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888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888B1
KR100838888B1 KR1020070007657A KR20070007657A KR100838888B1 KR 100838888 B1 KR100838888 B1 KR 100838888B1 KR 1020070007657 A KR1020070007657 A KR 1020070007657A KR 20070007657 A KR20070007657 A KR 20070007657A KR 100838888 B1 KR100838888 B1 KR 10083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or
pressing member
storage unit
compress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호
하건호
김진영
권혁민
이창훈
서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압축 모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및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압축 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집진 장치, 가압 부재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 장착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바디의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모터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청소기 본체 170 : 집진 장치 장착부
200 : 집진 장치 270 : 제 1 가압 부재
280 : 제 2 가압 부재 410 : 종동 기어
420 : 구동 기어 430 : 압축 모터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에 쌓인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가 포함된 외부 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진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집진 바디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의 하부 공간 즉,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작동하는 동안은 상기 집진 바디 내부의 회전류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집진 바디의 저면에 그대로 가라앉아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종래의 집진 장치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작동되는 중에 상기 집진 유닛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저장되면, 먼지가 상기 집진 바디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집진 바디의 상부 공간에 형성되는 싸이클론부를 침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미분리된 먼지가 배출기류에 편승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므로,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먼지는 상기 집진 바디의 저면에 그대로 가라앉아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즉, 상기 집진 바디 내부의 먼 지가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를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청소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에 집진되는 먼지의 용량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자동적으로 압축되도록 하여 집진 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압축 모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및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압축 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어,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가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종동 기어가 포함되고, 상기 종동 기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성형되는 다수의 기어 이가 포함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바디부의 회전 반경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압축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로 노출되는 기어가 포함되며,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기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압축 모터의 축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압축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10)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및 연결관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미도시)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 흡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본체 배출부 (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 손잡이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커버(160)가 결합된다.
한편, 먼지 분리 수단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일차적으로 분리하는 제 1 싸이클론부(후술함)가 구비되는 집진 장치(200)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먼지가 분리된 공기에서 재차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 2 싸이클론부(30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손잡이부(140)에는 착탈 레버(142)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착탈 레버(142)와 걸림 작용이 수행되는 걸림단(2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0)는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및 제 2 싸이클론부(300)와 연통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집진 장치(2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13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1 공기 유입구(2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218)는 상기 집진 장치(200)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공기 배출구(252)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연결 유로(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유로(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대략 원추 형상의 소싸이클론들이 다수 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상측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소형화가 요구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진공 모터 등과의 배치 관계에 있어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가 상기 집진 장치(200)와 분리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20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중량이 가벼워져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상기 집진 장치(200)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구(254)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집진 바디(210)에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 의해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가 상기 집진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성되되,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20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분리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200)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장치(20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200)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10)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진공 청소기(10)로 전원이 인가되어 청소기 본체(100)가 작동하면, 내부에 구비된 진공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 노즐로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연결관 및 청소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를 따라 상기 집진 장치(200)로 흡입된다.
그리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집진 장치(200)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는 제 1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먼지가 1차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저장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집진 장치(200)에서 배출되어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고,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된 연결 유로(114)에 의해서 제 2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2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 공기는 재차 먼지가 분리되며,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20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00) 내부의 소정의 유로를 따라 유동한 후 최종적으로 본체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집진 용량이 최대화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가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200)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싸이클론부(23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214)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21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 바디(21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를 형성하는 제 1 벽(211)과, 상기 제 1 벽(211)과의 관계에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를 형성하는 제 2 벽(212)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벽(212)은 상기 제 1 벽(211)의 외측 소정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크기를 최대화시킬 수 있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211)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하단을 지지하는 단턱(219)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219)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상부는 하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어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2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의 배출 시에, 상기 커버 부재(250)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는 상기 커버 부재(250)의 하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커버 부재(250)에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와 상기 커버 부재(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먼지 가이드 유로(23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는 분리된 먼지가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 도록 한 후에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의 유입구(233)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측면에 형성되고, 배출구(234)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저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5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와 제 2 먼지 저장부(216)를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에 저장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가 결합된 커버 부재(250)를 상기 집진 바디(210)에서 분리하면,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단이 완전히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으면 먼지가 쉽게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집진 바디(210)를 비우기 위해서, 사용자는 쓰레기통이나 실외에서 상기 커버 부재(250)를 상기 집진 바디(210)에서 분리하므로, 실내의 재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5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51)이 관통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251)에는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통공(262)들이 다수 개 형성된 필터 부재(260)의 