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938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938A
KR20120028938A KR1020117030912A KR20117030912A KR20120028938A KR 20120028938 A KR20120028938 A KR 20120028938A KR 1020117030912 A KR1020117030912 A KR 1020117030912A KR 20117030912 A KR20117030912 A KR 20117030912A KR 20120028938 A KR20120028938 A KR 2012002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collecting body
cleaning member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207B1 (ko
Inventor
하건호
김지훈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 진공 청소기에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에는,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 상기 집진 바디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 및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먼지 분리 장치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장치 및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은,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바디에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집진 바디에 먼지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중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저장부에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먼지통에 의하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가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먼지통의 먼지를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먼지통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집진 바디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함과 동시에 집진 바디의 내벽의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가압 부재과 집진 바디 사이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에는,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 상기 집진 바디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 및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먼지통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먼지통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 부재의 회전 시 청소 부재가 상기 먼지통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먼지통 내벽의 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 내벽이 청소됨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먼지통에 쌓인 먼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의 회전축이 상기 먼지통에 형성되는 고정축을 둘러싸므로, 상기 고정축에 이물질이 감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제 1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사시도.
도 10은 제 1 가압 부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집진 바디의 수평 단면도.
도 11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집진 바디의 사시도.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내부에 흡입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통(20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바퀴(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의 상측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14)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측 부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수용되는 수용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수용부(18)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부재(20)는 일단이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버튼(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버튼(22)의 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수용부(18)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의 일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는 후술할 먼지분리 장치(100)의 먼지 배출부와 연통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싸이클론 유닛(110)과,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 결합되며,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150)이 포함된다.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은,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싸이클론 바디(12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2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은 완전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20)에는 복수의 흡입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수용부(18)에 수용되면, 상기 복수의 흡입부(123)는 상기 각 흡입홀(15)과 연통된다.
도 4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200)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211)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2)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레버(214)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25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유입부(252)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의 개구부(16)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211)에 저장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에는, 상기 집진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압 부재(220)와, 상기 집진 바디(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230)가 포함된다.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제 1 가압판(221)과, 상기 제 1 가압판(221)과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222)과, 상기 제 1 가압판(221)에 결합되는 청소 부재(223)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에는, 상기 제 1 가압판(221)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제 2 가압판(231)과, 상기 회전축(222)이 결합되는 고정축(232)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축(232)은 상기 집진 바디(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23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23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2)은 상기 고정축(23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232)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므로, 가이드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압판(231)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 또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 부재(223)는, 상기 제 1 가압판(221)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례로 도 7에는 상기 청소 부재(223)가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된다.
