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834A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3834A KR20120023834A KR1020117031379A KR20117031379A KR20120023834A KR 20120023834 A KR20120023834 A KR 20120023834A KR 1020117031379 A KR1020117031379 A KR 1020117031379A KR 20117031379 A KR20117031379 A KR 20117031379A KR 20120023834 A KR20120023834 A KR 201200238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ss point
- femto access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device
- i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65—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reducing network power consump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 하나 이상의 펨토 노드들이 배치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각각 다수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트래킹 영역들(또는 라우팅 영역들 또는 위치 영역들)이 정의되는 커버리지 맵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주파수 핸드오프 감소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주파수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식(means-plus-function)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빈번한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식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빈번한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식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핸드오프 결정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식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식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17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 내의 2개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도시한다.
도 18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19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Claims (83)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등록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등록 타이머가 실행중인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등록 임계치(threshold)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상기 등록 임계치보다 크면,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이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가 아니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은 전력 조정 인자(factor)만큼 조정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전력 조정 시간을 갖는 전력 조정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만료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었고,
상기 전력 조정 시간을 증분적으로(incrementally)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었고,
상기 전력 조정 인자를 증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상기 전력 조정 시간을 증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상기 전력 조정 인자를 증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이전의 송신 전력으로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총 순방향 링크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순방향 링크 파일럿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등록 요청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활성 핸드오프 요청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등록 타이머가 실행중인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등록 임계치(threshold)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상기 등록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이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가 아니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은 전력 조정 인자(factor)만큼 조정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전력 조정 시간을 갖는 전력 조정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만료되었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었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력 조정 시간을 증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었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력 조정 인자를 증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력 조정 시간을 증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상기 전력 조정 타이머가 실행중이었던 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력 조정 인자를 증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이전의 송신 전력으로 재조정하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총 순방향 링크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순방향 링크 파일럿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등록 요청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활성 핸드오프 요청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트리거(trigger)를 검출하는 단계;
핸드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상기 트리거는 유휴 핸드아웃 트리거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 상에 머무르는(stay)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을,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핸드아웃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이 상기 핸드아웃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유휴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관측(observation)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등록들의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상기 등록들의 수가 관측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핸드오프가 트리거링되면,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가 아닌,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상기 트리거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트리거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파일럿들과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들을 구별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트리거를 검출하고,
핸드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고, 그리고,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상기 트리거는 유휴 핸드아웃 트리거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 상에 머무르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을,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핸드아웃 임계치와 비교하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이 상기 핸드아웃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유휴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관측(observation)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등록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리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상기 등록들의 수가 관측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핸드오프가 트리거링되면,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가 아닌,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상기 트리거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트리거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파일럿들과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들을 구별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은,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은,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등록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상기 등록 타이머가 실행중인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등록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상기 등록 임계치보다 크면,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이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가 아니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등록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등록 타이머가 실행중인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를 카운트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등록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들의 수가 상기 등록 임계치보다 크면,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이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일부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무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로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트리거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핸드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 상에 머무르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을,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핸드아웃 임계치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이 상기 핸드아웃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유휴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제 64 항에 있어서,
