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811A - 줄기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줄기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811A
KR20120026811A KR1020100088945A KR20100088945A KR20120026811A KR 20120026811 A KR20120026811 A KR 20120026811A KR 1020100088945 A KR1020100088945 A KR 1020100088945A KR 20100088945 A KR20100088945 A KR 20100088945A KR 20120026811 A KR20120026811 A KR 2012002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em
power transmission
main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주)엠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엔지 filed Critical (주)엠엔지
Priority to KR102010008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811A/ko
Publication of KR2012002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4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2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줄기 제거 장치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축을 갖는 본체와;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예취 드럼과, 상기 예취 드럼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다수개의 예취날들과,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예취 드럼의 양단 외측에 위치되도록 본체에 회전 연결되는 한 쌍의 원판형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을 갖는 두둑 줄기 제거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설치 본체와,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예취드럼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설치 본체에 회전 지지되고, 서로 곡률을 이루는 기어이들을 통하여 기어 연결되는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와,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의 외측에서 상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는 한 쌍의 원판형의 고랑 줄기 절단 칼날을 갖는 고랑 줄기 제거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둑 저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두둑 사이의 고랑 또는 이랑 저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끌어 올려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제거 할 수 있다.

Description

줄기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TEM}
본 발명은 줄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두둑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랑 또는 이랑 내부에 존재하는 작물의 줄기를 외부로 끌어내어 제거할 수 있는 줄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고무마나 감자와 같은 구근의 땅속에서 자라는 작물을 수확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지상에 노출되는 작물의 줄기를 제거한 이후에, 이차적으로 수확기를 사용하여 땅속의 작물을 수확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는 할 때 낫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이에 투입되는 노동력이 증가되고,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제거된 줄기를 밭의 가장자리까지 옮겨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이에 투입되는 노동 인력과 노동 시간이 증가되어 농가의 경영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대한 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20-1998-0012737"는 트랙터의 동력 인출부에 접속된 주축(3)으로부터 증속 풀리(4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줄기 파쇄 장치(4)를 구비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통상 밭은 다수 열로 이루어지는 두둑들과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랑 또는 이랑들을 갖는다. 그리고, 두둑과 고랑의 내부에는 줄기 작물의 줄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밭에서 상기와 같은 줄기 파쇄 장치를 사용하여 줄기를 제거하는 경우에 두둑 내부에 존재하는 줄기들을 외부로 끌어낼 수는 있지만, 두둑들 사이에서 일정 깊이를 이루는 고랑 내부에 존재하는 줄기들은 외부로 끌어내어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고랑 내부에 잔존되는 작물 줄기를 작업자가 직접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둑 저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두둑 사이의 고랑 또는 이랑 저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끌어 올려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는 줄기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줄기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줄기 제거 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단을 잇는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 위치되어 외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축을 갖는 본체와;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예취 드럼과, 상기 예취 드럼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다수개의 예취날들과,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예취 드럼의 양단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회전 연결되는 한 쌍의 원판형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을 갖는 두둑 줄기 제거부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을 잇는 연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설치 본체와,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예취드럼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지지되고, 서로 곡률을 이루는 기어이들을 통하여 기어 연결되는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지지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는 한 쌍의 원판형의 고랑 줄기 절단 칼날을 갖는 고랑 줄기 제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 각각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어느 하나의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원판형의 고랑 줄기 절단 칼날 각각의 중심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 각각의 회전축 일단에는 서로 기어 연결되는 한 쌍의 동력 전달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 드럼의 외주에는 한 쌍의 돌출판이 돌출되어 상기 돌출판들 각각 회전공이 마련되는 고정부재가 다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예취날들은 단부에 제 1회전공이 형성되고 한 쌍으로 밀착되어 'Y'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 부재들의 제 2회전공에는 머리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판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걸치는 머리부가 형성된 볼트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의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판을 조이는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예취날들의 단부는 상기 제 1회전공과 상기 제 2회전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끼워져 회전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설치 본체가 끼워져 상하로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본체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의 내측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들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 각각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정 길이를 갖는 원주형의 기어 몸체와, 상기 기어 몸체의 외주에서 상기 기어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서로 경계가 연결되도록 외부로 방사상 돌출 형성되는 상기 기어이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이들의 외주 및 상기 경계 부분은 곡률을 이루도록 곡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이들은 상기 기어 몸체로부터 탈착되되,
상기 기어이들의 각각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판과, 상기 슬라이딩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판이 상기 기어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기어 몸체의 일측과 외측이 개구되는 삽입홈들과, 상기 삽입홈들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기어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들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두둑 저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두둑 사이의 고랑 또는 이랑 저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끌어 올려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제거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줄기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줄기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줄기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예위 드럼 및 예취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줄기 제거 기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줄기 제거 기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줄기 제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줄기 제거 장치는 본체(1)와, 두둑 줄기 제거부(2)와, 고랑 줄기 제거부(3)를 갖는다.
