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684A -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 Google Patents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684A
KR20120028684A KR1020100090684A KR20100090684A KR20120028684A KR 20120028684 A KR20120028684 A KR 20120028684A KR 1020100090684 A KR1020100090684 A KR 1020100090684A KR 20100090684 A KR20100090684 A KR 20100090684A KR 20120028684 A KR20120028684 A KR 2012002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rizontal
vertical
screen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492B1 (ko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10009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바닷물을 취수할 때 수중생물을 제거하여 취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물의 유입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연속하여 수중 생물을 제거해 주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구를 가로질러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 양측으로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내측으로 스크류가 설치된 수직 이송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 사이를 가로질러 스크린의 전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를 구비하되 상기 수평 이송구의 내부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송구의 상측은 개방시키되 외측에는 판상의 스크래퍼를 회동 가능하게 끼워 스크린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스크래퍼로 긁혀져 수평 이송구를 타고 좌우로 이동하는 이물질은 수직 이송구의 내부 스크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수평 이송구의 중앙에는 양쪽으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수직 이송구의 상부에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를 가이드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Screw type trash remover for living thing in the sea}
본 발명은 강이나 바닷물을 취수할 때 수중생물을 제거하여 취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물의 유입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연속하여 수중 생물을 제거해 주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에서는 냉각에 필요한 냉각수로 해수를 사용하는 관계로, 해수를 따라 이동하는 해파리나 새우 또는 멸치나 해조류 등의 이물질이 취수구로 취수되지 않고 해수만 취수되어야 고장의 우려 없이 정상적인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로에 해파리 또는 새우나 멸치 등을 포획하는 그물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그물에 걸린 것을 제거해주거나, 취수로에 해파리 등의 이물질 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설치한 후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걷어 올려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물을 사용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법은 주기적으로 그물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불편과 함께 그물이 터지거나 손상되는 경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걸리게 한 후 스크레퍼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걷어내는 경우 자동적으로 이물질 제거 동작을 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스크린의 저면에서부터 물 밖까지 이물질을 긁은 스크레퍼를 이동시킨 후 스크레퍼에 걸린 이물질을 털어낸 후에는 스크레퍼를 다시 스크린의 저면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 스크레퍼의 이동 거리가 멀어 부하가 많이 걸리고, 스크레퍼의 이동을 원활히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본 출원인은 공개번호 10-2010-0051351호(공개일자 2010. 05. 17)에 취수구를 가로질러 일정폭의 거름망을 체인으로 상하 이동시키되 상기 거름망의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레이크를 설치하여 거름망에 걸린 이물질을 취수구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거름망에 부하가 걸리지 않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은 부하로 빠르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해파리 및 부유물 제거용 트랙 제진기를 발명한 바 있으나,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레이크의 이동 거리가 많아 설치와 작동에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10-2010-0051351호(2010. 05. 17 공개)
본 발명은 취수구를 가로질러 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린에 걸린 수중 생물이나 미생물을 긁어 올려 처리함에 있어서, 스크린을 따라 취수구의 저면에서 지상으로 이물질을 긁어 올리는 경우 스크래퍼를 스크린의 전면과 후면을 타고 상하로 이동시켜야 하는 관계로 스크래퍼의 이동거리가 많아 스크래퍼의 이동 구조가 쉽지 않고, 스크래퍼로 스크린의 전면에서 이물질을 긁어 올리기도 쉬운 구조가 아니며, 특히 스크래퍼의 이동 거리가 멀어 구동이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의 전면에서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이물질을 긁은 후 스크린의 측면에서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크게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구를 가로질러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 양측으로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내측으로 스크류가 설치된 수직 이송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 사이를 가로질러 스크린의 전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를 구비하되 상기 수평 이송구의 내부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송구의 상측은 개방시키되 외측에는 판상의 스크래퍼를 회동 가능하게 끼워 스크린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스크래퍼로 긁혀져 수평 이송구를 타고 좌우로 이동하는 이물질은 수직 이송구의 내부 스크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수평 이송구의 중앙에는 양쪽으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수직 이송구의 상부에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를 가이드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수평 이송구를 상하 이동시켜 스크래퍼로 긁어지게 한 후 수평 이송구에서 스크류에 의해 양쪽으로 이동되어 수직 이송구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수직 이송구는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가 결합되어 수평 이송구에서 이동되는 이물질을 내부 