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730A -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다중-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다중-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730A
KR20120024730A KR1020117029332A KR20117029332A KR20120024730A KR 20120024730 A KR20120024730 A KR 20120024730A KR 1020117029332 A KR1020117029332 A KR 1020117029332A KR 20117029332 A KR20117029332 A KR 20117029332A KR 20120024730 A KR20120024730 A KR 2012002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polyquaternium
skin
composition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쇼크 엘. 와히
Original Assignee
트루텍 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467,271 external-priority patent/US8163802B2/en
Application filed by 트루텍 코프. filed Critical 트루텍 코프.
Publication of KR2012002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제형 조성물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공에 근접한 기질이나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유해 물질의 흡입 위험을 감소시키는 제품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형은, 적용되는 경우 전하를 가지는 정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정전기장은 상기 피부 가까이 기질에 근접하여 있는 반대 전하의 공중 미립자를 상기 기질에 끌어당기고, 살균제는 상기 기질이나 피부에 접촉하게 되는 미생물을 덜 해롭게 만든다.

Description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다중-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Electrostatically charged multi-acting nasal application, product and method}
관련 출원에 관한 상호 참조
a) 본원은 그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되는 2009년 5월 16일에 출원된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미국특허 정규출원 제12/467,271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b) 본원은 그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되는 2009년 5월 20일에 출원된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국제출원 PCT/US09/44755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기도 및/또는 비강 점막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는 다양한 자극물 및 유해 물질에 의한 급습은 물론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의한 급습에 대한 보호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항바이러스성, 항박테리아성 및 항균성 제품, 및 비관 근처 영역에 정전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비관으로의 공중 오염물질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개발된 이전의 제품의 사용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오염물질을 포획하고 체내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비관 내로의 공중 오염물질의 유입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에서, 이들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비관 적용 제품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다른 해로운 미생물 또는 독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포획하고 억제하며, 피부 밖의 체외에서 이들을 비활성화시켜 이들을 무해하게 만든다.
비관 및 비강 점막은 매우 다양한 유해 및 독성 물질을 위한 체내 진입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체내 면역 시스템은 기침 및 재채기와 같은 반사 반응으로 비관 및 기도로의 어떠한 비교적 무해한 자극물에 대해 반응한다. 이는 단지 상기 자극물을 주변으로 다시 내보낼 뿐이다. 그러나, 상기 자극물이 미생물, 특히 체내에서 복제되고 기침 및 재채기에 의해 전달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사람들이 감염될 수 있다.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기운을 느끼는 경우, 단지 코와 입을 막을 뿐이다. 그러나, 만일 그 사람이 보균자라면,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이 또 감염되는 것을 막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티슈나 손수건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는 감염되거나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것으로부터 개개인을 보호하는데 제한된다.
유해 또는 자극 물질의, 또는 감염원의 흡입 예방을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이들 자극물을 여과하기 위한 얼굴 마스크를 쓰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로는 전형적으로 공구점이나 의료기구점에서 입수되는, 단순한 방진 마스크가 있다. 그러나, 이들조차도 불충분하고 비효율적이다. 많은 장소에서, 감기 철에, 많은 수의 사람들이 공중 장소에서 이들 방진 마스크를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방진 마스크는 현재 비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예방 방법의 또 다른 예로는, 방진 마스크보다 더 효과적인, 가스 마스크가 있다. 아직까지, 가스 마스크조차도 현미경적인 미생물 및 초현미경적인 미생물에 관해 크게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이들은 극히 귀찮고 일반적으로 보통의 매일매일의 활동 중에 사용할 수 없다.
미국특허 제6,844,005호와 같은 특허는 비공 근처 외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달리 흡입되는 반대로 하전된 물질을 끌어당기는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은 단순히 반대로 하전된 물질을 여과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작용이 수동적으로 흡입되는 입자들에 대해서는 적합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들은 기류 내에서 운동성이 있는 미생물과 같은, 정전기력을 극복하는 그들 자신의 내부 수단을 가진 미립자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비공 근처에 이들 정전기적 조성물을 두는 행동은, 특히 코를 풀거나 닦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불쾌감을 주는 입자나 미생물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어, 이전 조성물에 의해 잡혀 있는 입자들이 이탈되어, 다시 자유롭게 되고, 흡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립자 및 미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방법과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공 주위 외부 영역 및/또는 비공의 가장자리의 약간 내부에 또는 방출원 부근에 근접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를 제거되는 것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붙잡고 기류로 다시 제거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출원 부근에 인접하여 또는 비공의 외부 근처 영역에 및/또는 비공 가장자리의 약간 내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에 의해 포획되고 붙잡혀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사멸시키거나 또는 무해하게 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립자 및 미생물을 트랩핑하고 붙잡는 기질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터 기질에 적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와 같이 트랩핑된 미생물을 비활성화하거나, 사멸시키거나 무해하게 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 기질은 흡입 경로 근처의 피부에 인접하여, 흡입자가 떨어져 있는 경우 이러한 미립자의 방출원 근처 또는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섭취되는 항바이러스제 및/또는 항박테리아제를 이용하지 않고 감염원에 의한 감염 위험을 예방학적으로 예방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일단 본원의 개시 내용을 보게 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모든 목적들에서, 이전에 언급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에 의해 극복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은 수성 또는 비수성 기초의 제형 내에 적어도 하나의 폴리 쿼터 화합물을 가지는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조성물로서, 표면에 적용하였을 때 정전기장을 발생시켜 표면 부근의 반대로 하전된 공중 미립자(미생물 포함)를 정전기적으로 트랩핑하고, 그곳에 붙잡으며 이렇게 붙잡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미생물을 중화시키고, 사멸시키며, 비활성화하여 무해하게 하는 조성물에 의해 기대치 못하게 달성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항미생물성, 항바이러스성/항박테리아성 제품, 및 비관 근처 영역에 정전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비관 내로의 공중 오염물질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품의 사용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러한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비강 적용 제품은 체외의 미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다른 유해 또는 독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붙잡아 이들을 무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탄저병의 발생은 공중의 현미경적인 오염물질 및 초현미경적인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피한다는 개념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저균 포자,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 바이러스, 및 다른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성분/독소/자극물 등과 같은 물질이 비관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를 여과하고 무해하게 만드는 것이다.
