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031A -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 Google Patents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031A
KR20120021031A KR1020100085057A KR20100085057A KR20120021031A KR 20120021031 A KR20120021031 A KR 20120021031A KR 1020100085057 A KR1020100085057 A KR 1020100085057A KR 20100085057 A KR20100085057 A KR 20100085057A KR 20120021031 A KR20120021031 A KR 2012002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bentonite
layer
soil
land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순주
Original Assignee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031A/ko
Publication of KR2012002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매립장, 인공 연못, 또는 인공 개천, 등과 같은 곳에 차수층을 설치하기 위한 여러가진 기술로서, 차수층용 복합토, 차수층형성방법, 폐기물매립장 건설방법에 관한 것이며, 벤토나이트(6~12)중량%, 백운석 광산의 폐분(20~30)중량%, 현지토(74~58)중량%를 혼합하여 만든 차수층용 복합토와, 필요한 개소에 이 복합토를 적층하여 다짐함으로 차수층과 복토층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A water leakage preventing lay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ste landfill liner}
본 발명은 차수층용 복합토, 차수층 형성방법, 및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차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과, 인공 연못, 인공 시내를 건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와 산업발달로 인하여 많은 생활폐기물, 공장폐기물, 광산폐기물, 핵폐기물, 등의 폐기물들이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폐기물들을 처리하는 것이 큰 사회적 과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대부분 소각하거나매립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매립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차적인 환경문제가 유발되지 아니하도록 위생매립을 하여야 한다. 매립지를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매립지 내 침출수의 확산과 주변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매립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차수시설 및 복토시설의 차단층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현행 폐기물관리법은 폐기물 매립시설에서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립시설에 바닥차수층 및 최종복토층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 차수층 및 퇴종복토시설의 차단층은 각각 어느경우에나 1 x 10-7 cm/sec 내지 1 x 10-6 cm/sec 이하의 투수계수를 갖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종래의 쓰레기 매립지의 바닥에 차수시설에는 지하수 배제층, 점토차수층,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층, 보호토층을 형성하는데, 점토차수층 대신 흙과 벤토나이트가 혼합된 혼합차수층을 사용하기도 한다.
점토차수층은 100 c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 점토를 구하기가 어렵고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며, 별도의 장소에서 채취하게 되므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쓰레기 매립지 대부분은 지반 및 토질 특성이 열악한 연약지반이기 때문에 하부 점토층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부동침하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밀도 폴리 에틸렌 시트간의 접합부분이 빈번히 파손되었을 뿐 아니라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에 시공장비 등에 의한 시트 자체 훼손이 발생되기도 하여 차후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들어가는 등 안정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개발된 방법이 2004년12월03일 공고된 특허 등록 10-0459077호는 본 발명인이 발명한 선등록된 폐기물 매립지의 건설방법이다.
이 방법은 매립지용 터 파기를 한 후, 바닥면 상에 잡석과 배수관을 포함하는 지하수 배제층을 설치하고, 지하수 배제층 위에 침출수의 통과를 억제하고 만약 일부 통과되는 침출수가 있다고 할 때 그 침출수를 정화시키는 차수정화매트를 설치하고, 차수정화매트 상에 혼합차수층과 보호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매립지 바닥을 건설하는 방법이다.