<본체>
상기 본체(1)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의 상단을 잇는 상단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1)는 하방이 개구되는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11)의 중앙부에는 동력 전달 축(12)이 설치된다. 상기 동력 전달 축(12)은 본체에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외부로 전달하여 주는 축이고, 이는 다수의 기어들과 연결되어 동력 전달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두둑 줄기 제거부>
본 발명에 따르는 두둑 줄기 제거부(2)는 두둑들이 형성되는 밭에서 본체(1)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두둑 내부에 존재하는 고구마와 같은 농작물의 줄기를 외부로 끌어 내어 절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두둑 줄기 제거부(2)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두둑 줄기 제거부(2)는 외주에 예취날들(21)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예취 드럼(20)과, 상기 예취 드럼(20)의 양측부에서 줄기를 절단하는 한 쌍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22)로 구성된다.
상기 예취 드럼(20)은 두둑과 일정 높이 예컨대 수직으로 제 1레벨을 이루는 위치에서 그 양단이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에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의 양측에는 제 1직경(D1)을 이루는 원판 형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22)이 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22)의 중심은 상기 예취 드럼(20)의 양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예취 드럼(20)은 상기 동력 전달 축(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된다.
예컨대, 상기 동력 전달 축(12)의 단부는 기어 박스(미도시)를 통하여 예취 드럼(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보조 동력 전달 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이 보조 동력 전달 축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예취 드럼(2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체인(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 전달 축(12)이 회전되면, 이 회전 방향은 보조 동력 전달축을 통하여 방향이 전환되고, 이 방향이 전환된 동력은 체인을 통하여 예취 드럼(20)의 단부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예취 드럼(20) 및 이의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22)은 일정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예취날들(21)은 상기 예취 드럼(20)의 외주에서 예취 드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고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예취날들(21)은 예취 드럼(20)의 외주에서 탈착 가능하고, 예취날들(21)의 회전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예취 드럼(20)의 외주에는 한 쌍의 돌출판(23a)이 돌출되어 상기 돌출판들(23a) 각각의 단부에 제 1회전공(23b)이 마련되는 고정부재(23)로 다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예취날들(21)은 단부에 제 2회전공(21a)이 형성되고 한 쌍으로 밀착되어 'Y'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 부재들(23)의 제 1회전공(23b)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판(23a)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걸치는 머리부(41)가 형성된 볼트(40)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40)의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판(23a)을 조이는 너트(42)가 결합되고, 상기 예취날들(21)의 단부는 상기 제 1회전공(23b)과 상기 제 2회전공(21a)을 관통하는 볼트(40)에 끼워져 회전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취날들(21)은 고정 부재(23)에서 볼트(4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각도로 회전 위치시키어 볼트 및 너트의 조임을 통하여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예취날들(21) 손상시 볼트(40)와 너트(42)를 제거함으로써, 예취날들(21)을 새로운 예취날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취날들(21)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스크류 볼트가 형성되고, 예취 드럼(20)의 외주에는 상기 스크류 볼트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 홀들이 형성됨으로써, 예취날들(21)이 예취 드럼(20)의 외주에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취날들(21)은 상기 예취 드럼(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랑 줄기 제거부>
일반적으로, 고랑 또는 이랑은 두둑들의 사이에 골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둑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랑 줄기 제거부(3)는 상기 고랑의 내부에 존재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외부로 끌어 내어 절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2,3 및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고랑 줄기 제거부(3)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고랑 줄기 제거부(3)는 상단 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설치 본체(100)와, 상기 설치 본체(100)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 축(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어 고랑 내부의 줄기를 끌어내는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과,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의 외측에서 상기 줄기 제거 기어들(200)과 연동되어 고랑으로부터 끌어 내어진 줄기를 절단하는 한 쌍의 고랑 줄기 제거 칼날(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 본체(1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10)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을 잇는 연결 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 본체(100)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은 각각 기어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 양단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10)에 회전 지지되도록 각각 제 1,2회전축(c1,c2)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1,2회전축(c1,c2)은 한 쌍의 동력 전달 기어(240)의 중심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회전축(c1,c2) 중 어느 하나(제 1회전축(c1)이라 한다.)는 동력 전달 기어(24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 돌출되는 축은 상기 제 1회전축(c1)이 연장되는 축으로서, 동력 전달 축(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어 박스와 연결되는 보조 전달 축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 1,2회전축(c1,c2) 중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축과 체인을 통하여 연결되어 동력 전달 축(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은 우레탄 재질의 일정의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 각각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주 형상의 기어 몸체(210)와, 상기 기어 몸체(210)로부터 기어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기어이들(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이들은 그 단부가 일정의 곡률(R)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이들(220) 각각의 전체 외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200)은 단부가 곡률(R)을 이루는 기어이들(220)이 서로 기어 연결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 2회전축(c2)의 양단에는 두둑 줄기 절단 칼날(22)의 제 1직경(D1) 보다 작은 직경인 제 2직경(D2)을 이루는 고랑 줄기 제거 칼날(230)의 중심이 연결된다.
