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912A -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912A
KR20120026912A KR1020100089108A KR20100089108A KR20120026912A KR 20120026912 A KR20120026912 A KR 20120026912A KR 1020100089108 A KR1020100089108 A KR 1020100089108A KR 20100089108 A KR20100089108 A KR 20100089108A KR 20120026912 A KR20120026912 A KR 2012002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cklight
lcm
stag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국
신기영
박창호
나병상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0008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912A/ko
Publication of KR2012002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생산라인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하나의 작업테이블에서 서로 다른 사양(크기)을 가지는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제품에 대한 조립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Belt Driven Conveyor System of Back Light and LCD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백라이트 및 LCM(LCD Module)과 같은 제품 조립을 위한 생산라인에서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생산라인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사양(크기)을 가지는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조립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및 LCM과 같은 제품의 생산시스템은 제품 조립의 생산 공정을 위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가 제공된다.
상기 작업대는 생산되는 제품의 조립을 위해 양쪽 측면에 작업자가 위치하게 되며, 작업자에 의해 조립 작업이 종료된 제품은 컨베이어 벨트 및 구동모터에 의해 다음 작업대로 자동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대에 적용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경우 통상적으로 원 또는 타원을 그리며 회전 순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순환되거나 상기 작업대의 표면을 따라 회전 순환하게 되는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순환되는 경우, 상기 작업대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순환시킬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상기 작업대의 하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므로, 상기 작업대의 하부 공간에 해당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마련할 수 없게 되며, 이에따라 해당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 공간, 즉 추가 구성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작업대의 표면을 따라 회전 순환되는 경우, 상기 작업대의 하부 공간에 해당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할 수 있지만,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 순환시키기는 원 또는 타원의 내부로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작업자가 위치하지 못하고, 상기 작업대의 한쪽 측면에서만 제품의 조립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해당 제품의 조립에 필요한 작업대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거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제품 생산의 효율성과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생산되는 제품의 자동 이동을 위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및 구동 모터를 이용하면, 생산되는 제품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작업대를 설계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제품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생산라인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작업대에서 서로 다른 사양(크기)을 가지는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제품에 대한 조립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이 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결합으로부터 일정폭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업대를 구성하고,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는 백라이트 및 LCM의 조립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면서 전후방측에 마련된 다단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조립 완료된 상기 백라이트 및 LCM을 이송시키는 다단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성하되,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직교되는 폭 방향으로 레일프레임을 각각 결합 구성하고, 상기 전,후방측 레일프레임에는 백라이트 및 LCM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레일프레임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다단의 이동프레임을 결합 구성하며, 상기 다단을 이루는 전,후방측 회전부에는 연결브라켓을 통해 지지프레임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폭 방향 이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들의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측을 결합 고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단을 이루는 회전부는 하나의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형 백라이트 및 LCM의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정상 회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후방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부 사이에는 소형 받침 롤러를 등간격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작업도중 상기 회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하단 접촉부에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3단라인의 결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라인의 결합홈부 중 중간라인과 최하단라인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이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3단라인의 결합홈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장력조절부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3단라인을 이루는 결합홈부의 최상측라인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라인을 지지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3단라인을 이루는 결합홈부의 중간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롤러; 를 포함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생산라인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하나의 작업테이블에서 서로 다른 사양(크기)을 가지는 백라이트 및 LCM에 대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제품에 대한 조립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품 생산의 작업환경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큰 사이즈(인치)의 패널을 이동시키는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작은 사이즈(인치)의 패널을 이동시키는 상태의 평면 개략도.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구현되며, 도 1은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품 생산의 작업환경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이 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의 결합으로부터 일정폭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업대(10)에 구성되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C1,C2,C3), 레일프레임(20), 이동프레임(30), 지지프레임(40), 장력조절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는 상기 작업대(10)의 위에 다단으로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작업대(10)의 상측에서 백라이트 및 LCM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40)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결합 구성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는 작업대(10)의 전,후방측에 위치하는 회전부(101)가 동력전달부(102)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100)의 구동력으로부터 회전시, 상기 회전부(10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조립 완료된 제품인 백라이트 및 LCM을 다음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백라이트 및 LCM이 올려져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대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01)는 