스크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는 유압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를 타고 일정 거리를 상하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구를 가로질러 스크린을 설치하는 관계로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이나 수중 생물은 스크래퍼로 긁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스크린이 막히게 되는 경우를 없앨 수 있는 것으로, 스크래퍼가 짧은 거리를 상하 이동하며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긁어내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가 없어도 주기적으로 작동되어 이물질을 긁어내게 되므로, 기존의 그물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수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 이송구의 내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 이송구와 스크래퍼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 이송구와 스크류 및 스크래퍼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이송구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 이송구를 상부로 올린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이나 화력 발전에서 필요로 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구에 설치되어 간단한 구조로 스크린에 걸린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해주어 취수구로 취수되는 해수에는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의 전방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걸린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을 긁어내는 스크래퍼를 적은 구간만 이동시켜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취수구를 가로 막아 해수만 통과시키고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스크린의 전방에서 일정 구간을 상하 반복 이동하며 스크린에 붙은 이물질과 수중 생물을 긁어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구를 가로질러 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린은 해수의 수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후방을 보강하는 한편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해수를 타고 유입되는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이 스크린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의 전방 양측으로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이송구가 가이드를 타고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수직 이송구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를 고정시키되 상기 수평 이송구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하는 한편 내측으로는 중앙에 설치된 감속기의 구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회전시키게 하며, 상기 수평 이송구에는 수압을 받아 스크린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판상의 스크레퍼를 끼우되 상기 스크래퍼는 수평 이송구에 끼워진 채로 약간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수직 이송구에는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수평 이송구의 스크류로 이송되는 이물질을 수직 이송구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와 수평 이송구는 구동 장치에 의해 일정 거리를 상하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은 구동장치로 수직 이송구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평 이송구도 상측으로 이동하되 수평 이송구에 끼워진 판상의 스크래퍼가 스크린에 밀착된 채로 수평 이송구가 상부로 이동하면 스크린에 묻은 이물질이 스크래퍼로 긁혀져 수평 이송구의 내부로 들어가고, 수평 이송구의 내부는 스크류를 회전시켜 이물질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수직 이송구의 내부로 이동되게 한 후 수직 이송구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외부로 이물질을 이동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평 이송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설치되는 관계로 수평 이송구를 일정 거리만 이동시켜 스크린의 전방에 걸린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짧게 하여도 효과적으로 스크린의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취구수(10)를 가로질러 스크린(20)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린(20)에는 물 흐름의 반대 방향에 보강살(21)을 설치하여 스크린(20)이 수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하는 한편 구멍(22)을 형성하여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이 스크린(2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취수구(10)의 스크린(20)에서 이물질이나 수중 생물이 차단된 해수를 공급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는 스크린(20)에 걸린 수중 생물이 이물질을 빠르게 제거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20)의 전방 좌우측으로 가이드(30)를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30)의 내부에 수직 이송구(40)가 끼워져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수직 이송구(40)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50)를 설치함으로써 가이드(30)를 타고 수직 이송구(40)의 상하 이동시 수평 이송구(50)도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직 이송구(40)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구동장치(60)를 이용하여 일정거리를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구동장치(60)는 가이드(30)에 끼워진 수직 이송구(40)를 상하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수직 이송구(40)의 이송에 따라 수평 이송구(50)도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 이송구(40)에는 내부에 스크류(41)가 끼워져 있게 되고, 상기 스크류(41)는 수직 이송구(4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42)에 의해 회전이 이루지게 되며, 상기 스크류(41)는 회전시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 수직 이송구(40)의 상측에 설치된 배출구(43)를 통하여 스크류(41)로 이송시킨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수직 이송구(40)에 끼워진 스크류(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W)을 중심으로 수면의 하측보다 수면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곳의 피치가 더 좁도록 함으로써 스크류(41)로 내용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 이송구(4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50)가 스크린(20)의 전방에 