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838A -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 Google Patents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838A
KR20120027838A KR1020100089640A KR20100089640A KR20120027838A KR 20120027838 A KR20120027838 A KR 20120027838A KR 1020100089640 A KR1020100089640 A KR 1020100089640A KR 20100089640 A KR20100089640 A KR 20100089640A KR 20120027838 A KR20120027838 A KR 2012002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sonant
consonants
vowel
lear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917B1 (ko
Inventor
최승희
Original Assignee
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희 filed Critical 최승희
Priority to KR102010008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9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알파벳의 자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100);와 알파벳의 모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배열하여 다수의 단어가 한 줄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단어를 순서대로 소리내 읽으면서 영어 발음을 학습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여러 방식으로 조합하여 다양한 단어를 편리하게 형성하고, 다양한 단어 속에서 각각 자음과 모음이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를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게 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A Set of Learning Cards for English Phonics}
본 발명은 알파벳의 조합에 의해 영어 단어를 형성하고, 그 영어 단어를 이용해 발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영어는 국제 공용어의 지위를 가진 언어로서 국제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그 필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즉,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 시대에 영어 구서 능력은 개인의 경제력과 직장선택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영어를 모르고서는 시대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직장선택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세계화 추세에서도 뒤쳐지게 될 수도 있게 된다.
근대 대표적인 언어학자인 노암 참스키(Chomsky Noam)는 인간은 누구나 언어습득기재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모국어를 배우게 되는데, 이 기재는 1~6세까지 가장 왕성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언어를 습득하게 되면 특별한 학습과정 없이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특히나 이 시기에 습득한 언어는 마치 몸에 밴 것과 같아서 쉽게 잊히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는 바, 이 시기에 외국어 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언어의 간섭현상이 덜 나타게 되어 무리 없이 모국어와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에 따라 조기에 영어를 교육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영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가정이나 유치원, 학원 등이 주축이 되어 유아기에서부터 영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것인데, 이때 유아기의 어린이들은 영어를 처음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효과적으로 영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우선 알파벳을 익히도록 하고, 그 다음 알파벳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영어 단어를 읽고 발음하는 방법을 충실히 익히게 하며, 마지막으로 실제 언어 생활에서 사용되는 영어단어와 여러 문장을 익히는 단계로 학습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알파벳 각 글자의 발음과 알파벳이 조합됨에 따라 각 글자가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익히는 것은 정확한 발음으로 영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알파벳이 자음과 모음이 어떻게 발음되고 각 용례에 따라 발음이 어떻게 변화하는 등을 명확히 구분하여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고안된 것이 '파닉스 정리'가 있다.
파닉스(Phonics)는 단어가 가진 소리, 발음을 배우는 교수법이다. 영어권에서는 아이에게 읽는 법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문자의 발음을 조합해 모르는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구성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습법으로서, a부터 z까지 알파벳 26자 하나하나의 발음을 갖가지 비유와 방식으로 알려주며, 또 단어 속에서 알파벳의 모음이 어떻게 발음되는지, 모음이 이어질 때는 또 어떻게 발음되는지, 그리고 자음은 어떻게 발음되는지, 자음이 이어 나올 때 소리가 어떻게 나는지를 일정한 패턴으로 파악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a는 "map, can, ant, ram, pad, bag, ax,cat, man, jam tax, hand"등에서는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한편, "cake, cane, vase, cape, rake, mail, nail, rain, pail, chain, jay, hay, tray, pay, lay, may"등에서는 장모음으로 발음되는바, 이러한 예를 반복학습하여 습득하도록 함으로써 영어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게 하고, 처음 보는 단어라도 정확하게 발음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파닉스 정리를 통해 영어 발음을 교육하거나 또는 영어 단어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칠판에 알파벳의 조합을 적어서 눈으로 보면서 읽도록 하여 교육하거나 또는 알파벳이 적힌 카드를 이용해 단어를 조합하여 교육하는 방법등이 제안된바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1798호 "영어 발음알파벳카드"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63628호 "한글과 영어의 발음을 위한 학습카드"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각각의 카드마다 알파벳을 한자 또는 사용례에 따라 두 자를 적어두고, 각 카드를 순서대로 나열함으로써 단어를 이루게 한 다음 이를 읽음으로써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교육하는 방식인바, 한번에 한 단어만을 조합할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하나의 단어를 연습한 뒤 다른 단어를 다시 조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학습 능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한번에 한 단어만을 연습함에 따라 다양한 용례를 비교하면서 연습하기가 불편하여 결국 효과적으로 영어 발음을 교육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간편한 배열로 한번에 여러 단어를 조합하거나 조합되는 단어를 변경하여 줄 수 있도록 하되, 알파벳이 배치되어 단어를 이룰 경우 어떻게 발음되는 지를 쉽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자음이 표기된 자음카드와 다수의 모음이 표기된 모음카드를 구비하되, 상기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조합하여서 단어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단어를 차례로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발음을 반복하고 비교하며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여러 방식으로 조합하면 다양한 단어를 편리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다양한 단어 속에서 각각 자음과 모음이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를 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음카드와 모음카드에 각각 다섯 개씩 자음과 모음이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조합하는 예에 따라 동일한 단어를 다섯 번 반복하면서 발음하거나 서로 다른 다섯 개의 단어를 비교하면서 발음하여 줄 수 있는바, 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킬 있게 된다.
