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516A -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516A
KR20120015516A KR1020100077674A KR20100077674A KR20120015516A KR 20120015516 A KR20120015516 A KR 20120015516A KR 1020100077674 A KR1020100077674 A KR 1020100077674A KR 20100077674 A KR20100077674 A KR 20100077674A KR 20120015516 A KR20120015516 A KR 20120015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t
relay
downlink
base st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봉
김영준
김상하
장일두
신홍섭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516A/ko
Publication of KR2012001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다운링크 그랜트(DL grant) 및 업링크 그랜트(UL grant)의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그랜트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여부를 판단하여, 스케쥴링되지 않은 그랜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 CHANNEL DECODING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분야에 관련된 발명으로, 특히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디코딩(blind decoding)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차세대통신네트워크산업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10035300, 과제명: Multi-hop Relay 기술개발].
최근에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들의 요구 사항은 날이 갈수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세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3GPP는 IMT-Advanced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개선한 LTE-Advanced(이하, LTE-A라 함)를 준비하고 있다. LTE-A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LTE-A를 위해 논의가 진행중인 주요 기술로는 릴레이(Relay), 스펙트럼 집성, 상하향 링크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셀간 간섭 제어 등의 기술들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는 셀 내의 음영 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셀 경계 지역에 릴레이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셀 커버리지 확장(커버리지 확장용: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됨)과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처리량 향상용: 서비스의 데이터 량을 고속화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됨). 릴레이 시스템은 기지국(eNB)과 단말(UE) 간 통신 과정에서 릴레이(Relay)를 거쳐 통신을 수행한다. 릴레이는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있어 유선이 아닌 무선 백홀을 이용하므로 새로운 기지국의 추가나 유선 백홀의 설치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단 LTE-A 시스템에서 릴레이는 현재 표준화 작업중인 Rel-8 단말과의 Backward Compatibility를 만족시켜야 하는 요구조건이 있다.
릴레이는 기지국과 통신을 하는 무선 백홀의 주파수 밴드에 따라 In-Band Relay와 Out-Band Relay가 있다. 기지국과 릴레이간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가 릴레이와 단말이 링크(Access Link)에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와 같은 경우를 "In-Band Relay(기지국과 릴레이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 다른 경우를 "Out-Band Relay(기지국과 릴레이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라고 한다. Out-Band Relay를 사용하면 추가의 주파수 자원이 필요하므로 주파수 사용 효율이 떨어지지만, 릴레이 적용시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인 자기 간섭(SI; self interferenc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기 간섭이란 릴레이의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에서 동일 시간에 동일 밴드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에 송신 안테나의 신호에 의해 수신 안테나에 발생하는 간섭(Interference)을 말한다. 반면에 In-Band Relay는 주파수 자원의 낭비는 없으나 SI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릴레이는 기존 RF(radio frequency) 전력을 증폭시켜 커버리지(coverage) 확장을 하던 중계기에 비해 자원 할당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피코(pico) 기지국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3GPP LTE-A에서 제공될 기술이며, 기지국과 릴레이간의 백홀 링크는 무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는 백홀 링크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로 서비스한다.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백홀 링크의 자원 할당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백홀 링크의 다운링크 자원 할당을 위해 사용되는 R-PDCCH를 DL grant라 하고, 업링크 자원 할당을 위해 사용되는 R-PDCCH를 UL grant 라고 한다. 기지국이 릴레이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다운링크 자원을 스케쥴링하고 DL grant와 데이터를 릴레이에게 전송하고, 릴레이는 수신한 DL grant를 디코딩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다운링크 자원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한다. 한편, UL grant는 릴레이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에서 전송된다. 릴레이는 기지국으로 스케쥴링 요청 메시지(scheduling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업링크 자원을 스케쥴링하고 릴레이에게 UL grant를 전송한다. 릴레이는 기지국으로부터 UL grant를 수신해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기지국과 릴레이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을 스케쥴링하고 릴레이에게 DL grant와 UL grant를 전송한다. 물론 기지국 및 릴레이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면, 기지국은 DL grant, UL grant, DL/UL grant 모두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릴레이는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업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각 슬롯에서 브라인드(blind) 디코딩을 수행한다. 즉 릴레이는 첫 번째 슬롯에서 DL grant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두 번째 슬롯에서 UL grant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그런데 릴레이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UL grant를 릴레이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하지만, 종래에는 릴레이가 UL grant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UL grant 검출을 위해 서브 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무조건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지국에서 릴레이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DL grant를 릴레이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하지만, 종래에는 릴레이가 DL grant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DL grant 검출을 위해 서브 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무조건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지국이나 릴레이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DL grant 및 UL grant를 릴레이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하지만, 종래에는 릴레이가 DL grant 및 UL grant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DL grant 및 UL grant를 검출하기 위해 서브 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무조건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R-PDCCH의 디코딩(blind decoding)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다운링크 그랜트(DL grant) 및 업링크 그랜트(UL grant)의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그랜트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지국; 및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여부를 판단하여, 스케쥴링되지 않은 그랜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방법은, a) 기지국이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다운링크 그랜트(DL grant) 및 업링크 그랜트(UL grant)의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그랜트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릴레이가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스케쥴링되지 않은 그랜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relay)에서의 불필요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회수를 줄일 수 있어서 R-PDCCH(relay physical data control channel) 디코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LTE망에서 릴레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또는 향후 개발될 4G 등) 및 기지국(eNB)(30), 릴레이(Relay)(21~25) 및 단말(UE)(10)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셀이 혼재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셀(피코셀)을 관리하는 릴레이(Relay)(21~25), 넓은 범위의 셀(매크로셀)을 관리하는 기지국(eNB)(30), 단말(UE)(10), SON(Self Organizing&optimizing Networks) 서버(40) 및 MME(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30)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km 내외의 반경을 갖는 매크로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30)은 도심지에서 섹터(Sector) 방식의 다중 FA(Multi FA)를 사용하거나, 산간지역 등에서 단일 FA(1 FA)를 사용한다. 다중 FA의 일예로서, WCDMA에서 옥외용 기지국(30)은 4 FA를 사용한다.