즉,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일측은 회전축(222)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청소 부재(223)가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222)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청소 부재(223)는 탄성을 지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부재(223)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측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판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측단부에는 상기 청소 부재(223)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측단부에는 상기 수용부(221a)에 수용된 상기 청소 부재(223)의 분리를 방지하는 복수의 분리 방지부(221b)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 부재(223)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221a)에 수용되는 몸체부(224)와, 상기 집진 바디의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부(225)와, 상기 몸체부(224)와 상기 접촉부(225)를 연결하는 연결부(226)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224)에는, 상기 각 분리 방지부(221b)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224a)와, 상기 몸체부(224)가 상기 수용부(221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함몰부(224b)가 포함된다. 상기 삽입부(224a) 및 함몰부(224b)는, 상기 청소 부재(22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24b)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224)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함몰부(224b)가 없을 때보다 상기 몸체부(224)의 변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221a)에 상기 몸체부(224)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224)를 상기 수용부(221a)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224)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함몰부(224b)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224)가 쉽게 변형되어, 상기 몸체부(224)가 상기 수용부(221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24)에 가해졌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몸체부(224)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224)와 상기 수용부(221a)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24)가 상기 수용부(221a)에 수용되면, 상기 분리 방지부(221b)가 상기 삽입부(224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224)는 상기 분리 방지부(221b)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판(221)의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25)는 상기 연결부(226) 측에서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벽을 향하여 갈수록 수평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225)는 일례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촉부(225)와 상기 몸체부(224)의 상대 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226)의 두께(t)는 상기 몸체부(224) 및 상기 접촉부(225)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 부재(223)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226)에 의해서 상기 청소 부재(223)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회전 중심 선으로부터 상기 접촉부(225)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회전 중심 선으로부터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 상기 청소 부재(223)는 연결부(226)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225)가 상기 연결부(226)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224)에 대해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 1 가압 부재(2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10, 42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원으로는 압축 모터(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압축 모터는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410, 42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410)와, 상기 종동 기어(410)로 상기 압축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4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어(420)를 제 1 기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종동 기어(410)를 제 2 기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42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 기어(420)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4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종동 기어(410)는, 다수 개의 기어 이가 형성되는 기어 바디(411)와, 상기 기어 바디(411)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어 축(412)이 포함된다. 상기 종동 기어(410)의 기어 축(41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회전축(2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어(41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압축 모터는 상기 장착부(13)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압축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13)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장착부(13)의 바닥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 바닥에는 상기 구동 기어(420)의 외주면 일부를 상기 장착부(13)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3a)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구동 기어(420)가 상기 장착부(13)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13)에 상기 먼지통(200)가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구동 기어(420)와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 모터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정회전(시계 방향 회전)과 역회전(반시계 방향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정회전 및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의 양측에 압축된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 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는 싱크로노스 모터 (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일 방향 회전시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 및 먼지의 압축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1 가압 부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집진 바디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 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상기 흡입 모터(미도시)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가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의 각 흡입부로 분배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10)로 유입된 공기는 싸이클론 유닛(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와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14)로 배출되고, 상기 먼지 배출부(114)의 공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의 개구부(15)를 관통한 후에 상기 먼지 유입부(252)를 통하여 상기 먼지통 (200)로 이동된다.
반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서 배출되어 필터 유닛(150)으로 이동된다. 상기 필터 유닛(150)으로 이동된 공기는 필터링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211)에 먼지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220, 230)는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먼지 저장부(211)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된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먼지통(200)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기어(4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 (420)가 회전되면 이와 맞물린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되면 상기 종동 기어(410)과 체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 측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청소 부재(223)는 상기 제 1 가압판(22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접촉부(225)는 상기 연결부(226)에 의해서 위치 변형되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225)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묻은 먼지나 모래 등을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 부재(223)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판(221)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벽 사이의 틈이 제거되므로, 모래나 이물질 등이 상기 제 1 가압판(221)과 상기 집진 바디(2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래 또는 이물질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판(221)이 일 례로 도 10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부(2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 부재(223)의 상기 연결부(226)는 반시계 방향으로 휘게 된다.
