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382A -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 Google Patents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382A
KR20120029382A KR20117026883A KR20117026883A KR20120029382A KR 20120029382 A KR20120029382 A KR 20120029382A KR 20117026883 A KR20117026883 A KR 20117026883A KR 20117026883 A KR20117026883 A KR 20117026883A KR 20120029382 A KR20120029382 A KR 2012002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element
arms
patient
backplat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2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205B1 (ko
Inventor
이고르 베. 에프. 파울루센
피에레 하. 보에레
게리트 요트. 누르더그라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2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2031/003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with alternated thorax decompression due to lateral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Abstract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으로서, 상기 등판은 평면을 형성하면서 상단 에지, 저부 에지, 제 1 측부 에지 및 제 2 측부 에지를 가지는 보드 요소와,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에 대해 등판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들의 세트로서 상기 측부 에지들에 제공되는 커넥터들의 세트와, 상기 평면에 횡방향으로 일 에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정화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BACKBOARD FOR AN AUTOMATED CPR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심폐소생술(A-CPR)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등판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압축 및/또는 압축 해제 또는 호흡 유닛이 등판에 부착될 수 있는 유형의 자동 CPR을 제공하면서 환자를 지지 및 안정화하기 위한 등판에 관한 것이다.
자동 CPR 시스템들은 수동식의 것에 비해 더욱 신뢰성있고 지속성있는 소생을 제공하도록 자동화된 형태로 심폐소생술을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A-CPR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기계적 심장-자극기, 호흡 보조기 및 가능하게는 전기적 소생술을 위한 전극들을 구비하는 유닛과 등판을 포함한다. 사용 동안, 환자는 등을 아래로 한 상태로 등판 상에 배치되며, A-CPR 유닛이 등판에 부착된다. 이를 이행할 때, 제어된, 그러나, 여전히 힘있는 방식으로 A-CPR 유닛으로부터 환자 흉골에 기계적 심장-자극기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흉골 상에 작용되는 힘은 환자가 등판 및 A-CPR 유닛에 대해 이동되게 한다. 이 영향은 이러한 A-CPR의 힘에 의해 유도된 환자의 흉골의 이동으로부터 부상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런 부상들은 늑골들을 골절시킴으로써 간장의 천공, 폐들의 천공 및/또는 다른 힘에 의한 외상 관련 부상들을 유발할 수 있다. 부상들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 인력은 등판 상의 환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한다. 본질적으로, 소생술 동안 정확도 및 시간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US 2004/0230140 A1호는 기도에 대한 방해받지 않거나 열려진 접근로를 위한 적절한 개방 위치로 환자의 입을 배치하면서 환자의 머리가 뒤로 떨어져서 등판 상에 놓여지기에 충분하게 높은 목 지지부를 포함하는 등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그와 같은 A-CPR 유닛을 개시한다. 이 장치는 사용시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A-CPR)에 대해 중심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환자를 위치시키는 것에 관한 종래 기술 등판들의 일반적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는 긴 설정 시간을 가지며, A-CPR 유닛이 시작되고 기계적 심장 자극이 개시된 이후, 불충분한 고정 및 강제적 기계적 자극에 기인하여 환자가 등판 및 A-CPR 시스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서, 등판과 A-CPR 유닛에 관하여 환자를 재배치하기 위해 추가적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등판, 특히, 더욱 안정적이며, A-CPR 유닛에 대해 더 잘 중심설정되고 및/또는 더욱 신뢰성있는 등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기를 추구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에 대해 등판 상에 환자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등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등판은 보드 요소를 포함하고, 보드 요소는 평면을 형성하며, 다양한 환자의 신체 크기들에 적합한 상단 에지, 저부 에지, 제 1 측부 에지 및 제 2 측부 에지를 형성한다. 커넥터들의 세트가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에 대해 등판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측부 에지들에 제공되어 있다. 강성 아암으로서 형성된 견부 정지부들의 세트가 보드 요소의 상단 에지에 제공되며, 보드 요소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머리-꼬리 방향으로 환자의 안정화를 돕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견부 정지부들은 제 1 및 제 2 측부 에지들에 평행 및/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견부 길이들에 대한 일차원 또는 이차원으로의 견부 정지부들의 조절은 다양한 환자의 목 크기들 및 다양한 겨드랑이-견부 길이들에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등판 및 A-CPR 유닛에 관한 환자의 추가적 안정화 또는 고정이 달성된다.
