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694A -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및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및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694A
KR20120023694A KR1020117027962A KR20117027962A KR20120023694A KR 20120023694 A KR20120023694 A KR 20120023694A KR 1020117027962 A KR1020117027962 A KR 1020117027962A KR 20117027962 A KR20117027962 A KR 20117027962A KR 20120023694 A KR20120023694 A KR 2012002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ayer
product
packag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898B1 (ko
Inventor
삐에르 후올 드 꼴리니
Original Assignee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filed Critical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ublication of KR2012002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B29D11/0094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where the lens material is mounted in a support for mounting onto a cutting device, e.g. a lathe, and where the support is of machinable material,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30) 및 본 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제품은 적어도 2개의 분리가능한 적층된 층들, 즉 안경 프레임의 렌즈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가요성을 갖고 투명한 광학층(31)과, 상기 광학층을 패키징하고 종래의 안경 렌즈 성형 기기를 사용하여 본 제품을 기계가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광학층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하나의 제 1 패키징 층(3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및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PRODUCT COMPRISING A FLEXIBLE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FLEXIBLE OPHTHALMIC LENS ON A SPECTACLE LE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 렌즈에 고정하기 위한 가요성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안과용 렌즈와, 이러한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패키징하는 패키징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US 7 036 929, US 3 628 854 및 FR 2 924 819호는 한 쌍의 안경의 렌즈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얇은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개시한다. 이 가요성 렌즈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시력(visual acuity)이 감소되는 것으로 인해 안경 렌즈에 부수적인 광학적 보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별로 비용을 들이지 않고 한 쌍의 안경의 광학적 특성이 변경될 수 있게 한다. 가요성 렌즈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안경으로 미리 기계가공되고 조립된 후에 안경 렌즈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렌즈의 아웃라인을 원하는 형상, 즉 안경 렌즈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이 가요성 렌즈를 절단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런데, 이 렌즈가 너무 휘어지기 쉬워서 가요성 렌즈를 기계가공하는 안경 렌즈 그라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는다데 어려움이 있다. 가요성 렌즈가 그라인더에서 블록킹(blocked)된다면, 그라인드휠이 이를 기계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요성 렌즈를 접히게 한다.
가요성 렌즈를 안경 렌즈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해법은 한 쌍의 가위나 커터를 사용하여 가요성 렌즈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정밀도는 대략적인 것이며 안경상(optician)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임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이 해법은 또한 원통형 및/또는 프리즘 광학 배율을 갖는 가요성 렌즈에 대해서는 실행될 수 없다. 이들 렌즈는 이들이 디자인되는 광학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 안경 렌즈에 대해 각도 면에서 매우 정밀하게 배향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매우 낮은 정밀도를 수용하고 그에 따라 불량한 광학적 편의를 야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수동으로 달성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 렌즈에 장착하기 위한 가요성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으로서, 적어도 3개의 분리가능한 적층된 층, 즉
? 하나의 광학면이 안경 렌즈에 적용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광학면을 구비하고 제 1 고유 두께와 제 1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가요성 렌즈"에 대응하는) 투명하고 가요성을 갖는 광학층과;
? 제 1 층이 상기 광학층의 2개의 광학면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제 2 고유 두께와 제 2 영률을 갖는 상기 광학층을 패키징하는 제 1 패키징 층과;
? 제 2 층이 상기 광학층의 다른 광학면에 고정되고 제 3 고유 두께와 제 3 영률을 갖는 상기 광학층을 패키징하는 제 2 패키징 층
을 포함하며,
