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068A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068A
KR20120027068A KR1020100089158A KR20100089158A KR20120027068A KR 20120027068 A KR20120027068 A KR 20120027068A KR 1020100089158 A KR1020100089158 A KR 1020100089158A KR 20100089158 A KR20100089158 A KR 20100089158A KR 20120027068 A KR20120027068 A KR 2012002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ampers
seating
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977B1 (ko
Inventor
양승대
최석재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9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댐퍼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댐퍼장치는, 케이스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댐퍼, 댐퍼의 일단에는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치합되는 기어부, 기어부에 연결되어 댐퍼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댐퍼에 구비되어 댐퍼가 구동에 의한 상호 접촉시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퍼장치{DAMPER DEVICE}
본 발명은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가 회동에 의해 유로 개폐시 안착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 되게 하고, 공기 오염도에 따라 공기 이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가습과 정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실내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로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7407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공기청정기의 외형은 물을 닫아두는 수조 역할을 하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좌우측면에 손잡이홈(202)이 형성된 받침부재(200)와, 받침부재(200)의 상부에 얹혀지고 횡방향 그릴(320)을 포함하는 미들케이스(300)와, 미들케이스(300)의 상부에 얹혀지고 상면에 공기유입구(401)가 형성되며 전면에 작동량 조절을 위한 조절다이얼(402)이 구비된 탑케이스(400)로 이루어진다.
그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케이스(300)의 상부에 흡입팬(510)이 설치되고, 받침부재(200)에는 축지지부(210,220)의 지지홈에 디스크축(610)이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다수의 디스크(620)로 이루어진 디스크조립체(600)가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미들케이스(300)의 내부에는 디스크조립체(600)의 작동모터가 설치되고, 탑케이스(40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집진방식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들케이스(300)는 중간의 그릴(320) 상하에 각각 상부틀(310)과 하부틀(330)이 밀착되고 이때 각 틀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파이프가 그릴(320)의 모서리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호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받침부재(200)에 물을 채우고 디스크조립체(600)를 설치한뒤, 그 상부에 차례로 미들케이스(300)와 탑케이스(400)를 얹어 조립하면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전원을 공급하면 흡입팬(510)과 디스크조립체(600)가 회전됨에 따라 탑케이스(400)의 공기유입구(401)로 흡입된 공기가 필터에서 정화된 뒤 하방으로 이동하여 미들케이스(300)의 그릴(320)을 통해 배출되며, 이때 공기와 디스크(620)의 표면에 묻은 물 입자가 접촉하여 공기에 물 입자가 포함한 상태로 배출됨으로써 실내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함과 더불어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조절다이얼(402)을 조절하여 흡입팬(510)과 디스크조립체(6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풍량과 가습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에 의하면, 공기 중의 먼지를 디스크 표면의 수막에 흡착하고, 가스성분은 물에 녹게 하여 기본적인 공기청정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황사와 같은 오염도가 심할 때는 공기청정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에는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 이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 구조가 전혀 없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스 내부에 필터부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댐퍼가 구비되어 외부공기 오염도에 따라 댐퍼를 개폐하여 물에 의해 기본적인 공기청정 뿐만 아니라 필터에 의한 공기청정효과를 배가하는 것이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댐퍼가 회동에 의해 유로 폐쇄시 안착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 되게 하여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과 안착불량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는, 케이스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댐퍼; 상기 댐퍼의 일단에는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치합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댐퍼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가 구동에 의한 상호 접촉시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마주보는 상기 댐퍼의 접촉부위에 단턱이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서로 마주 보는 원호 형상의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한 쌍의 상기 기어부 중 어느 하나에 축 결합되는 개폐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댐퍼 중 어느 하나의 댐퍼 모서리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 및 상기 안착돌부가 접촉되어 안내하도록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댐퍼 모서리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돌부의 단부는 상기 댐퍼 회동 접촉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안착홈의 표면과 구름운동을 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필터부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댐퍼가 구비되어 외부공기 오염도에 따라 댐퍼를 개폐하여 물에 의해 기본적인 공기청정 뿐만 아니라 필터에 의한 공기청정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댐퍼가 회동에 의해 유로 폐쇄시 어느 하나의 댐퍼 형성된 안착돌부가 다른 댐퍼의 안착홈에 구름운동을 하면서 안정적으로 안착 되게 하여 댐퍼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과 안착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댐퍼장치를 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외부공기 오염도별 공기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댐퍼장치를 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댐퍼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외부공기 오염도별 공기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1)는, 받침부재(10), 케이스(30), 송풍부(40), 필터부(80) 및 댐퍼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부재(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디스크조립체(20)가 설치된다.
