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149A -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149A
KR20120028149A KR1020100090192A KR20100090192A KR20120028149A KR 20120028149 A KR20120028149 A KR 20120028149A KR 1020100090192 A KR1020100090192 A KR 1020100090192A KR 20100090192 A KR20100090192 A KR 20100090192A KR 20120028149 A KR20120028149 A KR 2012002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ute
line
path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겸
이지나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149A/ko
Publication of KR2012002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67Geometry of map features, e.g. shape points, polygons or for simplified ma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도로 구조에 대한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 정보 DB, 도로 정보에 따라 경로 상의 도로가 양방 통행인 경우, 경로선이 도로의 중앙으로부터 차량 통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설정된 경로선의 위치에 따라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A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URSE THEREOF}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비게이션 장치는, 자동차에 탑재(내장 또는 마운트)되어 운전자에게 경로를 안내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 등을 내비게이션 단말로서 이용하여 경로 탐색 서버에 경로 탐색 요청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경로 안내를 받는 통신형의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도로 상에 탐색된 경로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순히 도로의 중앙을 따라 경로선만을 표시하고, 차선 정보를 부가적으로 표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로선의 표시는 실제 도로 구조와는 달라 사용자가 실제 도로에 적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 제공 시 실제 도로 구조에 부합하는 경로선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도로 구조에 대한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 정보 DB,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경로 상의 도로가 양방 통행인 경우, 경로선이 도로의 중앙으로부터 차량 통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경로선의 위치에 따라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다각의 형태로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곡선의 형태로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가 중앙선으로 분리된 양방 통행인 경우, 상기 도로의 중앙에 중앙선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 차선을 설정하고, 상기 경로에 따른 차선을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일방 통행 또는 양방 통행의 여부, 양방 통행일 경우 중앙선에 의한 분리 여부, 차로 수, 차로 별 진행 방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장치가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표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경로 상의 도로에 대한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가 양방 통행인 경우, 경로선이 도로의 중앙으로부터 차량 통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경로선의 위치에 따라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다각의 형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곡선의 형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로가 중앙선으로 분리된 양방 통행인 경우, 상기 도로의 중앙에 중앙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 차선을 설정하고, 상기 경로에 따른 차선을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일방 통행 또는 양방 통행의 여부, 양방 통행일 경우 중앙선에 의한 분리 여부, 차로 수, 차로 별 진행 방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경로 표시 방법은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 제공 시 실제 도로 구조에 부합하는 경로선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도로 구조에 부합하는 경로선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에 보다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의 경로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내지 도 7은 지도 상의 도로에 표시되는 경로선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휴대 전화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음향 출력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한, 통신부(110)는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치 정보 수신 모듈(111)은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듈(111)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 유닛들은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압/정전), 휠 키, 조그 스위치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후술할 표시부(140)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면(全面)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30)는 경로 안내, 기타 정보(위험 구간, 교통 상황, 속도 제한 등)의 알람 등과 관련된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한다.
표시부(14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가 수신하거나 처리한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4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즉, 터치 스크린), 상기 표시부(1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표시부(140)로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는 사용자 입력부(120)로 지칭하도록 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일 예로,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DB(161)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지도 데이터를 미리 다운로드받고 이를 이용하는 형태가 아닌 내비게이션 장치(예를 들어, 통신형의 내비게이션 단말)의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 DB(161)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실제 도로 구조에 대한 세부적인 도로 정보가 저장된 도로 정보 DB(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정보는 도로의 일방 통행 또는 양방 통행의 여부, 양방 통행일 경우 중앙선에 의한 분리 여부, 차로 수, 차로 별 진행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 갱신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내비게이션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내비게이션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경로 검색 요청 및 목적지의 입력에 따라 경로를 추출한 후, 실제 도로 구조에 부합되도록 경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도로 정보 DB(152)를 참조하여 표시되는 지도 상의 도로에서 경로선의 위치 및 형태를 설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의 경로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지도 상의 도로에 표시되는 경로선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의 흐름도를 중심으로 경로 표시 방법을 설명하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로는 중앙선으로 분리된 양방 통행의 도로로 가정한다.
S210 단계에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경로 검색 요청 및 목적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경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표시부(140)에 키패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추출된 경로 상의 도로에 대한 도로 정보를 도로 정보 DB(152)로부터 추출한다.
S230 단계에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추출된 도로 정보에 따라 지도상의 도로에 표시되는 경로선의 위치 또는 형태를 설정한다. 이에 대하여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에 표시되는 경로선의 경우(310), 표시되는 도로는 부가적인 표시없이 도로만을 의미하도록 표시되며, 경로선은 도로의 중앙을 따라 표시된다. 이를 개선한 320의 경우를 살펴보면, 표시되는 도로에는 중앙선이 표시되고, 통행 방향(예를 들어, 국내의 차량은 우측 통행)을 따라 경로선이 표시된다.
