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54A -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54A
KR20120028554A KR20100090473A KR20100090473A KR20120028554A KR 20120028554 A KR20120028554 A KR 20120028554A KR 20100090473 A KR20100090473 A KR 20100090473A KR 20100090473 A KR20100090473 A KR 20100090473A KR 20120028554 A KR20120028554 A KR 2012002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edia
median
porous
rot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희
Original Assignee
장경옥
이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옥, 이영남 filed Critical 장경옥
Priority to KR2010009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554A/ko
Publication of KR2012002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2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오폐수를 자화처리에 의한 수질정화를 통해 1차 정화한 후 넓은 수중회전영역에서 다량의 미생물과 반응하면서 복합적인 2차 정화를 수행하며, 특히 메디아 다공회전통이 자동회전하면서 미생물과 공기 간의 접촉률을 높여 정화력 및 미생물의 번식과 증식률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면서도 원심력에 의해 메디아 내부에서 생존하던 미생물이 수중회전영역으로 빠져나가 유기물과의 반응을 더욱 촉진하여 정화효율을 제고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which uses magnetization treatment and media porous trommel}
본 발명은 각종 오폐수를 자화처리에 의한 수질정화를 통해 1차 정화한 후 넓은 수중회전영역에서 다량의 미생물과 반응하면서 복합적인 2차 정화를 수행하며, 특히 메디아 다공회전통이 자동회전하면서 미생물과 공기 간의 접촉률을 높여 정화력 및 미생물의 번식과 증식률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면서도 원심력에 의해 메디아 내부에서 생존하던 미생물이 수중회전영역으로 빠져나가 유기물과의 반응을 더욱 촉진하여 정화효율을 제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서 무단으로 배출하는 축산폐수, 산업용폐수, 생활폐수, 및 오수에는 부영양화 및 적조의 발생원인인 영양염류(질소, 인)가 다량 함유된 오염적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영양염류는 적조현상과 수질오염 등을 일으키는 주범인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각종 오폐수는 항상 정수처리를 하여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를 최대한 낮춘 상태로 방류하여야만 관련 법규에 저촉되지 않게 된다.
즉 각종 오폐수 속에는 하천이나 해안을 오염시키는 유기물질인 질소와 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색도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이를 정화처리 하지않고 그대로 방류할 경우에는 적조현상과 함께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등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방류수의 수질기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근자에는 미생물이 부착, 생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매개체인 메디아(Media, 일명 담채)를 오폐수처리장치의 폭기조에 투입하여, 상기 폭기조에 설치되는 메디아에 부착된 미생물은 폭기조를 통과하는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여 BOD를 저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메디아는 통상의 산기관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메디아의 내부까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메디아 내의 미생물 전체에 공기가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면서 산화작용 및 미생물의 혐기성 소화작용이 제대로 않아 오폐수의 정화처리효과가 우수하지 못한 것이었다.
또한, 공기와 미생물의 접촉률이 좋지 않아 미생물의 번식 및 증식률이 매우 낮아 정화력은 더욱더 저하되는 폐단이 있다.
아울러 미생물에 의한 정화는 메디아가 설치된 주변에 인접한 매우 제한된 영역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시간당 오폐수의 처리량이 매우 적어 정화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오폐수 처리조로 투입된 오폐수가 자화챔버를 통과하면서 자화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자화정화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화처리된 오폐수는 폭기조에 설치된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통과하면서 메디아에 의한 2차 정화가 이루어지되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은 자동회전하면서 메디아의 내부에 공기를 빠짐없이 골고루 공급하여 미생물과 공기 간의 반응 접촉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의 회전작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미생물이 넓은 수중회전영역으로 빠져나가 이 수중회전영역에서 회전하면서 체류하는 오폐수를 2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폐수 처리조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폭기조 벽체의 사이에 폭기조를 형성하고, 상기 폭기조의 전방에 오폐수 처리조로 유입된 오폐수를 자화정화하는 하향류식 자화챔버를 폭기조의 하측과 연통하여 형성하며, 상기 폭기조에는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의 하측에는 산기관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면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고압에어 분출기를 설치하고, 상기 폭기조 벽체의 상부에 회전수류 유도판을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의 상측에 수중회전영역을 조성하며, 상기 폭기조의 후방에는 상호 연통하는 침전조 및 무산소조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산소조의 후방에 상향류식 자연정화조를 추가로 설치하되, 상기 상향류식 자연정화조는 하부에 설치된 받침다공판의 상부에 다양한 입자크기를 갖는 여재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받침다공판 및 여재층의 