견부 정지부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보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견부 정지부들은 L 형상 또는 반원 형상 아암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환자의 견부들과 견부 정지부들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 등판 상에서의 환자의 안정화를 추가로 돕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등판의 보드 요소는 상단 에지에 형성된 목부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목부 안착부는 탈부착가능할 수 있거나 이는 보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목부 안착부는 팽창가능한 칼라 및/또는 패드(들) 및/또는 쿠션(들)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목부 안착부는 구강대 구강 소생술 또는 산소 마스크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산소 공급을 위해 기도가 자유롭고 열려져 있게 되는 방식으로 목부/목구멍/머리를 위치설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목부 안착부는 견부 정지부들에 목부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따라서, 환자의 위치를 안정화하고, 또한, 머리의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환자의 부상들을 방지한다. 분리가능한 목부 안착부는 또한 용이한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견부 정지부 패딩은 견부 정지부들의 내부 측부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패딩은 팽창가능한 칼라 및/또는 패드(들) 및/또는 쿠션(들)의 형태일 수 있다. 패딩은 보드 요소에 관한 측방향 이동에 대한 환자의 목부의 위치설정 및 고정을 돕는다. 바람직하게는, 견부 정지부 패딩은 전반적 세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견부 정지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등판의 보드 요소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머리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머리 안착부는 탈부착가능한 판 및/또는 후퇴가능한 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머리 안착부는 보드 요소에 관한 머리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등판이 들어올려지는 경우 환자의 머리가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보드 요소, 견부 정지부들 및/또는 머리 안착부는 바람직하게는 x-레이 같은 스캐닝 기술들에 사용되는 방사선에 투과성인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등판 상에 여전히 위치되어 환자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환자가 스캐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등판의 보드 요소는 아암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을 위한 커넥터들이 아암들의 제 2 세트 상에 제공되며, 아암들의 제 2 세트는 제 1 및 제 2 측부 에지들에 수직인 방향 및 보드 요소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드 요소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심폐 소생술 유닛과 등판 사이의 연결 지점은 등판 상에 배치된 환자에 관하여 상방으로, 그리고, 외부로 이동되며, 따라서, 심폐 소생술 유닛은 등판에 더욱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팽창 또는 비만에 기인하여 환자가 매우 클 때에도 신속하고 정확하며 더욱 온건한 심폐 소생술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등판에 대한 심폐 소생술 유닛의 연결이 용이해지며, 그 이유는 환자의 의복들(환자의 가슴에 대한 억세스를 가능하게도록 절개되어 있는)의 헐거운 부분들이 커넥터들을 덮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세트의 아암들의 연장부는 폐쇄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보드 요소에 형성된 경사로들에서 제 2 세트의 아암들을 활주시킴으로써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연장부는 폐쇄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제 2 세트의 아암들을 회전시키는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세트의 아암은 폐쇄 및/또는 연장 위치에서 아암들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이들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보드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보드 요소와 제 2 세트의 아암들의 용이한 세정을 위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들은 사용 동안 다양한 유체들, 예를 들어, 혈액에 노출된다.
또한,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분리는 전자기 스캐닝 동안 등판이 환자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들은 레일들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은 흉골에 대한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의 용이한 위치설정을 위해 활주될 수 있다. 레일들은 보드 요소의 측부 에지들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의 활주를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드 요소들은 등판의 용이한 취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견부 정지부들에 대향한 제 2 세트의 아암들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측부 에지에서 보드 요소 상에 제공된 핸들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본 목적들은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과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판을 포함하는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심장 자극기와 호흡 보조기를 포함한다.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도 1a는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연장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도 1a의 등판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트의 아암이 비연장 위치에 있는, 도 1a에 도시된 등판을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트의 아암이 연장 위치에 있는 도 2의 등판을 도시한다.