도 4는 교차로에 표시되는 경로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에 표시되는 경로선의 경우(410), 경로선은 도로의 중앙을 따라 표시된다. 즉, 경로선은 도로의 중앙을 따라 표시되며, 교차로의 중심에서 방향 전환 지점은 각진 모서리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개선한 420의 경우를 살펴보면, 표시되는 도로는 중앙선이 표시되고, 통행 방향을 따라 경로선이 표시되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은 각진 모서리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경로선이 도로의 중앙선으로부터 통행 방향(우측)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한다. 여기서, 중앙선은 구현하기에 따라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로의 특성 상 중앙선으로 분리되지 않은 양방 통행일 경우에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일방 통행의 도로인 경우, 경로선은 기존(310, 41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교차로 상에 표시되는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은 실제 주행 경로에 부합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교차로 상에서 우회전하는 경우의 경로선을 표시한 것이고, 도 6은 교차로 상에서 좌회전하는 경우의 경로선을 표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지점은 각진 모서리가 제거되어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다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방향 전환 지점은 각진 모서리를 제거한 곡선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되는 도로에는 중앙선뿐만 아니라 해당 도로의 차로 수에 따라 차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선은 추출된 경로에 따라 적합한 차로를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실제 도로 상에서 적합한 차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우회전 구간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 집입 전의 경로선을 2차로를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좌회전 구간인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1차로를 따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S240 단계에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도로 정보에 따라 설정된 경로선의 위치 또는 형태를 이용하여 경로를 디스플레이하고 경로 안내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표시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비게이션 장치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음향 출력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도로 구조에 대한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 정보 DB;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경로 상의 도로가 양방 통행인 경우, 경로선이 도로의 중앙으로부터 차량 통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경로선의 위치에 따라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다각의 형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곡선의 형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가 중앙선으로 분리된 양방 통행인 경우, 상기 도로의 중앙에 중앙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 차선을 설정하고, 상기 경로에 따른 차선을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일방 통행 또는 양방 통행의 여부, 양방 통행일 경우 중앙선에 의한 분리 여부, 차로 수, 차로 별 진행 방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7. 내비게이션 장치가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경로 상의 도로에 대한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도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가 양방 통행인 경우, 경로선이 도로의 중앙으로부터 차량 통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경로선의 위치에 따라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다각의 형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표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의 방향 전환 지점을 각진 모서리가 제거된 곡선의 형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표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가 중앙선으로 분리된 양방 통행인 경우, 상기 도로의 중앙에 중앙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표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 차선을 설정하고, 상기 경로에 따른 차선을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표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의 일방 통행 또는 양방 통행의 여부, 양방 통행일 경우 중앙선에 의한 분리 여부, 차로 수, 차로 별 진행 방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표시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90192A 2010-09-14 2010-09-14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KR20120028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92A KR20120028149A (ko) 2010-09-14 2010-09-14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92A KR20120028149A (ko) 2010-09-14 2010-09-14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49A true KR20120028149A (ko) 2012-03-22

Family

ID=4613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192A KR20120028149A (ko) 2010-09-14 2010-09-14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25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stinations
US10126743B2 (en) Vehicle navigation route search system, method, and program
EP334168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outes
KR20140043948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화면 표시 방법
KR102319535B1 (ko) 대안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54137A1 (en) Navigation device with enhanced widgets and applications
US94825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uter-based navigation
US9506764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route across an electronic map
CN108225347B (zh) 通信终端、移动引导系统以及移动引导方法
CN103162693A (zh) 一种车道信息显示方法及导航设备
US9128170B2 (en) Locating mobile devices
CN104764460A (zh) 一种用于车载定位的方法、便携终端、车载终端及系统
JP2013140425A (ja) 車載器、位置情報送信方法、及び位置情報送信プログラム
US20200408553A1 (en) Rou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out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in-vehicle terminal
US8606505B2 (en) Travel guidance system, travel guidance device, travel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20028149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표시 방법
JP5992837B2 (ja) 走行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通知制御装置
JP20191684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53666A1 (en) Movement guidance display system, movement guidan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00084855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로 디스플레이 방법
US20190234757A1 (en) Navigating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intersection information
KR101216614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의 지형 표시 방법
JP2013140033A (ja) 位置情報収集装置、位置情報収集方法、位置情報収集プログラム、及び車載器
KR20070091709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속도감시 카메라 안내방법
KR20130135655A (ko)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