또한 자음카드와 모음카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단어가 다섯 개씩이 되므로 이를 읽을 때 리듬을 주면서 읽으면서 발음할 수 있게 되어 노래를 하듯이 재미있는 방식의 학습이 가능하여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일한 홑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홑자음카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홑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홑자음카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겹자음카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홑모음카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겹모음카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의 사용예시도.
본 발명은 간편한 배열로 한번에 여러 단어를 조합하거나 조합되는 단어를 변경하여 줄 수 있도록 하되, 알파벳이 배치되어 단어를 이룰 경우 어떻게 발음되는 지를 쉽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를 얻기 위해,
알파벳의 자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와 알파벳의 모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카드를 구비하고, 상기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배열하여 다수의 단어가 한 줄로 형성되게 하여서 상기 단어를 순서대로 소리내 읽으면서 영어 발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일한 홑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홑자음카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로 다른 홑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홑자음카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겹자음카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홑모음카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겹모음카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의 사용예시도 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자음 한자와 모음 한자를 '홑자음'과 '홑모음'이라 하고, 자음 두자 이상과 모음 두자 이상이 병기되는 것을 '겹자음'과 '겹모음'이라 칭하여 설명함을 밝힌다.
본 발명에 의한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의 자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100)와 알파벳의 모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배열하여 다수의 단어가 한 줄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어를 순서대로 소리내 읽으면서 영어 발음을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는 다수의 알파벳을 한 줄로 표기할 수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알파벳의 자음과 모음을 각각 종 방향으로 차례로 표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배열하여 다수의 단어를 형성하게 되면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읽으면서 발음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종이나 비닐, 플라스틱 등을 재단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뒷면에 자석이나 벨크로와 같은 부착수단을 형성하여서 이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칠판이나 벽면 등에 부착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가정에서는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방 바닥이나 책상에 그대로 배열하여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는 일정 길이를 가진 한 장의 카드에 알파벳을 여러 개 인쇄하여 표기하는 구성이 가능하고 다르게는 알파벳이 한 자씩 표기된 작은 단위의 블록을 상하 또는 좌우로 서로 연결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각 카드의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해 색상을 다르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서 사용하여 주게 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카드(100)는 자음 한자로 구성되는 홑자음이 다수 개 표기된 홑자음카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홑자음이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표기되는 것인바, 표기되는 홑자음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알파벳에서 기본 모음의 개수가 다섯 개 임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섯 개가 차례로 표기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홑자음카드(110)는 동일한 홑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과 서로 다른 홑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이 포함된다.
동일한 홑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에 포함된 자음마다 하나의 홑자음카드(110)를 형성하여 주게 된다. 동일한 자음을 다섯 번 연속 표기하여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b가 종 방향으로 다섯 번 표기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며, 자음의 수대로 형성하게 되면 총 21장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홑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에 포함된 자음을 순서대로 다섯 개씩 구분하여 표기함으로써 하나의 홑자음카드(110)를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b, c, d, f, g를 순서대로 표기함으로써 하나의 홑자음카드(11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총 21자의 자음을 다섯 자씩 나누면 한자가 남게 됨에 따라 자주 사용되지 않는 자음인 'q'나 'x'중 하나를 표기하지 않음으로써 네 장으로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빈번하게 사용되는 홑자음의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하여 홑자음카드(110)를 추가할 수 있는바, 이는 파닉스(phonics) 정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추가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카드(100)는 자음 2~3자로 구성되는 겹자음이 다수 개 표기된 겹자음카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겹차음카드(120)에 표기되는 겹자음의 수는 앞서 설명한 홑자음카드(110)와 마찬가지로 알파벳에서 기본 모음의 개수를 고려하여 다섯 개가 차례로 표기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자음카드(120)는 동일한 겹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과 서로 다른 겹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겹자음은 sh, th와 같은 이중자음(digraph)이 있고, br, cr과 같은 r혼성음이 있으며, bl, cl과 같은 l혼성음 및 sl, sp와 같은 s혼성음 등이 있다. 그리고 screen, scrap, scrub 등에서 사용되는 scr과 같이 세 자가 연달아 사용되는 것이 있는바, 이를 모두 겹자음카드(120)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각각의 겹자음 마다 모두 형성하게 되면 겹자음카드(120)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주고 나머지 겹자음은 홑자음카드(110)를 조합하여서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h, th, gh, ng, ph를 이용하여 겹자음카드(120)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는바, 동일한 겹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은 상기 sh, th, gh, ng, ph의 겹자음을 각각 한 자를 다섯 번씩 표기하여 다섯 장의 겹자음카드(120)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겹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은 상기 sh, th, gh, ng, ph의 겹자음을 차례로 한 장의 겹자음카드(120)에 표기하여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카드(200)는 모음 한자로 구성되는 홑모음이 다수 개 표기된 홑모음카드(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음 2~3자가 병기된 겹모음이 다수 개 표기된 겹모음카드(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홑모음카드(210)와 겹모음카드(220)에 표기되는 홑모음과 겹모음은 종 방향으로 차례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자음카드(100)와 같이 배열되어 다수의 단어를 형성하게 된다.
