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880B1 -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880B1
KR100740880B1 KR1020050038708A KR20050038708A KR100740880B1 KR 100740880 B1 KR100740880 B1 KR 100740880B1 KR 1020050038708 A KR1020050038708 A KR 1020050038708A KR 20050038708 A KR20050038708 A KR 20050038708A KR 100740880 B1 KR100740880 B1 KR 10074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multimedia
additional data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578A (ko
Inventor
안상우
서정일
김규헌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8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시청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화면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 외부의 방송 시스템으로부터의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됨에 따라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확인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에서 문자 메시지 송/수신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 및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등에 이용됨.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부가 데이터 형식, 화면 전환 없음, 하나의 화면에 출력

Description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MB and character messag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에 따른 화면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을 위한 화면 구성 예시도,
도 5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경우에 대한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 중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
12 :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
13 :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
14 :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
15 :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경로
본 발명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시청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문자 메시지 서비스 가능)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과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최근에 방송이 디지털화됨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노트북 등 휴대용 기기가 일반화됨에 따라 이동 중에도 휴대용 기기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급속히 증대되었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2004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표준과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표준을 제정하였다.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은 2005년도부터 본 방송이 실시될 예정이므로, 현재 많은 업체에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차량용 단말기 등을 개발 중이며, 일부 업체에서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의 단말기 개발을 완료하였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는 반면에,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상파/위성 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경우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 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화면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 송/수신 문자 메시지를 각각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화면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송/수신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 외부의 방송 시스템으로부터의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 상기 문 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됨에 따라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확인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에서 문자 메시지 송/수신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 및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확인하는 단계;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됨에 따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인지를 검사하여 확인하는 단계;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한 송/수신 문자 메시지 부가 데이터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서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연동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장치는, 외부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 외부의 지상파/위성 방송 시스템으로부터의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경로(15),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됨에 따라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확인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11),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11)에서 문자 메시지 송/수신과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 및 상기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경로(15)를 통하여 수신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상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기 위한 지상파/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1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기능 모듈들로 이루어져, 외부의 이동 전화망을 통하여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경로(15)는 외부의 지상파/위성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 시스템을 거쳐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기능 모듈들로 이루어져,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11)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휴대폰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었을 때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를 하나의 화면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 과정의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는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11)로부터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로부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13)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13)는 상기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경로(15)를 통하여 수신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의 부가 데이터 출력 영역(위치)에 상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함께 출력한다. 이 때,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실제 부가 데이터와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 간의 출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을 별도로 지정하거나,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실제 부가 데이터를 동일 영역에 출력하되 우선순위를 두어 출력하거나 충돌 방지 제어(서로 다른 라인에 출력하는 등)를 하면서 함께 출력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에 의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와 문자 메시지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 장치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동작 및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11)가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21).
상기 검사 결과(21),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지 않으면 종료하고, 문자 메 시지가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22).
상기 검사 결과(22),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지 않으면 기존의 방식대로 송/수신 문자 메시지를 처리하고 종료하며,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중이면 다음 과정(23)으로 진행한다.
상기 각 과정의 검사 결과(21, 22),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으면,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가 상기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23).
이후,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13)가 상기 변환한 송/수신 문자 메시지 부가 데이터를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화면에 함께 출력한다(24). 즉,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13)가 상기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경로(15)를 통하여 수신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의 부가 데이터 출력 영역(위치)에 상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함께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경우에 진행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 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기존의 폴더형 휴대폰을 예로 든 도면으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과 문자 메시지 송/수신 화면을 하나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을 위한 화면 구성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첫 번째의 화면 예제는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데이터를 방송 자막처럼 처리하여 출력하는 서비스의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두 번째의 화면 예제는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데이터를,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방송 영역과는 별도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영역 내에 출력하는 서비스의 예를 보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각각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표준의 데이터 규격과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표준의 데이터 규격이 서로 다르므로, 문자 메시지를 부가 데이터 형 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 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이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면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표준에 따르는 규격의 형식에 맞추어 문자 메시지를 변환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이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면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표준에 따르는 규격의 형식에 맞추어 문자 메시지를 변환하여야 한다.
도 5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경우에 대한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 중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물론,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이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경우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의 동작 중에서, 사용자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았을 경우(문자 메시지 송신의 경우도 유사하게 처리 가능)에 한하여 문자 메시지를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았을 때,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부(11)로부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로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인가된다(51). 이처럼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경로(14)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입력받는다(52).
그리고 상기 문자 메시지용 부가 데이터 생성부(12)가 가지고 있는(기 저장하고 있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53)이 선택된다(54). 이 템플릿은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의하여 미리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의 형식으로는 자바(Java), 엠펙(MPEG)-4 표준 규격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의 형식으로는 자바(Java), 엠펙(MPEG)-4,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MHP(Multimedia Home Platform) 표준 규격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52)는 선택된 템플릿(54)의 기 지정된 특정 부분(55)에 추가되어 문자 메시지를 변화한 부가 데이터(56)로 생성되며, 이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화면 출력부(13)에 출력되어 마치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처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화면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 송/수신 문자 메시지를 각각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화면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송/수신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 미디어방송을 시청하면서, 화면 전환 없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방송과 통신을 연동시켜서 창출된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
    외부의 방송 시스템으로부터의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됨에 따라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확인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에서 문자 메시지 송/수신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 및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은,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었을 때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에 따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와 문자 메시지를 하나의 화면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으로부터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DMB 시청 검사 수단으로부터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에, 기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을 선택한 후에, 상기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상기 선택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의 기 지정된 특정 영역에 추가하여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의 부가 데이터 출력 영역(위치)에 상기 부가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변환한 부가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실제 부가 데이터를 동일 영역에 출력하되 우선순위를 두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실제 부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과 별도의 영역(위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자막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9.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확인하는 단계;
    문자 메시지가 송/수신됨에 따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인지를 검사하여 확인하는 단계;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 중임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한 송/수신 문자 메시지 부가 데이터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전달받은 단계;
    기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를 상기 선택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용 부가 데이터 템플릿의 기 지정된 특정 영역에 추가하여 부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실제 부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과 별도의 영역(위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로 변환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자막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방법.
KR1020050038708A 2004-12-03 2005-05-10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KR10074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08A KR100740880B1 (ko) 2004-12-03 2005-05-10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404 2004-12-03
KR20040101404 2004-12-03
KR1020050038708A KR100740880B1 (ko) 2004-12-03 2005-05-10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578A KR20060063578A (ko) 2006-06-12
KR100740880B1 true KR100740880B1 (ko) 2007-07-19

