)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출사되는 상면에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삼각 프리즘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출사되는 상면에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렌티큘라(Lenticular) 프리즘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ism pattern 3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sm sheet 30 to refract or reflect the light introdu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sm sheet 30 to collect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view. )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consisting of a triangular cross-section continuously on the upper surface where the light is emitted as shown in (a) of Figure 1, or the light is emitted as shown in (b) of FIG. A lenticular prism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be continuously arranged.

이때, 상기 프리즘 시트(30)의 상면에 프리즘 패턴(31)으로서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삼각 프리즘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정면으로 집광(Collimation)하는 효과가 커지게 되므로 해당 삼각형 프리즘의 뾰족하게 이루어지는 법선 영역(정면 시야각)에서의 휘도는 증가하나, 그 외 경사면 영역이나 골 영역에서는 휘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시야각 별로 휘도 균일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off axis(예를 들어, 45도 이하)에서 휘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TCO 규격을 벗어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triangular prism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continuously arranged as a prism pattern 3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sm sheet 30, the effect of condensing toward the front becomes large, so that the triangular prism is sharply formed. The luminance in the normal region (front viewing angle) is increased, but the luminance is sharply lowered in the inclined region or the valley region, thereby degrading the luminance uniformity for each viewing angle. Especially in the off axis (eg 45 degrees or less), the brightness may be drastically deteriorated, which may deviate from the TCO specification.

더군다나, 이러한 삼각 프리즘 패턴은 산 영역의 뾰족한 형상으로 인해 그 위에 놓이게 되는 상부 시트를 갉아내기 때문에 해당 상부 시트에 스크래치(Scratch)를 형성하거나 자체 훼손으로 휘도저하 및 불균일한 광특성을 야기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such triangular prismatic patterns can cause scratches on the top sheet due to the sharp shape of the mountain area, which can cause scratches on the top sheet or damage it by itself, resulting in lower brightness and uneven optical properties. .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30)의 상면에 프리즘 패턴(31)으로서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렌티큘라 프리즘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술한 삼각 프리즘과 달리 상부 시트에 대한 스크래치 문제나 off axis에서의 휘도 저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나 법선 영역에서의 휘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nticular prism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s continuously arranged as the prism pattern 3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sm sheet 30, unlike the above-described triangular prism, the scratch problem with respect to the upper sheet or the luminance at the off axis Although the degradation problem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uminance in the normal region is relatively reduced.

이에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면 시야각에서의 휘도 저하가 없으면서도 시야각 별로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며 인접 시트의 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리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sm sheet that can maintain the uniform brightness for each viewing angle without a decrease in the brightness in the front viewing angle, and can solve the problem of bending of adjacent sheet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삼각 프리즘, 렌티큘라 프리즘 및 곡면삼각 프리즘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되어 다수개의 프리즘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ism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se film; A prism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prisms ar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of a triangular prism, a lenticular prism, and a curved triangular prism on the base film; It 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삼각 프리즘, 렌티큘라 프리즘 및 곡면삼각 프리즘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피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s of the triangular prism, the lenticular prism, and the curved triangular prism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pitches or different pitches.

또한, 상기 렌티큘라 프리즘 또는 상기 곡면삼각 프리즘의 높이가 상기 삼각 프리즘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렌티큘라 프리즘 또는 상기 곡면삼각 프리즘 중 최고 높이를 갖는 프리즘을 분산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lenticular prism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riangular prism, and it is preferable to disperse and arrange the prism having the highest height among the lenticular prism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또한, 상기 다수개의 프리즘 마다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다양한 피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프리즘은 일측 에지에서 타측 에지로 갈수록 프리즘 단면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isms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heights or may have various pitches, and the plurality of prism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prism cross-sec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dge to the other edge.

또한, 상기 다수개의 프리즘은 중심부의 프리즘 피치에 비해 에지부의 프리즘 피치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지부의 휘도가 상기 중심부의 휘도보다 2% 이상 큰 휘도를 갖도록 피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prisms are formed such that the prism pitch of the edge portion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prism pitch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pitch interval is formed such that the luminance of the edge portion has a luminance of 2% or more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er portion. desirabl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삼각 프리즘, 렌티큘라 프리즘 및 곡면삼각 프리즘 중 적어도 하나가 다수개의 프리즘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프리즘은 중심부의 프리즘 피치에 비해 에지부의 프리즘 피치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지부의 휘도가 상기 중심부의 휘도보다 2% 이상 큰 휘도를 갖도록 피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rism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se film; A prism pattern formed by arranging at least one of a triangular prism, a lenticular prism, and a curved triangular prism on the base film by a plurality of prisms; Preferably, the plurality of prisms are formed such that the prism pitch of the edge portion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prism pitch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pitch interval is such that the luminance of the edge portion is at least 2% greater than the luminance of the center portion. It is preferably formed.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부로 출사하기 위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삼각 프리즘, 렌티큘라 프리즘 및 곡면삼각 프리즘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되어 다수개의 프리즘이 배열되는 프리즘 패턴을 형성하는 프리즘 시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 light guide plate for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upward; And a prism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a prism in which a plurality of prisms are arranged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a triangular prism, a lenticular prism, and a curved triangular prism on the base film to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is incident; A prism sheet forming a pattern; It is made,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삼각 프리즘과, 렌티큘라 프리즘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을 혼합한 복합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정면 시야각에서의 휘도 저하가 없으면서도 시야각 별로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prism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mplex pattern in which a triangular prism and a lenticular prism or a curved triangular prism are mixed, so that the luminance can be maintained uniform for each viewing angle without deteriorating the luminance at the front viewing angle.