공중 미생물은 인간의 호흡기 질환의 주요 원인이고, 알러지, 천식, 및 호흡기관의 병원성 감염을 야기한다. 공중 균의 포자는 또한 질환을 전염시키는 중요한 전염원이다. 호흡기 질환은 많은 사망자를 야기하며 이것이 큰 관심의 원인이다. 재채기 도중, 수백만의 작은 물과 점액의 방울들이 빠른 속도로 배출된다. 상기 방울들은 바이러스성 입자 및/또는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이는 하기와 같은 흡입된 공중 입자에 의한 여러 질환들의 전파의 수단이다:
Figure pct00001
주위 환경의 미립자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폴리4급 암모늄 화합물을 가지는 제형이 제조되며, 이러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함께 피부, 직물(제직물 및 부직포)과 같은 표면, 마루, 벽, 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질 표면을 포함하는, 이것이 가해지는 표면 상부 및 주위에 정전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형은 일반적으로 수용성을 기본으로 하나, 다른 제형 성분 및 가해지는 적용 표면과 친화 가능하게 사용되는 비수성 용매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형은 수용성 제형이다. 상기 폴리4급 암모늄 화합물(이하 4급 증점제 또는 고분자성 4급 암모늄 화합물로도 언급된다)에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살균제(biocidic agent)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다양한 증점제, 겔화제, 방향제, 착색제, 연화제, 습윤제, 및 최종 용도 적용물 및 제형의 다른 성분과 친화 가능한 일반적인 다른 적합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사용자와 필터 기질 간에 부가적인 라이너(liner)를 가진 마스크로서 사용되는 필터 기질에 적용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과 피부 간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으로 인한 반응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모든 성분들이 피부에 대한 직접적인 적용물과 친화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피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친화적이지 않은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하기를 포함한다:
? 물,
? 적어도 하나의 4급 증점제,
? 방부제,
? 컨디셔너,
? 유화제,
? 살균제, 및
? 5.0 내지 6.8 범위의 pH로 조정하고 이루기 위하여 첨가하는 중화제(이하 pH 조절제로도 언급된다)
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기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계면 활성제,
? 증점제,
? 연화제,
? 습윤제, 및
? 결합제.
이러한 제형의 대표적인 구현예에서, 4급 증점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폴리쿼터늄-10
? 폴리쿼터늄-22
? 폴리쿼터늄-67
? 폴리쿼터늄-70
? 폴리쿼터늄-72
? 폴리쿼터늄-88
?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상기 쿼터 증점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5 - 3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20중량%이다.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가 또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으나, 이는 양이온화제는 물론 살균제이기도 하다.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살균제로는 라이신 HCl 및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가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0.25 - 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6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5중량%이다.
이러한 제형의 대표적인 구현예에서, 유화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세틸 알코올(이는 또한 증점제로서 제공할 수도 있음)
? 세테아릴 알코올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세테아레스-20
? PEG-40 스테아레이트
? 디세틸 포스페이트
? 세테스-10 포스페이트
연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3 - 5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 4 중량%이다. 이 범위 내에서, 사용을 위한 바람직한 수용성 젤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대표적인 구현예에서, 연화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소세틸 베헤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일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대표적인 구현예에서, 방부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부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이소부틸파라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물은 용매이고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에서 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30 - 9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75중량%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된 전형적인 제형의 실시예를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퍼센트는 중량 기준으로 주어진다.