도 4는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비연장 위치에 있는, 도 2의 등판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연장 위치에 있는, 도 2의 등판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비연장 위치에 있는, 도 2의 등판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연장 위치에 있는, 도 2의 등판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들것과 함께 사용되는 도 2의 등판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목부 지지부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목부 및 머리 지지부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등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의복들이 절개된 상태로 환자가 등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종래 기술 등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b는 자동 심폐 소생술 유닛의 부착 동안 등판 상에 환자가 배치되어 있는 종래 기술 등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환자가 등판 상에 배치되어 있고, 의복들이 절개되어 있으며, 제 2 세트의 아암들이 연장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의 부착 동안 도 12a의 등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활주-제 2 아암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판(1)이 도시되어 있다. 등판은 보드 요소(10)와 견부 정지부들(20, 21)을 포함한다. 보드 요소(10)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며, 상단 및 저부 표면(15, 16)을 구비한다(도 4 참조). 상단 표면(15)은 환자의 등을 위한 안착부를 제공한다. 이는 전체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등판에 더 꼭 맞게 되도록 미소하게 오목형일 수 있다. 보드 요소(10)는 평면(P)을 형성한다. 보드 요소(10)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또한, 상단 에지(11), 저부 에지(12) 및 측부 에지들(13, 14)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보드는 다른 형상들, 예를 들어, 타원형일 수 있다.
등판(1)은 견부 정지부들(20, 21)을 더 포함한다. 견부 정지부들(20, 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보드 요소(10)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즉, 등판은 예를 들어, 몰딩 또는 다른 단일 부품 부재 기술들에 의해 형성된 단일 부품 부재이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보드 요소(10) 및 견부 정지부들(20, 21)은 조립체를 형성하며, 견부 정지부들(20, 21)은 스크류들, 접착제, 용접 또는 다른 연결 기술들에 의해 보드 요소(10)에 연결될 수 있다.
견부 정지부들(20, 21)은 강체로서 형성되거나, 가능하게는 다소 가요성인 아암들로서 형성되며, 그래서, 이들은 A-CPR 유닛이 작동할 때 및/또는 등판(1)이 사용 동안 들어올려지거나, 경사지거나, 다른 방식으로 거칠게 취급될 때 등판(1) 상에 환자를 지탱할 수 있다.
견부 정지부들(20, 21)은 보드 요소(10)의 상단 에지(11)에 제공되며, 측부 에지들(13, 14)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견부 정지부들(20, 21)을 형성하는 각 아암의 단면은 평면(P)에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견부 정지부들(20, 21)은 바람직하게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형상이거나,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견부 정지부들(20, 21)과 환자 견부들 사이의 꼭맞는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반원형 형상 또는 다른 형태이다.
등판(10) 상에 위치된 환자의 안정화는 A-CPR 시스템에서 중요한 단계이며, 그 이유는 A-CPR 유닛이 환자의 흉골에 전달하는 힘 때문이다. 흉골에 인가된 힘이 A-CPR 유닛에 대해, 주로 머리 방향으로 신체를 이동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은 흉골 상을 가압할 때 A-CPR 유닛 기계적 심장 자극기의 힘에 의해 생성된다. 강성 견부 정지부들(20, 21)은 그와 같은 이동을 방지한다. 단지 목부 지지부를 구비하는 종래 기술 등판들에서, 목부 지지부의 적당한 높이는 A-CPR 유닛에 의한 기계적 파운딩(pounding)에 기인하여, 그리고, 환자의 의복들이 환자의 신체와 등판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머리 방향으로 환자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환자의 신체가 목부 지지부 위로 활주될 위험에 노출된다.
등판(1)의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견부 정지부들(20, 21)은 측부 에지들(13, 14)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별 견부 정지부들(20, 21)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도록 보드 요소(10)에 조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등판은 다양한 목부 및 견부 폭들의 환자들을 위해 적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견부 정지부들(20, 21)은 측부 에지들(13, 14)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다양한 목부 길이 및 상부 신체 크기를 갖는 환자들에 등판(1)이 적응될 수 있게 한다.