또한, 혼합 형태의 프리즘 조합에서 이러한 각각의 프리즘의 높이나 피치 또는 상부 피크 곡면각에 대한 개별 조정을 통해 시야각별로 의도한 휘도를 정확히 표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xpress the intended luminance for each viewing angle through individual adjustments to the height, pitch, or upper peak curved angle of each prism in a combination of prism combinations.

또한,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렌티큘라 형태의 프리즘이나 피크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곡면삼각 프리즘이 인접 시트에 접촉하게 되거나, 상이한 높이의 프리즘 패턴에 의해 접촉 프리즘의 수가 감소하게 됨으로써 인접 시트에 발생하는 스크래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cratch problems that occur in adjacent sheets due to relatively high lenticular prisms or curved triangular prisms having a curved surface contact the adjacent sheets, or the number of contact prisms is reduced by different height prism patterns. Can be solved.

또한, 중심부와 에지부의 프리즘 피치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전체적인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verall luminance uniformity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prism pitch intervals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도 1은 종래의 프리즘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프리즘 시트에서 구면삼각 프리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rism shee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ism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spherical triangular prism in the prism sheet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나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structures or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상 또는 위(above, upper) 또는 하 또는 아래(below, beneath, 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above, above, above, below, below, or the like (below, beneath, lower) facilitate the correlation of one component with another, as shown in the figure. Can be used to describe. The components can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단순화하여 도시하였으며, 따라서 발명을 이해하는 한도 내에서만 이용될 수 있으며 실제 구체적인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shown in a simplified manner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thus, they may be used only within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actual specific shapes may be differ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표시패널(P)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부(110)와 도광판(120), 확산 시트(125), 프리즘 시트(130) 및 반사 시트(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backlight assembly for supplying light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 includes the light source unit 110, the light guide plate 120, the diffusion sheet 125, the prism sheet 130, and the reflective sheet 150. ).

상기 광원부(110)는 램프(111)와 램프 리플렉터(112)로 이루어져 있어서 램프(111)로부터 도광판(120)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은 직접 도광판(120)으로 전달되고, 도광판(120)의 반대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은 램프 리플렉터(112)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120)으로 전달된다. The light source unit 110 includes a lamp 111 and a lamp reflector 112,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amp 111 toward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ight guide plate 120, and is opposite to the light guide plate 120. Light emitted by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lamp reflector 112 and transmitted to the light guide plate 120.

상기 도광판(120)은 광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상부의 액정표시패널(P)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광판(120)에는 광이 보다 용이하게 굴절 및 산란하여 액정표시패널(P)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요철 또는 도트 형태 등으로 표면처리된다. The light guide plate 120 serves to guide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to the uppe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 To this end,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surface-treated in a concave-convex or dot form such that light is more easily refracted and scattered and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

상기 반사 시트(150)는 도광판(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당 도광판(120)으로부터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부 방향으로 광의 진행경로를 전환시킨다. 이러한 반사 시트(150)에는 모재(Base Material)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 부재가 코팅되어 있다. The reflective sheet 150 is disposed under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downwar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upward. The reflective sheet 150 is coated with a reflective member having a high reflectance on a base material.

상기 확산 시트(125)는 상기 도광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도광판(120)에서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액정표시패널(P)로 입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증가시킨다. The diffusion sheet 125 is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late 120, and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 FIG.

상기 프리즘 시트(130)는 도광판(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도광판(120)으로부터 상부로 출사되는 광을 굴절 및 집광시켜 휘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리즘 시트(130)의 상부에는 액정표시패널(P)이 배치되는데, 상기 액정표시패널(P)과 프리즘 시트(130)의 사이에는 별도의 편광 필름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prism sheet 130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refract and focu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increase the luminance. In this cas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 is disposed on the prism sheet 130, and a separate polarizing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 and the prism sheet 130.

도 2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이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도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FIG. 2 and the above description, the light source is an example of an edge type backlight assembly positioned on a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ism sheet.

이러한 프리즘 시트(130)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면에 형성된 프리즘 패턴(131)으로 이루어진다. The prism sheet 130 includes a base film and a prism pattern 131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130)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sm shee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리즘 시트(130)는 광학 시트의 일종으로, 정면 방향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도광판(120) 상면에 설치되며, 시트에 투명성, 내열성 및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PET) 소재의 베이스 필름 상에 프리즘 패턴(131)이 형성되게 된다. The prism sheet 130 is a kind of optical sheet,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of the backlight assembly in order to improve the brightness in the front direction, and is capable of providing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to the sheet. The prism pattern 131 is formed on the base film of the (PET) material.

