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641A - 전원공급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641A
KR20120025641A KR1020100087101A KR20100087101A KR20120025641A KR 20120025641 A KR20120025641 A KR 20120025641A KR 1020100087101 A KR1020100087101 A KR 1020100087101A KR 20100087101 A KR20100087101 A KR 20100087101A KR 20120025641 A KR20120025641 A KR 2012002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factor
factor correction
correction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181B1 (ko
Inventor
송호걸
김경회
하종헌
한대희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8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181B1/ko
Priority to US13/137,602 priority patent/US8564982B2/en
Priority to EP11179672.8A priority patent/EP2426810B1/en
Priority to CN201110278640.5A priority patent/CN102403911B/zh
Publication of KR2012002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역률 보상 회로의 이상 전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 전류가 발생하면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는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전원공급회로는 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리액터와, 리액터에 상기 전류가 저장되거나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리액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와, 스위치의 스위칭을 조정하여 역률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와,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고,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압이 이상 전압이면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전류간의 크기 차이에 따라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를 포함하므로, 스위치 및 전류검출부의 이상 전류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공급회로{POWER SUPPLY CIRCUIT}
역률 보상 회로를 이상 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는 직류 전압을 임의의 가변주파수를 갖는 3상 교류 전원(U, V, W)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장치로, 에너지 효율 및 출력 제어의 용이성 때문에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엘리베이터 등의 전기제품에 채용되는 모터 제어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인버터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시키는 회로가 연결되어 있다. 이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전압은 인버터에 공급된다. 이 때, 정류회로의 역률은 약 0.5~0.6 정도로 매우 낮고, 입력전압(상용 교류 전원의 전압)과 입력전류(상용 교류 전원의 전류) 사이의 위상차로 인하여 역률이 저하되어 무효전력에 의한 소비전력의 손실(loss)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스트 DC-DC 컨버터의 원리를 이용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의 인덕터 하나와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역률을 개선하는 능동 역률 보상 회로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능동 역률 보상 회로는 비교적 작은 용량의 인덕터를 사용하고 DC전압을 입력전압의 피크 전압보다 크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효율이 나쁘고 인덕터의 스위칭에 의한 리플 전류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져서 스위칭 손실이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능동 역률 보상 회로를 병렬로 연결하여 역률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이상 전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 전류가 발생하면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작동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는 전원공급회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회로는 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리액터와, 상기 리액터에 상기 전류가 저장되거나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리액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조정하여 역률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압이 이상 전압인 경우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상 회로는 복수 개의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액터, 스위치 및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는 서로간에 동일한 개수로 복수 개 마련되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이 입력되는 복수 개의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오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비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오류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가 작동을 정지하는 것은,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켜 상기 스위치 및 전류검출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회로는 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리액터와, 상기 리액터에 상기 전류가 저장되거나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리액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조정하여 역률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전류간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간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의 출력 전압에 따른 전류 간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상 회로는 복수 개의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액터, 스위치 및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는 서로간에 동일한 개수로 복수 개 마련되어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는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전류 크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크기의 평균값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에 작동 정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는 작동 정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켜 상기 스위치 및 전류검출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류검출부는 입력되는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전류트랜스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이상 전류로 인한 파워 소자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기능 블록도
도 1b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회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회로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의 제어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1b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회로도이다.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는 상용전원(10)과, 정류부(20)와, 역률보상회로(30)와,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와, DC 전압발생부(50)를 포함하며, DC 전압발생부(50)에는 인버터(60)가 연결되어 있다.