또 위생매립지에 대한 종래 기술이 등록번호 10-0478403 으로 2005년03월23일 공고된바 있다. 여기에는 매립지의 하부에는 바닥기반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기반시설은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침출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차수층과 바닥차수층 위에 설치되어 침출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층 및 배수층내에 포설되어 침출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침출수 집배수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밑에서부터 여러 층의 폐기물 층이 차례대로 형성되고 각 폐기물 층의 상부에는 매립 중에 폐기물이 비산되거나 우수 침투와 악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중간 복토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폐기물 층의 상부에는 폐기물에서 생성되는 매립가스를 추출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수평가스포집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최상부의 폐기물 층위에는 최종 복토층이 설치되는데, 최종 복토층은 식생대층, 배수층, 차단층 및 가스배제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매립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종래의 차수층 형성방법으로, 현장토를 활용하여 여기에 시멘트, 탄산칼슘 등의 고화재를 혼합한 것을 첨가하여 다짐함으로써 고화 처리하는 방법, 현장토에 폐주물사, 플라이애쉬, 폐석회 또는 폐석고 등의 고화재를 혼합한 것을 첨가하여 다층으로 고화처리하는 방법, 포졸란 반응을 이용한 매립장 복합차수층 조성 방법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공법으로 완벽하게 차수하려고 하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 표면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대기에 노출시 표면에 열화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시공함수비의 조절이 곤란하거나 연약지반에서 시공시 별도의 지지층이 필요하고 대규모 부등침하 발생시 대책이 미흡하다는 결점들이 있다.
그리고 차수층과 복토층의 투수계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점토류와 같은 천연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양질의 점토 재료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견실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페기물 처리시설뿐만 아니라 차수층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개소, 즉 연못 바닥이라든지 실개천의 바닥 등에도 차수층을 형성하여 물을 보존하거나 침수되어 수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개소들이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위생매립장과 같이 차수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곳에 비용이 적게 들고, 친환경적으로 아주 작은 투수계수를 가진 차수층과 그 설치 방법, 및 차수층용 복합토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매립지나 인공 연못, 인공 시내, 등에서 물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벤토나이트(6~12)중량%, 백운석 광산의 폐분(20~30)중량%, 현지토(74~58)중량%를 혼합하여 만든 차수층용 복합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매립장의 최하부 층에서 오염된 침출수의 누출을 억제하여 지하수 및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상부 복토층에서 매립장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폐기물 매립장을 조성할 수 있는 복토층과 차수층용 기능성 재료를 제공하고, 차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매립지에서 물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다짐함으로 차수층과 복토층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 연못를 만들기 위하여, 연못을 만들 장소에 해당 면적과 깊이를 정하여 터파기를 하는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연못 시공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인공 시내를 만들기 위하여, 시냇물이 흐를 개소에 소정의 깊이와 넓이로 터파기를 하는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 ~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연못시공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매립지나 인공 연못, 인공 시내, 등에서 물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다짐함으로 차수층을 설치한다. 폐분은 CaO 를 25~40%, 및 MgO 를 12~25%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매립지나 인공 연못, 인공 시내, 등에서 물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벤토나이트(6~12)중량%, 백운석 광산의 폐분(20~30)중량%, 현지토(74~58)중량%를 혼합하여 만든 차수층용 복합토이다. 