톱니기어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는 체인으로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를 체인으로 구성시 상기 체인에는 백라이트 및 LCM의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완충고무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형 사이즈의 패널(제품)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이 증가됨으로 인해 모터(100)의 구동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것과, 상기 회전부(101)로부터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전,후방측에 위치한 회전부(101) 사이에는 소형 받침 롤러(61)가 2중 등간격으로 결합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작업도중 상기 회전부(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하단 접촉부에는 요철부(62)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프레임(20)은 상기 작업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1)의 전,후방측에 상기 수평프레임(11)과 직교되는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30)의 폭 방향에 대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전,후방측 레일프레임(20)에 이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배열되는 컨베이어 벨트(C1,C2,C3)와 동일한 개수로 배열되어 결합된 것으로, 백라이트 및 LCM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폭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상기 다단을 이루는 전,후방측 회전부(101)에 연결브라켓(41)을 통해 결합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의 폭 방향 이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들의 폭 조절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프레임(30)의 상측이 체결부재(200)를 통해 결합 고정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길이방향으로 3단라인의 결합홈부(h1,h2,h3)가 형성되며, 상기 3단라인의 결합홈부(h1,h2,h3) 중 중간라인(h2)과 최하단라인(h3)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체결부재(200)를 통해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부(50)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3단라인의 결합홈부(h1,h2,h3)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제 1,2 프레임(51)(52)과 롤러(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51)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상측라인을 지지하도록 3단라인을 이루는 상기 결합홈부(h1,h2,h3)의 최상측라인(h1)에 체결부재(200)를 통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 2 프레임(52)은 상기 제 1 프레임(51)에 결합되면서 상기 3단라인을 이루는 결합홈부(h1,h2,h3)의 중간라인(h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53)는 상기 제 2 프레임(52)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2 프레임(51)(52)과 상기 롤러(53)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 프레임(51)(52)과 롤러(53)를 포함하는 상기 장력조절부(50)는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전,후방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백라이트 또는 LCM을 조립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대(10)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다수의 작업대(10)로부터 조립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백라이트 또는 LCM을 검수 및 적재 공간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300)을 배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300)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작업대(10)는 각각 서로 상이한 형태 즉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백라이트 또는 LCM을 조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패널을 생산하는 제품 생산시스템에 있어 각각의 작업대(10)는 서로 다른 인치(inch)의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의 사이즈(인치)가 커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 전체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먼저 작업대(10)의 위에 형성되는 3단 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C3)를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시킨다.
즉,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프레임(20)에는 이동프레임(30)을 통해 3단라인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이동프레임(3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3단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C3)를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전체를 활용하도록 등간격으로 배치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 전체에 상기 3단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배치되면서 받침대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3단라인으로 이루어진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위에는 사이즈(인치)가 큰 대형화된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이 올려질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작업대(10)의 주위에 배치된 작업자들은 상기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에 필요로 하는 부품을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에 올려져 이송시킬 때 안전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전,후방측에 위치한 회전부(101) 사이에 2중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소형 받침 롤러(61)는 모터(100)의 구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부(101)로부터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킴은 물론, 대형 사이즈의 패널(제품)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을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하단 접촉부에 형성되는 요철부(62)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상기 모터(100)의 구동력 전달로부터 회전하여 패널의 이송을 진행시키는 작업도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상기 회전부(1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의 사이즈(인치)가 작아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일부만을 활용하거나 또는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을 2등분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작업대(10)에서 부품 조립의 공정을 세분화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먼저 작업대(10)의 위에 형성되는 3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벨트(C1,C2,C3)들의 폭을 선택적으로 좁힌다.
즉,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프레임(20)에는 이동프레임(30)을 통해 3단라인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결합되는 바, 상기 3단라인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C1,C2,C3) 중 중간라인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C2)에 결합되는 이동프레임(3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중간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2)를 또 다른 컨베이어 벨트(C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중간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2)는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C1)와는 폭이 좁아지지만, 또 다른 컨베이어 벨트(C3)와는 폭이 넓어지면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C1)(C2)가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복수라인으로 이루어진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의 위에는 사이즈(인치)가 작은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이 올려질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작업대(10)의 주위에 배치된 작업자들은 상기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에 필요로 하는 부품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가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부품 조립이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패널 또는 LCM 패널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하였지만, 상기 복수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에 또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C3)를 