정류부(20)는 상용전원(1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일차 정류한다. 정류부(20)는 다이오드 4개를 포함하는 브리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역률보상회로(30)는 정류부(20)의 출력을 입력받는 리액터(31a,31b)와, 리액터(31a,31b)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32a,32b)와,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고속 스위칭 제어되는 스위치(34a,34b)와,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류검출부(33a,33b)를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31a,31b)는 부스트 인덕터(Boost Inductor)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31a,31b)는 스위치(34a,34b)가 온되어 양단이 단락되는 경우에는 입력으로부터의 전류를 충전하고, 스위치(34a,34b)가 오프되어 양단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충전되었던 전류가 출력단으로 흐르게 한다.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32a,32b)는 DC 전압발생부(50)에서 상용전원(10)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32a,32b)는 리액터(31a,31b)에 대응하도록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34a,34b)는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고속으로 스위칭된다. 스위치(34a,34b)는 인버터(60)로 출럭되는 신호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고속으로 스위칭된다. 스위치(34a,34b)는 IGBT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리액터(31a,31b)의 개수에 대응하여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전류검출부(33a,33b)는 전류를 그에 상응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류검출부(33a,33b)는 공지된 전류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전류트랜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전류트랜스는 트랜스포머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서, 원형 코어에 코일을 감고 구멍을 관통하여 1차에 해당하는 전류를 흘리면 코일의 권수비에 따라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된다. 따라서, 그 전압의 크기에 따라 1차 전류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전류검출부(33a,33b)는 리액터(31a,31b)의 개수에 대응하여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전류검출부(33a,33b)는 대응되는 리액터(31a,31b)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 혹은 반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고, 그 전압 정보를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에 전송한다.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를 통해 스위치(34a,34b)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는 PWM제어를 통해 리액터(31a,31b)의 전류의 위상이 입력전압의 위상을 추종하도록 스위치(34a,34b)를 고속 스위칭한다. 스위치(34a,34b)가 온되면 정류부(20)에서 정류된 전압이 리액터(31a,31b)에 인가되고, 리액터 전류는 선형적으로 상승한다. 이 때, 역전 방지용 다이오드(32a,32b)는 역전압이 걸려 오프되어 있고, DC 전압발생부(50)에 충전된 에너지가 인버터(60)에 공급된다. 반대로, 스위치(34a,34b)가 오프되면 역전 방지용 다이오드(32a,32b)가 도통하여, 리액터(31a,31b)에는 출력전압에서 입력전압을 뺀 전압이 걸리고, 리액터 전류는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이 때, 입력단에서 출력단으로 파워가 공급되면서 DC 전압발생부(50)에 전압이 충전된다.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면 리액터 전류가 입력전압의 위상을 추종하게 되면서 역률이 개선된다.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는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전송되는 전압 정보에 따라 IGBT 스위치(34a,34b)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DC 전압발생부(50)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역률보상회로(30)에서 역률이 개선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이용하여 DC전압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에 대해 설명한 것이며, 이하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보호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의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도 1a 및 1b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동일용어를 사용하였으며, 도 1a 및 도 1b에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는 상용전원(10)과, 정류부(20)와, 역률보상회로(30)와,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와, 역률보상회로 보호부(70)와, DC 전압발생부(50)를 포함하며, DC 전압발생부(50)에는 인버터(60)가 연결되어 있다.
역률보상회로 보호부(70)는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와, 제3비교부(71c)와, 오알게이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는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고, 그 전압을 기준전압(Ref.V)과 비교한다.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는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이상 전압인 경우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이상 전압인 경우는 설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제1기준전압보다 큰 경우를 이상 전압이 출력된다고 하거나, 출력전압이 제2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를 이상 전압이 출력된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2가지의 경우는 전류검출부(33a,33b)를 설계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전류검출부(33a,33b)가 입력되는 전류에 비례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전압이 제1기준 전압보다 크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므로 이상 전압이 출력된다고 할 수 있으며, 전류검출부(33a,33b)가 입력되는 전류에 반비례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전압이 제2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므로 이상 전압이 출력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준 전압과 제2기준 전압은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설계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는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오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류 신호는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가 될 수 있다. 다만,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오류신호로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오알게이트(73)는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의 출력단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오알게이트(73)는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가 "1"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1"은 전압의 크기가 2~6v 사이의 크기인 경우를 의미하고, 디지털 신호 "0"은 그 전압의 크기가 0~2v인 경우를 의미하며, 그 기준은 설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는 경우를 하이 신호가 출력된다고 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는 경우를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고 할 수 있다.