측부 에지들(13, 14)에 대한 수직 및/또는 평행 방향으로의 견부 정지부들(20, 21)의 조절성은 보드 요소의 등판 상에 제공된 비품들에 또는 보드 요소(10)(그의 후방측부) 상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된 홈들 또는 채널들 내에서 안내되는 견부 정지부들을 형성하는 아암들의 섹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등판(1)은 예를 들어, 칼라 및/또는 쿠션(들) 및/또는 패드(들)의 형태(도 9 및 도 10 참조)의 목부 지지부(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목부 지지부(22)는 환자의 쾌적성 및/또는 등판(1)에 대한 환자의 머리의 위치설정을 돕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목부 지지부(22)는 환자의 기도를 폐색을 피하기 위해, 그리고, 산소 공급을 위해 열려진 기도를 제공하는 위치에 환자들의 목부 및 머리를 유지하도록 목부를 지지하고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목부 지지부(22)는 보드 요소(10)의 상단 에지(11)에서 보드 요소(10) 상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목부 지지부(22)를 형성하는 칼라 및/또는 쿠션(들) 및/또는 패드(들)는 팽창가능한 부품(들)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하지 않을 때 등판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목부 지지부들의 팽창은 A-CPR 유닛과 연계된 산호 공급 탱크로부터의 산소의 사용에 의해, 또는 자동 팽창을 제공하기 위한 유사한 휴대용 가스 장치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칼라 및/또는 패드(들) 및/또는 쿠션(들)은 수동 팽창가능할 수 있다(펌프 또는 경구 팽창에 의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패드들 또는 쿠션들의 형태의 패딩은 환자들의 목부에 대면한 측부 상에서 견부 정지부들(20, 21)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패딩은 목부/목구멍의 측방향 고정 및 쾌적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도 10 참조)에서, 머리 안착부(23)는 보드 요소(10)의 상단 에지(11)에 제공된다. 그에 의해, 등판(1)은 환자들의 머리가 보드 요소(10)에 대해 경사지거나 위치가 변하지 않고 보드 상에 환자가 여전히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등판(1)이 들어올려지고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환자에 대한 추가적 부상들이 방지될 수 있다.
머리 안착부(23)는 등판이 사용되지 않을 때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탈부착가능한 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헤드 안착부는 보드 요소(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보드 요소(10)는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의 연결을 위해 구성된 커넥터들(50, 51)의 세트를 포함한다. 커넥터(50, 51)의 형태는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 상의 커넥터들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 커넥터들(50, 51)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 장치들과 유사하게 A-CPR 유닛의 연결을 위한 보드 요소(10)의 측부 에지들(13, 1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들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이들은 플라스틱으로, 예를 들어, 보드 요소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플라스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한 실시예들(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참조)에서, 보드 요소(10)는 상기 측부 에지들(13, 14)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보드 요소(10)의 상기 평면(P)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보드 요소(10)로부터 연장할 수 있는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을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커넥터들(50, 51)은 연장가능한 아암들(60, 61) 상에 형성된다. 커넥터들(50, 51)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이들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들(50, 51)은 연장가능한 아암들(60, 61)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은 상기 측부 에지들(13, 14)에 수직인 방향으로 환자의 이동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등판(1) 상에 환자를 안정화하는 기능으로서 기능한다.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은 조절가능하며, 폐쇄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연장가능하다. 폐쇄 위치에서, 아암들(60, 61) 각각 상에 형성된 커넥터들(50, 51)은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의 표면(15)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연장 위치에서, 각각 아암들(60, 61) 상에 형성된 커넥터들(50, 51)은 평면(P)[또는 표면(15)] 위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도 1a 내지 도 1c, 도 3,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에지들(13, 14)로부터 멀리 그리고, 그들을 벗어나도록 연장된다. 양호한 실시예들에서, 아암들을 조절하거나 연장시키는 것은 폐쇄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의 경사로 또는 유사한 안내 메커니즘 내에서 아암들(60, 61)을 활주시키는 활주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아암들의 조절 또는 연장은 아암들(60, 61)이 폐쇄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아암들(60, 6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연장 위치에서 아암들(60, 61)의 제 2 세트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로킹 메커니즘은 스플릿들(splits) 및/또는 유사한 로킹 메커니즘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아암들(60, 61)의 연장부와, 그에 따른 커넥터들(60, 61)은 사용 동안 커넥터들(50, 51)에 대한 접근로를 폐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등판의 측부 에지들의 위치에 커넥터들(50, 51)이 위치되어 있는[본 발명의 본 실시예들의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의 설명된 폐쇄 위치와 유사한 위치] 종래 기술 장치들(도 11a 및 도 11b 참조)에서, 의복들이 절개된 환자들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들에 대한 접근을 방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외상 유발 팽창 또는 비만으로 인해 환자가 큰 경우, 연장가능한 아암들(60, 61)은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이 연장 위치로 미끄러져 나올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들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A-CPR 유닛이 커넥터들(50, 51)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도 11b에서, 환자의 신체가 종래 기술 장치들에서 A-CPR 유닛의 부착을 방해하는 방식을 예시한다. 도 12b에는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이 커넥터들(50, 51)에 대한 A-CPR 유닛의 용이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예시되어 있다.