폐분은 CaO 를 25~40%, 및 MgO 를 12~25% 포함하는 혼합토를 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인공 연못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연못을 만들 장소에 해당 면적과 깊이를 정하여 터파기를 하는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공 시내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시냇물이 흐를 개소에 소정의 깊이와 넓이로 터파기를 하는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 ~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토인 벤토나이트(6~12)중량%, 백운석 광산의 폐분(20~30)중량%, 현지토(74~58)중량%를 혼합하여 만든 차수층용 복합토는 폐기물매립지나 인공 연못, 인공 시내, 등에서 물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층을 형성할 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수층 시공방법은 폐기물매립장의 최하부 층에서 오염된 침출수의 누출을 억제하여 지하수 및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상부 복토층에서 매립장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폐기물 매립장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다짐함으로 차수층과 복토층을 시공하는 방법은 폐기물매립지의 차수층 시공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며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공 연못과 인공시내를 용이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위생매립장과 같은 차수층과 복토층, 그리고 차수가 필요한 개소에 설치할 차수층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매립장에서 일일 복토를 하여야 하는데 일일 복토로 15cm 정도의 토사층 설치가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이는 매립용적의 약 20%를 차지하므로 매립용적이 많이 감소하게 되고, 복토재인 흙의 안정적인 확보도 어렵다. 그래서 일일 복토재로 흙을 대체할 대용복토재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중간복토층과 최종 복토층 역시 같은 문제가 있으므로 그 대체용 재료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매립장의 바닥과 측면은 점토류라이너, 고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이에 준하는 재질의 토목합성수지라이너를 사용하여 차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차수층의 재료로 사용되는 점토는 그 종류, 입도분포, 함량, 소성 들 재료특성과 다양한 환경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낮은 투수성의 입자의 크기가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세립점토의 함유량이 15~20%를 함유한 흙을 사용하여야 투수계수가 1 x 10-7 cm/sec 이하가 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투수계수 1 x 10-7 cm/sec 를 만족시키기 위하여는 7% 이상의 소정지수와 0.3 이상의 활성도가 요구되고 있다. 자갈도 좋은 차수재인데 크기가 25~50cm 되는 것으로 차수재 흙의 50% 이하가 되는 것이 좋다. 또한 차수층은 계절 변화에도 안정적이어야 하는데 습윤-건조, 동결-융해 등의 환경적 풍화작용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모든 광물류 차수재는 현장에서 다져지기 때문에 포설 및 다짐이 용이하여야 한다. 그리고 토립자가 화학물질과 접촉하게 되면 확산이중층의 변화에 의하여 토립자의 거동 및 구조가 변하게되며 이에 다라 투수계수도 변화게 되는데, 이중층의 두께가 감소하면 입자구조가 면모구조로 되어 투수계수가 증가하고, 이중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입자구조가 분산구조로 되어 투수계수가 감소하게 된다. 광물류 차수시트와 화학물질이 접촉하게 되면 흙 구조변화, 이중층 두께의 증감, 강산이나 강염기에 의한 흙 성분의 용해, 침전에 의한 흙 간극의 막힘, 그리고 미생물의 성장에 의하여 차수재의 투수특성이 변하게 된다.
차수재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스멕타이트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수분에 접촉하였을 때 팽창성이커서 구조물의 기초지반으로는 기피하는 점토이지만 낮은 투수계수와 탁원한 흡착능으로 인하여 쓰레기매립장이나 기타 지하 건축물들의 차수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능한 한 현지토를 많이 사용하면서 백운석 폐분 및 R/M 과 벤토나이트를 추가하여 차수층과 복토층을 건설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기능성 재료 중 백운석은 돌로마이트(dolomite)라고도 하며, 삼방정계의 광물로 방해석의 돌로마이트화로 형성되며, 방해석과 비슷하다. 화학성분은 CaMg(CO3)이며, 탄상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 단, 마그네슘의 일부는 철이나 망가니즈로 치환되는 경우가 많다, 마름모 결정을 나타내며 결정면은 다소 만곡되어 있다. 흔히 안장 모양 또는 장미 봉우리 모양의 집합을 이룬다, 주요 사용용도로는 제철/제강용, 비료, 시멘트, 산성폐수처리용, 등 사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석회석 광산의 백운석 폐분과 이 폐분을 분쇄하여 입도를 아주 작게 한 R/M(Rolling Mill: 연마폐분)에 대하여 물성을 조사하여 본 후, 기능성 재료로서 폐분, R/M(연마 폐분), 및 벤토나이트를 선정하여 이들 재료와 현지토를 배합하여 가장 적합한 혼합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차수층으로서 만족스러운 투수계수 1 x 10-7 cm/sec 를 가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능성 재료에 관한 환경적 안정성이 규명되어야 하기때문에 시료를 채취하여 유해물질 용출시험을 하여 본 결과, 폐분, R/M, 및 벤토나이트에 는 Cu, Ob, Cd, Cr, As, Hg, CN, 트리클로로에틸엔, 테트라클로로에틸엔, 및 유기인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CaO, MgO, CO2등은 다음 [표 1]과 같았다.