특히, 상기 고랑 줄기 제거 칼날들(230)은 두둑 줄기 제거 칼날들(22)의 하단 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두둑들 사이의 고랑에서 끌어 내어지는 줄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이들(220)은 상기 기어 몸체(210)로부터 탈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어이들(220)의 각각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판(221)과, 상기 슬라이딩 판(221)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몸체(210)에는 상기 슬라이딩 판(221)이 상기 기어 몸체(210)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기어 몸체(210)의 일측과 외측이 개구되는 삽입홈들(211)과, 상기 삽입홈들(211)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 돌기(222)가 상기 기어 몸체(210)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들(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랑 줄기 제거부(3)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동력 전달 축(12)으로 전달되고, 상기 동력 전달 축(12)은 기어 박스 및 보조 전달 축을 통하여 동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전환된 동력은 보조 전달축의 단부와 제 1회전축(c1) 단부와 연결되는 체인을 통하여 제 1회전축(c1)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 1회전축(c1)이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 기어들(240)은 서로 맞물려 회전된다. 따라서, 동력 전달 기어들(240)과 중심이 연결되는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200)는 서로 기어이들(220)이 기어 물림되어 회전된다.
이때,제 2회전축(c2)의 양단에 중심이 연결된 한 쌍의 고랑 줄기 제거 칼날(230) 역시 회전된다.
따라서, 고랑 또는 이랑 내부에 존재하는 줄기는 회전되는 곡률(R)이 형성되는 기어이들(220) 사이에 끼어 외부로 끌어 내어 진다. 그리고, 줄기 제거 기어들(200)에 의하여 끌어 내어진 줄기들은 줄기 제거 기어들(200) 양측에서 회전되는 고랑 줄기 제거 칼날들(230)에 의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랑 줄기 제거 칼날(2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 2회전축(c2)의 수직으로의 레벨은 제 1레벨 보다 낮은 제 2레벨을 이루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설치 본체(100)는 상하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 도 있다.
즉, 상기 상단 플레이트(11)에는 상기 설치 본체(100)가 끼워져 상하로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본체(3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300)의 내측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120)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들(31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본체(10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설치 본체(100)는 상기 가이드 본체(300)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로 가이드되어 유동되고, 상기 충격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들(310)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 2레벨은 고랑의 깊이에 따라 상하로 조절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 본체(300)를 상단 플레이트(11)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300)에 상하를 따르는 일정 길이의 장공들(301)을 형성하고, 상단 플레이트(11)에 장공들(301)과 위치가 일치되는 결합공들(11a)을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 부재들(50)을 사용하여 상기 결합공(11a)과 장공들(301)을 서로 결합시킨다.