상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 내에서 일차적으로 먼지 분리 과정을 거 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260)를 거쳐 상기 배출공(251)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50)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251)으로부터 배출된 제 1 싸이클론부(230)의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25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로(253)는 상기 배출공(251)과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먼지의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서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먼지를 압축하여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바디(210)의 최대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가압 부재(270)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 2 가압 부재(280)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 사이에서 먼지의 압축 작용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는 서로를 향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일측면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 및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에 위치하는 먼지가 압축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회전 부재가 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고정 부재가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272)의 축선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회전축(272)의 축선과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내주면을 잇는 면상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272)의 축선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또는 일정 부분 차폐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의해서 먼지가 밀려오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함께 먼지를 압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단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과 동축 상에 구비되는 고정축(28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단만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타단 만이 상기 고정축(28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축(282) 중에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단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 2 가압 부재(270)의 일단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단이 상기 고정축(282)에 일체로 형성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단은 상기 고정축(282)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의해서 밀려오는 먼지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측방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가압 부재(270)과 제 2 가압 부재(280)은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중심을 이루는 축선과 동축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서 회전되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외면에는 다수의 가압 돌기(27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돌기(266)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 측으로 이동되어 먼지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먼지의 압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상측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절개된 절개부(274 : Chamfer)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274)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상측 단부가 상기 배출구(234)의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234)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234)를 통하여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절개부(274)는 배출구(234)를 통하여 배출되는 먼지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축(28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축(282)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272)의 조립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8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72)의 소정 부분은 상기 고정축(282)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중공(283)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축(272)은 상기 고정축(282)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단차부(272c)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72c)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결합되는 상부축(272a)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종동 기어(후술함)가 결합되는 하부축(272b)으로 나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는 상기 하부축(272b)이 상기 고정축(28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상기 고정축(282)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간섭 방지홈(275)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축(272b)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 1 가압 부 재(270)의 회전축(27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200)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바디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모터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축 모터(430)와, 상기 압축 모터(430)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10, 420) 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동력 전달부(410, 42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410)와, 상기 종동 기어(4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4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압축 모터(43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430)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430)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430)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42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 기어(420)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430)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4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종동 기어(41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10)는 바디부(412)와, 상기 바디부(412)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기어 이(413)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410)와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구동 기어(410)는 상기 바디부(412)의 회전 반경(또는 바디부의 회전시 그리는 궤적)의 외측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41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구동 기어(420)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시, 상기 종동 기어(410)가 헛돌지 않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동시에 같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272)의 내주면과 상기 종동 기어(410)의 기어축(414)의 외주면 수평 단면 형상은 다각형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축(272) 및 상기 종동 기어(410)의 기어축(414)의 수평 단면 형상은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회전축(27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72)의 상측에서 체결 부재(278)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 어(410)와 상기 회전축(272)이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종동 기어(410)가 헛도는 현상이 한층 더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 모터(430)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바닥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 바닥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 기어(420)의 외주면 일부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73)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구동 기어(420)와 맞물리게 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는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바디(101)가 포함되며, 상기 상부 바디(101)의 하측에는 상기 압축 모터(430)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440)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부재(440)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내측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440)에는 상기 상부 바디(101)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보스 결합부(44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101)에는 상기 보스 결합부(442)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보스(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보스(102)가 상기 보스 체결부(4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440)에는 상기 고정 부재(440)가 상부 바디(10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모터(430)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 보스(444)와, 상기 압축 모터(430)의 체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44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축 모터(430)는 외형을 이루는 모터 케이싱(431)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케이싱(431)에는 상기 압축 모터(430)가 상기 고정 부재(44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단(434)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434)에는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444)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435)과, 상기 가이드 돌기(445)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 삽입공(4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430)를 상기 고정 부재(44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기 돌기 삽입공(436)과 상기 가이드 돌기(445)가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 삽입공(436)에 상기 가이드 돌기(445)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체결 보스(444)와 상기 체결공(435)이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를 상기 체결 보스(444)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압축 모터(430)가 상기 고정 부재(44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 모터(43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압축 모터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 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정회전 및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양측면에 압축된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 모터(430)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430)는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일 방향 회전시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 때,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 