커넥터들(50, 51)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 레일들(도 2 참조)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커넥터들(50, 51)은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의 레일들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커넥터들(50, 51)은 환자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A-CPR 유닛을 활주시키고 환자 및 등판에 대한 원하는 위치에서 커넥터들(50, 51)에 이를 클램핑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측부 에지들(13, 14)에 평행한 방향으로 A-CPR을 정렬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아암들은 보드 요소(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은 제거될 수 있으며, 보드 요소(10)와 아암들(60, 61)은 효과적으로 세정 및 살균될 수 있다. 이는 사용 동안 등판이 혈액 및/또는 다른 유체들에 노출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중요하다.
보드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 스캐닝 시스템들, 예를 들어, X-레이에 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재료는 플라스틱 및/또는 유사한 재료일 수 있다. 그에 의해, 환자는 등판 상의 지지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환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변형 또는 위험을 제공하지 않고, 신속하게 스캐닝 시스템까지 등판(1)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견부 정지부들(20, 21) 및/또는 목부 지지부(22) 및/또는 머리 지지부(23)는 플라스틱 같은 일반적인 스캐닝 시스템들에 대해 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판(1)은 다른 장비 및/또는 환자에 추가로 예를 들어 구조 인력에 의해 운반될 필요가 있는 무게를 최소화하는 경량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량 재료는 다양한 힘을 가진 구조 인력들이 더욱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등판(1)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등판(1)은 측부 에지들에서 보드 요소(10)에 위치된 핸들들의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들은 보드 요소(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들은 견부 정지부들(20, 21)에 대향한 제 2 세트의 아암들(60, 61)에 인접하게 보드 요소(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핸들들은 등판(1)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의해, 등판 상의 환자의 배치 및/또는 재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A-CPR 유닛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들들은 저부 에지(12)(미도시) 및/또는 상단 에지(11)(미도시)에 및/또는 견부 정지부들(20, 21) 상에(예를 들어, 도 1 참조)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보드 요소(10)는 또한, 사용되지 않을 때, 보관 동안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수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측부 에지들(13, 14)에 수직이거나 평행한 축을 따라 절첩될 수도 있다.
등판(1)은 보드 요소(10)의 이면측부(16)의 굴곡부 또는 볼록부에 의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들것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구조 인력은 등판으로부터 환자를 먼저 제거하지 않고 내내 지지된 위치에서 환자를 유지하여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들것 상으로 환자를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보드 요소(10)의 이면 측부(16)의 굴곡부 또는 볼록부는 등판(1) 상에 환자를 스쿱핑(scooping)하는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들에 연계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비록, 개별 특징들이 다른 청구항들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은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다른 청구항들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특징들의 조합이 실현가능하지 않다는 것 및/또는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단수 언급들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 "제 1", "제 2" 등에 대한 언급들로 인해서 복수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청구범위 내의 참조 부호들은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5)

  1.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으로서,
    - 평면을 형성하고, 상단 에지, 저부 에지, 제 1 측부 에지 및 제 2 측부 에지를 구비하는 보드 요소와;
    - 상기 등판을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에 대해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부 에지들에 제공되는 커넥터들의 세트; 및
    - 상기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에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정화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는 등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요소들은 상기 보드 요소의 상기 상단 에지에 제공된 견부 정지부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등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 정지부들은 상기 측부 에지들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절가능한 등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 정지부들은 상기 측부 에지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가능한 등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 정지부들은 상기 보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는 등판.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 정지부들은 L 형상 또는 반원형 형상인 등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요소들은 상기 측부 에지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보드 요소의 상기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보드 요소로부터 연장가능한 제 2 세트의 아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연장가능한 아암들 상에 위치되는 등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상기 보드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등판.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상기 보드 요소로부터 활주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는 등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상기 보드 요소 내에 제공된 안내부들 내에서 제 1 폐쇄 위치로부터 제 2 연장 위치로 안내되는 등판.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아암들은 상기 보드 요소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또한 연장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등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 상에 핸들들의 세트가 제공되는 등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들은 상기 견부 정지부들에 대향한 제 2 세트의 아암들에 인접한 상기 측부 에지들에서 보드 요소 상에 제공되는 등판.