여기에서 프리즘 패턴(131)이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은 일정한 굴절율을 가지는 평판 형태로 제작된다. 재질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 ethylene naphtha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ase film on which the prism pattern 131 is forme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having a constant refractive index. Material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for example, polycarbonate-based, poly sulfone-based, poly acrylate-based, polystyrene-based, polyvinyl chloride ( It can be made of poly vinyl chloride series, poly vinyl alcohol series, poly norbornene series, polyester series. Preferably it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alate (polyethylene terepht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이러한 베이스 필름의 두께에는 제한됨이 없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달된 자라면 프리즘 시트(130)가 사용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능히 적절한 범위의 값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20 ~ 400 사이의 값을 갖는다.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is not limi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range of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rism sheet 130 is used. In general,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is between 20 and 400.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에서 프리즘 패턴(131)은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 중 적어도 둘 이상이 혼합되어 조합되며, 본 발명의 목적인 정면 시야각에서의 휘도 저하가 없으면서도 시야각 별로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In the pris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sm pattern 131 i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nd the luminance at the front viewing angle, which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ance may be variously adjusted within a range in which luminance may be uniformly maintained for each viewing angle without deterioration.

프리즘 패턴(131)은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패턴(131)는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지방산과 그 유도체, 메타크릴나이트릴과 같은 비닐 시아나이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우레타닉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ism pattern 131 may be a polymer resin including a thermosetting or photocurable acrylic resin. For example, the prism pattern 131 may use unsaturated fatty acid esters, aromatic vinyl compound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vinyl cyanide compounds such as methacrylonitrile, and the like. Crylic acrylate resins and the like can be used.

프리즘 패턴(131)은 베이스 필름 보다 굴절률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베이스 필름의 굴절률이 더 높은 경우 베이스 필름의 후면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가 프리즘 패턴의 표면에서 전반사 되어 프리즘 구조로 입사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rism pattern 13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at of the base film.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film is higher, a part of the light incid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film may be totally reflected at the surface of the prism pattern and thus may not be incident to the prism structure. Because it can.

이렇게 형성된 각각의 프리즘은 베이스 필름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부로 출사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휘도의 관점에서 보면, 프리즘은 상술한 뾰족한 형태의 피크 각을 가지는 삼각 프리즘(131a)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야각의 관점에서는, 피크 각이 곡면 형태를 가지는 렌티큘라 프리즘(131b)이 바람직하다.Each prism formed as described above collec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base film and emits the light upwardly. From the viewpoint of luminance, the prism is preferably a triangular prism 131a having a sharp angle as described above. From the viewpoint of the viewing angle, a lenticular prism 131b having a peak angle having a curved surface is preferable.

즉 본 발명에서, 고휘도가 중요한 경우에는 상기 삼각 프리즘(131a)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야각을 확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의 비율을 높여 복합 프리즘 패턴(13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igh luminance is important,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ratio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and to increase the viewing angle, increase the ratio of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mposite prism pattern 131.

상기 프리즘 패턴(131)의 삼각 프리즘(131a)은 단축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 모양을 갖게 되며, 각각의 삼각 프리즘들은 이웃 프리즘들과의 연접을 통해 산 영역과 골 영역을 이루며 일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삼각 프리즘(131a)에서 산 영역의 피크각은 60°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iangular prism 131a of the prism pattern 131 has a triangular shape in a uniaxial direction, and each triangular prism is arranged in one direction while forming a valley region and a valley region through connection with neighboring prisms. The peak angle of the acid region in the triangular prism 131a is preferably 60 ° to 130 °.

여기에서 삼각 프리즘(131a)의 베이스 필름에서 피크까지의 단면 길이를 프리즘 높이(H)라 하고, 하나의 골과 인접한 다른 골 사이의 길이를 피치(L)라 한다. Here, the cross-sectional length from the base film to the peak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is called the prism height H, and the length between one valley and another adjacent valley is called the pitch L.

또한, 상기 프리즘 패턴(131)의 렌티큘라 프리즘(131b)은 단축 방향의 단면이 반원(라운드)의 형상을 갖게 되며, 각각의 렌티큘라 프리즘들은 인접한 프리즘들과 산과 골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lenticular prism 131b of the prism pattern 131 has a semi-circular (round) cross section in a uniaxial direction, and each of the lenticular prisms forms valleys and valleys between adjacent prisms.

여기에서 렌티큘라 프리즘(131b)의 베이스 필름에서 렌티큘라 프리즘의 반원 상부까지의 단면 길이를 프리즘 높이(H)라 하고, 반원 상부의 휘어짐 정도를 곡면각(A)이라 하며, 하나의 골과 인접한 다른 골 사이의 길이를 피치(L)라 한다. Here, the cross-sectional length from the base film of the lenticular prism 131b to the upper half circle of the lenticular prism is referred to as the prism height (H), and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upper half circle is called the curved angle (A) and is adjacent to one valley. The length between the other valleys is called pitch (L).

또한, 상기 프리즘 패턴(131)의 곡면삼각 프리즘(131c)은 단축 방향의 단면이 피크 부위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 모양을 갖게 되며, 각각의 곡면삼각 프리즘들은 인접한 프리즘들과 산과 골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of the prism pattern 131 has a triangular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in the short axis direction has a curved shape, and each curved triangular prism forms adjacent valleys and valleys.

