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850A -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850A
KR20120020850A KR1020100084738A KR20100084738A KR20120020850A KR 20120020850 A KR20120020850 A KR 20120020850A KR 1020100084738 A KR1020100084738 A KR 1020100084738A KR 20100084738 A KR20100084738 A KR 20100084738A KR 20120020850 A KR20120020850 A KR 2012002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ssembly
refrigerator
shelf assembly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850A/ko
Publication of KR2012002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의 전반과 후반을 구성하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선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 Refrigerator having shelf assembly }
본 발명은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통상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에 의해 구획되어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에는 선반과 서랍과 같은 다수의 수납장치가 구비되며, 이들 수납장치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 내부가 구획된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한 수납장치에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선반의 경우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어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선반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선반의 전반과 후반을 구성하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선반 어셈블리;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선반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전반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선반 지지홈에 좌우 양측단이 수용되는 제 1 선반;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후반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선반 지지홈에 좌우 양측단 수용되는 제 2 선반;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을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 2 선반 또는 제 1 선반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부재를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선반 지지홈의 상하 간격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선반의 좌우측 전단에는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1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반의 좌우측 후단에는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2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의 장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선반 또는 제 2 선반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제 1 선반의 인출입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 지지홈에는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이 정위치에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안착부와 슬라이딩 지지부재 그리고, 제 2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되는 구속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 지지홈은 상기 저장공간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선반 또는 제 2 선반의 좌우 양측면에는 함몰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제 1 선반의 인출입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전방 수용부와 후방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구름운동하는 구름부와,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구름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선반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선반 및 제 2 선반은 식품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는,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이 연결부재에 의해 링크 결합되며, 고내에 형성되는 선반 지지홈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 중 다른 하나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은 계단과 같은 구조로 단차지게 되어 높이가 다른 식품의 수납이 용이하게 되어 수납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뒤쪽은 제 2 선반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많은 수의 식품이 수납되더라도, 제 2 선반에 수납된 식품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으로 개구된 선반 지지홈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가 출입될 수 있어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을 통해 상기 선반을 계단식 구조로 배치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한층더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가 수평 상태로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제 1 선반이 제 2 선반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제 1 선반이 제 2 선반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냉장고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반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리어(11)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13)과 냉동실(12)의 내측에는 다양한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수납부재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3)과 냉동실(12)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각각 냉장실(13)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12)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13)과 냉동실(12)을 독립적으로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3)과 냉동실(12)의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30)과 선반(6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30)은 상기 냉장실(13)과 냉동실(12)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60)은 상기 서랍(30)의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30)과 선반(6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장착위치를 조절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선반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냉동실에 구비되는 선반 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선반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실(13)에는 상기 다수의 선반(6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 벽면에 선반 지지홈(40)이 형성된다. 상기 선반 지지홈(40)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13)의 후측에서 상기 냉장실(13)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지지홈(40)은 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선반(60)이 전후방으로 인출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선반(60)이 전방에서 삽입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지지홈(40)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상하 간격은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73)의 연결구(731,732)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 지지홈(40)은 상기 냉장실(13)의 내부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리어(11)의 일측면과 인케이스의 일측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지지홈(40)에는 다수의 구속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41)는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선반 어셈블리(70)의 장착시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 1 안착부(711)와 연결부재(73) 그리고 제 2 안착부(721)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41)는 상기 제 1 안착부(711)와, 연결부재(73) 그리고 제 2 안착부(72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 지지홈(40)에 장착되는 선반(6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다수의 선반(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래에서 설명할 선반 어셈블리(7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어셈블리(70) 외에 일반적인 선반(61)의 형상과 같은 선반(61)이 상기 선반 어셈블리(70)와 함께 상기 다수의 선반 지지홈(4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반 어셈블리(70)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70)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제 1 선반(71)과, 상기 선반 어셈블리(70)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제 2 선반(72)과, 상기 제 1 선반(71)과 제 2 선반(7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선반(71)은 상기 냉장실(13)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반(71)은 전체가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식품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선반(71)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선반(71)의 좌우 양측면 전단에는 제 1 안착부(7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711)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선반(71)의 