torque)으로써,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방향이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싱크로로스 모터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하여 먼지를 압축시키면서 더이상 회전할 수 없는 정점에 도달한 경우에도,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먼지를 일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할 수 없는 정점이라 함은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력이 상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는 동력 즉, 상기 압축 모터(4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4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압축 모터(430)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시점은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이므로, 상기 압축 모터(430)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압축 모터(430)의 회전 방향은 전원 차단 전과 반대 방향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 모터(430)는 먼지의 압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동일한 각속도로 지속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집진되면, 집진 성능의 저하와 모터의 과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210)의 비움 시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나 집진 장치(200) 또는 핸들(미도시)에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저장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범위가 소정 각도 이하가 되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비움 시기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290)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290)가 삽입되는 삽입홈(17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리브(290)는 상기 종동 기어(410)의 외측에 "C" 자 형상 으로 제공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의 일부를 감싼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290)는 상기 종동 기어(4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종동 기어(410)와 상기 구동 기어(420)가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연유로, 상기 가이드 리브(290)는 상기 종동 기어(4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는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으로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 방지홈(17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탈거 방지홈에 삽입되는 탈거 방지 돌기(29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탈거 방지홈(174)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20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도, 상기 탈거 방지 돌기(294)가 상기 탈거 방지홈(174)에 걸리게 되어 상기 집진 장치(200)의 탈거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290)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안착부(17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290)에는 상기 안착부(290)와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295)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290)와 상기 안착홈(295)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200)가 용 이하게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요동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진공 청소기(10)의 흡입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 흡입부(11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거쳐 상기 집진 장치(200)로 유입된다.
상세히, 상기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제 1 공기 유입구(218)를 통하여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낙하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260)의 통공(262)을 통하여 여과된 후 상기 배출공(251) 및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되는 과정에서 접선 방향으로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의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절환되어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며, 상기 배출구(234)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제 1 먼지 저 장부(214)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결 유로(114)를 지나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는 상기 연결 유로(114)의 끝단에 연결된 제 2 공기 유입구(302)를 통하여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의 내벽에 각각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먼지가 재차 분리된다.
그리고, 재차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 모터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 후측의 본체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유입구(25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먼지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4)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킨다.
상세히, 상기 압축 모터(43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430)의 회전 동력이 상기 구동 기어(420)를 통하여 상기 종동 기어(4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272) 및 제 1 가압 부재(270)이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의 먼지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 측면 쪽으로 밀어내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은 상기 먼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 모터(43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정지된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먼지를 가압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430)가 구동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된 상태에서 정지되었으므로, 그 회전 방향이 변환되어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가압부재(270)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의 먼지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 측면 쪽으로 밀어내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이렇게,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중에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설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 모터(43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정지된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먼지를 가압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430)가 구 동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상기 압축 작용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범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먼지 압축 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집진 장치(200)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0)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가 결합된 커버 부재(250)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어서 먼지를 비우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가 압축 모터에 결합된 기어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기어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는 고정축(582)이 돌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축(582)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의 조립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축(582)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축(572)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축(572)과 결합되는 하부축(574)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상부축(572)과 하부축(574)은 체결 부재(590)에 의해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574)는 기어(520)가 삽입되기 위한 기어 삽입홈(576)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기어 삽입홈(576)은 상기 기어(5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520)의 회전시 상기 기어(52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으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축(574)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583)가 형성된다.
한편,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583)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 삽입홈(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하측 즉,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내측에는 압축 모터(53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530)의 모터축(532)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형성된 개구부(51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모터축(532)에는 기어(52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520)는 상기 집진 장착 장착부(510)로 노출된다.
이 때,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는 상기 기어(5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리브(516)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보호 리브(516)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시 상기 하부축(57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200)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리브(583)는 상기 리브 삽입홈(512)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축(572)은 상기 보호 리브(516)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 며, 상기 기어(520)는 상기 기어 삽입홈(576)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어(520)가 상기 기어 삽입홈(57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압축 모터(520)의 구동력이 상기 기어(520)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520)가 상기 기어 삽입홈(576)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수직 하방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축 모터(530)의 구동력이 보다 원활하게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기어(520)가 상기 하부축(57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장착되면, 상기 압축 모터(530)의 모터축(532)이 상기 기어(5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는 고정축(582)이 돌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축(582)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의 조립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축(582)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축(572)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축(572)과 결합되는 하부축(574)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상부축(572)과 하부축(574)은 체결 부재(590)에 의해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574)에는 기어(520)가 결합되고, 상기 기어(520)의 하측에는 압축 모터(530)의 모터축(532)이 삽입되기 위한 축 삽입홈(5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축(574)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583)가 형성된다.