성분 % 범위 작용
62% - 80% 용매, 보습제
글루코노락톤,
소듐 벤조에이트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폴리쿼터늄-67 3% - 6% 컨디셔너
옥톡시놀-9 2% - 5% 계면 활성제
폴리쿼터늄-72 6% - 10% 컨디셔너
폴리쿼터늄-70
디프로필렌 글리콜
0.5% - 1% 컨디셔너
이소세틸 베헤네이트 4% - 6% 연화제
스테아릴 알코올 1% - 3% 증점제
세틸 알코올 0.25% - 1% 증점제
세테아레스-20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1% - 2% 유화제
물,
가수분해 알긴
0.5% - 1.5% 컨디셔너
가수분해 대두 단백질 0.25% - 1% 컨디셔너
성분 % 범위 작용
72% - 88%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폴리쿼터늄-67 3% - 6% 컨디셔너, 4급
노녹시놀-10 2% - 4% 계면 활성제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0.5% - 2%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0.5% - 2%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4% 컨디셔너, 4급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유화제,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1% - 4% 유화제
세테아릴 알콜올,
디세틸 포스페이트,
세테스-10 포스페이트
0.5% 유화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1% - 0.05% 중화제
성분 % 범위 작용
67% - 87%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폴리쿼터늄-67 3% - 7%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3% - 7%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1%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4%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1.5% - 2.5%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1% - 4% 유화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25% - 0.075% 중화제
성분 % 범위 작용
71% - 83%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폴리쿼터늄-67 4% - 6%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4% - 6%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2%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2%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1% - 3.5% 유화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25% - 0.075% 중화제
성분 % 범위 작용
73% - 85%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폴리쿼터늄-67 2%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4% - 6%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2%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2%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레스-20
1% - 3% 유화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5% - 0.75% 중화제
성분 % 범위 작용
69% - 85%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폴리쿼터늄-10 0.25% - 0.85%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67 1.5% - 3.5%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4% - 6%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1% - 3% 증점제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2%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22 1% - 3% 컨디셔너, 4급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이스-20
1%- 3% 유화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5% - 0.75% 중화제
성분 % 범위 작용
67% - 86%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폴리쿼터늄-10 1%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67 1%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0.5% - 1.5%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0.5% - 1.5% 컨디셔너, 4급
마이크로케어 쿠애트 씨티씨 30
(Microcare Quat CTC 30)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22 1% - 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3% - 5%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2% - 3% 유화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5% - 0.1% 중화제
성분 % 범위 작용
58% - 74%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글리세린 10% 습윤제
글리세릴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코폴리머
1% 컨디셔너, 습윤제
폴리쿼터늄-10 1%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67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0.5% - 1.5%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0.5% - 1.5% 컨디셔너, 4급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22 1% - 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4%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2% - 3% 유화제
폴리부텐 4% 결합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5% - 0.1% 중화제
성분 %범위 작용
54% - 73%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글리세린 8% 습윤제
글리세릴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코폴리머
1% 컨디셔너, 습윤제
폴리쿼터늄-10 1%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67 1% - 4%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0.5% - 2%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0.5% - 2% 컨디셔너, 4급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22 1% - 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4%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2% - 3% 유화제
폴리부텐 3% - 4% 결합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5% - 0.1% 중화제
성분 %범위 작용
52% - 71% 용매, 보습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1% 방부제
라이신 HCl 1% 컨디셔너, 살균제
글리세린 9% 습윤제
글리세릴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코폴리머
1% 컨디셔너, 습윤제
폴리쿼터늄-10 1% - 3.5%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67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0.5% - 2%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0.5% - 2% 컨디셔너, 4급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 - 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22 1% - 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4% 증점제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1% - 4% 유화제
폴리부텐 5% - 6% 결합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25% - 1% 양이온화제, 4급,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1% 컨디셔너, 4급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05% - 0.1% 중화제
성분 %범위 작용
35%-75% 용매, 보습제
페노닙 0.5-1.5% 방부제
라이신 HCl 0.5-1.5% 살균제, 컨디셔너
글리세롤 8-12% 보습제
글리세릴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0.5-1.5% 컨디셔너, 보습제
폴리쿼터늄-10 1%-3.5%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67 1%-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72 0.5%-2% 컨디셔너, 4급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0.5%-2% 컨디셔너, 4급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1%-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88 1%-3% 컨디셔너, 4급
폴리쿼터늄-22 1%-3% 컨디셔너, 4급
세틸 알코올 3-5% 증점제
리포뮬스 룩스(Lipomulse Luxe) 1%-4% 유화제
폴리부텐(polybutene) 4%-7% 결합제
5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25-1% 살균제, 4급, 컨디셔너
35% 수용성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 0%-8.4% 살균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0.5-1.5% 컨디셔너, 4급
5% NaOH 용액 0-1.5% 중화제
예를 들어, 표 11의 제형은 미리 결정된 양의 8종류의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8종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만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고, 8종류 전부의 첨가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표 1-11에 기재되어 있는 제형 전부는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작용한다. 활성 및 비활성 성분에 대한 퍼센트를 변화시켜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퍼센트의 변화는 제형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불활성 요소에 대한 퍼센트의 변화는 제형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불활성 요소의 퍼센트의 다양화는 제형의 점도에 영향을 미친다. 과도한 실험없이 당업자에 의해서 상기 성분들 및 이들의 양을 변화시켜 의도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항바이러스 제제의 사용방법]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제제(이하에서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로도 언급된다)는 하기에 예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구현예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고, 크림, 젤, 페이스트형 제제, 파우더제, 로션, 스프레이, 도포제(embrocation), 접착성 피부 부착제, 부착제, 에어로졸제(aerosol agent), 파운데이션, 액체, 에멀젼 또는 서스펜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1) 손, 약솜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비강 주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거나 (2) 제제가 적용된 필터 기질을 포함하는 마스크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3) 방벽, 마루, 천장 및 이와 유사한 곳에 적용된다.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피부에 직접적인 적용을 위해서, 예를 들어, 피부 자극 및 이와 유사한 것을 고려하여 상기 조성물의 물의 농도는 높게 조절되고, 살균제 및 이와 유사한 것의 농도는 낮게 조절된다. 반대로, 마스크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의 사용을 위해서, 피부에 직접적인 접촉이 덜 자주 있기 때문에, 상기 살균제 농도는 바람직하게 약간 높게 조절되고 처리 후 상기 물 농도는 바람직하게 낮게 조절되어, 상기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기질을 통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방벽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이 인간과의 접촉이 없을 때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조절될 수 있고 적용되는 조성물에서 살균제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효능 성분의 양은 높게 조절될 수 있어, 스프레이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표 11의 제형의 구체적인 예로서 실시예 1-3을 참조하여 하기에 자세하게 설명되나, 이는 제한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본 발명의 제조예의 조성물은 각 구성요소를 물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상기 구성요소를 용해 및 분산하는, 35℃ - 85℃사이의 연속적인 및 비-연속적인 가열 및 냉각 과정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수용성 젤 조성물은 30℃에서 pH 5.0 - 6.8이고, 다음에 적당한 용기에 저장하기 위해서 실온으로 적절하게 냉각된다.