관측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의 등록 시도들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의 등록 시도들의 수가 관측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핸드오프가 트리거링되면,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에 대한 트리거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핸드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상기 핸드아웃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 상에서 머무르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을,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핸드아웃 임계치와 비교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순방향 링크 수신 전력이 상기 핸드아웃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핸드아웃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유휴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관측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의 등록 시도들의 수를 카운트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의 등록 시도들의 수가 관측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유휴 핸드오프가 트리거링되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관측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상기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 상에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8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 제 8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에 대한 변경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유휴 모드 파일럿 탐색 트리거 임계치를 조정하라는 명령들을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188209P | 2009-05-28 | 2009-05-28 | |
US61/181,882 | 2009-05-28 | ||
US12/789,213 US8843131B2 (en) | 2009-05-28 | 2010-05-27 | Reducing frequent handoff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S12/789,213 | 2010-05-27 | ||
PCT/US2010/036730 WO2010138916A2 (en) | 2009-05-28 | 2010-05-28 | Reducing frequent handoff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2562A Division KR101452745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KR1020137022563A Division KR101452754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KR1020147005324A Division KR101548570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3834A true KR20120023834A (ko) | 2012-03-13 |
KR101452805B1 KR101452805B1 (ko) | 2014-10-22 |
Family
ID=4322079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53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8570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KR10201370225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754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KR10201170313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805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KR10201370225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745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53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8570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KR10201370225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754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25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745B1 (ko) | 2009-05-28 | 2010-05-28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8843131B2 (ko) |
EP (3) | EP2672765A1 (ko) |
KR (4) | KR101548570B1 (ko) |
CN (3) | CN103957584B (ko) |
TW (1) | TW201103348A (ko) |
WO (1) | WO2010138916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484B1 (ko) * | 2012-04-09 | 2015-01-28 | 주식회사 케이티 | 기지국, 그의 셀 재선택 제어 방법 및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960877B (zh) * | 2008-02-29 | 2015-07-08 | 株式会社Ntt都科摩 | 移动通信系统以及网络装置 |
US8843131B2 (en) | 2009-05-28 | 2014-09-23 | Qualcomm Incorporated | Reducing frequent handoff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S8331327B1 (en) * | 2009-08-04 | 2012-12-11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Dynamic wireless network registration window |
WO2011072719A1 (en) * | 2009-12-15 | 2011-06-23 | Nokia Siemens Networks Oy | Method, apparatus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changes to a network connection |
EP2630819A4 (en) * | 2010-10-22 | 2016-08-24 | Nec Corp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ANAGEMENT SER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US8467361B2 (en) * | 2010-11-04 | 2013-06-18 | At&T Mobility Ii, Llc | Intelligent wireless access point notification |
FR2973638A1 (fr) * | 2011-03-30 | 2012-10-05 | France Telecom | Procede et dispositif d'evaluation d'un parametre destine a decider un transfert intercellulaire |
US9456422B2 (en) | 2011-04-21 | 2016-09-27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ransmit power of a FEMTO node |
TWI468064B (zh) * | 2011-08-18 | 2015-01-01 | Nat Univ Tsing Hua | 在毫微微蜂窩式網路中利用毫微微蜂窩式閘道器減少換手次數之方法 |
EP2597815B1 (de) * | 2011-11-23 | 2019-07-24 | Siemens Schweiz AG | Verfahren zur identifikation von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zusammengefassten geräten |
US9072038B2 (en) * | 2011-11-23 | 2015-06-30 | Alcatel Lucent | User equipment signaling traffic reduction |
CN104137617A (zh) * | 2012-02-24 | 2014-11-05 | 高通股份有限公司 | 用于调节由空闲模式移动设备作出频繁的蜂窝小区重选的方法和系统 |
US9215638B2 (en) * | 2012-02-24 | 2015-12-15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frequent cell reselections by idle-mode mobile devices |
US9924443B2 (en) * | 2012-02-24 | 2018-03-20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femtocell access modes and operational parameters based on the presence of nearby macrocells |
US9661612B2 (en) * | 2012-06-29 | 2017-05-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channel multiplexing in beamformed cellular systems |
CN103634928B (zh) * | 2012-08-22 | 2018-11-09 |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 控制网络与终端信令连接的方法及系统 |
GB2505900B (en) * | 2012-09-13 | 2015-03-04 | Broadcom Corp |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
US9439120B2 (en) * | 2012-09-28 | 2016-09-06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 network |
EP2907270B1 (en) | 2012-10-09 | 2020-07-08 | Assia Spe, Llc | Method and system for latency measur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
AU2012392161A1 (en) | 2012-10-09 | 2015-04-30 |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vity diagnostics in communication systems |
CN103024839B (zh) * | 2012-11-21 | 2015-08-1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小区重选方法及装置、基站 |
WO2014111223A1 (en) * | 2013-01-18 | 2014-07-24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Transfer from access points outside of a radio access network |
US9319996B2 (en) * | 2013-03-15 | 2016-04-19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wer regulation in small cells |
US10813142B2 (en) * | 2013-10-11 | 2020-10-2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pparatus of paging mobile devices |