중앙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에어세척관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세척관의 내부에 고압세척을 위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조로 투입된 오폐수가 자기장이 형성된 자화챔버를 통과함으로써 1차적으로 자화정화된 후 순차적으로 폭기조에서 자동회전하는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통과하면서 상기 메디아의 미생물과 반응하면서 2차적으로 수질정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자동회전하는 메디아 다공회전통 내에서 수십 개의 메디아는 자유롭게 유동함에 따라 산기관에서 발생하는 공기는 모든 메디아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됨으로써 메디아의 미생물과 공기 간의 접촉률을 높여 정화력 및 미생물의 번식과 증식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의 회전작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미생물이 넓은 수중회전영역으로 빠져나가 상기 수중회전영역에서 회전하면서 체류하는 오폐수의 유기물과 더욱 원활하게 반응하여 정화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일 실시 예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메디아 다공회전통의 설치상태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하향류식 자화챔버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압에어 분출기의 일부절결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상향류식 자연정화조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전, 후면벽(11)(12) 상부에 각각 오폐수 유입관(13) 및 처리수 배출구(14)가 형성된 오폐수 처리조(10)와; 상기 오폐수 처리조(10)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폭기조 벽체(22)(22a)의 사이에 형성된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20)의 전방에 형성되되, 마주하는 전면벽(11)과 폭기조 벽체(22)에 각각 부착된 자석(31)의 사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는 오폐수를 자화정화시키는 하향류식 자화챔버(30)와; 상기 폭기조(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사상으로 다수의 날개차(46)가 형성된 메디아 다공회전통(40)과;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하측에 설치된 산기관(50)과; 상기 산기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날개차(46)로 분출하여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을 강제회전시키는 고압에어 분출기(60)와;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폐수가 회전수류 상태로 체류하면서 미생물과 반응하여 정화처리되는 수중회전영역(80)과; 상기 폭기조(20)의 후방에 설치된 무산소조 분리벽(92)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연속하여 형성된 침전조(90a) 및 무산소조(9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조(10)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되 전면벽(11)의 상부에는 각각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 유입관(13)이 내, 외부로 연통하여 설치되고, 후면벽(12)의 상부에는 정화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상기 오폐수 처리조(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폭기조 벽체(22)(22a)가 이격 설치되고, 이 폭기조 벽체(22)(22a)의 사이에는 물과 공기를 충분하게 접촉시키는 조작을 통해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 의한 소화작용을 촉진하게 하는 폭기조(20)가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폭기조 벽체(22)(22a) 가운데 전방에 위치한 폭기조 벽체(22)는 하측에 통수로(21)가 형성됨으로써 폭기조(21)의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후방에 위치한 폭기조 벽체(22a)는 상하에 각각 통수로(21)가 형성되되, 특히 상측 통수로(21)의 상부에는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회전수류 유도판(25)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고압에어 분출기(60)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에어로 인해 상측으로 수류를 형성하는 오폐수는 상기 회전수류 유도판(25)에 부딪치면서 전방으로 유도되어 수중회전영역(80)에서 회전수류 상태로 체류하면서 미생물과 적극적으로 반응하여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력을 획기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폐수 처리조(10)로 유입된 오폐수가 폭기조(2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자석(31)에 의한 자화작용을 거치면서 수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전처리공정에 해당하는 특별한 기술구성이 접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폭기조(20)의 전방에는 오폐수를 자화정화시키는 하향류식 자화챔버(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향류식 자화챔버(30)는 마주하는 전면벽(11)의 내면과 일측 폭기조 벽체(22)의 외면에 각각 자석(31)이 대응하여 부착되고, 상기 자석(31)의 사이에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향류식 자화챔버(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는 오폐수는 빠짐없이 자화작용을 거치면서 1차적으로 수질이 정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폭기조 벽체(22)의 상부는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 유입 가이드판(32)이 형성됨으로써 하향류식 자화챔버(30)의 상부는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폐수는 더욱 원활화게 하향류식 자화챔버(3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폭기조(20)에는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은 메디아를 수용하는 망체가 고정상태로 설치되던 종래의 획일적인 구성을 탈피하여 자동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메디아 내의 미생물과 공기 간의 접촉률이 매우 높으면서도 원심력에 의해 메디아 내부에서 생존하던 미생물이 수중회전영역(80)으로 빠져나가 유기물과의 반응을 더욱 촉진하여 정화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다.