표 12는 실시예 1(조성물 S1), 실시예 2(조성물 S2) 및 실시예 3(조성물 S3)의 항바이러스제의 성분조성을 나타낸다.
성분 *4 실시예 1 ( S1 ) 실시예 2 ( S2 ) 실시예 3 ( S3 )
55 g 55 g 55 g
페노닙 1 g 1 g 1 g
라이신 HCL 1 g 1 g 1 g
글리세롤 10 g 10 g 10 g
글리세릴 아세테이트/아크릴산공중합체 1 g 1 g 1 g
폴리쿼터늄-10 2.25 g 2.25 g 2.25 g
폴리쿼터늄-67 2 g 2 g 2 g
폴리쿼터늄-72 1.25 g 1.25 g 1.25 g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1.25 g 1.25 g 1.25 g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2 g 2 g 2 g
폴리쿼터늄-88 2 g 2 g 2 g
폴리쿼터늄-22 2 g 2 g 2 g
하이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밀 단백질 1 g 1 g 1 g
세틸 알코올 4 g 4 g 4 g
리포뮬스 룩스(Lipomulse Luxe) 2.5 g 2.5 g 2.5 g
인도폴 H100(폴리부텐(polybutene)) 3.1 g 3.1 g 3.1 g
인도폴 H1500(폴리부텐(polybutene)) 2.4 g 2.4 g 2.4 g
5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3 g 0.3 g 0.3 g
35% 수용성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 0 5.7 8.6
5% NaOH 용액 0.75 g 0.75 g 0.75 g
전체 95 g 100 g 103 g
물의 양*1 59 wt% 59 wt% 56 wt%
양이온성제의 양*2 14.4 wt% 13.8 wt% 13.3 wt%
살균제의 양*3 1.2 wt% 3.2 wt% 4.0 wt%
*1: 수용성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및 물에서의 전체 물의 양
*2: 폴리쿼터늄,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및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튬 밀 단백질의 전체 양
*3: 라이신 HCL,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의 전체
*4: 성분설명 페노닙(상표명, Clariant UK Ltd. 제조, 페녹시에탄올에서 파라벤 에스터의 혼합물, 파라벤 에스터로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아이소부틸파라벤을 포함함); (글리세릴 아세테이트/아크릴 산) 공중합체(LUBRAJELPF(상표명), United Guardian Inc. 제조); 폴리쿼터늄-10(UCARE Polymer JR 400(상표명), Amerchol Corporation 제조); 폴리쿼터늄-67(SoftCat Polymer SX1300H(상표명), Amerchol Corporation 제조); 폴리쿼터늄-72(MIRUSTYLE CP(상표명), Croda Inc. 제조);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Croquat WKP(상표명), Croda Inc. 제조);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MicroCare Quat CTC 30(상표명), Thor Sarl Inc. 제조); 폴리쿼터늄-88(Colaquat PDQ(상표명), Colonial Chemical Inc. 제조); 폴리쿼터늄-22(Merquat 280(상표명), Nalco Company 제조); 유화제(Lipomulse Luxe(상표명), Lipo Chemicals Inc. 제조, Lipomulse Luxe는 세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레이트-20의 혼합물이다); 폴리부텐(INDOPOL H 100(상표명), INDOPOL H 1500(상표명), INEOS Oligomers 제조).
[항바이러스 특성 평가]
상기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특성을 평가하였다.
테스트 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실시예 1-3의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효과의 평가
(a) 테스트 바이러스
H1N1 사슬을 가진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Osaka)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New Caledonia)를 사용하였다.
MDCK 세포를 바이러스로 감염시키고 34℃에서 3일 동안 2.5㎍/mL 정제된 트립신이 공급된 둘베코 변형 필수 배지(DMEM, NISSUI PHARMACEUTICAL CO., LTD.)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배지를 10분 동안 15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세포를 회수하였고 -80℃에서 저장하였다. MDCK 세포를 사용하여 간접적인 면역형광기로 바이러스의 적정농도를 측정하였고 세포-감염 유닛 (CIU)/mL로 나타내었다.