CN105027630A (zh) * | 2013-11-29 | 2015-11-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控制终端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
CN103747478B (zh) * | 2014-01-21 | 2017-07-14 | 英飞特电子(杭州)股份有限公司 | 一种无线路由器控制方法、装置及应用其的无线路由器 |
US9210627B1 (en) | 2014-05-28 | 2015-12-08 | Apple Inc. | User context aware throttling of transition attempts to connected mode |
CN105992305A (zh) * | 2015-02-10 | 2016-10-0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网络接入管理方法和系统 |
EP3276985A1 (de) * | 2016-07-27 | 2018-01-31 | Deutsche Telekom AG |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kommunizieren über ein kommunikationsnetzwerk |
CN106535272B (zh) * | 2016-10-21 | 2020-01-17 | 上海移为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改善移动终端在wcdma网络中切换小区的功耗的方法 |
CN110024437A (zh) * | 2016-11-15 | 2019-07-16 | 瑞典爱立信有限公司 | 用于实现对无线网络的接入的方法、网络节点和无线设备 |
JP2021082851A (ja) * | 2018-03-14 | 2021-05-27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
US10771954B2 (en) * | 2018-04-30 | 2020-09-08 |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 Roam prevention for stationary client devices in areas of access point coverage overlap |
WO2021026910A1 (zh) * | 2019-08-15 | 2021-02-1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功率调整方法及装置、终端 |
US20230156579A1 (en) * | 2020-04-09 | 2023-05-18 | Nokia Technologies Oy | Detecting ue ping-ponging between different network nodes |
CN115235068B (zh) * | 2021-04-23 | 2023-06-23 |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
CN114828121B (zh) * | 2022-04-26 | 2024-03-19 | 普联技术有限公司 | 无线漫游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
CN118201065B (zh) * | 2024-05-15 | 2025-05-09 |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 一种注册网络的方法及相关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49229B1 (en) * | 1999-01-08 | 2006-12-12 | Cisco Technology, Inc. | Mobile IP accounting |
JP3690717B2 (ja) * | 1999-07-14 | 2005-08-31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セルサーチ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
JP2002186014A (ja) * | 2000-12-12 | 2002-06-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無線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
JP4572476B2 (ja) * | 2001-03-13 | 2010-11-04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データ転送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
JP3574446B2 (ja) * | 2002-09-19 | 2004-10-0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
US7292873B2 (en) * | 2003-08-07 | 2007-11-06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base station ACK/NAK message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7215956B2 (en) * | 2003-11-04 | 2007-05-08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frequency channels for handoff candidates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
CN100502592C (zh) * | 2004-01-17 | 2009-06-17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移动台系统优先选择方法 |
CN1794681A (zh) * | 2005-12-29 | 2006-06-28 | 上海贝豪通讯电子有限公司 | 基于定位信息的在3g网络和wifi网络间的切换方法 |
GB2449890B (en) | 2007-06-06 | 2012-03-28 | Ubiquisys Ltd | Cellular basestation |
US9497642B2 (en) | 2007-06-29 | 2016-11-15 | Alcatel Lucent |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home base station router |
US9173148B2 (en) | 2007-10-12 | 2015-10-27 | Qualcomm Incorporated | Identification of target node for wireless handoff |
US20090111499A1 (en) | 2007-10-24 | 2009-04-30 | Peter Bosch | Method of modifying pilot power for a home base station router based on user demand |
WO2009058069A1 (en) | 2007-11-02 | 2009-05-07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Speed-dependent adaptation of mobility parameters with dual speed measurement |
US8280387B2 (en) * | 2008-05-22 | 2012-10-02 | Ntt Docomo, Inc. |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
US8843131B2 (en) | 2009-05-28 | 2014-09-23 | Qualcomm Incorporated | Reducing frequent handoff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2010
- 2010-05-27 US US12/789,213 patent/US8843131B2/en active Active
- 2010-05-28 CN CN201410154878.0A patent/CN10395758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28 TW TW099117273A patent/TW201103348A/zh unknown
- 2010-05-28 KR KR1020147005324A patent/KR10154857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28 KR KR1020137022563A patent/KR10145275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28 KR KR1020117031379A patent/KR10145280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28 EP EP13179294.7A patent/EP267276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5-28 EP EP13184914.3A patent/EP267782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5-28 CN CN201410490548.9A patent/CN10433389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28 KR KR1020137022562A patent/KR10145274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28 WO PCT/US2010/036730 patent/WO2010138916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5-28 EP EP10723878.4A patent/EP243621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05-28 CN CN201080022972.0A patent/CN10245006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8-07 US US14/454,588 patent/US20180103446A9/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484B1 (ko) * | 2012-04-09 | 2015-01-28 | 주식회사 케이티 | 기지국, 그의 셀 재선택 제어 방법 및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72765A1 (en) | 2013-12-11 |
WO2010138916A3 (en) | 2011-03-17 |
EP2436214A2 (en) | 2012-04-04 |
US20160044624A1 (en) | 2016-02-11 |
TW201103348A (en) | 2011-01-16 |
CN104333895B (zh) | 2018-05-08 |
CN102450064A (zh) | 2012-05-09 |
KR20130105748A (ko) | 2013-09-25 |
US20100304745A1 (en) | 2010-12-02 |
CN104333895A (zh) | 2015-02-04 |
KR101548570B1 (ko) | 2015-09-01 |
KR101452754B1 (ko) | 2014-10-22 |
CN103957584B (zh) | 2017-11-28 |
KR20130105747A (ko) | 2013-09-25 |
CN102450064B (zh) | 2014-09-17 |
KR20140033252A (ko) | 2014-03-17 |
EP2436214B1 (en) | 2013-08-14 |
CN103957584A (zh) | 2014-07-30 |
KR101452745B1 (ko) | 2014-10-22 |
WO2010138916A2 (en) | 2010-12-02 |
KR101452805B1 (ko) | 2014-10-22 |
EP2677821A1 (en) | 2013-12-25 |
US8843131B2 (en) | 2014-09-23 |
US20180103446A9 (en) | 2018-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754B1 (ko)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빈번한 핸드오프들의 감소 | |
US8838116B2 (en) | Minimizing interference to non-associated users | |
US921563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frequent cell reselections by idle-mode mobile devices | |
US8958795B2 (en) | Proximity based access control | |
JP5955923B2 (ja) | アクセスポイントによるセル再選択パラメータの決定 | |
EP2491744B1 (en) | Determination of handover parameters by the aceess point | |
US2014027406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ping-pong handovers and cell reselections | |
US9220075B2 (en) | Signal transmission pattern | |
US20110237261A1 (en) | Transmitting substitute reselection parameters | |
US20150257055A1 (en) | Timer adaptation based on change of handover parameter | |
EP281800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frequent cell reselections by idle-mode mobile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6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40227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