위치하게 고정되고, 상기 수평 이송구(5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51)를 통하여 이동되는 내용물은 수직 이송구(4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수직 이송구(40)와 수평 이송구(50)는 서로 통하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수평 이송구(50)에는 중앙에 감속기(70)를 설치하여 내부에 양쪽으로 설치된 스크류(51)를 회전시키게 하고, 상기 스크류(51)의 회전시 내용물을 양측으로 이동시켜 수직 이송구(40)의 내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여기서 감속기(70)는 수평 이송구(5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측의 모터(7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51)를 회전시키는 한편 하측의 감속기로 동력을 전달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70)는 양쪽으로 스크류(51)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51)는 감속기(70)의 양쪽에서 회전이 반대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평 이송구(50)의 중앙에서 양측을 향하여 내용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수평 이송구(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51)는 감속기(70)를 중심으로 내용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수평 이송구(50)는 감속기(70)가 설치되는 부위와 양측면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부를 개방시키는 개방부(52)를 형성시켜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이 개방부(52)를 통하여 수평 이송구(5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평 이송구(50)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52)의 내부에서 스크류(51)를 회전시켜 수평 이송구(50)의 개방부(52)로 유입되는 이물질과 수중 생물을 스크류(51)로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평 이송구(50)는 각각 감속기(70)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1과 같이 스프라켓(91)과 체인(92)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받게 하여도 무방하고, 단지 여러 개의 수평 이송구(50)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면 족하며, 체인(92)을 사용하는 경우 체인 커버(92)를 설치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물을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이 체인에 걸리게 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평 이송구(50)에는 외측으로 측면에서 하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고 전방으로는 부레형 수압감지부(81)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스크린(20)에 밀착되는 긁음부(82)가 구비된 판 형태의 스크래퍼(80)를 씌우되 상기 스크래퍼(80)는 수평 이송구(50)에 끼워진 채로 밴드(83)에 의해 양쪽과 중앙 부위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크래퍼(80)는 수평 이송구(50)에 끼워진 채로 회동이 가능하나,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크래퍼(80)는 수평 이송구(5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나, 상부가 벌어진 형태를 갖고, 전방으로는 해수의 유입에 따른 수압을 받는 한편 상부로 뜰수 있도록 하는 부레형 수압 감지부(81)를 형성하는 한편 후방으로는 스크린(20)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긁음부(82)를 구성하며, 상기 긁음부(82)의 선단에는 우레탄 덮개(85)를 씌워 스크린(20)에 우레탄 덮개(85)가 밀착된 채로 긁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이물질을 쉽게 긁어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부레형 수압 감지부(81)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여 스크레퍼(80)가 물속에서 상부로 들릴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해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해수의 유입시 수압에 의해 스크레퍼(80)를 밀어 긁음부(82)가 스크린(20)에 밀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취수구(10)에 설치된 스크린(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되며 스크린(20)에 걸린 수중 생물과 이물질을 스크래퍼(80)로 긁어낸 후 수평 이송구(50)와 수직 이송구(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수평 이송구(50)와 수직 이송구(40)는 구동장치(60)에 의해 수평 이송구(50)와 수평 이송구(50)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스크래퍼(80)는 수평 이송구(50)에 밴드(83)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부레형 수압 감지부(81)는 내부 공기에 의해 위로 뜨면서 수압에 따라 후방으로 밀리면서 긁음부(82)의 선단에 끼워진 우레탄 덮개(85)가 스크린(20)에 밀착되게 하며, 이 상태에서 구동장치(60)를 이용하여 서서히 수평 이송구(50)와 수직 이송구(4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우레탄 덮개(85)에 의해 스크린(20)에 걸린 수중 생물과 이물질은 긁혀져 떨어지게 되고, 스크린(20)에서 떨어진 이물질은 수평 이송구(5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52)를 통하여 수평 이송구(5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수평 이송구(5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51)로 인하여 이물질은 양쪽으로 이동하여 수직 이송구(4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수직 이송구(40)로 들어온 이물질은 수직 이송구(4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41)로 인하여 상부로 이동한 후 배출구(4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크린(2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이송구(50)는 상부로 이동할 때 상부에 설치된 수평 이송구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하면, 전체적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스크린(20)을 모두 긁어줄 수 있게 되고, 이때 긁혀진 이물질은 전술된 바와 같이 수평 이송구(50)와 수직 이송구(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수평 이송구(5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크린(2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면, 구동장치(60)를 반대로 구동시켜 수평 이송구(50)를 원위치시켜야 하고, 이때 수평 이송구(50)가 원위치 되면서 스크래퍼(80)의 긁음부(82)가 스크린(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우레탄 덮개(85)로 인하여 이물질이 긁혀져 하측의 수평 이송구(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이송구(50)가 일정 거리를 상하 이동하면서 스크린(20)에 걸린 수중 생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수평 이송구(50)와 수직 이송구(40)의 이동 거리가 짧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이물질 제거 효과가 확실하다.