릴레이(21~25)는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수십 m 내외의 반경을 갖는 피코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릴레이(21~25)는 셀 내의 음영 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하며, 셀 경계 지역에 릴레이(21~25)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셀 커버리지 확장과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지국(30)과 단말(10) 간 통신 과정에 릴레이(21~25)를 거쳐 통신을 수행하는데, 릴레이(21~25)는 기지국(30)과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있어 유선이 아닌 무선 백홀을 이용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및 피코셀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셀은 기지국(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고, 피코셀은 릴레이(21~2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릴레이(21~25)나 기지국(30)은 각각 독자적으로 코어망의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10)은 GSM망, CDMA망과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망과 같은 무선인터넷망, WiBro망 및 WiMax망과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 단말기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은 매크로셀 가입자 단말 또는/및 피코셀 가입자 단말일 수 있다.
SON 서버(40)는 기지국/릴레이 설치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기지국/릴레이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ME(50)는 단말(10)의 호 처리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가 SON 서버(40)와 MME(5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SON 서버(40) 및 MME(50)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30)과 하나 이상의 릴레이(21~25)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매크로셀 및 피코셀이 혼재된 네트워크 셀을 가정하였지만,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또는 피코셀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sub-frame)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LTE 다운링크(DL) 프레임 구조에서 최소 전송 단위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다. 각각의 TTI(Subframe)는 2개의 연속된 슬롯(짝수번째 슬롯(Even-numbered Slot)과 홀수번째 슬롯(Odd-numbered Slot)이 1TTI를 구성함)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슬롯은 예컨대 10MHz의 대역폭에서 50개의 RB(Resource Block)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하나의 RB는 시간축 7심볼(l=0,...6)과 주파수축 12 부반송파(Subcarrier)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RB는 84개(7x12=84개)의 RE(Resource Element)로 이루어진다.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은 기지국(30) 내의 릴레이(21~25)를 위한 제어 정보에 관한 채널인 R-PDCCH(relay nod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에 관한 채널인 R-PDSCH(relay node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R-PDSCH는 릴레이(21~25)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이고, R-PDCCH는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채널의 할당에 관한 정보 혹은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을 송신하는 제어 채널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30)이 릴레이(21~25)에게 전송할 데이터만 있을 경우에 기지국(30)은 다운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DL grant)만 스케쥴링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릴레이(21~25)에서 기지국(30)으로 전송할 데이터만 있을 경우에 기지국(30)은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UL grant)만 스케쥴링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30)과 릴레이(21~25)가 모두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기지국(30)은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한다. 반면 기지국(30)이나 릴레이(21~25) 모두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기지국(30)은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모두 스케쥴링하지 않는다. 다운링크 그랜트는 항상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slot)에서만 전송이 가능하고, 업링크 그랜트는 두 번째 슬롯에서만 전송이 가능하다.
릴레이(21~25)는 서브프레임마다 기지국(3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업링크(uplink) 자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각 슬롯에 대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즉 릴레이(21~25)는 첫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두 번째 슬롯에서 업링크 그랜트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릴레이(21~25)는 기지국(30)이 전송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다운링크 그랜트 또는/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21~25)가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무조건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다운링크 그랜트 또는/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은 다운링크 그랜트 또는/및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제어 신호를 통해 릴레이(21~25)로 알려주고, 릴레이(21~25)는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슬롯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 여부를 결정한다.