[표 1]
Figure pat00001
또 기본 물성은 다음 표2와 같이, 비중의 경우 폐분과 R/M이 각각 2.72, 2.74로서 일반적인 흙보다 약간 높은 것이고, 200번체 통과율이 폐분은 25.84%이고, R/M은 100%이고, 통일분류법상 폐분은 SM이고, R/M은 ML로 분류된다. R/M을 포함하는 폐분은 CaO 를 25~40%, 및 MgO 를 12~25%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표 2]
Figure pat00002
폐분의 입경가적곡선은 도1과 같고, R/M의 입경가적곡선은 도2와 과 같다.
기능성 재료 폐분과 R/M에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계 고화제를 혼합하여 비중, 입도, 연경도, 등에 대한 기본 물성실험을 하고, 재료중에 존재하는 성분이물을 매개로 하여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외부로 나오는 현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용출실험을 하고, 다짐특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다짐실험을 하고, 또 일축압축강도실험과 CBR실험을 하고, 투수실험, 습윤-건조실험,동결-용해실험,화학액과위 화학적 적합성 실험,등을 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배합율은 흙의 건조단위 중량에 대한 고화제(또는 개량재)의 중량을 그 백분율로 표현한 것이다.
첨가제 종류에 따른 다짐실험결과를 보면, 벤토나이트와 시멘트 고화제가 혼합됨에따라 최적함수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첨가제의 배합비율에 따라 페분의 경우에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고, R/M의 경우에는 차이가 거의 없으나 벤토나이트가 혼합됨에 따라 최적함수비가 약간 감소하고 시멘트가 혼합됨에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그 차이가 매우 작아서 벤토나이트와 시멘트 고화제가 기능성 다짐특성을 변화시킨다고는 볼 수 없다고 하겠다.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계 고화제로 안정처리된 기능성재료의 지지력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CBR실험을 하였는데, 원시료보다 원시료에 비하여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계 고화제가 혼합되면 CBR 값이 증가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원시료인 폐분의 CBR은 8.4%인데 12&%의 벤토나이트를 혼합하면 38.4%로 4.6배 증가하고, 12%의 시멘트를 혼합하면 68.4%로서 8.1배나 증가함을 알았다. R/M 역시 같은 경향을 보이는데 원래 R/M의 CBR이 5.5%인 것이 12&%의 벤토나이트를 혼합하면 26.4%로 4.8배 증가하고, 12%의 시멘트를 혼합하면 28.4%로서 5.2배 정도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지력 증가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았다.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계 고화제로 안정처리된 폐분의 일축압축강도 실험결과를 보면 원시료에 비해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계 고화제가 혼합됨에 따라 양생일이 증가합에 따라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는데 벤토나이트를 12% 혼합하면 약 5배, 시멘트를 12% 혼합하면 약 12배나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양생일에 대한 강도특성은 대상토질 시공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멘트계 고화제로 안정화된 지반의 재령 28일 강도는 재령 7일 강도의 1.2 ~ 1.7 배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실헙하여 본 결과 일반적인 수치보다 20% 내지 3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합비에 따른 투수특성은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계 고화제로 안정처리된 폐분의 배합비에 따른 투수계수 실럼결과가 고화제 배합비가 증가 할 수록 투수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벤토나이트를 12% 혼합하면 투수계수가 1/500 정도 줄어들고 시멘트 고화제를 12% 혼합하면 1/250 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양생일에 대한 투수특성의 변화는 변토나이트의 경우 거의 없고 시멘트의 경우에는 서서히 약간 투수계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습윤-건조에 의한 내구성 실험에서는 베토나이트를 6% 및 12% 혼합한 시료에 12회 실시한 결과 잔류중량이 99% 이상 이었고, 시멘트계 고화제를 6% 및 12& 혼합한 시료를 12회 실험한 결과 98.8% 이상 이었고, 압축강도는 12회 실시한 후 약3%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수계수는 12회 실시후 약 3% 정도 작아지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여 본 결과, 12사이클을 거친 시료가 무게 1% 정도 감소하였고, 압축강도는 감소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특정되었으며, 투수 실험결과 투수계수 증가현상이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위생매립장 복토재, 차수재, 인공연못, 또는 인공하천의 차수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대체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제 인공호수를 조성하는 지역에서 바닥차수의 목적으로 혼합토(흙+벤토나이트+폐분)으로 된 차수층을 형성하여, 샘플을 채취하여 시험하여 본바 실험실에서 제작하였던 시료에서 측정된 값들과 대부분 유사한 수치로 되어 현장에서 상업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다.