(b) 테스트 샘플
실시예 1의 조성물(S1), 실시예 3의 조성물(S3), 및 대조군(C1)
(대조군: α2,6-시알릴락토스아민 폴리머(6'-SLN) 20 mg/mL)
(c) 테스트 방법
(1) MDCK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펼쳐놓고, 웰의 바닥에 하나의 세포 층을 형성하도록 밤새 배양하였다.
(2) 상기에서 언급된 테스트 샘플(S1, S3, C1)을 1mg/mL의 농도에서 포스페이트-버퍼 살린 (PBS) 용액에 녹였다.
(3)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Osaka)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New Caledonia)의 두 종류의 바이러스 용액을 4.O×105 CIU/mL로 준비하였고, 이들 각각 50μL씩을 테스트 샘플과 함께 혼합하였고, 0.5 시간 동안 25℃에서 반응시켰다.
(4) 세포 배양 배지를 흡착하여 각각의 웰에서 제거하였고, 상기 테스트 샘플 및 상기 바이러스의 각각의 반응 혼합물을 50μL로 두 개의 웰의 세포 층위에 첨가하였고,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0.5시간 동안 웰의 세포 층위에 흡착되도록 하였다.
(5) DMEM 배양 배지(150μL)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7℃에서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2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6) 상기 배양배지를 흡착하여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상기 세포를 1%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BS 용액에서 1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7) 상기 세포를 15분 동안 1% 트리톤 X-100으로 추가적으로 처리하였고 PBS용액으로 세척하였다.
(8) 상기 감염된 세포를 면역형광 항체 반응으로 염색하였고, 형광 현미경으로 양성 세포를 계산하였다. 바이러스로 감염된 각각의 세포를 염색하는데 사용된 항체는 상기 바이러스 적정농도의 측정을 위해서 사용하였던 것과 동일한 것이었다.
(d) 테스트 결과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관찰되는 희석률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실시예 1 (조성물 S1), 실시예 3(조성물 S3) 및 대조군(C1)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C1)은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거의 100%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희석률
바이러스 종류 조성물 S1 조성물 S3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Osaka)
1/128 1/25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New Caledonia)
1/256 1/512
(표 13의 수치는 희석률 1/n이고 여기서 n이 클수록 더 높은 바이러스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e) 테스트 Ⅰ 요약
표 13은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의 조성물 S1 및 실시예 3의 조성물 S3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Osaka)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New Caledonia)에 대한 항바이러스 성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테스트 Ⅱ. 인조 피부에서의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박멸 효과의 평가
실시예 1-3(조성물 S1, S2, S3)의 인조 피부에서의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박멸 효과를 평가하였다.
(a) 테스트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바이러스를 MRC-5 세포에서 생장시켰고 적정하였다. 스톡 바이러스들을 -80℃에서 1mL 분취량으로 저장하였다. 사용 당일에, 일정 분량을 꺼내서 녹이고, 실험에 사용될 때까지 얼음에 보관하였다.
(b) 세포 배양
인간 리노바이러스로 감염에 대한 세포변병 효과(Cytopathic effect CPE)를 나타내는 MRC-5 세포주를 감염성 시험(infectivity assay)에 있어서 지시 세포주로 사용하였다. 일회성 조직 배양 플라스크 및 96-웰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에 필요한 세포를 단일층으로 유지하고 사용하였다. 테스팅하는 날에 상기 세포가 적당한 세포 모습으로 관찰되었고 바이러스 적정에 적합하였다. 상기 세포를 37℃에서 성장시켰다.
(c) 세포 배양 배지
세포는 페니실린 150IU/mL, 스트렙토마이신 150㎍/mL, 네오마이신 50㎍/mL, 시프로프록신 10㎍/mL 및 훈기존 1.5㎍/mL를 포함하는 이글 최소 필수 배지(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성장시켰다.
(d) 테스트 방법
(d1) 테스트 기질의 준비
테스트 조성물 S1, S2 및 S3 는 외관 검사에서 겔-유사 농도를 가졌고 희석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d2) 피부 기질의 준비
VITRO-SKINTM을 사용하기 전에 16-18시간 동안 87% 상대 습도의 습윤한 조건에서 무균화된 곳에 둠으로써 수화하였다. 사용할 때, VITRO-SKINTM 시트로부터 무균화하여 잘라서 대략 1cm2의 다양한 조각들을 얻고 피부 6조각을 웰당 하나의 조각을 사용하여 무균의 6-웰 플레이트에 배치하였다.
(d3) 절차
재-수화된 피부 조각을 웰당 하나의 조각을 사용하여 6-웰 플레이트에 옮겼다. 처음 5조각(번호 1에서 5) 각각에, 상기 조성물 20μL를 거친 표면에 적용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손끝으로 피부 조각에 평평하게 도포하였다. 6번째 피부 조각(No. 6)을 양성 대조군(바이러스만 있고; 조성물은 없음)으로 사용하였다. 리노 바이러스 20μL를 6조각 각각에 적용하였다. 적용된 바이러스를 세균 루프(bacteriological loop)의 도움으로 퍼뜨렸다. 다양한 시간 간격 후에(표 14), 상기 바이러스를 pH 7.2 (각 조각당 0.9mL의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3% 비프 추출물-0.05M 글리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피부조각으로부터 용출하였다. 상기 용출액의 단계 10배 희석액들을 즉시 제조하였고 희석당 4개의 웰을 사용하여 96-마이크로 웰 적정 판(웰당 0.1mL)에 정립된 세포 단일막에 주입하였다. 비감염된 세포 대조군을 테스트 배지에 단독으로 주입하였다. 상기 주입된 세포를 5% CO2를 포함하는 습윤 환경 32℃에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는 CPE의 검출을 위해서 광학 현미경으로 매일 측정하였다. 배양 6일 후에, 마지막 CPE 값을 얻었고 바이러스 농도는 카버(Karber)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4에 나타냈다.