받침부재(10)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조립체(20)는 받침부재(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스(30)는 받침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흡입구(32)가 형성되며, 상면에 토출구(34)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0)의 일측에는 디스크조립체(20)를 회전 구동시키는 작동모터(35)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모터(35)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조립체(20)가 회전되면서 디스크조립체(20)가 물과 접촉되는 것이다.
송풍부(40)는 케이스(3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부(40)는 케이스(30)의 흡입구(32)를 통해 유입되는 디스크조립체(20)와 접촉됨으로써 습기를 갖는 공기를 상측으로 강제 토출시킨다.
이러한 송풍부(40)는 케이스(30)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동모터(42)와, 구동모터(42)에 축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케이스(30)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시로코팬(44) 및 시로코팬(44)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되도록 배출구(45a)를 갖는 안내덕트(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30)의 상면은 구동모터(42)가 안착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그릴형상의 토출구(34)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30)의 상면에는 지지보스(50)가 형성되고, 구동모터(42)의 둘레에는 지지보스(50)가 접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편(52)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0)에는 구동모터(42)와 연결되는 전선이 고정되는 고정홈부(60)가 형성된다.
고정홈부(60)는 전선이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단에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62)이 형성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시로코팬(44)은 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며, 둘레에 날개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케이스(3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시로코팬(44)의 측면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시로코팬(44)은 안내덕트(45)의 내부에 구비됨으로, 시로코팬(44)에 의해 측면으로 토출된 공기는 안내덕트(45)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개구된 배출구(45a)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케이스(30)와 송풍부(40)는 탑커버(70)에 의해 커버된다.
탑커버(70)는 하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케이스(30)와 송풍부(4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감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탑커버(70)에는 케이스(30)의 흡입구(32)와 연통되도록 그릴형상의 관통부(72)가 형성되고, 송풍부(40)의 배출부(45a)와 연통되는 개구부(74)가 형성된다.
필터부(80)는 송풍부(40)의 작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케이스(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82) 및 지지부(82)에 구비되어 송풍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84)는 헤파필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30)의 흡입구(34)에는 보조필터(98)가 설치된다.
보조필터(98)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져 큰 먼지를 제거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댐퍼장치(10)를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150)는, 케이스(30)의 내부에 필터부(80)와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 유로(86)에 구비되어 공기 흐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댐퍼(88)(90), 기어부(92), 구동부(95) 및 안착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150)를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에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댐퍼장치(150)를 다른 가전제품 및 댐퍼 개폐제품에 포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댐퍼(88)(90)는 케이스(30)의 유로(86)를 마주 보고 개폐하도록 케이스(30)에 회동가능하게 한 쌍 형성된다.
댐퍼(88)(90)는 마주보는 댐퍼의 접촉부위에 단턱(94)이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단턱(94)은 마주보는 댐퍼(88)(90)의 모서리에 각각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86)는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1)에 적용하는 경우, 필터부(80)의 필터(84)와 간섭되지 않게 배치된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내부에 필터(84)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부(82)가 형성되고, 필터(84)는 지지부(82)의 양측에 분할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필터(84) 사이에는 공기가 필터링 되지 않고 유동될 수 있는 유로(86)가 형성되고, 유로(86)에는 공기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댐퍼(88)(90)가 마련되는 것이다.
기어부(92)는 댐퍼(88)(90)의 일단에는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치합된다.