10 : 취수구 20 : 스크린
30 : 가이드 40 : 수직 이송구
41 : 스크류 50 : 수평 이송구
51 : 스크류 52 : 개방부
60 : 구동장치 70 : 감속기
80 : 스크래퍼 81 : 부레형 수압 감지부
82 : 긁음부 91 : 스프라켓
92 : 체인

Claims (7)

  1. 취수구(10)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린(20)의 양쪽으로 가이드(30)를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30)의 내부에는 수직 이송구(40)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 이송구(40)의 내부에는 스크류(41)를 설치하여 수직 이송구(4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42)로 스크류(41)가 회전되게 하며,
    상기 수직 이송구(4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이송구(50)를 설치하되 상기 수평 이송구(50)에는 중앙에 설치된 감속기(70)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스크류(51)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감속기(70)에는 모터(71)의 회전 동력이 하측의 감속기로 연속되어 전달되게 하고,
    상기 수평 이송구(50)는 상부에 개방부(52)를 형성하여 이물질이 개방부(52)를 통하여 수평 이송구(5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스크류(51)로 양측으로 이동되어 수직 이송구(4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수평 이송구(50)에는 외측으로 스크래퍼(80)를 씌워주되 상기 스크래퍼(80)는 전방에 수압을 받는 부레형 수압감지부(81)가 형성되는 한편 후방으로 스크린(20)에 밀착되는 긁음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이송구(40)와 수평 이송구(50)는 구동장치(60)에 의해 수평 이송구(50)가 설치된 간격만큼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이송구(5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51)로 인하여 양쪽으로 이동된 이물질은 수직 이송구(4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스크류(41)에 의해 수직 이송구(40)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43)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직 이송구(4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41)는 수면(W)을 기준으로 수면(W)의 하측에 위치하는 스크류의 피치보다 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류의 피치가 짧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이송구(5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51)는 중앙에서 양쪽으로 이물질을 이동시켜 가이드(30)에 끼워진 수직 이송구(4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이송구(50)에 씌워진 스크래퍼(80)는 양쪽과 중앙에 밴드(83)를 채워 수평 이송구(50)에서 스크래퍼(80)가 끼워진 채로 회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6.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래퍼(80)의 긁음부(82)에는 선단에 우레탄 덮개(85)를 씌워주어 스크린(20)에 우레탄 덮개(85)가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래퍼(80)의 부레형 수압감지부(81)는 내부에 공기를 채워 물속에서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도록 하는 한편 해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해수의 수압에 의해 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KR1020100090684A 2010-09-15 2010-09-15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KR10117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84A KR101172492B1 (ko) 2010-09-15 2010-09-15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84A KR101172492B1 (ko) 2010-09-15 2010-09-15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84A true KR20120028684A (ko) 2012-03-23
KR101172492B1 KR101172492B1 (ko) 2012-08-09

Family

ID=4613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84A KR101172492B1 (ko) 2010-09-15 2010-09-15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190A1 (ko) * 2012-04-24 2013-10-31 Yeo Mi-Kyeong 회전형 취수 스크린 장치
KR101451172B1 (ko) * 2013-07-30 2014-10-16 여미경 취수 설비용 이물질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43B1 (ko) 2006-09-07 2007-04-20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강제 하강식 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190A1 (ko) * 2012-04-24 2013-10-31 Yeo Mi-Kyeong 회전형 취수 스크린 장치
KR101451172B1 (ko) * 2013-07-30 2014-10-16 여미경 취수 설비용 이물질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492B1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2131B2 (en) Waste screening apparatus
CN110918556B (zh) 一种废旧地膜环保清洗方法
TWI586265B (zh) Automatic sewage device for aquaculture equipment
CN112796286B (zh) 一种适用于水坝集运鱼系统的集鱼装置
US7357097B2 (en) Device for shellfish farming
KR101172492B1 (ko)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KR101551646B1 (ko) 해양부유물쓰레기 수거용 처리장치
KR101238428B1 (ko) 발전소의 냉각수용 제진기
KR20140097729A (ko) 축양조 세척장치
KR101222075B1 (ko)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77922B1 (ko)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20220166929A (ko)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KR100469212B1 (ko) 어구용 파쇄 폐스티로폼의 세정 및 분리장치
CN114100237A (zh) 一种链板过滤式固液分离装置
CN114941311A (zh) 一种生态鱼水库智能巡库机器人
NO347024B1 (en) A fish farming facility comprising a water outlet cleaning device
KR200466104Y1 (ko) 스컴 제거장치
CN210140462U (zh) 一种高效的水产养殖自动排污装置
CN203235548U (zh) 一种分离设备
CN113026687A (zh) 一种适用于水坝的集运鱼系统及其集运鱼方法
CN112627137A (zh) 一种节能型水面漂浮垃圾打捞船
KR102116820B1 (ko) 취수용 스크린의 자동세척장치 및 자동세척장치가 구비된 취수용 스크린
CN205196864U (zh) 水产品加工的柔性清洗设备
CN110528453A (zh) 智能化水面清理及循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