이러한 곡면삼각 프리즘(131c)의 베이스 필름에서 피크에 형성된 곡면의 피크까지의 단면 길이를 프리즘 높이(H)라 하고, 상부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곡면각(A)이라 하며, 하나의 골과 인접한 다른 골 사이의 길이를 피치(L)라 한다. The cross-sectional length from the base film of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to the peak of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peak is called the prism height (H), and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upper curved surface is called the curved angle (A), and the other adjacent to one valley is The length between the valleys is called the pitch (L).

해당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의 다양한 형태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은 상술한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및 곡면삼각 프리즘(131c)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되어 이루어지게 되며, 조합되는 비율이나 각 프리즘의 높이 또는 피치 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Various forms of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in FIG. 3 is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triangular prism 131a, the lenticular prism 131b, and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nd the ratio or combination of each prism Height or pitch may be set in various ways.

도 3의 (a)를 참조하면,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은 중심부에는 삼각 프리즘(131a)들이 분포되고 에지부로 갈수록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이 분포되어 조합된다. Referring to FIG. 3A,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has triangular prisms 131a distributed at its center and curved triangular prisms 131c distributed at the edge thereof.

이때, 중심부의 삼각 프리즘(131a)들에서 삼각형의 변 부위에서 급격하게 저하되는 휘도를 에지부의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이 보완해 줌으로써 전체적인 휘도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curved triangular prisms 131c of the edge portion compensate for the luminance rapidly lowered at the edges of the triangles in the triangular prisms 131a of the center, thereby obtaining the overall luminance uniformity.

다음으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은 중심부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이 분포되고 에지부로 갈수록 삼각 프리즘(131a)들이 분포되어 조합된다. Next, referring to FIG. 3B,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has the curved triangular prisms 131c distribut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triangular prisms 131a distributed at the edge portion thereof. .

특히 이 경우 중심부에 분포되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의 프리즘 높이(H)가 에지부의 삼각 프리즘(131a) 보다 높기 때문에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접촉 프리즘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곡면삼각 프리즘(131c)의 피크가 곡면 현상이기 때문에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스크래치 유발 현상이 거의 사라지게 된다. 또한 에지부의 삼각 프리즘(131a)들과 중심부의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을 혼합함으로써 시야각 별로 휘도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is case, since the prism height H of the curved triangular prisms 131c distributed in the center is higher than the triangular prism 131a of the edge portion, the number of contact prisms on the upper adjacent sheet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curved triangular prism ( Since the peak of 131c is a curved phenomenon, the scratch causing phenomenon for the upper adjacent sheet is almost disappeared.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triangular prism 131a of the edge portion and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of the central portion, luminance uniformity can be obtained for each viewing angle.

다음으로, 도 3의 (c)는 삼각 프리즘(131a)과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이 이웃하여 조합된 프리즘 패턴(131)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d)는 삼각 프리즘(131a)과 렌티큘라 프리즘(131b)이 이웃하여 조합된 프리즘 패턴(131)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e)는 복수의 삼각 프리즘(131a)들과 복수의 렌티큘라 프리즘(131b)들 그리고 곡면삼각 프리즘(131c)들이 이웃하여 조합된 프리즘 패턴(131)을 나타낸 것이다.Next, FIG. 3C shows the prism pattern 131 in which the triangular prism 131a and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re adjacently combined, and FIG. 3D shows the triangular prism 131a and lenti. FIG. 3E illustrates a plurality of triangular prisms 131a, a plurality of lenticular prisms 131b, and a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 Shows a prism pattern 131 which is adjacently combined.

여기에서 도 3 및 이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일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 and the above description are just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되어 프리즘 시트(130)의 프리즘 패턴(131)을 이루게 되는 경우, 렌티큘라 프리즘(131b)이나 곡면삼각 프리즘(131c)로 인해 인접 시트(편광 필름 또는 액정표시패널 등)와의 접촉시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이 배치되는 다양한 양상을 통해 시야각 별로 휘도 균일성을 조절할 수 있어 휘도 저하를 막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re combined to form the prism pattern 131 of the prism sheet 130,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prevents scratches, etc. from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adjacent sheet (such as a polarizing film 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t the same time, a triangular prism 131a, a lenticular prism 131b, or a curved surface. Through the various aspects in which the triangular prism 131c is disposed, luminance uniformity can be adjusted for each viewing angle, thereby preventing the luminance from being lowered.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프리즘 시트(130)에서 각 종류의 프리즘에 대한 높이(H)나 피치(L) 또는 피크 곡면각(A)을 조정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 것이다.Next, FIG. 4 is variously formed by adjusting the height H, pitch L, or peak curved angle A for each type of prism in the composite prism shee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ymbolic illustration of an example.

이에 따르면, 해당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복합 프리즘 패턴(131)에서 각각의 프리즘에 대한 프리즘 높이(H)나 피치(L) 또는 피크 곡면각(A)을 조정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omposit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the prism height H, the pitch L, or the peak curved angle A with respect to each prism can be adjusted and variously formed. .