기어부(92)는 서로 마주 보는 원호 형상의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92)의 케이스(30)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구동부(95)는 기어부(92)에 연결되어 댐퍼(88)(90)에 회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95)는 한 쌍의 기어부(92) 중 어느 하나에 축 결합되는 개폐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95)인 개폐모터의 작동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작동버튼(91)의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외부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안착부(100)는 댐퍼(88)(90)에 구비되어 댐퍼가 구동에 의한 상호 접촉시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한다.
안착부(100)는 댐퍼(88)(90) 중 어느 하나의 댐퍼(90) 모서리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102) 및 안착돌부(102)가 접촉되어 안내하도록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댐퍼(88) 모서리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104)을 포함한다.
안착돌부(102)와 안착홈(10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각각 하나 이상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안착돌부(102)의 단부는 댐퍼 회동 접촉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안착홈(104)의 표면과 구름운동을 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모터의 구동에 의해 기어부(92)가 마주보고 회동하고, 기어부(92)에 일체로 형성된 댐퍼(88)(90)가 회동하여 서서히 닫혀지면서 안착돌부(102)의 반구 면이 안착홈(104)의 표면에 접촉되어 회동에 의한 구름운동을 하면서 댐퍼가 완전하게 닫히는 경우, 단턱(94)에 걸리면서 이를 감지한 센서에 의해 개폐모터를 정지시켜 댐퍼의 회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습공기청정기(1)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스크조립체(20)가 작동모터(35)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게 되고, 상측에 마련된 구동모터(42)에 의해 시로코팬(44)이 회전된다.
시로코팬(44)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30)의 흡입구(32)를 통해 외부공기가 흡입된다.
흡입구(32)에는 보조필터(98)가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큰 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흡입된 외부공기는 물과 접촉되는 디스크조립체(20)와 접촉되어 습기를 갖는 습공기가 되며, 습공기는 케이스(30)의 토출구(34)를 통해 안내덕트(45) 내부로 이동된다.
시로코팬(44)의 회전에 의해 습공기는 시로코팬(44)의 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습공기는 안내덕트(45)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부(45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45a)는 상측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시로코팬(4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2)는 케이스(30)의 상면 중앙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고정편(52)이 지지보스(5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흔들림이 방지되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에는 구동모터(42)로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는 고정홈부(60)가 형성되고,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62)이 형성되어 전선이 유동되지 않으므로 흔들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케이스(30)의 내부에는 필터부(80)가 구비되어 외부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을 강화할 수 있다.
필터부(80)의 작동을 살펴보면, 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외부공기 오염도가 양호할 경우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8)(90)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여 유입된 공기가 유로(86)를 통해 시로코팬(4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센서에서 감지된 외부공기 오염도가 심할 경우,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95)인 개폐모터가 작동되어 댐퍼(88)(90)가 회동되어 유로(86)를 차단한다.
구동부(95)의 작동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작동버튼(91)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며, 외부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구동부(95)에 의해 한 쌍의 기어부(92)가 상호 연동되어 기어부(92)의 일측에 형성된 댐퍼(88)(90)가 회동되면서 유로(86)가 차단되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84)를 경유하여 정화된 후 시로코팬(4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마주하는 댐퍼(88)(90)의 접촉부위에는 단턱(94)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된다.
이처럼 필터(84)에 의한 공기청정이 이루어져 외부공기 오염도가 양호해지면, 개폐모터(95)의 작동에 의해 댐퍼(88)(90)가 회동되어 유로(86)가 개방된다.
한편, 댐퍼(88)(90)가 서로 접촉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95)의 개폐모터의 구동에 의해 기어부(92)가 마주보고 회동하고, 기어부(92)에 일체로 형성된 댐퍼(88)(90)가 회동하여 서서히 닫혀진다.