각 층은 고유 두께와 영률을 곱한 적(product)의 선형 함수로 한정된 강성(stiffness)을 갖고, 상기 제 1 패키징 층은 상기 광학층의 강성보다 크고 종래의 안경 렌즈 성형 기기에 의하여 본 제품이 기계가공되게 하기에 적합한 강성을 갖고, 상기 광학층은 이후에 안경 렌즈에 장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각 패키징 층으로부터 수동으로 분리가능한,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제품은 종래의 안경 렌즈 성형 기기에 블록킹(blocked)될 수 있으며 이는 이 성형 기기의 하드웨어든지 또는 소프트웨어든지 무엇이든지 임의의 방식으로 변경할 필요 없이 종래의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기계가공될 수 있다. 성형 기기의 정밀도는 구체적으로 본 제품을 절단하여 가요성 렌즈가 원하는 형상을 가지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요성 렌즈는 이후 안경 렌즈에 적용되기 전에 패키징 층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패키징 층이 기계가공 후에 버려지게 디자인되므로 패키징 층들 중 하나의 패키징 층의 면들 중 하나의 면에 센터링 마크(centering mark)를 에칭하거나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계가공을 위한 안경 렌즈에서 볼 수 있는 것에 대응하는 이러한 센터링 마크는 가요성 렌즈에 에칭하거나 프린트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센터링 마크는 상기 가요성 렌즈의 센터를 위치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센터링 마크는 제 1 패키징 층에 용이하게 마킹된다. 따라서 이들은 본 제품이 어떻게 성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가요성 렌즈의 광학 기준 프레임이 식별될 수 있게 하며, 일단 가요성 렌즈가 안경 렌즈에 고정되면 가요성 렌즈는 착용자의 눈의 동공에 대하여 적절히 센터링되고 이 렌즈가 디자인되는 광학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
유리하거나 비제한적인 본 발명의 제품의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상기 제 2 패키징 층은 상기 광학층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다;
? 상기 제 1 패키징 층은 상기 광학층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마크를 갖는다;
? 상기 제 1 패키징 층은 상기 광학층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배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배향 마크를 갖는다;
? 상기 패키징 층은 투명하다;
? 상기 광학층은 가변 두께를 갖는다;
? 상기 광학층의 2개의 광학 면들 중 하나의 면은 구형이나 토로이드형 캡의 형상을 갖는다;
? 상기 제 1 패키징 층은 상기 광학층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광학층은 상기 패키징 층으로 완전히 덮힌 에지 면을 갖는다;
? 각 패키징 층은 광학층과 패키징 층의 에지 면들이 서로 이어지게 상기 광학층의 크기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 각 패키징 층은 상기 광학층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평면 지지면과 원형 원통형 에지 면을 갖는다;
? 상기 제 1 패키징 층은 800메가파스칼(MPa)보다 큰 영률(또는 길이방향 탄성율)과 모든 지점에서 1밀리미터(mm)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 적층된 층들을 서로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층들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형성된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 상기 보호 필름은 상업적 마킹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경 렌즈를 성형하는 성형 도구와 안경 렌즈 지지부를 구비하는 안경 렌즈 성형 기기를 사용하여 타깃 안경 렌즈에 본 제품의 광학층을 장착하는 장착 방법으로서,
? 상기 지지부에 본 제품을 블록킹(blocking)하는 단계와;
? 상기 제품을 성형 도구에 의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품을 추출하는 단계와;
? 본 제품을 분리하는 단계와;
? 타깃 안경 렌즈에 상기 광학층을 적용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광학층을 장착하는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장착 방법은 센터링 마크의 위치를 획득하는 선행 단계와; 상기 센터링 마크의 획득된 위치로부터 추론되는 위치에 본 제품에 센터링 펙(peg)을 블록킹(blocking)하는 선행 단계를 포함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써 제공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무엇으로 구성되었는지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의 사시도.
도 2는 보호 필름을 구비한 광학적 사용을 위한 도 1의 제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 A-A의 단면도.
도 4는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 디바이스의 광학적 다이아그램.
도 6은 성형 기기의 개략적인 다이아그램.
도 7은 한 쌍의 안경의 개략 사시도.
도 1은 제조사로부터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30)을 수신할 때 안경상(optician)에게 처음 보일 때의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30)을 도시한다.
본 제품(30)은 가요성 렌즈라고 하는 광학층(31)과 이 가요성 렌즈(31)를 패키징하는데 적응된 2개의 패키징 층(35)을 구비하는 3개의 분리가능한 적층된 층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2개의 패키징 층(35,36)은 저장 또는 운송 동안 부적절한 취급이 있는 경우에 가요성 렌즈(31)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가요성 렌즈(3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들 적층된 층(31,35,36)은 가요성 렌즈(31)를 찢을 위험을 일으키는 분리 없이 서로 수동으로 분리될 수 있게 분리가능하다. 여러 층(31,35,36)이 서로 분리된 후에, 가요성 렌즈(31)는 안경 렌즈(12)의 광학적 특성을 변경하기 위하여 한 쌍의 안경(10)(도 7)의 프레임(11) 내에 안경 렌즈(12)에 주의하여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렌즈(31)는 2개의 광학 면(33,34)과, 처음에 원형인 아웃라인을 가지는 에지 면(32)을 갖는다.
보다 정확히는, 가요성 렌즈(31)는 어떤 크기이든지 그리고 해당 안경 렌즈의 챔버이든지 간에 임의의 유형의 안경 렌즈(12)에 적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80밀리미터(mm) 이상의 초기 크기를 갖는다.