즉, 이와 같이 프리즘 시트(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을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시키되, 각각의 프리즘의 높이(H)나 피치(L) 또는 상부 피크 곡면각(A)을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접촉 프리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접촉 프리즘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접촉 프리즘의 피치각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스크래치 유발 정도를 제작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sm sheet 130 is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respectively. By configuring the height (H) or pitch (L) or upper peak curved angle (A) of the prism differently, the number of contact prisms for the upper adjacent sheet can be reduced, and the type of contact prism for the upper adjacent sheet Since the pitch angle of the contact prism with respect to the upper adjacent sheet can be adjusted, the degree of scratch indu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djacent sheet can be precisely adjust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더군다나 이러한 각각의 프리즘의 높이(H)나 피치(L) 또는 상부 피크 곡면각(A)에 대한 개별 조정을 통해 시야각별로 의도한 휘도를 정확히 표출할 수도 있게 된다.
Furthermore, individual adjustments to the height (H) or pitch (L) of the respective prism or the upper peak curved angle (A) allow accurate display of the intended luminance for each viewing angle.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130)의 단면도이다.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ism shee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해당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을 중심부와 양측 에지부에서 프리즘의 피치 간격을 서로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may be configured by different pitch intervals of the prism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pposite edge portions.

휘도는 프리즘의 형상뿐만 아니라, 프리즘의 피치에도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프리즘의 피치가 클수록 휘도는 향상되지만, 이에 비례하여 모아레 패턴이 선명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휘도를 유지하면서도, 모아레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값을 설정하는 것은 표시 품위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단일 패턴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The luminance depends not only on the shape of the prism but also on the pitch of the prism. In general, the larger the pitch of the prism, the higher the luminance, but in proportion t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ire pattern becomes clea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rom the standpoint of display quality to set a value in a range where moiré does not occur while maintaining high brightness.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a single pattern as in FIG.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시트(130)의 상부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에 비해 양측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의 피치 간격을 넓게 배치함으로써 저하된 에지부(E)의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전체적인 휘도의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프리즘 높이 또한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이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에 비해 높게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edge portion E lowered by arranging the pitch intervals of the prisms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E in comparison with the prisms form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C of the prism sheet 13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uminance of) and to obtain the uniformity of the overall luminance. Of course, the prism heigh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prism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C.

이때 에지부의 휘도가 중심부의 휘도보다 2% 이상 높은 휘도를 가지도록 피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pitch so that the luminance of the edge portion has a luminance of 2% or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또한, 도 6의 (a)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시트(130) 상에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삼각 프리즘(131a)의 단일 프리즘이 그레이데이션(gradation)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S. 6A and 6B, a single prism of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triangular prism 131a may be arranged in a gradation manner on the prism sheet 130. have.

즉, 프리즘 시트(130)의 상부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에 비해 양측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의 피치 간격을 넓게 배치함으로써 저하된 에지부(E)의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전체적인 휘도의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프리즘 높이 또한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이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에 비해 높게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compared to prisms form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C of the prism sheet 130, the luminance of the lowered edge portion E may be increased by arranging the pitch intervals of the prisms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E in a wider manner. And uniformity of overall luminance can be obtained. Of course, the prism heigh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prism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C.

바람직하게는, 그레이데이션 프리즘 배치 방식은 프리즘 패턴(131)을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또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시키되, 에지부(E)의 피치를 중심부(C)의 피치에 비하여 넓게 배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통해 에지부(E)의 휘도가 중심부의 휘도 대비 2%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gradation prism arrangement method, the prism pattern 131 is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the lenticular prism 131b, or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nd the edge portion 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tch of to be arranged wider than the pitch of the center (C), through which the brightness of the edge portion (E) can be more than 2% of the brightness of the center.

도 7에는 이러한 그레이데이션 방식의 프리즘 배치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7 shows another example of such a gradation type prism arrangement.

도 7을 참조하면, 프리즘 시트(130)의 양측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의 피치 간격을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에 비해 넓게 배치하되,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이 에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피치 간격이 넓어지도록 구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물론, 프리즘 높이 또한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이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에 비해 높게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itch intervals of the prisms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E of the prism sheet 130 are wider than those of the prism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C, and the prism formed at the edge portion E. This fe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tch interval gradually widens toward the edge side. Of course, the prism heigh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prism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C.

이러한 도 7의 그레이데이션 방식의 배치에 따르면 상술한 휘도 상승 및 휘도 균일성 획득 외에도, 중심부(C)에 형성되는 프리즘들과 에지부(E)에 형성되는 프리즘들과의 관계에서 급격한 패턴 높이 변화에 의한 휘선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gradation method of FIG. 7,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rightness rise and brightness uniformity, a sharp pattern height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sm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C and the prisms formed in the edge portion E is obtain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bright lines caused by.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130)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sm shee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이 다수의 삼각 프리즘(131a)들과 다수의 구면삼각 프리즘(131d)들로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riangular prisms 131a and a plurality of spherical triangular prisms 131d.

여기에서 구면삼각 프리즘(131d)은 상술한 곡면삼각 프리즘(131c)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는 삼각형의 모양을 갖게 되지만 단축 방향의 단면에서 피크 부위가 반구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Here,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has a triangular shape as a whole like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described above, but the peak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mispherical surfac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hort axis direction.