예컨대, 가이드 본체(300)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고, 이의 위치에서 결합 부재들(50)을 사용하여 결함공들(11a)과 장공들(301)을 관통 및 조임으로써 가이드 본체(300)를 상단 플레이트(11)에서 이동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본체(300)의 상하로의 위치를 이동 고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가이드 본체(300)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되는 설치 본체(100)의 상하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랑의 깊이에 따라 줄기 제거 기어들(200) 및 고랑 줄기 제거 칼날들(230)의 상하로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랑 줄기 제거부는 땅속 작물 수확기와 같은 농기계에 적용하여 실시가 가능하고, 본체(1)에 2개 이상 설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줄기 제거 장치의 구성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본체 2 : 두둑 줄기 제거부
3 : 고랑 줄기 제거부 100 : 설치 본체
200 : 줄기 제거 기어 210 : 기어 본체
220 : 기어이 230 : 고랑 줄기 제거 칼날
240 : 동력 전달 기어 300 : 가이드 본체

Claims (4)

  1.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단을 잇는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 위치되어 외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축을 갖는 본체;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을 잇는 연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설치 본체와,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예취드럼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지지되고, 서로 곡률을 이루는 기어이들을 통하여 기어 연결되는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지지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는 한 쌍의 원판형의 고랑 줄기 절단 칼날을 갖는 고랑 줄기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예취 드럼과, 상기 예취 드럼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다수개의 예취날들과,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예취 드럼의 양단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회전 연결되는 한 쌍의 원판형의 두둑 줄기 절단 칼날을 갖는 두둑 줄기 제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 각각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동력 전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어느 하나의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원판형의 고랑 줄기 절단 칼날 각각의 중심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들 각각의 회전축 일단에는 서로 기어 연결되는 한 쌍의 동력 전달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 드럼의 외주에는 한 쌍의 돌출판이 돌출되어 상기 돌출판들 각각 회전공이 마련되는 고정부재가 다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예취날들은 단부에 제 1회전공이 형성되고 한 쌍으로 밀착되어 'Y'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 부재들의 제 2회전공에는 머리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판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걸치는 머리부가 형성된 볼트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의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판을 조이는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예취날들의 단부는 상기 제 1회전공과 상기 제 2회전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끼워져 회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제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설치 본체가 끼워져 상하로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본체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의 내측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들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제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줄기 제거 기어 각각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정 길이를 갖는 원주형의 기어 몸체와, 상기 기어 몸체의 외주에서 상기 기어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서로 경계가 연결되도록 외부로 방사상 돌출 형성되는 상기 기어이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이들의 외주 및 상기 경계 부분은 곡률을 이루도록 곡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제거 장치.
KR1020100088945A 2010-09-10 2010-09-10 줄기 제거 장치 KR20120026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45A KR20120026811A (ko) 2010-09-10 2010-09-10 줄기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45A KR20120026811A (ko) 2010-09-10 2010-09-10 줄기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11A true KR20120026811A (ko) 2012-03-20

Family

ID=4613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45A KR20120026811A (ko) 2010-09-10 2010-09-10 줄기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8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6B1 (ko) * 2015-09-02 2016-03-09 이학남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KR101885550B1 (ko) * 2018-02-28 2018-08-06 장영기 고구마순 줄기 절단장치
CN110933988A (zh) * 2019-12-31 2020-03-31 滨州市农业机械化科学研究所 一种防缠绕棉秆拔秆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6B1 (ko) * 2015-09-02 2016-03-09 이학남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KR101885550B1 (ko) * 2018-02-28 2018-08-06 장영기 고구마순 줄기 절단장치
CN110933988A (zh) * 2019-12-31 2020-03-31 滨州市农业机械化科学研究所 一种防缠绕棉秆拔秆辊
CN110933988B (zh) * 2019-12-31 2024-05-03 滨州市农业机械化科学研究所 一种防缠绕棉秆拔秆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0155B (zh) 二次粉碎带状旋耕播种机
KR100818251B1 (ko)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100809175B1 (ko) 구근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20120026811A (ko) 줄기 제거 장치
KR20110087755A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KR101558217B1 (ko)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CN206472505U (zh) 一种园林种植用深度除草机
US20140196430A1 (en) Implement for extraction and decimation of plant stalks
CN104823564A (zh) 抗高茬及厚秸秆的免耕播种机
CN207284249U (zh) 玉米收获机
CN203467209U (zh) 马铃薯除秧机
KR101425908B1 (ko)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용 쇄토장치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CN104472038B (zh) 除草器
CN212013508U (zh) 旋耕施肥播种机的耧腿防缠草装置
KR20130136799A (ko) 구황작물 줄기 제거장치
CN107493815A (zh) 小型玉米收获机
CN109937675B (zh) 一种改进的土豆拔秧除草机
CN207284248U (zh) 小型玉米收获机
KR20090073967A (ko) 덩굴제거장치
CN207284250U (zh) 玉米收获机的粉碎装置
CN207399881U (zh) 玉米收获机的传动装置
CN207284251U (zh) 玉米收获机的收穗装置
CN205005485U (zh) 一种用于大蒜收获机的齿式球面圆盘割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