장착시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선반(71)의 장착시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상기 제 1 안착부(711)가 위치되어 상기 제 1 선반(7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안착부(711)는 상기 제 1 선반(71)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제 1 선반(71)의 측단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711)는 롤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상기 제 1 선반(71)의 인출입을 원할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선반(71)의 좌우 양측면 후단에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7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712)에는 상기 연결부재(73)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 연결부재(713)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의 장착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1 선반(71)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는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제 1 선반(7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뿐 상기 제 1 선반(71)을 지지하지는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반(71)이 상기 제 2 선반(72)의 상방과 하방으로 배치될 때에는 상기 연결부재(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는 상기 제 1 안착부(7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선반(71)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는 상기 연결부재 전반부의 연결구(731)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구(712)에 체결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1 선반을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1 선반(71)과 제 2 선반(72)을 연결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73)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선반(71)과 제 2 선반(72)에 각각 링크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731,732)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731,732)는 원형 또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와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73)가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재(73) 전단과 후단의 연결구(731,732)의 사이 거리는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상하 간격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선반(71)이 상기 제 2 선반(72)보다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 선반(72)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70)의 후반부 형상을 형성하며, 전체 상기 선반 어셈블리(70)의 절반크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선반(72) 또한 전체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식품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반(72)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고내 식품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선반(72)의 양측면 전단에는 연결부재(73)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선반(72)의 양측면 후단에는 제 2 안착부(7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3)와 제 2 안착부(721) 사이의 상기 제 2 선반(72)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73) 및 상기 연결부재(73)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7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내부(722)는 상기 제 2 선반(72)의 양측면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722)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연결부재(73)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상기 연결부재(73)의 길이보다는 다소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722) 내측의 상하 폭은 상기 연결부재(73)의 일부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722)는 내측의 공간보다 개구된 부분의 상하폭이 더 좁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722) 내측에 수용된 상기 연결부재(73)의 일부가 탈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722)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부(722)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재(73)의 일구성인 구름부(741)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전방 수용부(722a)와 후방 수용부(722b)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수용부(722a)는 상기 안내부(722)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 수용부(722b)는 상기 안내부(722)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수용부(722a)와 후방 수용부(722b)는 상기 구름부(74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재(73)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는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삽입되지 않고 단순하게 상기 연결부재(73)가 상기 제 1 선반(71)의 양측면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선반(71)의 후단은 상기 제 2 선반(72)과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73)에 의해 상기 제 2 선반(72)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2 선반(72)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제 2 선반(72)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 선반(72)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722)의 내측에서 구름운동하는 구름부(741)와, 상기 구름부(741)와 결합되는 결합부(742)와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안착되는 지지부(7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름부(741)는 상기 안내부(722)의 내측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741)는 다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결합부(742)와 축결합되어 상기 결합부(74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42)는 상기 지지부(743)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구름부(741)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742)는 상기 연결부재(73) 후반부의 연결구(732)를 관통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2 선반(72)에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743)는 상기 결합부(742)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반(72)의 원활한 인출입을 위해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선반(71)에 고정된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1 선반(71)의 인출입에 따라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선반(7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 및 연결부재(73)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1 선반(71)의 인출입에 따라서 상기 안내부(722)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721)는 상기 제 2 선반(72)의 양측면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721)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반(72)의 장착시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선반(72)의 장착시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에 상기 제 2 안착부(721)가 위치되어 상기 제 2 선반(72)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안착부(721)는 상기 제 2 선반(72)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제 2 선반(72)의 측단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안착부는 롤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내측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상기 제 2 선반(72)의 인출입을 원할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선반 어셈블리의 인출입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가 수평 상태로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제 1 선반이 제 2 선반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제 1 선반이 제 2 선반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 어셈블리(70)가 일반적인 선반(60)과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선반(71)과 제 2 선반(72)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제 2 선반(72)의 양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안내부(722)의 후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3)의 구름부(741)는 상기 후방 수용부(722b)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선반(71)은 장착된 위치를 유지하여 사용 중 상기 제 1 선반(71)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선반(71)의 위치를 상기 제 2 선반(72)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선반(71)을 잡고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제 1 선반(71)을 당기게 되면, 상기 제 1 선반(71)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 1 안착부(711)는 상기 선반 지지홈(40)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3) 또한 상기 제 1 선반(71)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73)의 전방이동으로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안내부(722)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3)의 구름부(741)는 상기 안내부(722) 내측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 1 선반(71)을 일정거리만큼 인출하게 되면, 상기 제 1 안착부(711)가 상기 선반 지지홈(4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제 1 선반(71)의 인출시 상기 연결부재(73) 또한 전방으로 충분히 이동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반(71)을 더 인출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안내부의 전단에 구속된 상태로 제 2 선반(72)이 상기 제 1 선반(71)과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도 있다.