한편,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583)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 삽입홈(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하측 즉,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내측에는 압축 모터(53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530)의 모터축(532)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형성된 개구부(51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는 상기 모터축(532)을 보호하고 상기 기어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517)가 형성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200)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리브(583)는 상기 리브 삽입홈(512)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축(572)은 상기 가이드 리브(517)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모터축(532)은 상기 기어(520)의 축 삽입홈(52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축(532)이 상기 집진 장치(200)에 결합된 기어(520)의 축 삽입홈(5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압축 모터(530)의 구동력이 상기 기어(520)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532)이 상기 축 삽입홈(522)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수직 하방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에 압축 모터(630)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없이 상기 압축 모터(630)의 구동력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로 직접 전달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는 고정축(682)이 돌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축(682)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의 조립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축(682)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축(672)과,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축(672)과 결합되는 하부축(674)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상부축(672)과 하부축(674)은 체결 부재(690)에 의해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674)에는 압축 모터(630)의 모터축(632)이 삽입되기 위한 축 삽입홈(676)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압축 모터(630)의 모터축(632)이 상기 하부축(674)에 대해서 헛도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홈(676)은 상기 모터축(632)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축(674)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683)가 형성된다.
한편, 집진 장치 장착부(610)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683)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 삽입홈(6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610)의 하측 즉,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610)의 내측에는 압축 모터(63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630)의 모터축(632)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610)에 형성된 개구부(61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6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610)에는 상기 모터축(632)을 보호하고 상기 하부축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616)가 형성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200)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610)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리브(683)는 상기 리브 삽입홈(612)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축(672)은 상기 가이드 리브(616)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모터축(532)은 상기 하부축(674)의 축 삽입홈(676)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632)이 상기 축 삽입홈(676)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510)에 수직 하방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구동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압 부재의 압축 작용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자주 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압축 모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및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압축 모터와 연결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 보스가 포함되고,
    상기 압축 모터는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단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압축 모터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4.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어,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가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종동 기어가 포함되고,
    상기 종동 기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성형되는 다수의 기어 이가 포함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바디부의 회전 반경 외측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
  5.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에 결합되는 기어가 포함되고,
    상기 압축 모터의 축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기어가 상기 압축 모터의 축과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는 상기 압축 모터 축의 외측을 둘러싸는 리브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7.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압축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로 노출되는 기어가 포함되며,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기어가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기어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상기 기어와 대응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9.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압축 모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압축 모터의 축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압축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10. 삭제
KR1020070007657A 2007-01-24 2007-01-24 진공 청소기 KR10083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57A KR100838888B1 (ko) 2007-01-24 2007-01-24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57A KR100838888B1 (ko) 2007-01-24 2007-01-24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888B1 true KR100838888B1 (ko) 2008-06-16

Family

ID=3977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657A KR100838888B1 (ko) 2007-01-24 2007-01-24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74A (zh) * 2010-04-12 2011-10-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集尘桶压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225A (ko) * 1999-11-15 2001-06-15 구자홍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결합장치
KR20050057912A (ko) * 2003-12-11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225A (ko) * 1999-11-15 2001-06-15 구자홍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결합장치
KR20050057912A (ko) * 2003-12-11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장착구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3-51663호(1978.05.11,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4-85560호(1979.07.07,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49225호(2001.06.15,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57912호(2005.06.16, 공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74A (zh) * 2010-04-12 2011-10-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集尘桶压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316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7B1 (ko) 진공 청소기
EP1839758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0846900B1 (ko) 진공 청소기
KR100800188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
KR100800189B1 (ko) 진공 청소기
KR100853332B1 (ko) 진공 청소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방법
KR100838886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474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100906848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8B1 (ko) 진공 청소기
KR101340207B1 (ko) 진공 청소기
KR10099222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42963B1 (ko) 진공 청소기
KR100901027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4B1 (ko) 진공 청소기
KR101026028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5B1 (ko) 진공 청소기
KR101286853B1 (ko) 진공 청소기
KR100853330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093941B1 (ko) 진공 청소기
KR100912317B1 (ko) 진공 청소기
KR100871498B1 (ko) 진공 청소기
KR101010416B1 (ko) 진공 청소기
KR100876700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 집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