이러한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기술구성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십자형 회전통 지지대(41)가 양측으로 이격 설치되고, 이 회전통 지지대(41)의 사이에는 보강대(42)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 지지대(41) 및 보강대(42)의 내면에는 원통형의 스크린통(43)이 부착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크린통(43)은 견고한 강성을 유지한다.
상기 회전통 지지대(41)의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44)은 오폐수 처리조(10)의 양 측면벽(16)에 설치된 축받이(45)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보강대(42)에는 고압의 에어를 제공받아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을 회전시키는 날개차(46)가 일체로 부착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통(43)의 내부에는 미생물의 부착, 생존환경을 제공하는 다수의 메디아가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이 회전작동함에 따라 메디아는 메디아 다공회전통(40) 내에서 사방으로 자유롭게 유동하거나 위치 이동함으로써 하측에 배치된 산기관(50)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메디아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됨은 물론 상기 공기는 모든 메디아에 빠짐없이 골고루 공급됨에 따라 미생물과 공기 간의 접촉률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디아 내에 생존하던 미생물은 원심력에 의해 자동으로 스크린통(43)을 통과하여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상측에 형성된 수중회전영역(80)으로 빠져나가 오폐수의 유기물과 반응하면서 정화력을 가일층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산기관(50)이 설치됨으로 메디아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미생물과 공기를 충분하게 접촉시켜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산기관(50)의 일측에는 고압의 에어를 분출하여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날개차(46)에 공급하는 고압에어 분출기(6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은 강제회전작동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고압의 에어는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상부까지 공급됨으로써 오폐수는 상측으로 향하는 수류를 형성한다.
즉 상기 고압에어 분출기(60)는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을 강제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오폐수가 상기 수중회전영역(80)에서 회전수류의 상태로 순환하면서 미생물과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압에어 분출기(60)는 도 4와 같이 중앙에 에어분출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공(61)과 연통하는 다수의 흡입유로(62)가 고압에어 분출기(60)의 외면에 관통하게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분출공(61)은 빠른 유속으로 인해 비교적 압력이 낮음에 반해 흡입유로(62)는 압력이 높아 상기 에어분출공(61)과 흡입유로(62)의 사이에는 양력이 발생함으로써 빨대로 물을 빨아 들이는 현상과 같이 흡입유로(62)는 폭기조(20) 내의 오폐수를 흡입하면서 고압수로 변환하여 에어와 함께 분출하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하향류식 자화챔버(30)로 유도하여 자화작용을 통해 1차적으로 자화정화시킨 후 상기 자화처리된 오폐수를 폭기조(20) 내의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을 통과시키면서 메디아의 미생물과 반응을 통해 2차적으로 수질을 정화하되 산기관(50)에서 발생하는 공기와 상기 미생물 간의 접촉률을 높여 정화력 및 미생물의 번식과 증식률을 향상하며,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회전작동에 따라 미생물은 원심력에 의해 수중회전영역(80)으로 빠져나가 회전수류 상태로 체류하면서 오폐수의 정화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폭기조(20)의 후방에는 상하에 각각 통수로(91)가 형성된 무산소조 분리벽(92)이 설치되고, 상기 무산소조 분리벽(92)의 전후에 각각 연속하여 침전조(90a) 및 무산소조(90)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폭기조(20) 및 수중회전영역(80)에서 2차 정화된 오폐수는 폭기조 벽체(22a)에 형성된 통수로(21)를 통해 상기 침전조(90a)로 유도되어 불순물이 침전 제거되고, 상기 침전조(90a)를 경유한 오폐수는 무산소조(90)로 유입됨으로써 탈질반응에 의해 질산이 제거된 후 비로소 처리수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측에 통수로(101)가 형성된 자연정화조 분리벽(102)이 상기 무산소조(90)의 후방에 이격 설치되고, 이 자연정화조 분리벽(102)과 후면벽(12)의 사이에는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무산소조(90)를 통과하면서 질산이 제거된 오폐수는 상기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더욱 완벽한 자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는 도 5 내지 6과 같이 자연정화조 분리벽(102)과 후면벽(12)의 사이 하측에 다공받침판(103)이 설치되고, 상기 다공받침판(103)의 상부에는 다단으로 다수의 여재층(104)(105)(106)이 연속적으로 다단 적층되되 상기 여재층(104)(105)(106)은 상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작은 입자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미세오염물마저도 말끔하게 자연정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연정화조 분리벽(102)과 무산소조 