안경 렌즈(12)에 적용될 수 있기 위하여, 가요성 렌즈(31)는 유리하게는 투명하고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Shore A 스케일로 70 내지 95 범위에 있는 경도를 갖는다. 예로써, 가요성 렌즈(31)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질의 굴절률은 가요성 렌즈(31)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다. 그러나, 가요성 렌즈(31)의 2개의 광학 면(33,34)은 평면이지 않다. 이에 반하여, 이들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구형이나 토로이드형 캡의 형상을 갖는다. 이들은 또한 본 예에서 53mm 내지 135mm 범위에 있는 최대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들 2개의 광학 면(33,34)은 가요성 렌즈(31)의 두께가 그 중심과 그 주변 사이에서 변하게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두께의 변화로 인해 가요성 렌즈(31)는 안경 렌즈(12)의 굴절 특성이 수정되거나 보충될 수 있게 하는 굴절 특성을 갖는다.
이들 굴절 특성은 일반적으로 구형, 원통형, 그리고 프리즘형의 광학 배율 값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가요성 렌즈(31)는 비제로(non-zero)인 구형 광학 배율과, 제로(zero)인 원통형 및 프리즘형 광학 배율을 갖는다.
일 변형에서, 가요성 렌즈(31)의 형상과 굴절 특성이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로써, 가요성 렌즈(31)는 프레즈넬 렌즈나 회절 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예로써, 하나의 이러한 가요성 렌즈는 문헌 FR 2 924 819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가요성 렌즈(31)는 이 가요성 렌즈가 적용되는 안경 렌즈의 착용자의 시력 결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는데 적합한 광학 굴절 배율을 갖는 광학 요소이다.
또한 일 변형에서, 가요성 렌즈(31)는 예를 들어 안경 렌즈(12)(UV 방지 기능)에 특정 틴트를 부여하는 기능이나 표면 처리 방식으로 안경 렌즈(12)의 기계적 특성을 변경하는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요성 렌즈(31)의 볼록한 광학면(33)은 대응하는 안경 렌즈(12)의 오목한 광학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면은 평활하며 오목한 면(34)에는 제공되지 않는 접착제 코팅으로 커버된다. 일 변형에서, 이에 반해, 가요성 렌즈(31)의 오목한 광학면(34)이 안경 렌즈(12)에 적용하기 위한 면이 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접착제 코팅으로 커버되는 면은 오목한 광학면(34)만이다. 또한 일 변형에서, 가요성 렌즈(31)에 접착제 코팅을 적용하지 않고 안경 렌즈(12)에 직접 접착제 코팅을 적용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가요성 렌즈(31)의 2개의 광학면(33,34) 중 어느 것도 접착제 코팅으로 커버되지 않는다.
패키징 층(35,36)은 가요성 렌즈(31)를 보호하는 층을 형성한다. 이들 패키징 층(35,36)은 따라서 광학적으로 비활성이며 이들은 본 제품(30)이 분리된 후에 버려지게 의도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패키징 층(35,36) 각각은 공통 축(A3)에 대해 원형 원통형 에지면(39), 가요성 렌즈(31)와는 반대쪽을 향하는 평면 지지면(37), 및 가요성 렌즈(31)의 대응하는 광학면(33,34)으로 눌려지는 고정면(38)을 갖는다. 이를 위해, 고정면(38)은 가요성 렌즈(31)의 대응하는 광학면(33,34)의 곡률 반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구형 캡의 형상을 갖는다.
패키징 층(35,36)은 각 패키징 층(35,36)이 가요성 렌즈(31)의 대응하는 광학면(33,34)의 적어도 2/3을 커버하는 외부 직경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징 층(35,36)은 가요성 렌즈(31)의 외부 직경과 같은 외부 직경을 가지고, 패키징 층과 가요성 렌즈(31)의 에지 면(32,39)들이 서로 이어지게 한다.
일 변형에서, 가요성 렌즈(31)의 에지 면(32)이 더 잘 보호되게 하기 위해 패키징 층(35,36)의 에지 면(39)에서 들어가 있게 패키징 층(35,36)이 가요성 렌즈(31)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외부 직경을 갖게 만들어질 수 있다.
미도시된 다른 변형에서, 고정면의 주변을 따라 모두 이어지고 그리하여 이 가요성 렌즈(31)의 에지 면(32)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이 가요성 렌즈(31)의 에지 면(32)을 완전히 커버하는 리지를 고정면(38)에 제공하도록, 2개의 패키징 층(35,36)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를 만들 수 있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의 적어도 하나는 어떤 방식으로도 변경되지 않는 종래의 안경 렌즈 성형 기기를 사용하여 휘어짐이 없이 본 제품(30)이 기계가공되게 하는데 적합한 가요성 렌즈(31)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다.