기지국(3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R-PDCCH 내에 필드로 설정될 수 있고,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만약 제어 플래그가 2비트(bit)로 구성된 경우, 첫 번째 비트는 다운링크 그랜트 존재 여부를 나타내고, 두 번째 비트는 업링크 그랜트 존재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가 모두 존재할 경우 제어 플래그를 "00"으로 설정하고, 다운링크 그랜트만 존재하고 업링크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 플래그를 "01"로 설정하며, 다운링크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고 업링크 그랜트만 존재할 경우 제어 플래그를 "10"으로 설정하고,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 모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 플래그를 "1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의 구성으로 인하여 릴레이(21~25)는 다운링크 그랜트 또는/및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스케쥴링된 그랜트에 한해서만 적응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케쥴링되지 않은 그랜트에 대해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그랜트만 스케쥴링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이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제어 신호(예컨대 제어 플래그 "01")를 생성하여 릴레이(21~25)로 알려주면, 릴레이(21~25)는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첫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만 두 번째 슬롯에서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는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디폴트로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그랜트만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은 제어 신호를 릴레이(21~25)로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는 경우 역시, 기지국(30)은 제어 신호를 릴레이(21~25)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신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는 경우에, 기지국(30)이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제어 신호(예컨대 제어 플래그 "11")를 생성하여 릴레이(21~25)로 알려주면, 릴레이(21~25)는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다운링크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다운링크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그랜트만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이 다운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제어 신호(예컨대 제어 플래그 "10")를 생성하여 릴레이(21~25)로 알려주면, 릴레이(21~25)는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첫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두 번째 슬롯에서만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디폴트로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그랜트만 스케쥴링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은 제어 신호를 릴레이(21~25)로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는 경우 역시, 기지국(30)은 제어 신호를 릴레이(21~25)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신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이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제어 신호(예컨대 제어 플래그 "11")를 생성하여 릴레이(21~25)로 알려주면, 릴레이(21~25)는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다운링크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 역시, 업링크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다운링크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는 경우에, 기지국(30)이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제어 신호(예컨대 제어 플래그 "11")를 생성하여 릴레이(21~25)로 알려주면, 릴레이(21~25)는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다운링크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 중 어느 하나만 스케쥴링하고 나머지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30)은 제어 신호를 릴레이(21~25)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신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 역시, 업링크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다운링크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에 릴레이(21~25)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디코딩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30)은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10). 기지국(30)은 생성한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S120). 릴레이(21~25)는 첫 번째 슬롯에서 다운링크 그랜트 검출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130). 한편 릴레이(21~25)는 기지국(30)으로부터 전송받은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두 번째 슬롯의 블라인드 디코딩 여부를 판단한다(S140). 예를 들어,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릴레이(21~25)는 두 번째 슬롯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S150), 업링크 그랜트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릴레이(21~25)는 두 번째 슬롯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단말 21~25: 릴레이
30: 기지국 40: SON 서버
50: MME

Claims (11)

  1.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다운링크 그랜트(DL grant) 및 업링크 그랜트(UL grant)의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그랜트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지국; 및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여부를 판단하여, 스케쥴링되지 않은 그랜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릴레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 중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슬롯에 상기 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은,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제어 채널의 필드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 및 상기 업링크 그랜트 중 어느 하나를 스케쥴링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 및 상기 업링크 그랜트 모두를 스케쥴링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릴레이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 및 상기 업링크 그랜트 중 디폴트로 설정되지 않은 그랜트만 스케쥴링하는 경우나,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 및 상기 업링크 그랜트 모두 스케쥴링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릴레이로 전송하지 않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이동통신 시스템의 디코딩 제어 방법으로서,
    a) 기지국이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다운링크 그랜트(DL grant) 및 업링크 그랜트(UL grant)의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그랜트 존재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릴레이가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스케쥴링되지 않은 그랜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릴레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업링크 그랜트를 스케쥴링하는, 디코딩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그랜트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디코딩 제어 방법.
KR1020100077674A 2010-08-12 2010-08-12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20015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74A KR20120015516A (ko) 2010-08-12 2010-08-12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74A KR20120015516A (ko) 2010-08-12 2010-08-12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516A true KR20120015516A (ko) 2012-02-22

Family

ID=4583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74A KR20120015516A (ko) 2010-08-12 2010-08-12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6365A (zh) * 2022-04-29 2022-07-2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开关信令指示方法和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6365A (zh) * 2022-04-29 2022-07-2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开关信令指示方法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199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ретранс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9451510B2 (en) Relay node configuration in preparation for handover
JP5372284B2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026209B (zh) 一种传输信息和配置子帧的方法、系统及设备
US8958809B2 (en) Hybrid coordinated scheduling scheme for use in a radio access network
JP564767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高電力基地局、無線端末、低電力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8897262B2 (en) Relay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75580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adio-access network
CA2744277A1 (en) Transferring data in a mobile telephony network
JP2014168311A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KR20120015516A (ko) 제어 채널 디코딩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54105A (ko)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US94917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reuse in wireless relay scenario
JP2022510728A (ja) 複数のトランスポートブロックのためのギャップ構成
KR20120023351A (ko) 우선순위 기반 r-pdcch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릴레이
KR20140060210A (ko) CoMP 시그널링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10110028A (ko) 채널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lte 시스템
Aldhaibani et al. Increasing the coverage area through relay node deployment in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cellular networks
KR20110020185A (ko)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38784A (ko)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릴레이 시스템
KR20130026361A (ko) 이기종 망간에 ec의 pdsch 시작심볼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