홑모음카드(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홑모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과 서로 다른 홑모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파벳에는 a, e, i, o, u로 되는 다섯 개의 모음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홑모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은 상기 다섯 개의 모음을 각각 한 자씩 동일한 모음을 다섯 번 연속 표기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a가 종 방향으로 다섯 번 표기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모음의 수대로 형성하게 되면 총 5장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서로 다른 홑모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은 상기 다섯 개의 모음을 한 장의 홑모음카드(210)에 차례로 표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겹모음카드(220)는 상기 홑모음카드(210)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모음카드(210)는 동일한 겹모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과 서로 다른 겹모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겹모음은 ar, er, ir, or, ur과 같은 r모음과 oo, ou, ow, aw, ew, au, oi와 같은 이중모음을 포함하는바, 동일한 겹모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은 상기 각각의 겹모음을 다섯 번씩 한 장에 표기하여 겹모음카드(220)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겹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은 자주 사용되는 r모음을 차례로 한 장의 카드에 표기하여 겹모음카드(220)에 표기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용 카드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영어 발음을 학습하게 된다. 이하,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선택하여서 다양한 방법으로 배열함으로써 단어를 형성하고 발음을 학습하는 과정을 대표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Figure pat00001
동일한 홑자음인 'b'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와 동일한 홑모음인 'a'가 다섯 번 표기된 모음카드(200) 및 동일한 홑자음인 'c'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를 배열하여서 '박'으로 발음되는 영어 단어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어를 눈으로 보면서 위에서부터 차례로 읽으면서 '박, 박, 박, 박, 박'과 같이 다섯 번 연속하여 발음을 하면서 단어의 발음을 익히게 된다.
[실시예 2]
Figure pat00002
동일한 홑자음인 'b'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와 서로 다른 홑모음 다섯 개가 차례로 표기된 모음카드(200) 및 동일한 홑자음인 'c'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를 배열하여서 단어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어를 눈으로 보면서 위에서부터 차례로 읽으면서 '박, 벡, 빅, 복, 북'과 같이 연속하여 발음을 하면서 단어의 발음과 음율(rhymes)을 익히게 된다.
[실시예 3]
Figure pat00003
서로 다른 홑자음이 다섯 개 표기된 자음카드(100)와 동일한 홑모음인 'a'가 다섯 번 표기된 모음카드(200) 및 동일한 홑자음인 'c'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를 배열하여서 단어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어를 눈으로 보면서 위에서부터 차례로 읽으면서 '박, 칵, 닥, 팍, 각'과 같이 발음을 하면서 단어의 발음과 음율을 익히게 된다.
[실시예 4]
Figure pat00004
동일한 홑자음인 'b'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와 동일한 홑모음인 'a'가 다섯 번 표기된 모음카드(200) 및 동일한 겹자음인 'sh'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를 배열하여서 'bash'라는 단어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어를 눈으로 보면서 위에서부터 차례로 읽으면서 '바쉬, 바쉬, 바쉬, 바쉬, 바쉬'와 같이 다섯 번 연속하여 발음을 하면서 단어의 발음을 익히게 된다.
[실시예 5]
Figure pat00005
동일한 홑자음인 'b'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와 동일한 홑모음인 'a'가 다섯 번 표기된 모음카드(200) 및 동일한 홑자음인 's'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 그리고 동일한 홑자음인 'h'가 다섯 번 표기된 자음카드(100)를 순서대로 배열하여서 'bash'라는 단어를 형성하였다. 즉, 동일한 'bash'라는 단어를 형성함에 있어서 앞서 실시예 4와 다른 방법으로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영어 발음용 학습 카드를 이용하면 상기와 같이 동일한 단어를 여러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다양하게 배열하여 다양한 단어를 형성하고 이를 리듬감 있게 차례로 반복하여 발음하면서 발음을 익힐 수 있는바, 보다 쉽고 재미있게 영어 발음을 학습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이용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되는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 및 그 배열 방법에 따라 수많은 단어의 형성이 가능해 지는 것은 당 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자음카드, 110 : 홑자음카드,
120 : 겹자음카드,
200 : 모음카드, 210 : 홑모음카드,
220 : 겹모음카드.