이때 사용한 혼합비는 (벤토나이트:폐분:흙)의 비가 (12:20:68) 또는, (6:30:64)되게 하였다. 차수층의 두께는 15~30 cm 되도록 하였다.
혼합토의 배합비는 벤토나이트:폐분:흙의 비를 (6~12):(20~30):(74~58)로 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현지토가 마사토일 경우에는 폐분의 분량을 많게 하고 현지토가 점토 성분이 많을 경우에는 폐분과 벤도나이트의 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시공하면 된다.
그래서 차수층 형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복합토는 벤토나이트(6~12)중량%, 백운석 광산의 폐분(20~30)중량%, 현지토(74~58)중량%를 혼합하여 만든다.
이 차수층용 복합토를 사용하여 폐기물매립지를 건설할 수 있다. 매립지용 터 파기를 한 후, 잡석과 유공관을 포함하는 지하수 배제층을 형성하고, 지하수 배제층의 상부를 차수층용 복합토로 덮고 다짐하여 차수층을 형성한다. 이 차수층 위에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또는 폴리에틸렌(P.E)필름과 보호토층을 추가로 설치하면 더욱 완벽한 차수가 된다. 차수층은 다짐후의 두께가 15 내지 3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차수층은 바닥면과 경사면에 모두 형성한다. 경사면은 종래와 같이 계단형태로 만들어도 되고, 에어돔을 설치하여 매립지를 옆으로 확장하여 나가는 매립 방식을 사용하려면 확장부위 아래 측면에만 차수층을 만들고 배립지를 확장할 면은 확장한 다음에 최종적으로 차수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매립지에 폐기물을 일부 적층하고 일일 복토층을 형성하고 다시 폐기물층이 만들어지면 일일복토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되풀이 한 후 최종 복토층은 본 발명의 혼합토를 사용하여 형성하되 15 내지 45cm 정도로 조금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인공 연못이나 인공 시내, 등을 건설할 경우에도 누수를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층을 형성할 본 발명의 혼합토를 사용하여 차수층을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은 차수층 시공방법은 폐기물매립장의 최하부 층에서 오염된 침출수의 누출을 억제하여 지하수 및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상부 복토층에서 매립장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폐기물 매립장을 조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혼합하므로, 즉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 다짐하여 차수층을 형성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재료비와 시공비용이 절감된다.
해당 사항 없음

Claims (7)

  1. 폐기물매립지나 인공 연못, 인공 시내, 등에서 물의 유출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혼합화되,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고 다짐하여 차수층을 만드는 것이 특징인 차수층 형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CaO 를 25~40%, 및 MgO 를 12~25% 포함하는 폐분을 사용하여 차수층을 만드는 것이 특징인 차수층 형성방법
  3. 폐기물매립지나 인공 연못, 인공 시내, 등에서 물의 유출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차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벤토나이트(6~12)중량%
    백운석 광산의 폐분(20~30)중량%
    현지토(74~58)중량%를 포함하는 차수층용 복합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폐분은 CaO 를 25~40%, 및 MgO 를 12~25% 포함하는 것이 차수층용 복합토
  5. 인공 연못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연못을 만들 장소에 해당 면적과 깊이를 정하여 터파기를 하는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혼합하되,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고 다짐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 ~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공연못 설치 방법.