(d4) 바이러스 대조군
조각 번호 6은 바이러스만 적용하고 조성물은 적용하지 않은 바이러스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이것을 바이러스의 투입 농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였다.
(e) 결과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테스트 조성물 S1 , S2 S3 의 효과
시간 (분)
지시된 시간에서의 퍼센트(%) 바이러스박멸 효능 *
S1 S2 S3
15 79.45 98.22 99.00
30 97.50 99.00 99.68
60 99.00 99.68 99.68
120 99.00 99.68 99.68
*상기 결과는 3개의 실시예들의 평균이다.
1. 접촉(노출) 시간 15분 후에, 상기 조성물 S2 및 S3은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해서 98% 이상의 바이러스박멸 효능을 나타내었다.
2. 접촉(노출) 시간 30분 후에, 상기 조성물 S2 및 S3은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해서 99% 이상의 바이러스박멸 효능을 나타내었다.
테스트 Ⅲ. 인조 피부에 있어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SIV) 및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IV)의 바이러스박멸의 효능의 평가
실시예 2(조성물 S2) 및 실시예 3(조성물 S3)은 인조 피부에 있어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SIV) 및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IV)의 바이러스박멸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a) 테스트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SIV)의 서브 타입 H1N1 및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IV)의 서브 타입 H7N2를 사용하였다. 상기 바이러스를 MDCK 세포에서 생장시켰고 적정하였다. 스톡 바이러스들을 -80℃에서 1mL 분취액으로 저장하였다. 사용 당일에 일정분량을 꺼내서 녹이고, 실험에 사용될 때까지 얼음에 보관하였다.
(b) 세포 배양
SIV 및 AIV로 감염에 대한 세포변병의 효과(Cytopathic effect CPE)를 나타내는 MDCK(Madin-Darby canise kidney) 세포주를 감염성 시험(infectivity assay)에 있어서 지시 세포주로 사용하였다. 일회성 세포 배양 플라스크 및 96-웰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에 필요한 세포를 단일층으로 유지하고 사용하였다. 테스팅하는 날에 상기 세포가 적당한 세포 모습으로 관찰되었고 바이러스 적정에 적합하였다.
(c) 세포 배양 배지
세포는 페니실린 15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50㎍/mL, 네오마이신 50㎍/mL, 시프로프록신 10㎍/mL 및 훈기존(fungizone) 1.5㎍/mL를 포함하는 이글 최소 필수 배지(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성장시켰다.
(d) 테스트 방법
(d1) 테스트 기질의 준비
테스트 조성물 S2 및 S3 는 외관 검사에서 겔-유사 농도를 가졌고 희석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d2) 피부 기질의 준비
VITRO-SKINTM을 사용하기 전에 16-18시간 동안 87% 상대 습도의 습윤한 조건에서 무균화된 곳에 둠으로써 수화하였다. 사용할 때, VITRO-SKINTM 시트로부터 무균화하여 잘라서 대략 1cm2의 다양한 조각들을 얻고 피부 6조각을 웰당 하나의 조각을 사용하여 무균의 6-웰 플레이트에 배치하였다.
(d3) 절차
재-수화된 피부 조각을 웰당 하나의 조각을 사용하여 6-웰 플레이트에 옮겼다. 처음 5조각(번호 1에서 5) 각각에, 상기 조성물 20μL를 거친 표면에 적용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손끝으로 피부 조각에 평평하게 도포하였다. 6번째 피부 조각(No. 6)을 양성 대조군(바이러스만 있고; 조성물은 없음)으로 사용하였다. SIV 또는 AIV 20μL를 6조각 각각에 적용하였다. 적용된 바이러스를 세균 루프(bacteriological loop)의 도움으로 퍼뜨렸다. 다양한 시간 간격 후에(표 15), 상기 바이러스를 pH 7.2(각 조각당 0.9mL의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3% 비프 추출물-0.05M 글리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피부조각으로부터 용출하였다. 상기 용출액의 단계 10배 희석액들을 즉시 제조하였고 희석당 4개의 웰을 사용하여 96-마이크로 웰 적정 판(웰당 0.1mL)에 정립된 세포 단일막에 주입하였다. 비감염된 세포 대조군을 테스트 배지에 단독으로 주입하였다. 상기 주입된 세포를 5% CO2를 포함하는 습윤 환경 35℃-37℃에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는 CPE의 검출을 위해서 광학 현미경으로 매일 측정하였다. 배양 96시간 후에, 마지막 CPE 값을 얻었고 바이러스 농도는 카버(Karber)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5에 나타냈다.