층(가요성 렌즈나 패키징 층)의 강성(stiffness)(또는 rigidity)(R)은 본 명세서에서 그 축 부분의 관성 모멘트(영역의 제 2 모멘트)를 영률(E)로 곱한 적(product)의 증가하는 선형 함수로 정의된다.
여기서, 간략화를 위하여, 각 층의 강성(R)은 (상수 인수를 무시하면) 상기 층의 고유 두께를 해당 층의 영률(E)로 곱한 적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강성(R)을 측정하기 위해 선택된 고유 두께는 해당 층의 최소 두께이다. 일 변형에서, 일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고려하는 층의 평균 두께 또는 최대 두께를 고려함으로써 강성을 계산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층의 강성(R)을 측정하기 위한 수학적 식은 다음과 같다:
R = k?E?e
여기서,
? k 는 각 층에 대해 동일한 엄격히 양의 상수이다;
? E 는 고려하는 층의 물질의 영률이다;
? e 는 상기 층의 최소 두께이다.
해당 층이 단일 물질로 만들어지지 않고 이에 반해 각각이 자기의 고유 영률을 갖는 복수의 서브 층으로 만들어질 때에는, 층에 대한 영률(E)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이 층의 평균 두께(e)로 그 평균 두께(ei)를 나눈 비로 각각 가중된 서브층의 영률(Ei)의 합과 같은 것으로 고려된다.
E = Sum (Ei ?ei/e)
여기서, 2개의 패키징 층(35,36) 각각은 가요성 렌즈(31)의 강성보다 큰 강성을 갖는다. 일 변형에서, 2개의 패키징 층(35,36) 중 단 하나만이 가요성 렌즈(31)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을 갖고 다른 패키징 층은 스크래치될 위험이 없게 가요성 렌즈를 보호하게 디자인된 필름으로만 형성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 렌즈(31)는 1000MPa보다 더 작은 영률(E1)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 가요성 렌즈(31)는 또한 모든 지점에서 0.2밀리미터(mm) 이상이고 3밀리미터(mm) 이하인 두께(e1)를 갖는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은 800MPa보다 더 큰 영률(E2,E3)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은 또한 평균적으로 대략 2밀리미터이고 모든 지점에서 1밀리미터 이상이고 5밀리미터 이하인 각 두께(e2, e3)를 갖는다. 이들 두께와 영률은 특히 각 패키징 층(35,36)이 가요성 렌즈(31)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도록 선택된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을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물질은 미네랄 유리 또는 유기 (폴리카보네이트) 유리이다. 이런 방식으로, 본 제품(30)은 종래 방식으로 종래의 성형 기기에 프로그래밍된 블랭킹 및 피니싱 사이클(blanking and finishing cycle) 동안 이 종래의 성형 기기에서 용이하게 기계가공된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은 본 제품(30)이 운반 동안 취급되는 방식에 상관없이 가요성 렌즈(31)에 대해 정지해 있게 배열된다.
가요성 렌즈(31)의 볼록한 광학면(33)은 이를 위해 이를 커버하는 접착 코팅에 의하여 대응하는 패키징 층(36)의 고정면(38)에 접착제로 접합된다.