  14.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등판; 및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심폐소생술 유닛은 기계적 심장 자극기 및 호흡 보조기를 포함하는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


KR1020117026883A 2009-04-15 2010-04-14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KR101648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7987 2009-04-15
EP09157987.0 2009-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382A true KR20120029382A (ko) 2012-03-26
KR101648205B1 KR101648205B1 (ko) 2016-08-12

Family

ID=4231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883A KR101648205B1 (ko) 2009-04-15 2010-04-14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16283B2 (ko)
EP (1) EP2419070B1 (ko)
JP (2) JP5802194B2 (ko)
KR (1) KR101648205B1 (ko)
CN (1) CN102395345B (ko)
BR (1) BRPI1006434A8 (ko)
RU (1) RU2531141C2 (ko)
WO (1) WO2010119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05B1 (ko) * 2009-04-15 2016-08-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CN103118648B (zh) 2010-09-20 2016-02-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cpr装置的激光对准
US8641647B2 (en) * 2011-09-16 2014-02-04 Zoll Circulation, Inc. Chest compression devices for use with imag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of chest compression devices with imaging systems
GB201218336D0 (en) 2012-10-12 2012-11-28 Univ Oslo Hf Chest compression device
US9629776B2 (en) 2012-10-25 2017-04-25 Physio-Control, Inc. Back plates for mechanical CPR compression
CN104981228B (zh) 2013-02-04 2017-07-1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自动cpr装置的可延伸元件的一次性覆盖套
US9603772B2 (en) 2013-02-05 2017-03-28 Physio-Control, Inc. Beam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US9539173B2 (en) 2013-02-05 2017-01-10 Physio-Control, Inc. Fixation of device to back plate
WO2014128583A1 (en) 2013-02-25 2014-08-28 Koninklijke Philips N.V. Automated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a right angle rope and pulley assembly
US9504626B2 (en) * 2013-03-14 2016-11-29 Zoll Circulation, Inc. CPR gurney
EP3073978A1 (en) * 2013-11-25 2016-10-05 Koninklijke Philips N.V. Cardiopulmonary compression device receiving flip-up legs
MX2016007010A (es) * 2013-12-03 2016-10-05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de reanimacion cardiopulmonar automatizada de caja movil.
US9750661B2 (en) 2014-02-19 2017-09-05 Keith G. Lurie Systems and methods for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10667987B2 (en) 2014-02-19 2020-06-02 Keith G. Lurie Uniform chest compression CPR
US10245209B2 (en) 2014-02-19 2019-04-02 Keith G. Lurie Systems and methods for gravity-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10406068B2 (en) * 2014-02-19 2019-09-10 Keith G. Lurie Lockable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upport device
US11844742B2 (en) 2014-02-19 2023-12-19 Keith G. Lurie Methods and systems to reduce brain damage
US9801782B2 (en) 2014-02-19 2017-10-31 Keith G. Lurie Support devices for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11259988B2 (en) * 2014-02-19 2022-03-01 Keith G. Lurie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and upper body elevation system
US11246794B2 (en) 2014-02-19 2022-02-15 Keith G. Lurie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ost-resuscitation recovery
US11020314B2 (en) 2014-02-19 2021-06-01 Keith G. Lurie Methods and systems to reduce brain damage
US9707152B2 (en) 2014-02-19 2017-07-18 Keith G. Lurie Systems and methods for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11096861B2 (en) 2014-02-19 2021-08-24 Keith G. Lurie Systems and methods for gravity-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ion
US10350137B2 (en) 2014-02-19 2019-07-16 Keith G. Lurie Elevation timing systems and methods for head up CPR
US10406069B2 (en) 2014-02-19 2019-09-10 Keith G. Lurie Device for elevating the head and chest for treating low blood flow states
US10667989B2 (en) 2015-02-24 2020-06-02 Jolife Ab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chines with stabilizing members and methods
CN105109886B (zh) * 2015-09-22 2017-10-13 上海尚领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心肺复苏垫板
US10507161B2 (en) 2016-06-06 2019-12-17 Jolife Ab Back plates for mechanical CPR Compression
US11179293B2 (en) 2017-07-28 2021-11-23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system with chest compression system and harness assembly with sensor system