이러한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상부 피크는 곡면삼각 프리즘(131c)의 상부 피크에 비하여 큰 곡률반경을 가진다. The upper peak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has a larg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upper peak of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따라서 구면삼각 프리즘(131d)은 보다 뾰족한 형태의 피크 각을 가지는 삼각 프리즘(131a) 및 곡면삼각 프리즘(131c)에 비하여 낮은 휘도를 나타내게 되지만, 베이스 필름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기 삼각 프리즘(131a) 및 곡면삼각 프리즘(131c)에 비하여 보다 넓게 확산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lthough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has lower luminance than the triangular prism 131a and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having a more sharp peak angle,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collects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base film, 131a and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can be spread more widely.

이때, 이러한 구면삼각 프리즘(131d)은 다수의 확산 비드(131d-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usion beads 131d-1.

산란에 의해 집광된 빛을 확산시키게 되는 상기 확산 비드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삼각 프리즘(131d)이 다수의 확산 비드(131d-1)들을 내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확산 비드(131d-1)들은 구면삼각 프리즘(131d) 내에서 규칙적인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iffusion beads to diffuse the light collected by scattering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contains a plurality of diffusion beads 131d-1 as shown in FIG. 8.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be arranged in a regular matrix form within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or may be irregularly arranged.

상기 확산 비드(131d-1)들은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그 모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비구형, 삼각뿔, 정육면체, 다각형, 무정형 등 여러 가지 입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have a spherical shape or an oval shape. In addition,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non-spherical shape, triangular pyramid, cube, polygon, and amorphous shape.

이러한 확산 비드(131d-1)는 예를 들어, 유기 비드 및 무기 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드로는 아크릴, 스티렌,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프로필렌, 에틸렌, 실리콘, 우레탄,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모노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비드로는 실리카, 지르코니아, 탄산칼슘, 황산바륨, 티타늄 산화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organic beads and inorganic beads. Examples of the organic beads include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using monomers such as acrylic, styrene, melamine formaldehyde, propylene, ethylene, silicone, urethane, methyl (meth) acrylate, polycarbon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inorganic beads include silica, zirconia,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and the like.

여기에서 이러한 프리즘 패턴의 프리즘 조합은 다수의 삼각 프리즘(131a)들이 이웃하여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구면삼각 프리즘(131d)이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Here, the prism combination of the prism pattern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riangular prisms 131a are configur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s insert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베이스 필름에서 피크에 형성된 구면의 피크까지의 단면 길이를 프리즘 높이(H)라 하고, 상부 구면의 휘어짐 정도를 구면각(R)이라 하며, 하나의 골과 인접한 다른 골 사이의 길이를 피치(L)라 한다.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length from the base film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to the peak of the spherical surface formed on the peak is called the prism height H, and the degree of deflection of the upper spherical surface is called spherical angle R. The length between the valleys is called the pitch (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프리즘 높이가 함께 조합되는 삼각 프리즘(131a)의 프리즘 높이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구면삼각 프리즘(131d)들의 프리즘 높이가 주변의 삼각 프리즘(131a)들의 프리즘 높이에 비해 높기 때문에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접촉 프리즘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피크 부위가 구면 형상이기 때문에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스크래치 유발 현상이 거의 사라지게 된다. 또한 주변에 있는 다수의 삼각 프리즘(131a)들과 구면삼각 프리즘(131d)을 혼합함으로써 시야각 별로 휘도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prism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prism of the triangular prism 131a which is combined together. Therefore, since the prism height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s 131d is higher than the prism heights of the surrounding triangular prisms 131a, the number of contact prisms on the upper adjacent sheet can be reduced, and the peak portion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can be reduced. Because of its spherical shape, the scratch causing phenomenon for the upper adjacent sheet is almost disappeared. In addition, by mixing a plurality of triangular prism (131a) and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n the surrounding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luminance uniformity for each viewing angle.

일 예로, 해당 도 8에는 10 개의 이웃하는 삼각 프리즘(131a) 그룹의 사이에 하나의 구면삼각 프리즘(131d)이 삽입되는 조합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즘 패턴의 프리즘 조합은 다수의 삼각 프리즘(131a)들이 이웃하여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구면삼각 프리즘(131d)이 삽입되는 형태라면 일 예로 제시된 도면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For example, FIG. 8 illustrates a combination in which on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s inserted between groups of ten neighboring triangular prisms 131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the prism combination of the prism pattern is provided as an example if a plurality of triangular prisms 131a are configured adjacently and a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s inserted therebetween.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한편, 도 8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구면삼각 프리즘(131d)을 곡면삼각 프리즘(131c)로 단순 대체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even i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s simply replaced by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the same effect may be obtained.

그리고, 도 9에는 상술한 도 8의 프리즘 시트에서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9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in the prism sheet of FIG. 8 described above.

구면삼각 프리즘(131d)이 다수의 확산 비드(131d-1)들을 내포하는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확산 비드(131d-1)들이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8 in which the spherical triangle prism 131d contains a plurality of diffusion beads 131d-1,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plurality of diffusion beads 131d-1 are spherical triangle prisms 131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y be formed.

즉, 상기 확산 비드(131d-1)들은 구면삼각 프리즘(131d)에서 일부 돌출된 엠보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have an embossed pattern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이 경우, 상측 광학필름과의 접촉시 구면삼각 프리즘(131d)이 아닌 확산 비드(131d-1)가 접촉되기 때문에 상측 광학필름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스크래치 등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확산 비드(131d-1)들은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외면에서 피크 부위에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diffusion beads 131d-1, not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optical film, scratches may be minimized by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upper optical fil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be concentrated at a peak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상기 확산 비드(131d-1)들은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외면에서 규칙적인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be arranged in a regular matrix for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or may be arranged irregularly.

