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351A -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 Google Patents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351A
KR20120023351A KR1020100086275A KR20100086275A KR20120023351A KR 20120023351 A KR20120023351 A KR 20120023351A KR 1020100086275 A KR1020100086275 A KR 1020100086275A KR 20100086275 A KR20100086275 A KR 20100086275A KR 20120023351 A KR20120023351 A KR 2012002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ch
relay
base station
priority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봉
김영준
김상하
장일두
신홍섭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3351A/ko
Publication of KR2012002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순위(priority) 기반의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 리스트를 이용한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양호한 채널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며, 채널 환경에 따른 조합 레벨 및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할당 영역부터 R-PDCCH를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전송하는 기지국,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하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 및 조합 레벨을 이용하여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METHOD FOR PRIORITY BASED ASSIGNING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RLEAY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선순위(priority) 기반의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차세대통신네트워크산업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10035300, 과제명: Multi-hop Relay 기술개발].
최근에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들의 요구 사항은 날이 갈수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세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3GPP는 IMT-Advanced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개선한 LTE-Advanced(이하, LTE-A라 함)를 준비하고 있다. LTE-A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LTE-A를 위해 논의가 진행중인 주요 기술로는 릴레이(Relay), 스펙트럼 집성, 상하향 링크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셀간 간섭 제어 등의 기술들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는 셀 내의 음영 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셀 경계 지역에 릴레이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셀 커버리지 확장(커버리지 확장용: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됨)과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처리량 향상용: 서비스의 데이터 량을 고속화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됨). 릴레이 시스템은 기지국(eNB)과 단말(UE) 간 통신 과정에서 릴레이(Relay)를 거쳐 통신을 수행한다. 릴레이는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있어 유선이 아닌 무선 백홀을 이용하므로 새로운 기지국의 추가나 유선 백홀의 설치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단 LTE-A 시스템에서 릴레이는 현재 표준화 작업중인 Rel-8 단말과의 Backward Compatibility를 만족시켜야 하는 요구조건이 있다.
릴레이는 기지국과 통신을 하는 무선 백홀의 주파수 밴드에 따라 In-Band Relay와 Out-Band Relay가 있다. 기지국과 릴레이간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가 릴레이와 단말이 링크(Access Link)에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와 같은 경우를 "In-Band Relay(기지국과 릴레이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 다른 경우를 "Out-Band Relay(기지국과 릴레이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라고 한다. Out-Band Relay를 사용하면 추가의 주파수 자원이 필요하므로 주파수 사용 효율이 떨어지지만, 릴레이 적용시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인 자기 간섭(SI; self interferenc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기 간섭이란 릴레이의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에서 동일 시간에 동일 밴드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에 송신 안테나의 신호에 의해 수신 안테나에 발생하는 간섭(Interference)을 말한다. 반면에 In-Band Relay는 주파수 자원의 낭비는 없으나 SI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릴레이는 기존 RF(radio frequency) 전력을 증폭시켜 커버리지(coverage) 확장을 하던 중계기에 비해 자원 할당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피코(pico) 기지국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3GPP LTE-A에서 제공될 기술이며, 기지국과 릴레이간의 백홀 링크는 무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는 백홀 링크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로 서비스한다.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백홀 링크의 자원 할당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일반적 R-PDCCH 구조에서는, R-PDCCH 영역은 상위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다. 