(d4) 바이러스 대조군
조각 번호 6은 바이러스만 적용하고 조성물은 적용하지 않은 바이러스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이것을 바이러스의 투입 농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였다.
(e) 결과
AIV SIV 에 대한 테스트 조성물 S2 S3 의 효과
바이러스
시간(분)
지시된 시간에서의 퍼센트(%) 바이러스박멸 효능 *
S2 S3

조류 인플루엔자
AIV (H7N2)
15 99.02 98.16
30 99.93 99.92
60 99.93 99.92
120 99.93 99.92

돼지 인플루엔자
SIV (H1N1)
15 99.68 99.75
30 99.68 99.75
60 99.68 99.75
120 99.68 99.75
*상기 결과는 3개의 실시예들의 평균이다.
(f) 테스트 Ⅲ 결론
1. 접촉(노출) 시간 15분 후에, 본원발명 실시예 조성물 S2 및 S3은 H1N1 돼지 인플루엔자(SIV) 및 H7N2 조류 인플루엔자(AIV) 바이러스에 대해서 98% 이상의 바이러스박멸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2. 접촉(노출) 시간 30분 후에, 상기 조성물 S2 및 S3은 H1N1 돼지 인플루엔자(SIV) 및 H7N2 조류 인플루엔자(AIV) 바이러스에 대해서 99% 이상의 바이러스박멸 효능을 나타내었다.
테스트 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128에서 512배 희석되었을 때에도 항바이러스 특성 나타내고, 명백하게 매우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특성을 갖는다. 또한, 테스트 Ⅱ 및 테스트 Ⅲ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적용된 표면에 접착된 바이러스는 단시간 안에 비활성화 및 무해하게 될 수 있다.
살균제와 고분자성 4급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서, 본 발명은 살균제만에 의해서는 얻기 어려운 박테리아박멸 효과를 달성하였다. 박테리아 사멸 기능 뿐만아니라 상당히 효과적인 박테리아 박멸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고분자성 쿼터너리 화합물 및 살균제의 공존에 의한 놀라운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특히 비강 근처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항박테리아성 또는 항바이러스성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물 제품 등에 적용함으로써 항박테리아성 또는 항바이러스성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코팅된 직물 물질을 마스크, 위생 용품, 기저귀, 옷, 타월, 스타킹, 장갑, 다양한 필터, 공중 감염 격리 텐트 등에 사용함으로써 항박테리아성 또는 항바이러스성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직접적으로 무균방, 무균상자의 벽 및 마루에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가정내의 사용을 위해서 조성물을 벽, 마루, 천장, 문 손잡이, 가구, 기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4)

  1. 하기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비강 흡입을 통해 개인의 감염으로부터 유해 미립자 물질을 정전기적으로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제형을 얇은 막으로 개인의 비관 피부 또는 조직에 적용시키는 방법:
    a) 상기 얇은 막에 상기 미립자 물질을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기는 단계;
    b) 상기 얇은 막이 상기 피부 또는 조직에 붙어 있도록 상기 얇은 막의 점착력을 조정하고 상기 얇은 막에 충분한 불투과성을 주기 위하여 상기 제형의 응집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물질을 붙잡는 단계; 및
    c) 상기 미립자 물질을 무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물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2. 기질 또는 피부에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 미립자 물질의 흡입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질은
    a) 상기 미립자 물질의 방출원에 대해 0 내지 150mm 범위의 근접 부위; 또는
    b)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공에 적용되며;
    c) 상기 피부는 적어도 하나의 비공 부위 또는 내부이고;
    d) 상기 조성물은, 적용된 경우, 상기 기질 또는 상기 피부의 내부 및 주위에 전하를 가지는 정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정전기장은 상기 기질에 근접하여 또는 상기 기질을 통하여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피부에 근접한 공기로부터 상기 기질에 반대 전하를 가지는 미립자 물질을 끌어당기며;
    e)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피부 또는 상기 기질과 접촉하게 되는 미생물을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미생물보다 덜 해롭게 하기에 충분히 긴 기간 동안 상기 미립자 물질을 붙잡는 방법.
  3. 하기 a) 및 b)를 포함하는 비강 흡입을 통해 개인의 감염으로부터 유해 미립자 물질을 정전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은 얇은 막으로 개인의 비관 피부 또는 조직에 가해지는 제형:
    a) 상기 얇은 막이 상기 피부 또는 조직에 붙어 있도록 상기 얇은 막의 점착력을 조정하고 상기 얇은 막에 충분한 불투과성을 주기 위하여 상기 제형의 응집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물질을 붙잡아 주기 위한 수단; 및
    b) 상기 미립자 물질을 무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물질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
  4. 비강 흡입을 통해 개인의 감염으로부터 유해 미립자 물질을 정전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은 얇은 막으로 개인의 비관 피부 또는 조직에 가해지고, 상기 제형은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화제 및 적어도 하나의 살균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형은 일단 적용되면:
    a) 상기 미립자 물질을 상기 얇은 막에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기고;
    b) 상기 얇은 막이 상기 피부 또는 조직에 붙어 있도록 상기 얇은 막의 점착력을 조정하고 상기 얇은 막에 충분한 불투과성을 주기 위하여 상기 제형의 응집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물질을 붙잡아 주며;
    c) 상기 미립자 물질을 비활성화시켜 상기 미립자 물질을 무해하게 하는 제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화제는 폴리 4급 암모늄 화합물인 제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 4급 암모늄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 폴리쿼터늄-10,
    ? 폴리쿼터늄-22,
    ? 폴리쿼터늄-67,
    ? 폴리쿼터늄-70,
    ? 폴리쿼터늄-72, 및
    ? 폴리쿼터늄-88.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화제는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인 제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화제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인 제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살균제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라이신 HCl인 제형.