이러한 확산 비드(131d-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비드 및 무기 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엠보 패턴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해당 확산 비드(131d-1)는 지지 코팅막에 의해 프리즘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코팅막은 프리즘의 상면에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산 비드(131d-1)를 감싼다. 이러한 지지 코팅막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과 같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및 에스테르 아크릴리에트 등과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ffusion beads 131d-1 include at least one of organic beads and inorganic beads, and the diffusion beads 131d-1 exposed to the outside in an embossed pattern are supported on the prism by a support coating film. Can be. A support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rism,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diffusion beads 131d-1. Such a support coating film may be, for exampl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or a polyester resin, or an epoxy acrylate resin, a urethane acrylate resin, a silicone acrylate resin, an acrylic acrylate or an ester acrylate, or the like. It can be made by including the same ultraviolet curable resin.

여기에서 상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확산 비드(131d-1)들은 집광된 빛을 통과시키면서 산란에 의해 전면으로 빛을 확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고 휘도를 균일하게 하며,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the diffusion beads 131d-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diffuse the light toward the front surface by scattering while passing the collected l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partially concentrated, to make the luminance uniform, and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상기 확산 비드(131d-1)들은 상기 구면삼각 프리즘(131d)과는 다른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형성시킴으로써 하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상부의 프리즘 시트(130)를 통과하면서 해당 확산 비드(131d-1)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굴절되거나 여러 방향으로 난반사될 수 있도록 해 준다.The diffusion beads 131d-1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 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upper prism sheet 130, and the diffusion beads 131d-1 are formed. It allows to be refracted in different directions or diffusely reflected in various direction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 비드(131d-1)는 유기 비드 또는 무기 비드가 사용되게 되는데, 광투과를 우선시 할 경우에는 프리즘 재질의 굴절율과 유사한 유기 비드를 많이 사용하고 차광 효과 등을 고려해야 할 경우 무기 비드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유기 비드는 굴절율이 약 1.4~1.5 정도를 가지며, 무기 비드는 약 1.7~1.8 정도의 높은 굴절율을 가진다(프리즘의 경우, 약 1.4~1.7 사이의 굴절율을 가진다). 따라서 실제 프리즘에 비드를 적용할 경우 높은 휘도와 낮은 헤이즈(Haze)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프리즘 재질과 굴절율 차이가 적은 유기 비드를 많이 사용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organic beads or inorganic beads are used as the diffusion beads 131d-1. When light transmission is prioritized, many organic beads similar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ism material should be used, and light blocking effects, etc.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case, you will use weapon beads. Here, the organic beads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4 to 1.5, and the inorganic beads have a high refractive index of about 1.7 to 1.8 (for a prism, the refractive index of about 1.4 to 1.7). Therefore, when the bead is applied to the prism, high luminance and low haze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many organic beads having a small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rom the prism material are used.

그리고 상기 확산 비드(131d-1)들은 서로 다른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ffusion beads 131d-1 may have various different sizes and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전체적으로, 상기 확산 비드(131d-1)가 프리즘에 내포되는 경우 해당 확산 비드(131d-1)는 프리즘 체적의 50 % 미만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otal, when the diffusion beads 131d-1 are contained in the prism, the diffusion beads 131d-1 are preferably filled to less than 50% of the prism volume.

도 8 및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즘 시트(130)의 프리즘에 다수의 확산 비드(131d-1)들을 내포시키거나, 다수의 확산 비드(131d-1)들이 프리즘의 외면에 엠보 패턴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삼각 프리즘(131d)의 형태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곡면삼각 프리즘(131c) 및 구면삼각 프리즘(131d)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plurality of diffusion beads 131d-1 may be included in the prism of the prism sheet 130, or the plurality of diffusion beads 131d-1 may protrude in an embossed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sm. 8 and 9 are not limited to those applied to the shape of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and the triangular prism 131a, the lenticular prism 131b, the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nd the lik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pply to the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프리즘 시트(130)의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sm shee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즘 시트(130)에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131)이 동일한 프리즘 높이(H)를 갖는 이웃하는 다수의 제 1 프리즘(LP)들로 이루어진 프리즘 그룹들과 이들 프리즘 그룹 사이에 제 1 프리즘 보다 높은 프리즘 높이(H)를 갖는 제 2 프리즘(HP)이 삽입되는 다양한 조합이 도시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ism pattern 131 formed on the prism sheet 130 has a first prism group composed of a plurality of neighboring first prisms LP having the same prism height H, and a first space between the prism groups. Various combinations are shown in which a second prism HP having a prism height H higher than the prism is inserted.

여기에서 상기 제 1 프리즘(LP)들은 뾰족한 형태의 피크 각을 가지는 삼각 프리즘(131a)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렌티큘라 프리즘(131b), 곡면삼각 프리즘(131c) 및 구면삼각 프리즘(131d) 중 하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first prism LP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riangular prism 131a having a sharp peak angl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s one.