근접시켜, 상기 3단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C3)를 통해 사이즈가 작은 패널들의 받침대 역할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3단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C3)는 레일프레임(20)의 어느 위치에서도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3단라인의 컨베이어 벨트(C1,C2,C3)를 통해 패널을 이송시키는 것은 하나의 모터(100)가 구동력을 발생시킬 때, 상기 발생되는 구동력이 동력전달부(102)를 통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101)에 전달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며, 이때 상기 다단의 컨베이어 벨트(C1,C2,C3)는 각각 이동프레임(30)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3단라인의 결합홈부(h1,h2,h3)에 결합되는 장력조절부(50)에 의해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에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에 의한 패널들의 이송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장력조절부(50)에 포함되는 제 1 프레임(51)은 3단라인을 이루는 상기 결합홈부(h1,h2,h3) 중에서 최상측라인(h1)에 체결부재(200)를 통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상측라인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50)에 포함되는 제 2 프레임(51)은 상기 제 1 프레임(51)에 결합되면서 상기 3단라인을 이루는 결합홈부(h1,h2,h3) 중에서 중간라인(h2)을 따라 이동되는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53)에는 롤러(53)가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롤러(53)는 상기 제 2 프레임(52)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의 하단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C1,C2,C3)는 상기 제 1 프레임(51)과 롤러(53)에 의해 일정높이로서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생산 공정 동안 다단의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사이즈가 서로 패널에 따라 폭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부품 조립이 필요로 하는 패널 종류에 대응하여 작업대(10)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한편, 패널 생산 시스템의 각 작업대(10)로부터 배출되는 패널을 다양화시켜, 상기 패널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패널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다단의 컨베이어 벨트(C1,C2,C3)가 상기 작업대(10)의 위에 일정높이로서 그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작업대(10)의 하부 중 적어도 일부를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 작업대 11; 수평프레임
12; 수직프레임 20; 레일프레임
30; 이동프레임 40; 지지프레임
41; 연결브라켓 50; 장력조절부
51,52; 제 1,2 프레임 53; 롤러
61; 소형받침롤러 62; 요철부
100; 모터 101; 회전부
102; 동력전달부 200; 체결부재
300; 이송유닛 C1,C2,C3; 컨베이어 벨트

Claims (6)

  1.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이 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결합으로부터 일정폭과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업대를 구성하고,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는 백라이트 및 LCM의 조립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면서 전후방측에 마련된 다단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조립 완료된 상기 백라이트 및 LCM을 이송시키는 다단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성하되,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직교되는 폭 방향으로 레일프레임을 각각 결합 구성하고,
    상기 전,후방측 레일프레임에는 백라이트 및 LCM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레일프레임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다단의 이동프레임을 결합 구성하며,
    상기 다단을 이루는 전,후방측 회전부에는 연결브라켓을 통해 지지프레임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폭 방향 이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들의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측을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을 이루는 회전부는 하나의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대형 백라이트 및 LCM의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으로 컨베이어 벨트가 정상 회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전,후방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부 사이에 소형 받침 롤러를 등간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가 작업도중 상기 회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하단 접촉부에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3단라인의 결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라인의 결합홈부 중 중간라인과 최하단라인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이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3단라인의 결합홈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장력조절부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3단라인을 이루는 결합홈부의 최상측라인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라인을 지지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3단라인을 이루는 결합홈부의 중간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100089108A 2010-09-10 2010-09-10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KR20120026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108A KR20120026912A (ko) 2010-09-10 2010-09-10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108A KR20120026912A (ko) 2010-09-10 2010-09-10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912A true KR20120026912A (ko) 2012-03-20

Family

ID=4613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108A KR20120026912A (ko) 2010-09-10 2010-09-10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9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675A (zh) * 2016-06-24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传送装置
CN106671435A (zh) * 2016-12-15 2017-05-17 仙桃市犇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口罩一拖二自动生产机
WO2020034444A1 (zh) * 2018-08-13 2020-02-20 盐城华旭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lcm液晶模组生产的压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675A (zh) * 2016-06-24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传送装置
CN106671435A (zh) * 2016-12-15 2017-05-17 仙桃市犇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口罩一拖二自动生产机
WO2020034444A1 (zh) * 2018-08-13 2020-02-20 盐城华旭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lcm液晶模组生产的压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89998A (ja) パレット搬送方法及びパレット搬送装置
KR20120026912A (ko) 백라이트 및 lcm 조립의 벨트 구동 컨베이어 시스템
KR101677497B1 (ko)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JP2018118855A (ja) 昇降装置及び昇降装置を備えた収納装置
JPWO2009090743A1 (ja) 基板搬送装置
JP2009084006A (ja) 自動倉庫
JP2017217730A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H08175623A (ja) 昇降装置及びその昇降装置を備えた保管設備
JP2013124157A (ja) 昇降装置
KR101351639B1 (ko) 시트 적재용 가변 컨베이어장치
KR101484102B1 (ko) 박스 테이핑 장치
JP554849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CN210735460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置物台及提升机
JP2016204154A (ja) 昇降搬送システム、移載装置
JP6711163B2 (ja) 昇降搬送装置
CN210557338U (zh) 可升降移载装置及物料输送系统
US7217079B2 (en) Slide fork
TWM542007U (zh) 液晶面板之傳送裝置
CN211084588U (zh) 一种可换向的平移机构及冷却塔
KR20120129144A (ko)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JP5590515B2 (ja) 搬送装置
EP2426072B1 (en) Magazine for storing glass sheets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JP2006273539A (ja)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装置
KR20160039449A (ko) 스택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