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904A -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904A
KR20120020904A KR1020100084831A KR20100084831A KR20120020904A KR 20120020904 A KR20120020904 A KR 20120020904A KR 1020100084831 A KR1020100084831 A KR 1020100084831A KR 20100084831 A KR20100084831 A KR 20100084831A KR 20120020904 A KR20120020904 A KR 2012002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lood circulation
improving blood
obesity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172B1 (ko
Inventor
전희영
신현정
서대방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8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함유하여 혈소판 응집 및 혈전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혈액 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비만 상태를 개선시키며, 당뇨 및 고질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ntaining dihydrodaidzein}
본 발명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DHD: dihydrodaidze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함유하여 혈소판 응집 및 혈전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혈액 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비만 상태를 개선시키며, 당뇨 및 고질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은 콩의 주요 이소플라본(isoflavone) 중 하나인 다이드제인이 체내에 흡수되어 대사되는 과정 중에 생성되는 대사체 중 하나로, 콩과(leguminosae) 식물을 특정 미생물로 발효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은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의 일종으로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에 의해 유도되는 혈관 수축 작용을 억제하고 혈관 벽의 신생 내막(neointima)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심장 질환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01) 133, 595-605;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48 (2006) 123-128), 아직까지 다이하이드로제인이 혈전 생성 억제나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하여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힌 사실은 없다.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은 지방질 섭취량은 많아짐에도 운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각종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혈액 순환 장애는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의 약화 및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순환이란 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고, 혈액 순환 장애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어 혈관 내부가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또는 뇌혈전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있다. 심혈관계 질병 중에서도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또는 뇌졸증 등은 노령층에서는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처럼 혈액 순환 장애를 방치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주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질환으로 발전되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질병에 대한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이 혈소판 응집 및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소판 응집 및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식품 및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경구 투여 시 혈전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상기 다이하이드로제인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용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고,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켜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의 혈관 질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 순환 개선용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식품 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은 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혈관 질환은, 예를 들어,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혈전생성 방지 및 콜레스테롤 억제 효능을 갖는 혈액 순환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혈관 질환은, 예들 들어,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또는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또는 좌제(坐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mg/kg/일 내지 1,000 mg/kg/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시험예 1] 콜라겐에 의해 유도된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에탄올 함량에 따른 추출물의 활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람의 혈소판 농축 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을 분리하기 위하여, 3.2%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을 항응고제로 하여 2 주일 이상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남성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된 혈액 150 g을 15 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PRP)을 얻고 잔사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결핍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PRP의 혈소판 수는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세고, PRP를 PPP로 희석하여 1 ㎖당 3×108 개의 혈소판이 포함되도록 희석한 뒤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소판의 응집 활성은, 혈소판 응집계(lumi-aggregometer; Chrono-Log Co.,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 변화를 통해 측정하였다. PRP에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25, 50, 100 및 200 ㎍/ml씩 가하고 열혼합기(thermomixer)에서 10 분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PRP 495 ㎕를 실리콘이 코팅된 혈소판 응집계용 큐벳에 넣고 1 분간 선배양하여 37℃가 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혈소판 응집 유발 시료인 콜라겐을 최대 응집을 일으키는 농도인 5 g/ml을 가하고, 이 후 5 분간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콜라겐만 처리한 대조군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을 0%로 했을 때의 비교값을 나타낸 것이다.
처리 농도 25 μg/ml 50 μg/ml 100 μg/ml 200 μg/ml
혈소판 응집 억제율(%) 10.7±2.13 17.7±6.39 36.7±12.3 76.3±5.03
표 1의 결과에서,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은 농도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 억제효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SD 래트(Sprague Dawley rat)를 이용한 정맥혈전생성 억제 효과 관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실제 섭취하였을 경우 생체 내에서 혈전생성억제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 220?250 g의 숫컷 SD 래트를 대상으로 정맥혈전생성 억제 효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SD 래트에 각각 25 및 50 g/ml의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식염수(saline) 300 ㎕에 용해시켜 경구로 투여한 뒤, 1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1 시간 후, 펜토바비탈나트륨(sodium pentobarbital) 50 mg/kg을 복강투여하여 전신 마취시킨 후, 개복하고 후대정맥(caudal vena cava)이 잘 보이도록 지방조직을 걷어내었다. 지방조직을 걷어낼 때 주변의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5% FeCl3 용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에 적셔 후대정맥 위에 5 분간 적용한 다음 제거하였다. 30 분 후, 혈전을 함유하고 있는 후대정맥을 12 mm 길이로 결찰한 다음 절제하였다. 식염수에 혈전 덩어리를 떼어낸 후 수분은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각 시험군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25 및 50 mg/kg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50 mg/kg에서 유의적으로 혈전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이 우수한 항혈전제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함유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연질 캡슐의 제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264 mg, 비타민 E 30 mg, 비타민 C 30 mg, 팜유 6 mg, 식물성 경화유 27 mg, 황납 13 mg 및 레시틴 30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캡슐 충진액을 제조하였다. 1 캡슐당 400 ㎎씩 충진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 글리세린 24 중량% 및 솔비톨액 10 중량%로 연질캡슐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 mg이 함유된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의 제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갈락토올리고당 200 ㎎, 유당 60 ㎎ 및 맥아당 140 ㎎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 ㎎을 첨가하였다. 이들 조성물 504 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드링크제의 제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포도당 10 g, 구연산 0.6 g, 및 액상 올리고당 25 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 ㎖를 가하여 각 병에 200 ㎖씩 되도록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과립의 제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 및 전분 550 ㎎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전 생성 또는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를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는 것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질환은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질환은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인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KR1020100084831A 2010-08-31 2010-08-31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KR10186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31A KR101862172B1 (ko) 2010-08-31 2010-08-31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31A KR101862172B1 (ko) 2010-08-31 2010-08-31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04A true KR20120020904A (ko) 2012-03-08
KR101862172B1 KR101862172B1 (ko) 2018-05-30

