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442A - 데이터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442A
KR20120027442A KR1020120009282A KR20120009282A KR20120027442A KR 20120027442 A KR20120027442 A KR 20120027442A KR 1020120009282 A KR1020120009282 A KR 1020120009282A KR 20120009282 A KR20120009282 A KR 20120009282A KR 20120027442 A KR20120027442 A KR 20120027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109B1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2000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1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 지정된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Data}
본 발명은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저장되고, 단말로 지정된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케이블방송을 위주로 MO(Message Oriented) 서비스를 기반으로 방송 컨텐츠에 시청자가 올린 정보(또는 메시지)를 삽입하여 송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종래 MO 서비스는 브로드캐스팅의 특성상 시청자가 방송국(또는 방송사업자)에게 소정의 정보(또는 메시지) 제공의 효과만 있을 뿐, 이를 통한 이벤트 효과 및/또는 광고 효과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로서, 이동 중이거나 고정된 장소에서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용 등 개인형 단말기를 통해 CD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및/또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며,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 방송(Terrestrial-Digital Video Broadcasting; T-DMB) 및/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Satellite-Digital Video Broadcasting; S-DMB)으로 구분되며, 소정의 통신망을 통한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저장되고, 단말로 지정된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 지정된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은, 등록자단말로부터 상기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은, 등록자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정보를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은, 등록자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제공될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가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삽입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한 극적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소정의 수단이 서버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며, 당업자의 의도 및/또는 실시방법에 따라 상기 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측에 구비되는 수단은 해당 서버의 기능구성 및/또는 해당 서버가 갖는 고유한 특성(또는 역할)에 따라 상기 서버 내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예컨대, 각 수단의 고유한 기능(또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Function)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이 하나의 독립된 서버로서 구성되어 복수의 서버가 소정의 서버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장치를 편의상 서버라고 하고, 상기 서버에 구비되는 기능구성을 모두 상기 서버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 내에 구비된 기능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연동되는(예컨대, 서버 기능실현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버에 분리되어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국내를 기준으로 지상파 디지털 방송(Terrestrial-Digital Video Broadcasting; T-DMB) 및/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Satellite-Digital Video Broadcasting; S-DMB)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바람직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은 대역폭, 송출 방식 및 방송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는 방송 규격이 다소 상이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하여 본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지상파 디지털 방송 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에 적용하는 상세한 실시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을 따르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지상파 디지털 방송 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국에서 제작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소정의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45)로부터 제공받아 방송 표준 데이터 포맷(예컨대,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2) 및/또는 임의의 방송 데이터 포맷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방송 프로그램 D/B, 상기 방송 프로그램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응용 정보(예컨대, 응용프로그램 정보 및/또는 상품 정보 및/또는 부가 서비스 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응용 정보 D/B,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 D/B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응용 정보 D/B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 정보 데이터를 추출 및 출력시키는 방송 제어부(155), 방송 제어부(155)로부터의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방송표준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165), 상기 변환부(165)를 통해 변환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상기 방송 제어부(155)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확인 정보를 부가 시켜 주어진 대역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표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임의의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등으로 출력하는 송출부(170), 및 각각의 방송 채널에 따라 송출부(17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표준 및/또는 임의의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소정의 송신장치(예컨대, 위성 방송용 송신장치, 또는 지상파 방송용 송신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다중화부(17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소정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엔코딩하는 비디오 엔코더와, 소정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엔코딩하는 오디오 엔코더와, 소정의 데이터 단말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엔코딩하는 데이터 엔코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엔코더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규격 및 당업자(디지털 방송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가 상호 연동되는 복수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에 도시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기능구성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고, 또한 본 도면1을 참조하여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 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능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기능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또는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응용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정의 응용 정보 제공 서버(150)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응용 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펙에 의해 소정의 방송 컨텐츠(또는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응용 정보에는 리턴 채널(또는 리턴 콜, 또는 리턴 주소) 정보, 또는 상기 리턴 채널(또는 리턴 콜, 또는 리턴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의한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응용 정보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에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기 위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50)가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직접 삽입하여 제작하는 경우, 상기 응용 정보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기 위한 정보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에서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은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셋탑박스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탑재한 데스크탑 컴퓨터를 포함하는 고정형 단말과, 차량이 탑재되면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텔레매틱스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탑재한 노트북을 포함하는 이동형 단말과,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및/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형 단말 및/또는 이동형 단말(예컨대, 노트북)은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상기 이동형 단말(예컨대, 텔레매틱스) 및/또는 휴대형 단말은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통신망 상의 상기 서버()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과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이 없으나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서버(105)를 상호 연동하는 수단) 및/또는 통신수단(예컨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 통신장치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서버(105)를 상호 연동하는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105)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은 해당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에 따라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리턴 서버(예컨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턴 서버를 통해 상기 서버(105)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05)는 상기 리턴 서버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105)는 수행하면서 본 발명이 정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소정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과 소정의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105)는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전송하는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20)와 상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08)의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110), 및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상기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하는 전송부(1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 중인 상기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105)는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전송하는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20)와 상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첨부되어 전송될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전송하는 통지부(125), 및 상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출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여 송출하는 