  10. 비강 흡입을 통해 개인의 감염으로부터 유해 미립자 물질을 정전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은 얇은 막으로 개인의 비관 피부 또는 조직에 가해지고, 하기를 포함하는 제형:
    a) 적어도 하나의 살균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4급 증점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살균제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라이신 HCl인 제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4급 증점제는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 폴리쿼터늄-10,
    ? 폴리쿼터늄-22,
    ? 폴리쿼터늄-67,
    ? 폴리쿼터늄-70,
    ? 폴리쿼터늄-72, 및
    ? 폴리쿼터늄-88.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4급 증점제는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인 제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4급 증점제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인 제형.
  15. 제10항에 있어서, 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a) 물,
    b) 방부제,
    c) 컨디셔너, 및
    d) 유화제.
  16. 제15항에 있어서, 5.0 내지 6.8 범위의 pH로 조정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중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17. 제15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18. 제15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19. 제15항에 있어서, 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20. 제15항에 있어서, 습윤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21. 제15항에 있어서,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부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및
    ? 이소부틸파라벤.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 세틸 알코올,
    ? 세테아릴 알코올,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세테아레스-20,
    ? PEG-40 스테아레이트,
    ? 디세틸 포스페이트,
    ? 세테스-10 포스페이트.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인 제형.
  25. 제15항에 있어서,
    a) 물의 양은 54 내지 90 중량% 범위이고
    b) 상기 4급 증점제의 양은 0.5 내지 5.0 중량% 범위이며
    c) 살균제의 양은 0.25 내지 2 중량% 범위이고
    d) 유화제의 양은 0.5 내지 4 중량% 범위인 제형.
  26. 양이온화제, 살균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화제는 폴리4급 암모늄 화합물인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4급 암모늄 화합물은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70, 폴리쿼터늄-72, 폴리쿼터늄-88, 코코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케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밀 단백질,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29. 제26항 내지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라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0. 제26항 내지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존제, 중화제, 피부 연화제, 보습제, 결합제, 컨디셔너, 및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용성 젤의 형태인 조성물.
  32. 제26항에 있어서,
    a) 물의 양은 30 내지 90 중량%,
    b) 상기 양이온화제의 양은 0.5 내지 30 중량%, 및
    c) 상기 살균제의 양은 0.25 내지 10 중량%인 조성물.
  33. 제26항 내지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 크림, 젤, 페이스트형 제제, 파우더제, 로션, 스프레이, 도포제, 접착성 피부 부착제, 부착 제제, 에어로졸제, 파운데이션, 액체, 에멀젼 또는 서스펜션의 형태인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비공, 비공 주위의 피부 또는 코 점막에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117029332A 2009-05-16 2009-12-29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다중-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 KR20120024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67,271 US8163802B2 (en) 2008-07-07 2009-05-16 Electrostatically charged multi-acting nasal application, product, and method
US12/467,271 2009-05-16
US4475509A 2009-05-20 2009-05-20
WOPCT/US2009/044755 2009-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730A true KR20120024730A (ko) 2012-03-14

Family

ID=4613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332A KR20120024730A (ko) 2009-05-16 2009-12-29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다중-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47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882B1 (ko) 글루콘산아연 겔 조성물
KR20060118573A (ko) 항바이러스성 약제학적 조성물
CN105055642A (zh) 一种复方胍类消毒剂及其制备方法
US20080057136A1 (en) Disinfect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0134942A1 (en) Electrostatically charged multi-acting nasal application, product and method
KR101553431B1 (ko) 필터링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전기적으로 전하를 띠는 마스크 필터 생성물 및 제조방법
US20010053378A1 (en) Antiviral fumaric acid composition
AU2009269074B2 (en) Electrostatically charged multi-acting nasal application, product, and method
KR101602516B1 (ko) 정전기를 띤 다중 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
KR20120024730A (ko)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다중-작용 비강 적용물, 제품 및 방법
EP4138559A1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US20220133783A1 (en) Antiviral composition and use of the same
US20240043618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20240180154A1 (en) Liquid spray formulation
SK280904B6 (sk) Čistiaci a dezinfekčný prostriedok
EP4082528A1 (en) Liquid spray formulation
EP4216970A1 (en) Hydroxyapatite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a virus infection
WO2023146988A1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hereto
TW202237079A (zh) 用於治療或預防冠狀病毒感染和污染的陽離子表面活性劑,特別是月桂醯精胺酸乙酯lae®
WO2023006656A1 (en) Oral care comprising solidago extract
CN115768441A (zh) 使用低分子量疏水改性聚合物和聚亚烷基二醇抑制流感病毒的方法和组合物
ZA200604768B (en) Disinfect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MXPA06005233A (es) Composicion desinfectante y metodos para hacerla y usar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