기지국은 릴레이로부터 보고된 채널 정보로부터 채널 상태가 좋은 R-PDCCH 영역(region)부터 할당하고, 릴레이는 R-PDCCH 영역내에서 모든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에 따른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R-PDCCH는 채널 환경에 따라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바꿀 수가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집합 레벨이다. 예를 들어, 채널 환경이 좋은 셀(cell) 중심에서는 집합 레벨 1을 사용하고,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셀 경계에서는 집합 레벨 8을 사용한다. 집합 레벨은 총 4개(1,2,4,8)가 존재하며 각 집합 레벨에 따라 R-PDCCH가 차지하는 자원도 상이하게 된다. 집합 레벨 1은 R-PDCCH 할당 가능 영역 중 하나에 할당이 되고, 집합 레벨 2일 때는 R-PDCCH 할당 가능 영역 중 두 개에 할당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을 시그널링을 통해 릴레이에게 알려주며 릴레이는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하지만, 할당 가능 영역에 실제 R-PDCCH들이 할당되는 수는 시간에 따라 매번 바뀔 수 있고, 릴레이가 자신의 R-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서 실제 할당된 영역을 알아야한다. 따라서 릴레이가 R-PDCCH의 실제 할당 영역을 모를 경우는 할당 가능한 모든 영역에 대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는 디코딩 회수를 증가시키게 되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크기가 클 경우 더 많은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우선순위(priority) 기반의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릴레이(relay)는,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보고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기초한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 및 채널 환경에 따른 조합 레벨을 이용하여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양호한 채널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며, 채널 환경에 따른 조합 레벨 및 상기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할당 영역부터 R-PDCCH를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전송하는 기지국; 및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기초한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조합 레벨을 이용하여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은, a)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b) 상기 채널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양호한 채널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단계; d) 채널 환경에 따른 조합 레벨(aggregation level) 및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R-PDCCH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그널링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및 상기 조합 레벨을 이용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이 릴레이(relay)에게 실제 R-PDCCH 할당 영역 및 할당 방법에 대해 알릴 수 있으므로 릴레이의 계산 부하(computational load)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LTE망에서 릴레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프레임(frame)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롯의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보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또는 향후 개발될 4G 등) 및 기지국(eNB)(30), 릴레이(Relay)(21~25) 및 단말(UE)(10)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셀이 혼재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셀(피코셀)을 관리하는 릴레이(Relay)(21~25), 넓은 범위의 셀(매크로셀)을 관리하는 기지국(eNB)(30), 단말(UE)(10), SON(Self Organizing&optimizing Networks) 서버(40) 및 MME(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30)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km 내외의 반경을 갖는 매크로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30)은 도심지에서 섹터(Sector) 방식의 다중 FA(Multi FA)를 사용하거나, 산간지역 등에서 단일 FA(1 FA)를 사용한다. 다중 FA의 일예로서, WCDMA에서 옥외용 기지국(30)은 4 FA를 사용한다.
릴레이(21~25)는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수십 m 내외의 반경을 갖는 피코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릴레이(21~25)는 셀 내의 음영 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하며, 셀 경계 지역에 릴레이(21~25)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셀 커버리지 확장과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지국(30)과 단말(10) 간 통신 과정에 릴레이(21~25)를 거쳐 통신을 수행하는데, 릴레이(21~25)는 기지국(30)과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있어 유선이 아닌 무선 백홀을 이용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및 피코셀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셀은 기지국(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고, 피코셀은 릴레이(21~2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릴레이(21~25)나 기지국(30)은 각각 독자적으로 코어망의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10)은 GSM망, CDMA망과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망과 같은 무선인터넷망, WiBro망 및 WiMax망과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 단말기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은 매크로셀 가입자 단말 또는/및 피코셀 가입자 단말일 수 있다.