전송부(1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소정의 네트워크수단 및/또는 통신수단(19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하여 출력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출력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에 노출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정보(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일시 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첨부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0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과,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또는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여 송출)하는 시점 사이에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정보(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일시 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첨부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정보(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일시 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첨부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는 문자 정보(또는 데이터)와, 이미지 정보(또는 데이터)와, 사진 정보(또는 데이터)와, 동영상 정보(또는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버(105)에 구비된 상기 수신부(120)는 상기 서버(105)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연동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수단 및/또는 통신수단(190)과 상기 저장부(130)(또는 저장매체)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하는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확인부(11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또는 리턴 서버 및/또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접속한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이동 통신망, 휴대 인터넷)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 대한 시청률 조사와 유료 방송 데이터의 과금을 위해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또는 리턴 서버에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확인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확인부(110)는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85)를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또는 리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접속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는 망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의 상태값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구성이 구비되는데, 상기 확인부(11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확인한다.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확인부(110)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현재 수신중인 방송 채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버(105)에 구비된 상기 확인부(110)는 상기 서버(105)가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또는 리턴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85)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정보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의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통신단말 방송 수신 확인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지부(12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첨부되어 전송될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도록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예컨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요청 클라이언트 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첨부되어 전송될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 정보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첨부되어 전송될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출 일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지부(125)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소정의 메시지(예컨대,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라면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정보(예컨대, 메일, 메신저)에 포함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프로그램(예컨대,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플랫폼이 탑재된 무선 단말기라면, WIPI 기반으로 소정의 정보(또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통신프로그램)으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버(105)에 구비된 상기 통지부(125)는 상기 서버(105)와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을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상호 연동하여 상기 정보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첨부되어 전송될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통지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출력되도록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업자의 주체에 따라 상기 전송부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출력되도록 전송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업 주체가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수신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제작하는 방송 컨텐츠 제작사라면,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4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45)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첨부(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에 삽입)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응용 정보 제공 서버(15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응용 정보 제공 서버(150)에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소정의 응용 정보(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정보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 데이터)로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업 주체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송출하는 사업자라면,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시스템(예컨대, 방송 프로그램 D/B 및/또는 응용 정보 D/B 및/또는 방송 제어부(155) 및/또는 엔코더부(160) 및/또는 변환부(165) 및/또는 송출부(170) 및/또는 다중화부(175) 및/또는 송신장치(위성 방송용 송신장치 또는 지상파 방송용 송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전송되는 정보(또는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예컨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토메일이라면, 상기 문자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도면4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화면에 출력되도록 일부 영역을 투명화 처리한 구조)로 가공하는 기능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와 같은 데이터 구조 가공 기능구성이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데이터 구조 가공 기능구성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사업 주체가 독립 사업자(예컨대, 컨텐츠 제공 사업자 또는 이동 통신사)라면,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직접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오버랩(Overlap)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전송되는 정보(또는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오버랩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예컨대,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토메일이라면, 상기 문자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도면4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화면에 출력되도록 일부 영역을 투명화 처리한 구조)로 가공하는 기능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와 같이 오버랩 가능한 데이터 구조로 가공하는 기능구성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데이터 구조 가공 기능구성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버(105)에 구비된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서버(105)와 상기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45), 응용 정보 제공 서버(150) 및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연결하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85), 또는 상기 서버(105)와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을 연결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상호 연동하여 상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출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여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소정의 포토메일을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이고,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해당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따르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 실시예에 포함되는 무선 단말기와 포토메일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105)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105)에서 상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통신단말(180)의 방송 수신 확인수단에서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의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상기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105)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의해 소정의 카메라와 포토메일 발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면3의 (가)와 같이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첨부할 소정의 사진을 촬영(또는 기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고, 도면3의 (나)와 같이 상기 사진과 소정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포토메일을 생성하고(200), 도면3의 (다)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입력하고(205), 도면3의 (라)와 같이 상기 포토메일과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수단 및/또는 통신수단(190)을 통해 상기 서버(105)로 전송한다(210).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포토메일과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5)는 상기 수신된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출력 가능한지 확인한다. 즉,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출력 가능하지 않다면(예컨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아니라면)(220), 상기 서버(105)는 소정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여 출력하고(225), 본 발명에 의한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출력 가능하다면(예컨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라면)(220), 상기 서버(105)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포토메일 전송시 도면6의 (다)와 같이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특정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 확인한다(230).