US11154454B2 (en) 2017-10-23 2021-10-26 Physio-Control, Inc. CPR chest compression device with releasable base member
ES1234714Y (es) 2019-07-15 2019-12-11 Diseno Y Produccion De Sist Rcp S L Dispositivo para la reanimacion cardio-pulmonar de un paciente
US20210283009A1 (en) * 2020-03-12 2021-09-16 Physio-Control, Inc. Adjustable mechanical cpr device for a range of patient sizes
KR102567181B1 (ko) * 2021-08-20 2023-08-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형 백 플레이트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장치
KR102567184B1 (ko) * 2021-08-20 2023-08-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흉부압박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3458A (ja) * 1988-08-30 1990-03-02 Ogawara Takahito 自動人工呼吸機
US6223749B1 (en) * 1998-12-15 2001-05-01 W Roger Beaty Cervical board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1052A (en) * 1965-10-18 1967-11-07 Carl E Hewson Heart and lung resuscitator
SE371743B (ko) * 1973-04-10 1974-12-02 Petersson B
US4060079A (en) * 1975-11-17 1977-11-29 Survival Technology, Inc. Heart-lung resuscitator litter unit
US6371119B1 (en) * 1999-10-15 2002-04-16 Filiberto P. Zadini Tiltable backboar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U2168319C1 (ru) * 2000-01-18 2001-06-10 Пичхадзе Исак Михайлович Лечебно-транспортная шина при переломах плечевой кости
WO2002005740A2 (en) * 2000-07-14 2002-01-24 Hill-Rom Services, Inc. Pulmonary therapy apparatus
US7569021B2 (en) * 2002-03-21 2009-08-04 Jolife Ab Rigid support structure on two legs for CPR
US7063461B2 (en) * 2002-11-21 2006-06-20 Qfix Systems, Llc Patient support device with shoulder depression device
US7226427B2 (en) * 2003-05-12 2007-06-05 Jolife Ab Systems and procedures for treating cardiac arrest
US7775996B2 (en) * 2006-10-20 2010-08-17 Laerdal Medical As Chest compression system
JP5191718B2 (ja) 2006-10-20 2013-05-08 レルダル メディカル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胸部圧迫システム
EP2094222A4 (en) * 2006-11-29 2012-11-28 Jolife Ab SUPPORT FOR A CPR DEVICE
RU75936U1 (ru) * 2008-02-26 2008-09-1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уднев Медицинская шина
KR101648205B1 (ko) * 2009-04-15 2016-08-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3458A (ja) * 1988-08-30 1990-03-02 Ogawara Takahito 自動人工呼吸機
US6223749B1 (en) * 1998-12-15 2001-05-01 W Roger Beaty Cervical board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6434A8 (pt) 2017-09-19
CN102395345B (zh) 2015-02-04
KR101648205B1 (ko) 2016-08-12
US20120042881A1 (en) 2012-02-23
JP2015157181A (ja) 2015-09-03
JP2012523883A (ja) 2012-10-11
EP2419070B1 (en) 2016-04-13
US9016283B2 (en) 2015-04-28
BRPI1006434A2 (pt) 2017-02-21
RU2531141C2 (ru) 2014-10-20
JP5802194B2 (ja) 2015-10-28
WO2010119401A1 (en) 2010-10-21
EP2419070A1 (en) 2012-02-22
CN102395345A (zh) 2012-03-28
RU2011146155A (ru)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9382A (ko) 자동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위한 등판
US8578936B2 (en) Support for supporting a patient
US7017215B1 (en) Support for extended arms of a person lying on their side
ES2714286T3 (es) Cama para hospitalizaciones
US20170246066A1 (en) Patient positioning device
US202400999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stabilizing a patient during hip distraction
EP3108866B1 (en) Patient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023121A1 (en) Method of positioning a patient
BRPI0418890B1 (pt) Dispositivo de levantamento de paciente
EP3581240B1 (en) Immobilisation device for radiotherapy
US7617553B1 (en) Patient lifting device
US20090106903A1 (en) Chiropractic cushion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chiropractic support
US20160287458A1 (en) Spine Assisting Rotatable Table
US10857052B1 (en) Treatment table for therapeutic treatment, physical rehabilitation and training and method of use
EP4035640B1 (en) Lateral spine surgery top for two column operating table
US6003175A (en) Lateral decubitus positioning device with a detachable limb support
US11178975B2 (en) Pillow lifting system
EP2689761A1 (en) Stretcher with a movable headrest, its use and a movable headrest assembly for stretchers or beds
WO2016022564A1 (en) Patient repositioning system for bariatric bed
US7717118B2 (en) Protective shield
EP3549485A1 (en) Stand-alone neck support
CN106214393A (zh) 可辅助翻身的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