오알게이트(7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1"이면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는 작동을 정지한다. 오알게이트(73)에서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는 경우는 오알게이트(73)의 2개의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이 "1"인 경우이다. 오알게이트(73)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서 제1비교부(71a)와 제2비교부(71b)가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는 경우는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를 의미한다.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는 리액터(31a,31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이거나,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이다.
리액터(31a,31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는 상용전원(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리액터(31a,31b)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이다.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는 상용전원(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리액터(31a,31b)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류검출부(33a,33b)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이다.
제3비교부(71c)는 전류검출부(33a,33b)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는다. 제3비교부(71c)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고, 그 전압 정보를 환산하여 전류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전류검출부(33a,33b)의 원리에 따라 출력 전압의 크기에 상응하는 전류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순시 전류의 크기를 일정 시간 동안 평균하여 그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제3비교부(71c)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33a,33b) 중 어느 하나의 전류검출부(33a,33b)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상응하는 전류의 평균값과 다른 전류검출부(33a,33b)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상응하는 전류의 평균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에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70)에 오알게이트(73)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논리게이트나 다른 회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 예로 엔드게이트(AND GATE)를 사용할 경우에 비교부(71a,71b)는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오류 신호로서 로우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되고, 엔드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인 경우에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140)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류검출부(33a,33b)는 입력되는 전류에 반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설계되고, 비교부(71a,71b)는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오류신호로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오알게이트(73)에 입력시켜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오알게이트(73)를 대체할 여러 가지 논리게이트 또는 회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류검출부(33a,33b)는 입력되는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거나 반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비교부(71a,71b)는 입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그 차이에 따라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 중 임의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70)에 의해 역률 보상 회로가 보호되는 경우는 2가지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첫번째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33a,33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이고, 두번째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으로 산출한 복수개의 전류의 평균값이 서로간에 일정 기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이다. 여기서, 전자의 경우에는 상술한 것처럼 제1비교부(71a), 제2비교부(71b) 및 오알게이트(73)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에 일정 신호를 보내 작동을 정지시키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제3비교부(71c)가 그 차이를 산출하고,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에 작동 정지 신호를 보내 그 작동을 정지시킨다는 점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3비교부(71c)는 마이컴이 될 수 있다. 이하, 제3비교부(71c)의 제어가 요구되는 후자의 경우를 제어흐름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의 제어흐름도이다.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70)에 구비되는 제3비교부(71c)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33a,33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정보를 수신한다. 전류검출부(33a,33b)는 입력되는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출력하며, 그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은 전류검출부(33a,33b)의 권선수 및 부하 저항에 종속되는 값을 가진다. 제3비교부(71c)는 전류검출부(33a,33b)의 사양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전류검출부(33a,33b)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값을 그 사양에 따라 산출할 수 있게 된다.(100,110)
다음으로, 제3비교부(71c)는 실시간 산출되는 전류의 각 상에 따른 평균값을 산출하고, 복수의 평균값간의 차이를 비교한다.(120,130)
다음으로, 제3비교부(71c)는 복수의 평균값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준 이상이면 이상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에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하고, 역률보상회로 제어부(40)는 이 신호를 수신 시 작동을 정지한다.(140,150)

Claims (12)

  1. 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리액터와, 상기 리액터에 상기 전류가 저장되거나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리액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조정하여 역률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압이 이상 전압인 경우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 회로는 복수 개의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액터, 스위치 및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는 서로간에 동일한 개수로 복수 개 마련되는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인 것인 전원공급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 개의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비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오류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는 작동을 정지하는 전원공급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가 작동을 정지하는 것은,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켜 상기 스위치 및 전류검출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만드는 것인 전원공급회로.
  6. 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리액터와, 상기 리액터에 상기 전류가 저장되거나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리액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조정하여 역률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전류간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간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의 출력 전압에 따른 전류 간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인 전원공급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 회로는 복수 개의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액터, 스위치 및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는 서로간에 동일한 개수로 복수 개 마련되어 인터리브 역률 보상 회로를 구현하는 전원공급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 회로 보호부는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전류 크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차이를 비교하는 것인 전원공급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크기의 평균값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에 작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 회로 제어부는 작동 정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켜 상기 스위치 및 전류검출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원공급회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입력되는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전류트랜스인 전원공급회로.