분리벽(92)의 사이에는 상하에 각각 통수로(111)가 형성된 격벽(110)이 추가로 형성되고, 이 격벽(110)과 자연정화조 분리벽(102)의 사이에는 자연정화 유도로(113)가 추가 형성됨으로써 무산소조(90)를 거친 오폐수는 자연정화 유도로(113)를 경유하여 전량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받침판(103)의 하측으로 노출된 채 상기 여재층(104)(105)(106)의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상으로 에어세척관(107)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세척관(107)의 외주에는 다수의 세척노즐공(107a)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세척관(107)의 하측에 에어레이션장치(108)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에어레이션장치(108)는 고압의 에어를 에어세척관(107)으로 공급함에 따라 여재층(104)(105)(106)에 끼인 미세오염물, 이물질은 고압의 에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의 하측 공간으로 적재됨으로써 여재층(104)(105)(106)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 세척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10: 오페수 처리조 113: 오폐수 유입관
114: 처리수 배출구 20: 폭기조
21, 91 ,101, 111: 통수로 22, 22a: 폭기조 벽체
25: 회전수류 유도판 30: 하향류식 자화챔버
31: 자석 40: 메디아 다공회전통
41: 회전통 지지대 42: 보강대
43: 스크린통 44: 회전축
45: 축받이 46: 날개차
50: 산기관 60: 고압에어 분출기
61: 에어분출공 62: 흡입유로
80: 수중회전영역 90: 무산소조
90a: 침전조 92: 무산소조 분리벽
100: 상향류식 자연정화로 102: 자연정화로 분리벽
103: 다공받침판 104, 105, 106: 여재층
107: 에어세척관 108: 에어레이션장치
110: 격벽 113: 자연정화 유도로

Claims (7)

  1. 전, 후면벽(11)(12) 상부에 각각 오폐수 유입관(13) 및 처리수 배출구(14)가 형성된 오폐수 처리조(10)와;
    상기 오폐수 처리조(10)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폭기조 벽체(22)(22a)의 사이에 형성된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20)의 전방에 형성되되, 마주하는 전면벽(11)과 폭기조 벽체(22)에 각각 부착된 자석(31)의 사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는 오폐수를 자화정화시키는 하향류식 자화챔버(30)와;
    상기 폭기조(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사상으로 다수의 날개차(46)가 형성된 메디아 다공회전통(40)과;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하측에 설치된 산기관(50)과;
    상기 산기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날개차(46)로 분출하여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을 강제회전시키는 고압에어 분출기(60)와;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폐수가 회전수류 상태로 체류하면서 미생물과 반응하여 정화처리되는 수중회전영역(80)과;
    상기 폭기조(20)의 후방에 설치된 무산소조 분리벽(92)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연속하여 형성된 침전조(90a) 및 무산소조(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폭기조 벽체(22)(22a) 가운데 전방에 위치한 폭기조 벽체(22)는 하측에 통수로(21)가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한 폭기조 벽체(22a)는 상하에 각각 통수로(21)가 형성되되 상측 통수로(21)의 상부에는 회전수류 유도판(25)이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은 이격된 한 쌍의 십자형 회전통 지지대(41)의 사이에 보강대(42)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회전통 지지대(41) 및 보강대(42)의 내면에 원통형의 스크린통(43)이 부착설치되며, 상기 회전통 지지대(41)에는 오폐수 처리조(10)의 양 측면벽(16)에 설치된 축받이(45)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축(4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42)에 각각 날개차(4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스크린통(43)의 내부에는 미생물의 부착, 생존환경을 제공하는 다수의 메디아가 내장되고, 상기 메디아 다공회전통(40)의 회전작동에 따라 메디아는 사방으로 자유롭게 유동하면서 공기가 메디아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되어 미생물과 공기 간의 접촉률이 증대됨과 동시에 상기 메디아 내의 미생물은 원심력에 의해 수중회전영역(80)으로 빠져나가 오폐수의 유기물과 원활하게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고압에어 분출기(60)는 중앙에 에어분출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공(61)과 연통하는 다수의 흡입유로(62)가 고압에어 분출기(60)의 외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흡입유로(62)는 폭기조(20) 내의 오폐수를 흡입하면서 에어와 함께 고압수로 변환하여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무산소조(90)의 후방에는 하측에 통수로(101)가 형성된 자연정화조 분리벽(102)이 설치되고, 상기 자연정화조 분리벽(102)과 후면벽(12)의 사이에는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가 추가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향류식 자연정화조(100)는 하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된 다공받침판(103)과;
    상기 다공받침판(103)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부로 가면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다수의 여재층(104)(105)(106)과;