SON 서버(40)는 기지국/릴레이 설치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기지국/릴레이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ME(50)는 단말(10)의 호 처리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가 SON 서버(40)와 MME(5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SON 서버(40) 및 MME(50)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30)과 하나 이상의 릴레이(21~25)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매크로셀 및 피코셀이 혼재된 네트워크 셀을 가정하였지만,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또는 피코셀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프레임(frame)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LTE 다운링크(DL) 프레임 구조에서 최소 전송 단위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다. 서브 프레임(Sub-Frame)이라고도 하는 각각의 TTI는 2개의 연속된 슬롯(짝수번째 슬롯(Even-numbered Slot)과 홀수번째 슬롯(Odd-numbered Slot)이 1TTI를 구성함)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롯의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하나의 슬롯은 예컨대 10MHz의 대역폭에서 50개의 RB(Resource Block)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하나의 RB는 짧은 사이클릭 프리픽스(short cyclic prefix)를 갖는 경우 시간축 7심볼(l=0,...6)과 주파수축 12 부반송파(Subcarrier)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RB는 84개(7×12=84)의 RE(Resource Element)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의 RB는 긴 사이클릭 프리픽스(long cyclic prefix)를 갖는 경우 시간축 6심볼(l=0,...,5)과 주파수축 12 부반송파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RB는 72개(6×12=72)의 RE로 이루어진다.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은 기지국(30) 내의 릴레이(21~25)를 위한 제어 정보에 관한 채널인 R-PDCCH(relay nod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에 관한 채널인 R-PDSCH(relay node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R-PDSCH는 릴레이(21~25)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이고, R-PDCCH는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채널의 할당에 관한 정보 혹은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을 송신하는 제어 채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기지국(30)은 기지국(30)이 관리하는 무선 자원 중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을 설정한다(S110).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은 R-PDCCH 할당에 필요한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이러한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설정은 SON 서버(40)로부터 기지국(30)으로의 상위 시그널링(signaling)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을 설정한 기지국(30)은 R-PDCCH 할당에 필요한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형성하여 릴레이(21~25)로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통하여 전송한다(S120).
릴레이(21~25)는 기지국(30)으로부터 전송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전체 채널 상태 및 부분적인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기지국(30)으로 채널 상태를 보고한다(S130). 예를 들어, 채널 상태는 신호대 잡음비(SINR; signal to noise ratio)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기지국(30)은 릴레이(21~25)로부터 채널 상태를 수신 후,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양호한 채널 즉, 신호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채널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140). 기지국(30)은 각 채널들에 대한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각 채널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릴레이(21~25)로 시그널링하여(S150), 릴레이(21~25)가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채널들의 순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지국(30)은 R-PDCCH 채널 환경에 따라서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변경하기 위하여 조합 레벨(aggregation level)을 사용한다. 조합 레벨은 채널 환경의 양호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 레벨은 총 4개(조합 레벨 1,2,4,8)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조합 레벨에 따라서 R-PDCCH가 차지하는 자원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채널 환경이 양호한 셀 중심에서는 조합 레벨 1을 사용하고, 채널 환경이 양호하지 않은 셀 경계에서는 조합 레벨 8을 사용한다. 조합 레벨 1에서는 R-PDCCH가 할당 가능 영역 중 하나에 할당이 되고, 조합 레벨 2에서는 R-PDCCH가 할당 가능 영역 중 두개에 함께 할당이 될 수 있다.
기지국(30)은 채널 환경에 따른 조합 레벨 및 우선순위에 따라서 R-PDCCH를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릴레이(21~25)로 전송한다(S160). 릴레이(21~25)는 기지국(30)이 어떠한 조합 레벨을 사용하여 R-PDCCH를 전송하였는지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여 찾을 수 있다(S170). 예를 들어, 릴레이(21~25)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우선 조합 레벨 1부터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고 블라인드 디코딩이 정상적으로 수행 불가능하면 기지국(30)이 조합 레벨 1을 이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블라인드 디코딩이 정상적으로 수행 불가능하면 기지국(30)이 조합 레벨 1을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조합 레벨 2,4,8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기지국(30)이 이용한 조합 레벨을 판단한다. 이 과정은 조합 레벨을 확인하는 시점에서 중단한다. 즉 조합 레벨 2를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면 조합 레벨 4,8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않는다. 또한 조합 레벨 4를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면 조합 레벨 8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예로 조합 레벨 정보는 기지국(30)이 릴레이(21~25)로 알려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릴레이(21~25)는 레벨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조합 레벨로 우선순위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디코딩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6에서는,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을 Region #1, #2, #3, #4의 4개로 가정한다. 기지국(30)은 릴레이(21~25)의 보고에 의한 각 할당 가능 영역의 채널 상태에 따라 Region #2, Region #3, Region #4, Region #1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R-PDCCH를 할당할 수 있다. 릴레이(21~25)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여 기지국(30)의 조합 레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조합 레벨 1을 사용한 경우 릴레이(21~25)는 Region #2, Region #3, Region #4, Region #1의 순서대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동일한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조합 레벨 2를 사용한 경우 릴레이(21~25)는 Region #2 및 Region #3에 대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그 다음 Region #4 및 Region #1에 대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단말 21~25: 릴레이