상기 청소 부재(223)의 연결부(226)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상기 가압판(221)의 회전 방향이 변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226)가 휘는 방향도 쉽게 변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6)의 두께가 두껍거나, 상기 연결부(226)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비하여 상기 청소 부재(223)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가압 부재가 구비되어 먼지를 압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는, 상하 병진운동에 의해서 먼지를 압축하거나, 전후 병진 운동에 의해서 먼지를 압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는 구동원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가압 부재는 구동원에 의해서 자동으로 병진 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 또는 병진 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 부재의 움직임 방식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만,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집진 바디의 내벽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부재가 구비되는 것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청소 부재의 위치 및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500)에는, 먼지 저장부(511)를 형성하는 집진 바디(510)와, 상기 집진 바디(5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550)와, 상기 집진 바디(510)의 내벽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유닛(540)과, 상기 커버 부재(55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청소 유닛(5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560)과, 상기 집진 바디(510)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하는 복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는 상기 집진 바디(5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압 부재(520)와, 상기 집진 바디(5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5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520)는, 제 1 가압판(521)과 상기 제 1 가압판(521)과 연결되는 회전축(5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압 부재(530)는 제 2 가압판(531)과 상기 회전축(522)이 결합되는 고정축(5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구동 유닛과 별도로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동 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550)에는 상기 집진 바디(510)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먼지 유입부(5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55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 유닛(56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는 외측 가이드부(553)과, 상기 외측 가이드부(553)와 이격되는 내측 가이드부(55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560)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553)와 상기 내측 가이드부(554)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유닛(560)에는, 상기 커버 부재(550)의 상면에 놓이는 바디(561)와, 상기 바디(561)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565)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56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565)는 상기 바디(56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바디(561)의 내주면에는, 상기 바디(561)의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63)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563)에는 상기 청소 유닛(54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564)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 유닛(540)은, 상기 커버 부재(550)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56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550)가 상기 집진 바디(510)에 결합되면, 상기 청소 유닛(540)은 상기 집진 바디(510)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청소 유닛(540)에는, 상기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부재(546)와, 상기 청소 부재(546)를 지지하는 지지부(542)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부(542)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43)와, 상기 수평부(543)의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44)가 포함된다. 상기 수평부(543)에는, 상기 연결부(564)에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54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45)는, 상기 연결부(56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64) 및 상기 결합부(545)는 체결 부재(S)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부재(546)는, 상기 수직부(5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부재(546)는 일례로 상기 수직부(544)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결합되거나,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부재(546)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청소 부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부재(550)가 상기 집진 바디(510)에 결합되면, 상기 수평부(543)는 상기 회전축(522)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부(544)는 상기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가압판(521)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546)의 측단부는 상기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565)를 잡고 상기 조작부(565)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연결부(564)와 연결된 상기 청소 유닛(540)이 회전되어, 상기 청소 부재(546)에 의해서 상기 집진 바디(510)의 내벽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소 유닛(54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축(52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직부(544)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522)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가압판(521)의 측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56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562)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56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554)에는 상기 구동 유닛(560)의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55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555)는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555)는 상기 구동 유닛(56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돌기(562)가 마찰되면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55)의 일부가 한 쌍의 돌기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 유닛(560)의 정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집진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압 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바디(610)에는, 복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는 상기 집진 바디(6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압 부재(620)와, 상기 집진 바디(6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6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620)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6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제 1 가압판(621)과, 상기 제 1 가압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6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압 부재(630)는, 상기 집진 바디(6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판(631)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압판(631)은 상기 집진 바디(610)의 내주면 또는 상기 집진 바디(61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610)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축(622)과 결합되기 위한 고정축(63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압판(631)은 상기 고정축(632)과 이격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축(622)에는, 상기 고정축(632)의 외측 둘레를 감싸기 위한 외벽(641)과, 상기 고정축(632)에 삽입되기 위한 내벽(64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내벽(642)은 상기 고정축(6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상기 고정축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므로, 가이드부라고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외벽(641)은, 상기 고정축(632)과 상기 제 1 가압판(621) 사이의 틈새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632)과 상기 제 1 가압판(621) 사이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축(632)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632) 둘레에 감긴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벽(641)은 상기 고정축(632)과 상기 제 2 가압판(631)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62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내벽(642)에는 상기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종동 기어(710)의 축이 삽입된다.
도 1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750)의 하측면에는 상기 회전축(62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753)와 상기 제 1 가압판(621)과 상기 제 2 가압판(631)의 상호 작용에 의한 먼지 압축시 상기 제 2 가압판(63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75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 가이드(753)는, 상기 커버 부재(75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22)의 상단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753)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754)는, 상기 커버 부재(75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 부재(750)가 상기 집진 바디(6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압판(631)의 양측 상단 일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압판(621)이 회전되어 상기 제 1 가압판(621)과 상기 제 2 가압판(631) 사이의 먼지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가압판(631)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2 가압판(631)은 상기 지지부(754)에 지지되므로, 상기 제 2 가압판(631)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압판(621)의 상측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75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6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622)이 상기 회전 가이드(753)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회전 가이드(753)에 의해서 회전이 가이드될 수 있다.