가요성 렌즈(31)의 오목한 광학면(34)은 이를 구성하는 물질에 내재하는 접착 특성에 의하여 다른 패키징 층(35)의 고정면(38)에 고정된다. 물의 미세 필름(fine film of water)은 또한 이들 2개의 면(34, 38)들 사이에 접촉을 개시하기 위하여 가요성 렌즈(31)의 오목한 광학 면(34)과 패키징 층(35)의 고정면(3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제품이 단 하나의 패키징 층을 가지는 본 제품의 변형 실시예에서, 가요성 렌즈의 광학면들 중 하나의 면과 이에 대응하는 패키징 층의 고정면 사이에 양면 접착제 펠릿(미도시)을 배치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렌즈의 광학 면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의 면과 이에 대응하는 패키징 층의 고정면과 사이에 처리 층을 배치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로써, 이러한 처리 층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태양광선을 필터링하는 UV 방지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2개의 패키징 층(35,36)들 중 하나는 광학층(31)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마크(40)를 갖는다. 이 패키징 층은 또한 자연스런 자세의 착용자의 눈의 정면에 그 프레임 내에 안경 렌즈(12)가 놓일 때 수평에 대해 광학층(31)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배향의 특성을 갖는 라인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배향 마크(일반적으로 "축 마크" 또는 "축"이라고 언급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경상(optician)에 의한 후속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도기(protractor)와 같은 눈금 마크(graduation mark)를 상기 광학층에 제공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센터링 마크(40)는 패키징 층(35)의 지지면(37)의 센터에 프린트된 십자가(cross)로 구성된다. 일 변형에서, 이는 내부로 에칭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 센터링 마크는 가요성 렌즈(31)의 광학 센터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센터링 마크는 물론 일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센터링 마크는 비제로(non zero)인 원통형 광학 배율을 갖는 경우 가요성 렌즈의 원통형 축의 배향을 지시하는 추가적인 라인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은 또한 본 제품(30)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와 동일한 방식으로 종래의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에서 센터링되고 블록킹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2개의 패키징 층(35,36)의 투명도는 또한 가요성 렌즈(31)의 광학 배율이 2개의 패키징 층(35,36)을 통해 종래의 프론토포코미터(frontofocometer)를 사용하여 검사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이 2개의 패키징 층(35,36)을 가요성 렌즈(31)로 눌려진 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2개의 패키징 층(35,36)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형성된 커버를 형성하는 보호 필름(50)을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커버(50)는 투명한 열 수축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 커버는 처음에는 얇은 튜브 형태이고 이 튜브 안으로 2개의 패키징 층(35,36)이 가요성 렌즈(31)에 중첩된 채 삽입되어 있다. 가열될 때, 커버는 패키징 층(35,36)으로 수축되며 이에 본 제품(30)은 충격에 저항하는 단일 부품 유닛을 형성한다.
커버(50)는 물론 일부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프론토포코미터를 사용하여 가요성 렌즈(31)의 광학 배율의 측정 방해를 회피하기 위하여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커버(50)는 센터링 마크(40)에서 오프셋되어 있는 상업적인 마킹 영역(52)을 갖는다. 가요성 렌즈(31)의 광학 배율의 값과 본 제품(30)이 송신되는 목적지 주소가 이 상업적인 마킹 영역(52)에 프린트된다. 이 커버는 따라서 본 제품(30)의 외피를 형성하며, 이는 발생되는 폐기물의 비용과 볼륨을 감소시킨다.
일 변형에서, 투명한 커버를 통해 정보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패키징 층(35,36)들 중 하나에 정보를 직접 프린트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가요성 렌즈(31)는 3개의 단계로 한 쌍의 안경(10)(도 7)의 안경 프레임(11)의 안경 렌즈(12)에 놓인다.
제 1 단계 동안, 안경 렌즈(12)의 아웃라인의 형상이 획득된다. 예로써, 이 단계는, 앞에서 본 한 쌍의 안경(10)과, 화상의 스케일과 이에 따라 안경 렌즈(12)의 실제 크기를 특정하는 표시자를 볼 수 있는 화상을 찍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화상은 이후 컴퓨터 프로세서 디바이스로 전송되며, 이 컴퓨터 프로세서 디바이스는 이로부터 화상의 평면에서 안경 렌즈(12)의 아웃라인의 형상을 추론한다.
제 2 단계 동안, 본 제품(30)은 종래의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에서 센터링되고 블록킹된다. 예로써, 하나의 이러한 디바이스는 도 4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100)는 지지 구조(104)와, 센터링 메커니즘(102)이 놓이는 작업 데스크(101)와, 지지 구조(104)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5)을 포함한다.
센터링 메커니즘(102)은 적어도 3개의 동심 클램핑 죠(114) 세트를 구비하며, 각 죠는 3개의 죠(jaw)(114)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모터(117)에 의해 제어되는 피벗 아암(115)에 의해 운반된다. 3개의 아암(115)과 3개의 죠(114)로 형성된 조립체는 광을 통과하도록 적응된 지지 판(121) 위에 배치된다.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100)는, 또한 지지 구조(104)에 연결되고 용기(107)에 놓인 블록킹 부재를 고정하고 계산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 본 제품(30) 상의 위치에 블록킹 부재를 배치하기 위해 클램프를 사용하도록 적응된 자동 위치지정 아암(106)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100)는 본 제품(30)의 센터링 마크(4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적응된다.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바이스는 이를 위해 지지판(121)의 양측에 지지판(121)에 조명하는 제 1 조명 수단(So, 126, 123)과, 또한 지지판(121)을 통과한 광을 획득하는 획득 및 분석 수단(122, 125, Ca)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조명 수단은 광 소스(So)와, 45°로 기울어져 있는 미러(126)를 구비하는 광 반사 시스템과, 지지판(121)을 향해 전파하는 평행한 광 빔을 형성하도록 적응된 콜리메이터 렌즈(123)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획득 및 분석 수단은 스크린 형성 반투명 판(122)과, 45°로 기울어져 있는 미러(125)와, 디지털 카메라(Ca)와, 이 디지털 카메라(Ca)에 의해 출력된 신호와 안경 렌즈의 획득된 화상을 처리하도록 적응된 이미지 프로세서 수단을 포함한다.