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선반(71)을 인출하여 상기 제 1 안착부(711)가 상기 선반 지지부(743)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선반(71)을 회동시켜 상방의 선반 지지홈(40) 또는 하방의 선반 지지홈(4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선반 지지홈(40)으로부터 상기 제 1 선반(71)의 제 1 안착부(711)가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선반(71)의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선반(71)을 하방으로 내려, 상기 제 2 선반(72)이 장착된 선반 지지홈(40) 하방의 선반 지지홈(40)에 상기 제 1 안착부(711)를 삽입하여 상기 제 1 선반(71)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선반(71)을 후방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제 1 선반(71)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선반(71)은 상기 제 2 선반(72)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선반(72)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70)는 계단과 같이 단차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제 1 선반(71)에 높이가 높은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반(72)에 수납된 식품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반(71)을 상방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반 지지홈(40)으로부터 상기 제 1 선반(71)의 제 1 안착부(711)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선반(71)을 상방으로 올려, 상기 제 2 선반(72)이 장착된 선반 지지홈(40) 상방의 선반 지지홈(40)에 상기 제 1 안착부(711)를 삽입하여 상기 제 1 선반(71)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선반(71)을 후방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제 1 선반(71)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선반(71)은 상기 제 2 선반(72)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선반(72)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70)는 계단과 같이 단차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제 2 선반(72)에 높이가 높은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선반(71)의 상하방 이동에 의한 배치시 상기 연결부재(73)에 의해 상기 제 2 선반(72)과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반(71)의 후단은 상기 연결부재(73)에 의해 지지 되므로 상기 제 1 선반(71)은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부재(713)가 상기 선반 지지홈(40)에 구속되는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제 1 선반(71)의 높이 조절을 위한 인출시 상기 제 2 선반(72)은 인출되지 않고 최초의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 어셈블리(70)는 상기 냉장실(13)의 내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에 인접하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70)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공간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데, 두개의 상기 선반 어셈블리(70) 중 하방의 상기 선반 어셈블리(70)는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고, 상방의 상기 선반 어셈블리(70)는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게 되면, 상하방에 위치된 상기 제 1 선반(71)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선반(72)에는 일반적인 크기의 식품을 수납하고 제 1 선반(71)에는 높이가 높은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40. 선반 지지홈 70. 선반 어셈블리
71. 제 1 선반 72. 제 2 선반
73. 연결부재 74. 슬라이딩 지지부재

Claims (11)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선반 어셈블리;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선반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전반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선반 지지홈에 좌우 양측단이 수용되는 제 1 선반;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후반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선반 지지홈에 좌우 양측단이 수용되는 제 2 선반; 및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을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 2 선반 또는 제 1 선반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선반 지지홈의 상하 간격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반의 좌우측 전단에는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1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반의 좌우측 후단에는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2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의 장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반 또는 제 2 선반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제 1 선반의 인출입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홈에는 상기 제 1 선반과 제 2 선반이 정위치에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안착부와 슬라이딩 지지부재 그리고, 제 2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되는 구속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홈은 상기 저장공간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반 또는 제 2 선반의 좌우 양측면에는 함몰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제 1 선반의 인출입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전방 수용부와 후방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구름운동하는 구름부와,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구름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반 지지홈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선반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반 및 제 2 선반은 식품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100084738A 2010-08-31 2010-08-31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KR20120020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738A KR20120020850A (ko) 2010-08-31 2010-08-31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738A KR20120020850A (ko) 2010-08-31 2010-08-31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50A true KR20120020850A (ko) 2012-03-08

Family

ID=4612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738A KR20120020850A (ko) 2010-08-31 2010-08-31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8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71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16329A1 (en) * 2020-05-26 2021-12-01 Whirlpool Corporation Shelf assembly for an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71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16329A1 (en) * 2020-05-26 2021-12-01 Whirlpool Corporation Shelf assembly for an appliance
US11578909B2 (en) 2020-05-26 2023-02-14 Whirlpool Corporation Shelf assembly for an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916B2 (en) Refrigerator
KR102595327B1 (ko) 냉장고
KR101584808B1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40261B1 (ko) 냉장고
EP2438373B1 (en) Refrigerator
KR102472387B1 (ko) 냉장고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2728284A2 (en) Refrigerator
JP6599458B2 (ja) 冷蔵庫
KR102174511B1 (ko)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20130257253A1 (en) Crisper pan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US20130257254A1 (en) Crisper pan guide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US10928123B2 (en) Refrigerator
KR20130039436A (ko) 냉장고
KR20130045441A (ko) 냉장고
KR1017613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1024912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20130053593A (ko) 냉장고
KR20120020850A (ko)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21453B1 (ko) 냉장고
KR20170138321A (ko) 냉장고
KR101639448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KR101654933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KR20100071374A (ko) 냉장고 수납부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