Family

ID=3715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708A KR100740880B1 (ko) 2004-12-03 2005-05-10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796B1 (ko) * 2006-09-08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Dmb망에서의 dmb시청중 광고콘텐츠 제공방법
KR101324663B1 (ko) * 2007-05-23 2013-1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겸용 이동통신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수신 중에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397Y1 (ko) 2003-04-15 2003-09-03 주식회사 사일릭스 Fm darc 데이터 수신기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KR20050044839A (ko) * 2004-06-19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20050106203A (ko) * 2004-05-04 2005-1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와 이동통신 통합단말에서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60099963A (ko) * 2005-03-15 2006-09-20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시청 중 문자메시지 간편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및 간편 통화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397Y1 (ko) 2003-04-15 2003-09-03 주식회사 사일릭스 Fm darc 데이터 수신기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KR20050106203A (ko) * 2004-05-04 2005-1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와 이동통신 통합단말에서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50044839A (ko) * 2004-06-19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20060099963A (ko) * 2005-03-15 2006-09-20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시청 중 문자메시지 간편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및 간편 통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578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6140B2 (ja) メディア・チューニング付き移動端末並びにそれ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72800B2 (ja) 放送コンテンツ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800639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2009535895A (ja) 放送局からの移動体テレビ放送信号の移動体装置の制御
KR100740880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 연동 장치 및그 방법
US9491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801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obile broadcast service
KR1008966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방법
KR1008462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200701117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상 통화 중 방송 중계 방법
CN101548539A (zh) 用于在电子设备上提供音频警报的方法和系统
KR1007572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732991B1 (ko)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40555B1 (ko) 메세지가 합성된 방송 프로그램 캡쳐화면 제공 방법
KR100738925B1 (ko) Dmb 데이터 방송에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방법 및시스템
KR2007011108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피지 데이터 처리방법
KR20070003314A (ko)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메시지송수신 방법
KR101254105B1 (ko) 데이터 제공 방법
KR10072734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알림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단말기
KR200101063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254109B1 (ko) 데이터 제공 방법
KR101197261B1 (ko)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06000848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777821B1 (ko) 애플리케이션 컨트롤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08760B1 (ko) 왑 브라우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