죠(114)들 사이 지지판(121)에 본 제품(30)을 위치시킴으로써 획득 및 분석 수단은 본 제품을 센터링 잡기 위해 본 제품(30)에 프린트된 센터링 마크(40)의 위치를 식별한 준비가 된다.
이 센터링 동작은 구체적으로 본 제품(30)이 성형되는 아웃라인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렌즈(31)의 광학 기준 프레임에 안경 렌즈(12)의 획득된 아웃라인을 위치시키고 배향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센터링 동작 후에는 본 제품(30)에 블록킹 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본 제품(30)을 블록킹하는 단계가 따라온다. 따라서, 블록킹 부재를 가지는 본 제품(30)이 성형 기기로 전달될 때, 성형 기기는 가요성 렌즈(31)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위치를 알게 되고 이에 따라 본 제품(30)이 성형되는 아웃라인의 위치를 알게 된다.
이 블록킹 동작은 위치지정 아암(106)을 사용하여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된다.
이 단계 동안, 위치지정 아암(106)은 센터링 마크(40)의 위치로부터 추론되는 주어진 블록킹 점에서 본 제품(30)의 패키징 층(35,36)들 중 하나의 층의 지지면(37)에 블록킹 부재를 위치시킨다.
제 3 단계는 본 제품(30)의 아웃라인을 원하는 형상, 즉 안경 렌즈(12)의 아웃라인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본 제품(30)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종래의 성형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를 위해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하나의 이러한 성형 기기는 예로써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성형 기기(200)는 본 제품(30)을 블록킹하도록 적응된 렌즈 지지 수단(2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 지지 수단(210)은 본 제품(30)을 지지하고 이를 블록킹 축(A1)에 대해 회전 구동하는 2개의 지지 샤프트(211)를 포함한다. 성형 기기(200)는 본 제품(30)의 에지면을 기계가공하도록 배열된 렌즈 기계가공 수단(20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계가공 수단(201)은 블록킹 축(A1)에 평행한 기계가공 축(A2)에 대해 회전하는 샤프트(202)에 장착된 원통형 그라인드휠(201)을 포함한다.
원통형 그라이드휠(201) 및/또는 지지 수단(210)은 방사방향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구비하여 이에 의해 본 제품(30)의 에지 면을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블록킹 축(A1)과 기계가공 축(A2) 사이의 간격을 변할 수 있게 한다.
성형 기기(200)는 먼저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는 수단과, 다음으로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및/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전자 및/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는 블록킹 축(A1)에 대해 본 제품(30)의 각 각도 위치에서 원통형 그라인드휠(201)의 에지면과 블록킹 축(A1) 사이의 방사방향 간격을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제품(30)을 기계가공하기 위하여, 본 제품(30)은 지지 수단(210)의 샤프트(211)의 단부들(212) 사이에 초기에 블록킹된다. 본 제품이 커버(50)를 포함한다면, 본 제품(30)을 블록킹하기 전에 커버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종래의 기계가공 사이클이 시작된다. 이 사이클 동안, 전자 및/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는 본 제품(30)을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그라인드휠(201)에 대해 샤프트(211)의 방사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제품(30)에 대한 기계가공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센터링 및 블록킹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는 수단을 사용한다.