30: 기지국 40: SON 서버
50: MME

Claims (13)

  1. 이동통신 시스템의 릴레이(relay)로서,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보고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기초한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는, 신호대 잡음비(SINR; signal to noise ratio)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며, 채널 환경에 따른 조합 레벨 및 상기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할당 영역에 R-PDCCH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기지국; 및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기초한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고 상기 조합 레벨을 확인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위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R-PDCCH의 할당 가능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R-PDCCH 할당에 필요한 PRB(physocal resource block)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준 신호를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통하여 상기 릴레이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는, 신호대 잡음비(SINR; signal to noise ratio)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레벨은, 상기 채널 환경의 양호한 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으로서,
    a) 릴레이가 R-PDCCH 할당 가능 영역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b) 기지국이 상기 채널 상태를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R-PDCCH를 할당하여 상기 릴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릴레이가 상기 시그널링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및 상기 조합 레벨을 이용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이 상위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R-PDCCH 할당 가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R-PDCCH의 할당 가능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R-PDCCH 할당에 필요한 PRB(physocal resource block)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는, 신호대 잡음비(SINR; signal to noise ratio)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릴레이가 상기 시그널링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R-PDCCH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되, 정상적인 블라인드 디코딩이 수행되는 조합 레벨을 찾을때까지 조합 레벨1,2,4,8 순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KR1020100086275A 2010-09-03 2010-09-03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KR20120023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275A KR20120023351A (ko) 2010-09-03 2010-09-03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275A KR20120023351A (ko) 2010-09-03 2010-09-03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351A true KR20120023351A (ko) 2012-03-13

Family

ID=4613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275A KR20120023351A (ko) 2010-09-03 2010-09-03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33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487A (ko) 2019-01-09 2020-07-17 김남진 담배냄새가 안 배기게 해주는 손가락 끼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487A (ko) 2019-01-09 2020-07-17 김남진 담배냄새가 안 배기게 해주는 손가락 끼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2284B2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026209B (zh) 一种传输信息和配置子帧的方法、系统及设备
US8958809B2 (en) Hybrid coordinated scheduling scheme for use in a radio access network
RU2549199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ретранс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JP564767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高電力基地局、無線端末、低電力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8971822B2 (en) Inter-cell coordination for feeding relay nodes
CN101816202A (zh)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方法、基站、移动站、基站控制方法、移动站控制方法及控制程序
EP2429249A1 (en)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element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Gora et al. In-band and out-band relaying configurations for dual-carrier LTE-advanced system
Liebl et al. Fair resource allocation for inband relaying in LTE-Advanced
JP5767738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Góra et al. Resource management issues for multi-carrier relay-enhanced systems
KR20120023351A (ko)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US94917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reuse in wireless relay scenario
BenMimoune et al. Resource allocation framework in 5G multi-hop relay system
US2023004963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KR101417150B1 (ko) 기지국과 릴레이 간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10110028A (ko) 채널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lte 시스템
KR20120015516A (ko)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40060210A (ko) CoMP 시그널링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2577469B (zh) 软频率复用方法和使用该方法的基站
EP4322652A1 (en) Radio communication nod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10020185A (ko)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N117063448A (zh) 无线通信节点、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IL265275A (en) Devices and methods for mitigating moving relay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