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270A -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270A
KR20120020270A KR1020100083782A KR20100083782A KR20120020270A KR 20120020270 A KR20120020270 A KR 20120020270A KR 1020100083782 A KR1020100083782 A KR 1020100083782A KR 20100083782 A KR20100083782 A KR 20100083782A KR 20120020270 A KR20120020270 A KR 2012002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rgo
pipe
energy
rotating body
energy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589B1 (ko
Inventor
이정한
곽태옥
황윤식
문영식
최동규
강동억
이창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화물을 화물창 내에 선적하는 과정에서 액체 화물이 기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관의 하부에 회전체와 발전기 등의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따라, 배관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화물창으로 선적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가 포함되되, 액체 화물의 낙하에너지를 회전체가 회전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생된 회전력을 발전기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RECOVERY FROM PROCESS LOADING OF LIQUID CARGO}
본 발명은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액체 화물을 화물창 내에 선적하는 과정에서 액체 화물이 기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관의 하부에 회전체와 발전기 등의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화물을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선적하기 위해서 화물창 내에 구비된 배관을 통해 자유 낙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화물을 화물창에 선적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체 화물을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선적하는 구조는 상부에서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된 배관(10)과 상기 배관(10)을 따라 화물창(60)에 자유 낙하하여 적재되는 액체 화물(A)과 배관(10)을 따라 자유 낙하하는 과정에서 기화된 액체 화물(B)을 회수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배관 상부에 별도의 작은 배관을 대기 중으로 연결시켜 두지 못할 경우, 자유낙하 하는 액체 화물의 자중으로 인해 배관 상부 측에 음압이 형성되어, 결국 배관 내의 압력이 증발압력까지 떨어짐으로 인해 액체 화물의 기화 현상이 발생하고, 팽창된 기체의 배관 내 이동은 배관 내 압력 손실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기화된 액체 화물은 그 저감 방안이나 회수 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기체 화물의 대기중 방출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뿐 아니라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화된 기체 화물을 회수하는 장비를 구비하여, 응축시킨 후 다시 화물창으로 주입하는 것과,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감압 현상을 개선하여 근본적으로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근본적으로 배관 내 액체 화물의 자중으로 인한 상부 측 감압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는 배관 하부 측 끝 단부의 정압을 충분히 높여 줌으로써 가능하며,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공동현상(Cavitation)을 줄일 수 있는 특수한 밸브를 설치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그러나 밸브 끝단에서 증가된 압력은 밸브를 통과하면서 화물창 하부 측의 압력으로 다시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때의 압력 차이와 이에 대응하는 유량으로 산정할 수 있는 운동에너지는 액체 화물에 그대로 잔존하여 액체 화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화물창 바닥 면 등과의 충돌 등으로 기화의 요인으로 남게 된다. 이렇게 액체 화물의 일부가 기화되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화물창 내로 유입되거나 대기로 처리 없이 방출되면 화물의 손실 및 대기 오염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처리를 통한 회수를 해야 하는데 별도의 규모가 큰 회수 장치가 요구되어 이것은 설치공간상 및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설계상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배관 내 정압을 상승시키기 위해 배관 끝단에 밸브를 설치하는 등의 고안이 가능하나, 밸브를 지나는 액체 화물이 흡수하게 되는 운동에너지 및 이로 인한 액체 화물의 온도 상승 등의 부작용을 완벽하게 해소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현상과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화물의 운동에너지를 발전장치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축적 또는 방전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배관 내 기화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액체 화물 내에 잔존하게 되는 운동에너지 등의 소산 에너지를 제거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유 적재 파이프 하단에 회전체와 발전기 등의 발전 설비를 설치하여, 원유 적재 파이프 내의 압력을 원유의 증발점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조절함으로써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저감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의 날개각도와 같은 내부형상과 발전기 측의 자동 제어를 통해 필요한 정압이 배관 내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는, 배관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화물창으로 선적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가 포함되되, 액체 화물의 낙하에너지를 회전체가 회전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생된 회전력을 발전기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정압 값의 변화를 계측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값을 조종하여 정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정압계측센서를 더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절곡부의 정압 값의 변화를 계측하는 정압계측센서와, 상기 배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압계측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 액체 화물을 직접 화물창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 유도하거나 또는, 화물창과 회전체 양측으로 유도하게 조정되는 3방향밸브를 더 포함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체는 외주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배관의 필요 정압 값에 따라 각도가 다르게 형성되게 구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배터리가 더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방전하는 전선이 더 구비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은, 배관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화물창으로 선적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에 있어서, 낙하하는 액체 화물의 낙하에너지를 회전체가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발전기가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액체 화물 내에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를 제거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기화량을 감소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값을 조정하여 상기 배관의 정압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배관 내의 압력을 액체 