Claims (15)

  1. 알파벳의 자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100);와 알파벳의 모음 다수 개가 한 줄로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를 배열하여 다수의 단어가 한 줄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단어를 순서대로 소리내 읽으면서 영어 발음을 학습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100)와 모음카드(200)는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자음과 모음이 종 방향을 따라 각각 표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100)는 자음 한자로 구성되는 홑자음이 다섯 개 표기된 홑자음카드(110)를 포함하고, 상기 모음카드(200)는 모음 한자로 구성되는 홑모음이 다섯 개 표기된 홑모음카드(210)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홑자음카드(110)는 동일한 홑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홑자음카드(100)는 알파벳에 포함된 자음마다 각각 별개로 마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홑자음카드(110)는 서로 다른 홑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홑자음카드(110)는 알파벳에 포함된 자음이 순서대로 다섯 개씩 표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100)는 자음 2~3자로 구성되는 겹자음이 다섯 개 표기된 겹자음카드(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겹자음카드(120)는 동일한 겹자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겹자음카드(120)는 서로 다른 겹자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홑모음카드(210)는 동일한 홑모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이되, 알파벳에 포함된 모음마다 각각 별개로 마련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홑모음카드(210)는 서로 다른 홑모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이되, 알파벳에 포함된 모음이 순서대로 표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1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카드(200)는 모음 2~3자가 병기된 겹모음이 다섯 개 표기된 겹모음카드(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겹모음카드(210)는 동일한 겹모음이 반복되어 표기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겹모음카드(210)는 서로 다른 겹모음이 차례로 표기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KR1020100089640A 2010-09-13 2010-09-13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Active KR10114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40A KR101149917B1 (ko) 2010-09-13 2010-09-13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40A KR101149917B1 (ko) 2010-09-13 2010-09-13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38A true KR20120027838A (ko) 2012-03-22
KR101149917B1 KR101149917B1 (ko) 2012-06-14

Family

ID=4613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40A Active KR101149917B1 (ko) 2010-09-13 2010-09-13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953A (ko) 2020-02-05 2021-08-13 이현아 외계어 워드빌딩을 활용한 파닉스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31B1 (ko) * 2020-04-16 2020-11-04 김준 워드 게임 교구 세트 및 워드 게임을 위한 포인트 산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211A (en) 1976-02-10 1977-06-21 Mcginley Edward J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6869286B2 (en) 2000-06-09 2005-03-22 Michael E. Furry Language learning system
KR200318057Y1 (ko) 2003-04-14 2003-06-28 노은선 캐릭터케이스를 갖는 문자조합식 교습구
KR200331798Y1 (ko) 2003-07-24 2003-11-01 김숙희 영어 발음 알파벳 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953A (ko) 2020-02-05 2021-08-13 이현아 외계어 워드빌딩을 활용한 파닉스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917B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chael The teaching of English: From the sixteenth century to 1870
US66694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sensory learning
Olson 4 Writing and the mind
Olson How writing represents speech
US20100209895A1 (en) Playing Cards with the Added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Phonics
KR101149917B1 (ko) 영어 발음 학습용 카드
Zahradníková A qualitative inquiry of character learning strategies by Chinese L2 beginners
Siswanto Teaching English to young learners: A reflection form Englaoshi community
Mason et al. Learning to read in Japan
Conning The Kodansha kanji learner's course: A step-by-step guide to mastering 2300 characters
US20070255551A1 (en) Language reinforcement system
AU2017100758A4 (en) Teaching system
KR20160010117A (ko) 음소보다 더 세분화된 구성단위를 활용한 한글 학습 시스템
RU131528U1 (ru) Пособие исмаиловой н.в. для обучения чтению (варианты)
Yakovleva The development of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montessori educational materials
CN2261055Y (zh) 一种学习用音标拼音游戏卡
Bearne et al. Spelling and handwriting
KR20070009812A (ko) 한자 학습용 교재
Donaldson The odd pet
Donaldson et al. The Snake and the Drake
JP3084633U (ja) 学習用教材
Hildreth How Turkish children learn to read
Hildreth How Russian Children Learn to Read
Adams-Gordon et al. Spelling power
Davies Reading schemes for partially sighted beginning rea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