만약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면(235), 상기 서버(105)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시청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상기 포토메일을 첨부하여 송출하며(240), 상기 포토메일은 도면4와 같이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서 시청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첨부되어 출력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105)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105)에서 상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 통지수단에서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상기 정보(또는 데이터)가 첨부되어 전송될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전송하고, 소정의 정보 전송수단에서 상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출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첨부하여 송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의해 소정의 카메라와 포토메일 발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면6의 (가)와 같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첨부할 소정의 사진을 촬영(또는 기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고(500), 도면6의 (나)와 같이 상기 사진에 포함될 메시지와, 도면6의 (다)와 같이 상기 포토메일이 첨부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와, 도면6의 (라)와 같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날짜와, 도면6의 (마)와 같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상기 포토메일이 첨부될 시간을 포함하는 포토메일을 생성하고(505), 도면6의 (바)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입력하고(510), 상기 포토메일과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수단 및/또는 통신수단(190)을 통해 상기 서버(105)로 전송한다(515).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포토메일과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5)는 상기 수신된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출력 가능한지 확인한다(520). 즉,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출력 가능하지 않다면(예컨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아니라면)(525), 상기 서버(105)는 소정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여 출력하고(530), 본 발명에 의한 정보(또는 데이터) 제공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상기 포토메일을 출력 가능하다면(예컨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라면)(525), 상기 서버()는 상기 포토메일 제공 일시 정보(예컨대, 도면6의 (라) 및 (마)를 통해 입력되어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예컨대, 도면6의 (다) 및 (라)를 통해 입력되어 수신된 정보)에 상기 포토메일을 첨부하여 송출할 일시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535).
만약 상기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상기 포토메일을 첨부하여 송출할 일시에 도달했다면(540), 상기 서버(105)는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포토메일 전송시 도면6의 (다)와 같이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특정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 확인한다(545).
만약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고 있지 않다면(550), 상기 서버(105)는 도면7의 (가)와 같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로 상기 포토메일이 첨부될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도록 유도하는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555).
반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특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면(550), 상기 서버(105)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이 시청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상기 포토메일을 첨부하여 송출하며(560), 상기 포토메일은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180)에 도면7의 (나)와 같이 출력되는 방송 화면에 도면7의 (다)와 같이 첨부되어 출력된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 105 : 서버
110 : 확인부 115 : 전송부
120 : 수신부 125 : 통지부
130 : 저장부 135 : 저장매체
140 : 리턴서버 145 : 방송 컨텐츠 제공서버
150 : 응용정보 제공서버 155 : 방송 제어부
160 : 엔코더부 165 : 변환부
170 : 송출부 175 : 다중화부
180 : 제2클라이언트 통신단말 18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90 : 네트워크 수단

Claims (4)

  1.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지정된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2. 제 2항에 있어서,
    등록자단말로부터 상기 단말로 제공될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등록자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정보를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등록자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제공될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0120009282A 2012-01-30 2012-01-30 데이터 제공 방법 KR10125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82A KR101254109B1 (ko) 2012-01-30 2012-01-30 데이터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82A KR101254109B1 (ko) 2012-01-30 2012-01-30 데이터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258A Division KR101197261B1 (ko) 2005-05-27 2005-05-27 데이터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484A Division KR101254105B1 (ko) 2012-07-16 2012-07-16 데이터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442A true KR20120027442A (ko) 2012-03-21
KR101254109B1 KR101254109B1 (ko) 2013-04-12

Family

ID=4613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82A KR101254109B1 (ko) 2012-01-30 2012-01-30 데이터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1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127A (ja) 2001-12-17 2003-07-04 Shigeyasu Mori テレビ受像機本体をコンビニエンスストアに、テレビ放送番組自体を商品(物品、サービス)総合カタログに、テレビリモコンスイッチを商品売買の決済端末機にして、テレビ視聴(視聴者)と購買行動(顧客)を融合させる仕組み、所謂ビジネスモデ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109B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198B1 (ko)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9888370B2 (en) Relay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559533B2 (ja) 放送局からの移動体テレビ放送信号の移動体装置の制御
US11012844B2 (en) Peer-to-peer emergency communication using public broadcasting
JP5139801B2 (ja)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254109B1 (ko) 데이터 제공 방법
KR101254105B1 (ko) 데이터 제공 방법
US20120046052A1 (en) Text Messaging To And From Cable Services System Devices
KR101197261B1 (ko) 데이터 제공 시스템
US20070133505A1 (en) Distribution of short messages using a video control device
KR100807376B1 (ko) 음성 단문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이용한 mo/mt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70155308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40880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KR100667864B1 (ko)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메시지송수신 방법
KR100840908B1 (ko) 영상 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실시간 tv 방송 시청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1753956A (zh) 手机电视指南的发送方法及系统
KR100754739B1 (ko) 비디오 연동형 서비스 객체 스트림 다운로드를 위한 dmb시스템 및 방법과 dmb 단말기
KR20060114896A (ko)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6204A (ko)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95033A (ko) 디엠비 방송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KR20150071064A (ko) 스마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02468A (ko) 크로스 미디어 정보 통합 시스템
EP2494787A1 (en) Method and digital television system
US20150304058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the ability to the plurality of users to broadcast their plurality of personalized contents to their preferred device and preferred language
KR20040008572A (ko) 이메일 정보가 삽입된 텔레비전 방송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