화물의 증발점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상기 회전체의 내부형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 및 발전기 중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체 전단 상기 배관 내부에서 필요한 정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액체 화물의 운동에너지를 발전장치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축적 또는 방전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배관 내 기화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액체 화물 내에 잔존하게 되는 운동에너지 등의 소산 에너지를 제거하여 액체 화물의 기화량 감소를 극대화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은 원유 적재 파이프 하단에 회전체와 발전기 등의 발전 설비를 설치하여, 원유 적재 파이프 내의 압력을 원유의 증발점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조절함으로써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저감함에 따라 대기 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은 회전체의 날개각도와 같은 내부형상과 발전기 측의 자동 제어를 통해 필요한 정압이 회전체 전단 배관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작동의 편리성과 함께 작업의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화물을 화물창에 선적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의 배관의 정압 변화와 발전기의 발전량과의 관계를 보인 개략도,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에 3방향밸브를 설치하여 정압 변화와 3방향밸브의 액체 화물 유도방향의 관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의 배관의 정압 변화와 발전기의 발전량과의 관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서 액체 화물(A)을 배관(10)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화물창(60)으로 선적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체(Turbine; 20)와,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20)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복수의 날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배관(10)의 하부에 상기 배관(10)을 따라 낙하하는 액체 화물(A)이 이동하는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화물(A)의 낙하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액체 화물(A)의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관(10) 내부의 정압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액체 화물(A) 내에 잔존하게 되는 운동에너지 등의 소산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제거하고, 배관(10) 내의 감압 현상으로 상기 액체 화물(A)이 휘발점 또는 증발점 이하로 감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액체 화물(A)의 기화량의 감소를 극대화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20)는 수력발전 또는 터빈기관 등에서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공지된 구성의 회전체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발전기(30)는 상기 회전체(2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받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30)는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전기 충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30)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할 수도 있고, 전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30)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외부로 방전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이고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상기 발전기(30)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축적하거나 방전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는 정압계측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압계측센서(50)는 상기 배관(10)의 내부에서의 상기 액체 화물(A)의 정압 값을 계측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정압계측센서(50)는 상기 회전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액체 화물(A)의 유속을 조절함에 따라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을 유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a를 참조하여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를 높여 액위를 낮춤으로써 계측된 정압 값이 높아지게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도 2c를 참조하여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를 줄여 액위를 높임으로써 상기 정압 값이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2b는 도 2a에서 도 2c로 진행되는 중간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속도는 도 2a와 도 2c의 중간 속도로 진행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 그에 따라 상기 발전기(30)에서 생성되는 발전량도 함께 조절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가 낮아지면 상기 발전기(30)의 발전량도 낮아지고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속도가 높아지면 상기 발전기(30)의 발전량도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에 3방향밸브를 설치하여 정압 변화와 3방향밸브의 액체 화물 유도방향의 관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은 하부로 상기 회전체(20)의 선측에 3방향밸브(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3방향밸브(70)는 선측이 상기 배관(10)의 상부와 연결되고 후측은 제1, 2배관(10a, 10b)이 2방향으로 나눠지게 하여 상기 배관(10)을 따라 낙하하는 상기 액체 화물(A)이 나눠진 2방향의 제1, 2배관(10a, 10b) 중 어느 한 방향 또는 모두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3방향밸브(70)에 의해 나눠진 상기 제1, 2배관(10a, 10b) 중 제1배관(10a)은 상기 화물창(60)으로 직접 연결되고 나머지 제2배관(10b)은 상기 회전체(20)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방향밸브(70)는 상기 정압계측센서(50)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정압계측센서(50)가 계측하는 정압 값에 따라 상기 액체 화물(A)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3a를 참조하여,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액체 화물(A)이 상기 제2배관(10b)으로 유도되어 상기 회전체(20)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액체 화물(A)의 액위를 낮춰 상기 배관(10)의 정압 값이 높아지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여,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과 같으면 상기 제1, 2배관(10a, 10b)을 모두 개방하여 정압 값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도 3c를 참조하여, 계측된 정압 값이 기 설정된 정압 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제1배관(10a)으로 상기 액체 화물(A)을 유도함에 따라 액위가 높아지게 하여 정압 값이 낮아지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기(30)의 발전량은 도 3a에서 도 3c 과정으로 진행되면서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a, 2b, 2c를 참조하여, 배관을 따라 낙하하는 액체 화물의 낙하에너지를 상기 배관(10)과 연결된 회전체(20)가 회전에너지로 전환하고 상기 회전체(20)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발전기(30)가 상기 회전체(20)에서 