또한 상기 제 2 프리즘(HP)은 상기 제 1 프리즘(LP)에 비하여 프리즘 높이(H)가 높다면 삼각 프리즘(131a), 렌티큘라 프리즘(131b), 곡면삼각 프리즘(131c), 구면삼각 프리즘(131d) 및 사다리꼴 프리즘(131e) 중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Also, if the prism height H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prism LP, the second prism HP has a triangular prism 131a, a lenticular prism 131b, a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and a spherical triangular prism ( 131d) and trapezoidal prism 131e are possible.

도 10에서는 (a)에는 제 2 프리즘(HP)이 삼각 프리즘(131a)인 것이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제 2 프리즘(HP)이 렌티큘라 프리즘(131b)인 것이 도시되어 있고, (c)에는 제 2 프리즘(HP)이 곡면삼각 프리즘(131c)인 것이 도시되어 있고, (d)에는 제 2 프리즘(HP)이 구면삼각 프리즘(131d)인 것이 도시되어 있고, (e)에는 제 2 프리즘(HP)이 사다리꼴 프리즘(131e)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 10, (a) shows that the second prism HP is a triangular prism 131a, and (b) shows that the second prism HP is a lenticular prism 131b, and (c) ) Shows that the second prism HP is a curved triangular prism 131c, (d) shows that the second prism HP is a spherical triangular prism 131d, and (e) shows a second prism HP. It is shown that prism HP is a trapezoidal prism 131e.

여기에서 상기 사다리꼴 프리즘(131e)은 프리즘의 하부 단면이 상부 단면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부 피크 부위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다리꼴 모양을 갖게 된다. Here, the trapezoidal prism 131e has a lower cross section of the prism larger than the uppe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peak portion has a planar shape to have a trapezoidal shape.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낮은 프리즘 높이(H)를 가지는 제 1 프리즘(LP)들로 이루어진 프리즘 그룹들의 사이에 보다 높은 프리즘 높이(H)를 가지는 제 2 프리즘(HP)을 삽입함으로써 적은 수의 제 2 프리즘(HP)들만이 상부 인접 시트에 접촉할 수 있어 스크래치 유발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인접 시트에 대한 접촉 프리즘의 수와 종류를 조절함으로써 시야각별로 의도한 휘도와 시야각을 정확히 표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프리즘(HP)은 구성의 안정과 휘도 및 시야각의 조절을 위해 상기 제 1 프리즘(LP)에 비하여 큰 피치(L)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mall number of second prisms HP having a higher prism height H are inserted between groups of prisms composed of first prisms LP having a lower prism height H. Only the second prisms HP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adjacent sheet, thereby reducing the scratch causing phenomenon. And by adjusting the number and type of contact prism for the upper adjacent shee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xpress the intended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for each viewing angle. Here, the second prism HP preferably has a larger pitch L than the first prism LP for stability of the configuration, adjustment of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이때, 도 10에서는 동일한 프리즘 높이(H)를 갖는 이웃하는 다수의 제 1 프리즘(LP)들과 해당 제 1 프리즘(LP) 보다 높은 프리즘 높이(H)를 갖는 제 2 프리즘(HP)의 조합 비율이 10 : 1 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0 : 1, 50 : 1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2 : 1 부터 100 : 1 의 사이에서 다양한 비율로 구성 가능하다.
In this case, in FIG. 10, a combination ratio of a plurality of neighboring first prisms LP having the same prism height H and a second prism HP having a prism height H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first prism LP is shown. Although illustrated as being 10: 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30: 1, 50: 1, are possible, and preferably, various ratios can be configured between 2: 1 and 100: 1. Do.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is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서로 다른 형태의 둘 이상의 프리즘이 조합되어 다수개의 프리즘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프리즘 패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시트.
Base film;
A prism pattern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prisms of different shapes on the base film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prisms; Prismatic sheet comprising a.
KR1020100091450A 2010-09-17 2010-09-17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1200295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50A KR20120029576A (en) 2010-09-17 2010-09-17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50A KR20120029576A (en) 2010-09-17 2010-09-17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576A true KR20120029576A (en) 2012-03-27

Family

ID=4613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450A KR20120029576A (en) 2010-09-17 2010-09-17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5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485B1 (en) Optical component,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7868970B2 (en) Light guide plate, as well as a planar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98100B1 (en) Prism sheet
US10386567B2 (en)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61147B1 (en) Light guide panel for LCD back light unit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TWI807032B (en) Side-edge type surface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light guide plate sandwiched by upper and lower prism sheets
JP6123678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LIGHTING DEVICE
US20090128914A1 (en) Diffuser plate, backlight and display have the same
JP4683165B1 (en) Light guide, concealment structure,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397572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058298B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WO2004019082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polarizing element
KR20060110990A (en) Back light assembly of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164101A (en) Backlight
US20070195224A1 (en) Optical sheet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2009265616A (en) Optical sheet,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KR102146505B1 (en)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10164657A (en) Optical sheet,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10033052A (en) Prism sheet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JP4515374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228785B2 (en) Microlens sheet and backlight unit /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04079408A1 (en) Optical deflector element and light source device
JP4170320B2 (en) Light guide plate and flat illumination device
US20140177198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keyboard having the same
JP2009164100A (en) Back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