KR20100087101A 2010-09-06 2010-09-06 전원공급회로 KR10151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7101A KR101510181B1 (ko) 2010-09-06 2010-09-06 전원공급회로
US13/137,602 US8564982B2 (en) 2010-09-06 2011-08-29 Interleaved power factor compensation circuit controller
EP11179672.8A EP2426810B1 (en) 2010-09-06 2011-09-01 Power supply circuit
CN201110278640.5A CN102403911B (zh) 2010-09-06 2011-09-06 供电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7101A KR101510181B1 (ko) 2010-09-06 2010-09-06 전원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641A true KR20120025641A (ko) 2012-03-16
KR101510181B1 KR101510181B1 (ko) 2015-04-10

Family

ID=4467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7101A KR101510181B1 (ko) 2010-09-06 2010-09-06 전원공급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64982B2 (ko)
EP (1) EP2426810B1 (ko)
KR (1) KR101510181B1 (ko)
CN (1) CN10240391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524A (ko) 2014-11-13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US10046646B2 (en) 2013-09-06 2018-08-14 Samsung Sdi Co., Ltd. Power conver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KR20210037279A (ko) * 2019-09-27 2021-04-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 장치
KR20210097885A (ko) * 2020-01-30 2021-08-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 급전선로의 이상 검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709A1 (ja) * 2010-03-26 2011-09-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の制御方法
US20120106211A1 (en) * 2010-11-03 2012-05-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factor and line distortion method and apparatus
US8723487B2 (en) * 2012-03-09 2014-05-13 Majid Pahlevaninezhad Zero voltage switching interleaved boost AC/DC converter
JP5765287B2 (ja) * 2012-04-12 2015-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バータ制御装置及びコンバータ制御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6000709B2 (ja) * 2012-07-23 2016-10-0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入力電流値演算機能を備えたポンプ装置
TW201411989A (zh) * 2012-09-06 2014-03-16 Hon Hai Prec Ind Co Ltd 電源電路及其控制方法
US9143030B2 (en) * 2012-10-09 2015-09-22 Teledyne Reynolds, Inc. Passive power factor correction incorporating AC/DC conversion
US20140312868A1 (en) * 2013-04-23 2014-10-23 Nvidia Corporation Control of a soft-switched variable frequency multi-phase regulator
US9231477B2 (en) 2013-04-23 2016-01-05 Nvidia Corporation Control of a soft-switched variable frequency buck regulator
EP2966768A4 (en) * 2013-10-02 2017-03-01 Fuji Electric Co., Ltd. Three-level inverter
KR101642719B1 (ko) * 2014-10-14 2016-07-27 창명제어기술 (주) 무효 전력 보상 장치 및 무효 전력 보상 방법
CN205792228U (zh) * 2015-03-17 2016-12-07 意法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开关调节器的控制设备和电气装置
CN105024560A (zh) * 2015-08-05 2015-11-04 哈尔滨工业大学 交流电源自动转换装置
JP2017163777A (ja) * 2016-03-11 2017-09-14 オムロ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US10224813B2 (en) 2016-03-24 2019-03-05 Nvidia Corporation Variable frequency soft-switching control of a buck converter
US10656026B2 (en) 2016-04-15 2020-05-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sensing circuit for transmitting data across isolation barrier
US10277115B2 (en) 2016-04-15 2019-04-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Filt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voltage control
US10305373B2 (en) 2016-04-15 2019-05-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put reference signal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20322B2 (en) 2016-04-15 2019-06-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actuation measurement circuit for voltage converter
US10312798B2 (en) 2016-04-15 2019-06-04 Emerson Electric Co.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s and methods including partial power factor correction operation for boost and buck power converters
US10763740B2 (en) 2016-04-15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off tim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933842B2 (en) 2016-04-15 2018-04-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Micro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US10211736B2 (en) * 2017-01-23 2019-02-19 Lg Chem, Ltd. Power supply system and det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an unbalanced current condition and an overcurrent condition in a DC-DC voltage converter