발생되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발전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미도시)로 전달하여 축적하거나 또는 상기 발전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미도시)으로 전달하여 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전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액체 화물(A)이 화물창(60)에 적재되어도 상기 액체 화물(A) 내에 잔존하게 되는 운동에너지 등의 소산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액체 화물(A)의 기화량의 감소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관(10)의 내부 정압 값을 계측하는 정압계측센서(50)를 설치하여 계측되는 정압 값에 따라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값을 조정함에 따라 상기 액체 화물(A)의 액위를 조정함으로써, 정압을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3a, 3b, 3c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관(10)에 3방향밸브(70)를 설치하고 상기 정압계측센서(50)의 정압 값에 따라 상기 액체 화물(A)의 이동방향을 도 3a와 같이 회전체(20)로 유도하는 것과, 도 3b와 같이 화물창(60)과 회전체(20)로 양분되게 유도하는 것과, 도 3c와 같이 직접 화물창(60)으로 유도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하여 액위를 조정함으로써, 정압을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당업자에 따라 상기 정압계측센서(50)가 상기 회전체(20) 또는 발전기(30) 중 하나를 조정하거나 상기 회전체(20)와 발전기(30) 모두를 조정하게 하여 정압을 유지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배관
20: 회전체
30: 발전기
50: 정압계측센서
60: 화물창
70: 3방향밸브

Claims (8)

  1. 배관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화물창으로 선적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가 포함되되,
    액체 화물의 낙하에너지를 회전체가 회전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생된 회전력을 발전기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정압 값의 변화를 계측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값을 조종하여 정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정압계측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정압 값의 변화를 계측하는 정압계측센서와,
    상기 배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압계측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 액체 화물을 직접 화물창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 유도하거나 또는, 화물창과 회전체 양측으로 유도하게 조정되는 3방향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외주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배관의 필요 정압 값에 따라 피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배터리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전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6. 배관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화물창으로 선적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에 있어서,
    낙하하는 액체 화물의 낙하에너지를 회전체가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발전기가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액체 화물 내에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를 제거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기화량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값을 조정하여 상기 배관의 정압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배관 내의 압력을 액체 화물의 증발점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내부형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 및 발전기 중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체 전단 상기 배관 내부에서 필요한 정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방법.
KR1020100083782A 2010-08-30 2010-08-30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72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82A KR101722589B1 (ko) 2010-08-30 2010-08-30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82A KR101722589B1 (ko) 2010-08-30 2010-08-30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270A true KR20120020270A (ko) 2012-03-08
KR101722589B1 KR101722589B1 (ko) 2017-04-12

Family

ID=4612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82A KR101722589B1 (ko) 2010-08-30 2010-08-30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260B1 (ko) * 2017-09-29 2019-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219A (ja) * 2001-12-28 2003-09-10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水道管用水力発電設備
KR20070097001A (ko) * 2007-09-10 2007-10-02 주식회사 신한정공 수도관 차압을 이용한 소수력발전용 수차
KR20100065815A (ko) * 2008-12-09 2010-06-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력을 이용한 선박의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219A (ja) * 2001-12-28 2003-09-10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水道管用水力発電設備
KR20070097001A (ko) * 2007-09-10 2007-10-02 주식회사 신한정공 수도관 차압을 이용한 소수력발전용 수차
KR20100065815A (ko) * 2008-12-09 2010-06-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력을 이용한 선박의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260B1 (ko) * 2017-09-29 2019-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589B1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5415C (en) Direct drive wind turbine
US20120217748A1 (en) Wind turbine stand still load reduction
CN101981306A (zh) 用于深水中的离岸风能转换系统
US9856855B2 (en) Disablement of wind turbines in a wind park
JP2004218436A (ja) 風力発電装置
KR101179277B1 (ko) 나셀 펜스를 갖는 풍력발전기
EP2659564B1 (en) Reactive power management for wind power plant internal grid
CN102016294A (zh) 波浪发电设备及传动装置
KR20110079626A (ko) 보호된 터빈을 갖는 컬럼 구조체
US20070177977A1 (en) Horizontal multi-blade wind turbine
CN108730128A (zh) 风力发电系统
KR101138525B1 (ko) 풍력발전기
JP5120738B1 (ja) 風力、波力、潮力併用発電装置
KR20120020270A (ko) 액체 화물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KR20130048102A (ko) 풍력발전기의 고유진동수 조절장치
CN112302891A (zh) 用于风力涡轮的机舱组件
CA2748766C (en) Downwind type wind turbine
KR20100040780A (ko) 타워형 풍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JP2012092816A (ja) 風力発電装置
KR101375217B1 (ko) 풍력발전장치
KR101346175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조립로봇
JP4155949B2 (ja) 水力発電施設
KR101556189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시스템
JP2015222024A (ja) 水上発電装置及び水上風力発電装置
KR20130115595A (ko) 풍력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