    상기 다공받침판(103)의 하측으로 노출된 채 여재층(104)(105)(106)의 중앙에 수직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세척노즐공(107a)이 형성된 에어세척관(107)과;
    상기 에어세척관(107)의 하측에 설치되고, 여재층(104)(105)(106)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 세척하기 위한 고압의 에어를 에어세척관(107)으로 공급하는 에어레이션장치(10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자연정화조 분리벽(102)과 무산소조 분리벽(92)의 사이에는 상하에 통수로(111)가 형성된 격벽(11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10)과 자연정화조 분리벽(102)의 사이에는 자연정화 유도로(113)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100090473A 2010-09-15 2010-09-15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120028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0473A KR20120028554A (ko) 2010-09-15 2010-09-15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0473A KR20120028554A (ko) 2010-09-15 2010-09-15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54A true KR20120028554A (ko) 2012-03-23

Family

ID=4613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0473A KR20120028554A (ko) 2010-09-15 2010-09-15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5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49B1 (ko) * 2012-06-29 2013-04-03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폐수의 질소 제거방법
CN103482826A (zh) * 2013-09-17 2014-01-01 王帅伟 污水处理装置
CN109292969A (zh) * 2018-11-06 2019-02-01 杭州沁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活性污泥法净化焦化废水的反应装置
CN116589109A (zh) * 2023-07-18 2023-08-15 威海华友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用曝气装置及曝气方法
CN116903130A (zh) * 2023-07-13 2023-10-20 承德市生态环境局宽城满族自治县分局 一种环境工程污水净化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49B1 (ko) * 2012-06-29 2013-04-03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폐수의 질소 제거방법
WO2014003462A1 (ko) * 2012-06-29 2014-01-03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폐수의 질소 제거방법
CN103482826A (zh) * 2013-09-17 2014-01-01 王帅伟 污水处理装置
CN109292969A (zh) * 2018-11-06 2019-02-01 杭州沁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活性污泥法净化焦化废水的反应装置
CN109292969B (zh) * 2018-11-06 2023-12-22 杭州沁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活性污泥法净化焦化废水的反应装置
CN116903130A (zh) * 2023-07-13 2023-10-20 承德市生态环境局宽城满族自治县分局 一种环境工程污水净化装置
CN116903130B (zh) * 2023-07-13 2023-12-22 承德市生态环境局宽城满族自治县分局 一种环境工程污水净化装置
CN116589109A (zh) * 2023-07-18 2023-08-15 威海华友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用曝气装置及曝气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3478Y (zh) 一种处理印染废水的uasb-mbr联用系统
KR101494398B1 (ko)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CN103373794A (zh) 污水处理工艺及其专用的一体式污水处理装置
CN201010579Y (zh) 多相组合膜生物反应器
CN103395874B (zh) 一种折流式内循环生物膜反应器的改良结构
KR20120028554A (ko)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자화처리 및 메디아 다공회전통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CN102180543A (zh) 高效稳定生物倍增工艺污水处理装置
CN106746385B (zh) 推流式竖向三循环工艺处理城市污水的装置及方法
CN207671760U (zh) 基于生物降解的污水处理装置
CN110713310B (zh) 一种基于微生物活化海绵铁填料的污水深度处理装置及方法
JP2008246483A (ja)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
EP2858951B1 (en) A new wastewater treatment and solids reduction process
JP2006205155A (ja)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CN109534620B (zh) 臭氧催化氧化与曝气生物活性炭滤池污水深度处理装置
CN108975500B (zh) 一种高效生物脱氮反应装置
CN112678951A (zh) 废水处理系统
CN106865888B (zh) 一种脱除炼油废水总氮的方法
CN102491517B (zh) 一种厌氧、好氧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的方法
CN213977342U (zh) 一种用于脱氮除磷的生活污水处理设备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204661495U (zh) A/o污水处理流程设备
CN211226789U (zh) 一种难生物降解有机废水处理设备
CN210001737U (zh) 一种胞外酶浮选深度处理设备
CN208361984U (zh) 一种用于电镀、线路板废水处理的多级曝气生物滤池
KR101174761B1 (ko) 메디아의 파손을 억제하는 고효율 오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