이 동작이 완료되면, 본 제품(30)은 지지 수단(210)으로부터 추출된다. 이후 본 제품은 3개의 부분으로 수동으로 분리된다. 커버(50)와 2개의 패키징 층(35,36)이 버려진다. 이와 달리, 가요성 렌즈(31)는 그 아웃라인이 안경 렌즈(12)의 아웃라인과 일치하게 안경 렌즈(12)의 후면에 적용된다. 일 변형에서, 가요성 렌즈(31)는 이에 반해 안경 렌즈(12)의 전면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30)으로서,
    적어도 3개의 분리가능한 적층된 층으로서,
    ? 2개의 대향하는 광학면(33,34)을 구비하며 그 중 하나의 광학면은 안경 렌즈에 적용되며, 고유 두께(e1)와 영률(E1)을 갖는, 투명하고 가요성을 갖는 광학층(31)과;
    ? 상기 광학층(31)을 패키징하는 제 1 패키징 층(35)으로서,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은 상기 광학층(31)의 2개의 광학면(33,34)들 중 하나에 고정되며, 고유 두께(e2)와 영률(E2)을 갖는, 제 1 패키징 층(35)과;
    ? 상기 광학층(31)을 패키징하는 제 2 패키징 층(36)으로서, 상기 제 2 패키징 층(36)은 상기 광학층(31)의 나머지 광학면(33,34)에 고정되며, 고유 두께(e3)와 영률(E3)을 갖는, 제 2 패키징 층(36);을 포함하며,
    각 층(31,34,35)은 고유 두께와 영률을 곱한 적(product)의 선형 함수로서 정의된 강성을 가지며,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은 상기 광학층(31)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으로서 안경 렌즈 성형 기기(200)에 의하여 제품(30)을 기계가공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상기 광학층(31)은 후속적으로 안경 렌즈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각 패키징 층(35,36)으로부터 수동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키징 층(36)은 상기 광학층(31)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은 상기 광학층(31)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마크(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은 상기 광학층(31)의 광학 기준 프레임의 배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배향 마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패키징 층(35,36)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31)은 가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31)의 2개의 광학면(33,34) 중 하나의 광학면은 구형이나 토로이드형 캡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은 상기 광학층(31)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광학층(31)은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으로 커버된 에지 면(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패키징 층(35,36)은 광학층과 패키징 층의 에지면들이 서로 이어지게 상기 광학층(31)과 크기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패키징 층(35,36)은 상기 광학층(31)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평면 지지면(37)과 원형 원통형의 에지 면(3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징 층(35)은 800MPa보다 더 큰 영률과, 모든 지점에서 1밀리미터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층(31,35,36)을 서로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층(31,35,36)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형성된 보호 필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50)은 상업적인 마킹(52)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
  14. 안경 렌즈를 성형하는 성형 도구(201)와 안경 렌즈 지지부(210)를 구비하는 안경 렌즈 성형 기기(200)를 사용하여, 타깃 안경 렌즈 상에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30)의 광학층(31)을 장착하는 장착 방법으로서,
    ? 상기 지지부(210) 상에 상기 제품(30)을 블록킹하는 단계와;
    ? 상기 제품(30)을 성형 도구(201)에 의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 상기 제품(30)을 지지부(210)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 상기 제품(30)을 분리하는 단계와;
    ? 상기 광학층(31)을 타깃 안경 렌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층을 장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 제 1 패키징 층(35) 상에 위치된 센터링 마크(40)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 상기 센터링 마크(40)의 획득된 위치로부터 추론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품(30)에 센터링 부속물을 블록킹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선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층을 장착하는 방법.
KR1020117027962A 2009-05-11 2010-04-19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및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 KR101774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2253 2009-05-11
FR0902253A FR2945358B1 (fr) 2009-05-11 2009-05-11 Produit comportant une lentille ophtalmique souple, et procede de montage d'une telle lentille ophtalmique souple sur un verre de lunettes
PCT/FR2010/000318 WO2010130885A1 (fr) 2009-05-11 2010-04-19 Produit comportant une lentille ophtalmique souple, et procédé de montage d'une telle lentille ophtalmique souple sur un verre de lunet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694A true KR20120023694A (ko) 2012-03-13
KR101774898B1 KR101774898B1 (ko) 2017-09-05

Family

ID=4136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962A KR101774898B1 (ko) 2009-05-11 2010-04-19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및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14739B2 (ko)
EP (1) EP2430492B1 (ko)
KR (1) KR101774898B1 (ko)
CN (1) CN102422202B (ko)
BR (1) BRPI1011871B1 (ko)
FR (1) FR2945358B1 (ko)
WO (1) WO2010130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9831B1 (fr) * 2010-05-10 2013-02-15 Essilor Int Procede de prepar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equipee d'une marque memoire.