US10848051B2 (en) * 2017-10-26 2020-11-24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ynchronizing hiccup over-current protection of multiphase switching convert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529A (en) * 1986-11-12 1987-07-28 Zytec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automatic power factor correction
WO1996008073A1 (fr) * 1994-09-05 1996-03-14 Tdk Corporation Alimentation electrique a facteur de puissance ameliore
US5568041A (en) * 1995-02-09 1996-10-22 Magnetek, Inc. Low-c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electronic ballasts
US5627708A (en) * 1995-04-10 1997-05-06 Yin Nan Enterprises Co, Ltd. High power factor electronic stabilizer with protection circuit
GB9703088D0 (en) * 1997-02-14 1997-04-02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Power supply circuit for a control circuit
EP0951133A3 (de) * 1998-04-15 2000-04-12 HILT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ktives Filter zur Reduzierung der Restwelligkeit des einem Netz durch eine Last entnommenen Stroms
JP3862252B2 (ja) * 2000-11-09 2006-12-27 コーセル株式会社 アクティブ型力率改善回路
JP3987949B2 (ja) * 2001-02-26 2007-10-1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交流直流変換回路
US6686725B1 (en) * 2002-11-12 2004-02-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supply circuit compensating power factor
TWI278181B (en) * 2005-01-31 2007-04-01 Sun Trans Electronics Co Ltd Improved power filtering circuit
JP4678215B2 (ja) * 2005-03-15 2011-04-2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149097B1 (en) * 2005-08-17 2006-12-12 Synditec, Inc. AC/DC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US7535734B2 (en) * 2006-10-19 2009-05-19 Heng-Yi Li High power-factor AC/DC converter with parallel power processing
JP2008259307A (ja) 2007-04-04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dc/dcコンバータを用いた放電灯点灯装置
JP5085397B2 (ja) * 2008-04-11 2012-11-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TWI362813B (en) * 2008-11-24 2012-04-21 Holtek Semiconductor Inc Switch-mode power supp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6646B2 (en) 2013-09-06 2018-08-14 Samsung Sdi Co., Ltd. Power conver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KR20160057524A (ko) 2014-11-13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KR20210037279A (ko) * 2019-09-27 2021-04-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 장치
KR20210097885A (ko) * 2020-01-30 2021-08-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 급전선로의 이상 검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3911A (zh) 2012-04-04
KR101510181B1 (ko) 2015-04-10
EP2426810B1 (en) 2020-07-29
EP2426810A3 (en) 2016-12-14
CN102403911B (zh) 2016-01-20
US20120056604A1 (en) 2012-03-08
US8564982B2 (en) 2013-10-22
EP2426810A2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181B1 (ko) 전원공급회로
US8520345B2 (en) Protection circuit applied to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employing double-fed induction generator
US8559201B2 (en) Grid-connected inverter
US10742128B2 (en) Parallel power supply device
CN110999006B (zh) 电源装置
US8902621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use with selectable AC power supply voltage
US8670258B2 (en) Power supply device
US8988906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100806774B1 (ko) Ac/dc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ac/dc 변환 방법
KR101684840B1 (ko) 컨버터 유닛 시스템 및 컨버터 유닛
CA3015049A1 (en) Converter device
US8830701B2 (en) DC-DC converter
EP3054576B1 (en) Rectification device
WO2010098084A1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CN110912382B (zh) 开关保护
JP5310000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4161195A (ja) 直流電源装置
WO2009078728A1 (en) Protection system
KR20220004163A (ko) 전원 장치
KR101062605B1 (ko) 직류/교류 인버터 과부하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직류/교류 인버터
US11949341B2 (en) Power converter and electric motor braking method
US11362578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2018196296A (ja) 燃料電池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
CN113228492A (zh) 复合电力变换系统
KR101775156B1 (ko) 인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