이때, 댐퍼(90)에 형성된 안착돌부(102)의 반구 면이 마주보는 댐퍼(88)의 안착홈(104)의 표면에 접촉되어 회동에 따라 마찰운동이 아닌 구름운동을 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한 쌍의 댐퍼(88)(90) 폐쇄를 위한 회동 접촉시 안착부(100)에 의한 구름운동에 의해 댐퍼가 안정적으로 접촉되므로 접촉 마찰에 의한 소음과 안착불량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댐퍼(88)(90)가 상호 완전하게 닫히는 경우, 댐퍼의 단턱(94)에 각각 걸리면서 이를 감지한 센서에 의해 구동부(95)인 개폐모터를 정지시켜 댐퍼(88)(90)의 회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공기 오염도에 따라 댐퍼를 개폐할 수 있어 물에 의한 기본적인 공기청정 뿐만 아니라 필터를 통한 공기청정효과를 강화할 수 있으며, 측면으로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습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댐퍼가 회동에 의해 유로 폐쇄시 어느 하나의 댐퍼 형성된 안착돌부가 다른 댐퍼의 안착홈에 구름운동을 하면서 안정적으로 안착 되게 하여 댐퍼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과 안착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가습공기청정기 10 : 받침부재
20 : 디스크조립체 30 : 케이스
32 : 흡입구 34 : 토출구
35 : 작동모터 40 : 송풍부
42 : 구동모터 44 : 시로코팬
45 : 안내덕트 45a : 배출구
50 : 지지보스 52 : 고정편
60 : 고정홈부 62 : 이탈방지편
70 : 탑커버 72 : 관통부
74 : 개구부 80 : 필터부
82 : 지지부 84 : 필터
86 : 유로 88,90 : 댐퍼
92 : 기어부 94 : 단턱
95 : 구동부 95 : 보조필터
100 : 안착부 102 : 안착돌부
104 : 안착홈 150 : 댐퍼장치

Claims (6)

  1. 케이스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댐퍼;
    상기 댐퍼의 일단에는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치합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댐퍼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가 구동에 의한 상호 접촉시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마주보는 상기 댐퍼의 접촉부위에 단턱이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서로 마주 보는 원호 형상의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한 쌍의 상기 기어부 중 어느 하나에 축 결합되는 개폐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댐퍼 중 어느 하나의 댐퍼 모서리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 및
    상기 안착돌부가 접촉되어 안내하도록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댐퍼 모서리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부의 단부는 상기 댐퍼 회동 접촉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안착홈의 표면과 구름운동을 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1020100089158A 2010-09-10 2010-09-10 댐퍼장치 KR10140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158A KR101407977B1 (ko) 2010-09-10 2010-09-10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158A KR101407977B1 (ko) 2010-09-10 2010-09-10 댐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068A true KR20120027068A (ko) 2012-03-21
KR101407977B1 KR101407977B1 (ko) 2014-06-18

Family

ID=4613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158A KR101407977B1 (ko) 2010-09-10 2010-09-10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37B1 (ko) * 2019-03-08 2020-02-27 주식회사 대명공조 방화용 스틸 댐퍼
CN111271764A (zh) * 2018-12-25 2020-06-1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446A (ko) * 1997-10-18 1999-05-15 윤종용 냉장고
KR100447753B1 (ko) * 2002-08-14 2004-09-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KR200302331Y1 (ko) * 2002-10-10 2003-01-30 주식회사 센추리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
KR100629530B1 (ko) * 2004-12-22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댐퍼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1764A (zh) * 2018-12-25 2020-06-1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11271764B (zh) * 2018-12-25 2021-07-06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KR102082237B1 (ko) * 2019-03-08 2020-02-27 주식회사 대명공조 방화용 스틸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977B1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4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126258B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CN109996593B (zh) 能够调节风向的空气净化器
JP5842962B2 (ja) 空気清浄機
JP2022537852A (ja) 加湿清浄機
JP5862717B2 (ja) 空気清浄機
JP503172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163236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10140045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JP5520901B2 (ja) 空気清浄機
KR101303629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20027068A (ko) 댐퍼장치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H10155707A (ja) 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掃除機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2012117770A (ja) 加湿空気清浄機
KR20110113264A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디스크
JP6164264B2 (ja) 空気清浄機
KR101249497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KR20130075096A (ko) 가습기의 오염도에 따른 자동 모드 전환 방법
KR102553399B1 (ko)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JP7445148B2 (ja) 空気処理装置
KR101174038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74039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