  6. 인공 시내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시냇물을 흐르게 할 개소에 소정의 깊이와 넓이로 터파기를 하는 터파기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혼합하되,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여고 다짐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 ~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공연못 설치 방법.
  7. 폐기물매립지를 건설하는 방법으로서,
    매립지 건설 장소에 해당 면적과 깊이를 정하여 터파기를 하는단계
    터파기 한 바닥과 측면을 다지는 다짐단계,
    백운석 광산의 폐분과 벤토나이트를 현지토에 혼합하되,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20~30):(74~58)로 혼합하고 다짐하여 상기 터파기한 바닥과 측면에 15 ~30cm 두께로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
    페기물들을 다 묻고 난 다음 폐기물층 최상부에, 벤토나이트:폐분:현지토의 비를 (6~12): (20~30): (74~58)로 혼합하고 다짐하여 15 ~ 45cm 두께로 복토용 차수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KR1020100085057A 2010-08-31 2010-08-31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KR20120021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57A KR20120021031A (ko) 2010-08-31 2010-08-31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57A KR20120021031A (ko) 2010-08-31 2010-08-31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31A true KR20120021031A (ko) 2012-03-08

Family

ID=4612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57A KR20120021031A (ko) 2010-08-31 2010-08-31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10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7854A (zh) * 2016-08-01 2016-11-09 中建八局第建设有限公司 一种人工湖衬里层及其施工方法和应用
KR20180096441A (ko) 2017-02-21 2018-08-29 한일시멘트 주식회사 광산 차수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7854A (zh) * 2016-08-01 2016-11-09 中建八局第建设有限公司 一种人工湖衬里层及其施工方法和应用
KR20180096441A (ko) 2017-02-21 2018-08-29 한일시멘트 주식회사 광산 차수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kshith et al. Utilization of dredged sediments: contemporary issues
Hazelton et al. Understanding soils in urban environments
Bruder-Hubscher et al. Utilisation of bottom ash in road construction: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Çevikbilen et al. Assessment of the use of dredged marine materials in sanitary landfills: A case study from the Marmara sea
KR100689061B1 (ko) 지반경화 안정처리공법
Bordoloi et al. Feasibility of construction demolition waste for unexplored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applications-a review
KR101733355B1 (ko) 기능성 드레인레이어, 드레인매트, 배수매트 및 바이오배수매트
KR20120021031A (ko) 차수층 형성방법, 및 인공연못, 인공시내, 폐기물매립지 건설방법
KR100356344B1 (ko)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의 설치방법
Illuri Development of soil-EPS mixes for geotechnical applications
Kumar et al. Monitoring leachate composition at a municipal landfill site in New Delhi, India
Graham et al. PAH-contaminated sediment remediation: An overview of a proposed large scale clean-up in a freshwater harbour
Koda et al. Quality control tests of vertical bentonite barriers for old sanitary landfill containment
Magaji Evaluation of Mpape landfill standard in FCT Abuja, Nigeria
Hakstege Description of the available technology for treatment and disposal of dredged material
Inazumi Waste sludge barrier for landfill cover system
KR20120061021A (ko) 광산 폐분 이용방법
KR100418560B1 (ko) 바이오-배리어에 의한 폐기물 매립장의 복합 차수층조성물 및 조성방법
Bassani et al.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performance assessment of biofilters and retention systems for pavement stormwater
Haug et al. A review of non-traditional dry covers
KR101830257B1 (ko) 폐석고를 포함한 고화재를 이용하는 공유수면 매립 방법
David et al. Application of Termite Mound-Bentonite Mixture as Bottom Liner for Industrial Waste Containment
Vikram Experimental Studies on Permeable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s
KR20020008087A (ko) 고화재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벽 시공방법
Hazarika et al. Keynote pa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