Family

ID=4612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31A KR101862172B1 (ko) 2010-08-31 2010-08-31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2090A (zh) * 2017-02-09 2017-06-13 中国科学院昆明动物研究所 3,4,7‑三羟基异黄酮或3‑甲氧基大豆素在制备抑制血小板聚集和血栓药物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2090A (zh) * 2017-02-09 2017-06-13 中国科学院昆明动物研究所 3,4,7‑三羟基异黄酮或3‑甲氧基大豆素在制备抑制血小板聚集和血栓药物中的应用
WO2018145364A1 (zh) * 2017-02-09 2018-08-16 中国科学院昆明动物研究所 3,4,7-三羟基异黄酮或3-甲氧基大豆素在制备抑制血小板聚集和血栓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172B1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0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US8710027B2 (en) Method of using nutritional compounds dihydroquercetin (taxifolin) and arabinogalactan in combination with dihydroquercetin (taxifolin) to reduce and control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hypercholesterolemia
US20190167745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bean extract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vascular health and method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vascular health
US20140234450A1 (en)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KR101055337B1 (ko) 오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JP2016506381A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むカテキン生体利用率増進剤
JP2013501774A (ja) アテローム性動脈硬化症などの心血管障害の処置のためのピクノジェノールまたはブドウ種子などの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とCentellaasiaticaとの組み合わせ
KR101886350B1 (ko) 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US8652538B2 (en)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change in muscle type
US1118555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reperfusion injury comprising bile acids
KR20120020904A (ko)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을 포함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KR100547366B1 (ko) 천궁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9768B1 (ko) 유크레스타플라본 a를 포함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8968802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olored-bean extract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20160068238A (ko) 파나세노시드를 함유하는 대사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6253A (ko)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대사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099945A (ko)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3263A (ko)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40002453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1218458B1 (ko) 누트카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9672A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9831A (ko) 감잎 에탄올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110207A (ko) 옥미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10108751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4

Effective date: 2018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