EP3143459A4 (en) 2014-05-11 2017-06-21 Addon Optics Ltd. Adhesive optical film to convert an eyeglass lens to a progressive lens
CN104330901B (zh) * 2014-11-03 2016-01-20 浙江工业大学 用于pmma聚合物材料的微结构压贴三棱镜装配方法
DE102016210636A1 (de) * 2016-06-15 2017-12-21 Osram Gmbh Optik für einen Scheinwerfer, Optikanordnung und Scheinwerfer
EP3473418B1 (en) * 2017-10-19 2023-12-06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CN110208961A (zh) * 2019-07-05 2019-09-06 丹阳市宏鑫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抗冲击超韧聚氨酯镜片
US11378821B2 (en) * 2019-09-26 2022-07-05 AddOn Optics Ltd. Progressiv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8854A (en) 1969-12-08 1971-12-21 Optical Sciences Group Inc Flexible fresnel refracting membrane adhered to ophthalmic lens
US4166088A (en) * 1977-05-25 1979-08-28 Neefe Charles W Method of making high quality plastic lenses
DE3813458C2 (de) * 1987-04-24 2001-05-23 Hoya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rillenlinsen
CN1110711C (zh) * 1998-07-24 2003-06-04 长春科利尔光学制品有限公司 降低凹面反射的色觉矫正树脂眼镜
US6986579B2 (en) 1999-07-02 2006-01-17 E-Vision,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active lens
US7102602B2 (en) 2001-09-18 2006-09-05 Alphamicron, Inc. Doubly curved optical device for eyewea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391801B2 (ja) * 2003-11-10 2009-12-24 Hoya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レンズ基材および光学レンズ基材の製造方法
US7188950B2 (en) * 2003-11-14 2007-03-13 Ophthonix, Inc. Eyeglass dispensing method
US7036929B1 (en) * 2004-04-12 2006-05-02 William Rolf Harvey Method and device for the application and removal of disposable corrective optical film to an eyeglass lens
CN100383607C (zh) * 2006-01-23 2008-04-23 厦门亚东眼镜企业有限公司 偏光光学镜片的制成方法
CN101443156B (zh) 2006-05-12 2010-12-0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粘胶片和磨边加工方法
FR2902033B1 (fr) * 2006-06-08 2009-02-27 Essilor Int Dispositif et procede de detourage d'une lentille comportant la verification de l'adequation d'un adaptateur de blocage de ladite lentille avec une caracteristique de cette lentille ou son contour souhaite
US7935212B2 (en) * 2006-07-31 2011-05-0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Process for transferring onto a surface of an optical article a layer having a variable index of refraction
JP4238898B2 (ja) * 2006-08-30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装置
FR2924819B1 (fr) 2007-12-07 2010-05-14 Essilor Int Pastille courbe de modification d'une puissance d'un composant op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0492A1 (fr) 2012-03-21
FR2945358A1 (fr) 2010-11-12
WO2010130885A8 (fr) 2011-12-22
CN102422202A (zh) 2012-04-18
BRPI1011871B1 (pt) 2020-03-17
BRPI1011871A2 (pt) 2016-03-29
US20120086908A1 (en) 2012-04-12
WO2010130885A1 (fr) 2010-11-18
KR101774898B1 (ko) 2017-09-05
CN102422202B (zh) 2013-11-13
US8714739B2 (en) 2014-05-06
EP2430492B1 (fr) 2016-11-16
FR2945358B1 (fr)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3694A (ko)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및 안경 렌즈에 가요성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
US20120314186A1 (en) Method of preparing an ophthalmic lens fitted with a memory mark
US9638938B2 (en) Polarizing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646475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n ophthalmic lens
JP6015021B2 (ja) 眼鏡レンズ加工形状取得方法及び眼鏡レンズ加工形状取得装置
JP2017516155A (ja) 多層加法的技術によるアイウェア・レンズの作成
KR20070086735A (ko) 동일한 안경에 대해 두 안경 렌즈의 잡을 장착하는 것을준비하는 방법 및 장치
GB2033101A (en) Soft bifocal contact lenses
US7625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paper framed reading glasses
US20110141435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trimming setpoint for an Ophtalmic Lens for it to be Fitted in a half-rim Spectacle frame
US20170059885A1 (en) Removably Attachable Corrective Lens
JP4963977B2 (ja) 眼鏡レンズの製造システム及びマーク検出装置
US20040156115A1 (en) Optical sheet for use in manufacturing a cylindrically shaped optically correct vi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visor
EP3164759B1 (fr) Procédure de visualisation de marquages sur une paire de lunettes
US4167067A (en) Measuring device for mounting corrective lenses in spectacles rims
US10960511B2 (en) Method of trimming optical lenses
US10357865B2 (en) Method for bevelling an ophthalmic lens
KR102210773B1 (ko) 광학 렌즈 부재를 테이핑하는 방법
EP3542958B1 (en) A method and a machine for preparing an ophthalmic lens to be edged
JP2013173206A (ja) 眼鏡レンズ用縁摺り加工装置およ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US85233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curve of a spectacle frame
WO2007128925A1 (fr) Procédé de centr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sur une monture de lunettes cambrée
WO2004102235A1 (en) Method for forming a wafer for use in an optical part and an optical part incorporating such a wafer
US20030220054A1 (en) Process for bevelling an ohthalmic lens including a plotting stage without contact
FR2494106A1 (fr) Dispositif de mesure et de centrage pour des verres d'op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