Claims (9)

  1.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에는,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
    상기 집진 바디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 및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집진 바디 내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외력에 의해서 형상 변형이 가능한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에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에 슬라이딩 결합 또는 상기 가압 부재와 함께 인서팅 사출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진공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117030912A 2009-08-24 2009-08-24 진공 청소기 KR101340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4714 WO2011025072A1 (ko) 2009-08-24 2009-08-24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938A true KR20120028938A (ko) 2012-03-23
KR101340207B1 KR101340207B1 (ko) 2013-12-10

Family

ID=4362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912A KR101340207B1 (ko) 2009-08-24 2009-08-24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955193B2 (ko)
EP (1) EP2422672B1 (ko)
KR (1) KR101340207B1 (ko)
WO (1) WO2011025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9319A (zh) * 2013-12-27 2015-07-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压缩板驱动结构
CN106963294B (zh) * 2017-05-26 2022-06-10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清灰结构和吸尘器
DE102021206912B4 (de) 2021-07-01 2023-06-15 BSH Hausgeräte GmbH Staubsammeleinrichtung
WO2024055224A1 (en) 2022-09-15 2024-03-21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988B1 (ko) * 2000-03-24 2004-01-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진공 청소기
FR2823091B1 (fr) * 2001-04-09 2003-06-13 Seb Sa Dispositif de compactage des dechets dans un aspirateur
KR100412580B1 (ko) * 2001-06-04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ATE430178T1 (de) * 2001-12-06 2009-05-15 Jamaak Fabrication Tex Llc Verbesserter scheibenwischer mit verbesserten reibungseigenschaften
US7237480B2 (en) * 2004-03-30 2007-07-03 Donovan Ruddock Manually operated trash compactor
US8012250B2 (en) * 2005-12-10 2011-09-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7749295B2 (en) * 2005-12-10 2010-07-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0906848B1 (ko) 2006-05-20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0871483B1 (ko) 2006-02-24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JP2007222613A (ja) 2006-02-24 2007-09-06 Lg Electronics Inc 真空掃除機の制御方法
KR100912316B1 (ko) * 2007-01-24 200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20080263815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7854782B2 (en) * 2007-04-30 2010-12-2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7785381B2 (en) * 2007-04-30 2010-08-3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combined compacting and filter cleaning for a vacuum cleaner
KR100871498B1 (ko) * 2007-07-16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0941429B1 (ko) * 2008-02-19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8151409B2 (en) * 2009-02-26 2012-04-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713752B2 (en) * 2009-03-13 2014-05-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4363B2 (en) 2017-11-14
EP2422672A1 (en) 2012-02-29
KR101340207B1 (ko) 2013-12-10
US20120079675A1 (en) 2012-04-05
US20150007410A1 (en) 2015-01-08
US8955193B2 (en) 2015-02-17
EP2422672B1 (en) 2015-10-21
EP2422672A4 (en) 2013-01-09
WO2011025072A1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0327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CA2617398C (en) A vacuum cleaner
KR100838887B1 (ko) 진공 청소기
KR100912316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474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101340207B1 (ko) 진공 청소기
JP2019155053A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0842963B1 (ko) 진공 청소기
KR10105218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101012937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90007913A (ko) 진공 청소기
KR10119607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105217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1286853B1 (ko) 진공 청소기
EP2306878B1 (en) Vacuum cleaner
EP4295737A1 (en) Cleaning device
KR100838888B1 (ko) 진공 청소기
EP2316323A1 (en) Vacuum cleaner
KR100853330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838885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4B1 (ko) 진공 청소기
KR101258503B1 (ko) 진공 청소기
KR20090007910A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
KR100912317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