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060A - 제품 도포구용 링거, 그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으로 어셈블리의 용도 - Google Patents

제품 도포구용 링거, 그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으로 어셈블리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060A
KR20120020060A KR1020110084080A KR20110084080A KR20120020060A KR 20120020060 A KR20120020060 A KR 20120020060A KR 1020110084080 A KR1020110084080 A KR 1020110084080A KR 20110084080 A KR20110084080 A KR 20110084080A KR 20120020060 A KR20120020060 A KR 20120020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annular
diameter
container
inscri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셰발리에
장프랑수아 트랑샹
미리암 셰발리에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12002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45D40/26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with adjustable wip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45D34/04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with adjustable wip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Landscapes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내직경을 갖는 상부(12)와, 상기 제 1 내직경보다 작은 제 2 내접 원직경(D2)을 갖는 하부(15)와, 휴지상태에서 제 2 내직경과 적어도 같은 제 3 내직경을 갖는 중앙 스로트(26)를 이루는 하나의 내부 돌출 환형주름(14)을 형성하는 중간부(13)를 구비하는 링거가 제공된다. 환형주름은 상부와 하부 사이에 압박에 의해 중앙 스로트가 협소해지는 링거 위치로 변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도포구용 링거, 그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으로 어셈블리의 용도{Wringer for product applicator, application assembly comprising such a wringer, and its use in cosmetics}
본 발명은 제품 도포구용, 특히, 미용제품 도포구용 링거, 이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 특히, 속눈썹 메이크업을 하기 위한 어셈블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제품 (액체 또는 페이스트) 용기의 넥(neck)에 상호연동함으로써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제 1 내접 원직경을 갖는 상부와,
상기 제 1 내접 원직경 보다 작은 제 2 내접 원직경을 갖는 자유 하부와,
휴지위치에서 제 2 내접 원직경과 적어도 같은 제 3 내접 원직경을 갖는 중앙 스로트를 이루는 내측 돌출 환형주름을 형성하는 중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주름은 상부와 하부 사이 축방향 압박에 의해 휴지위치에서 중앙 스로트가 더 작은 링깅(wringing) 위치로 병형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스로트는 제 2 및 제 3 내접 원직경 보다 작은 제 4 내접 원직경을 상기 링깅위치에 갖는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에 관한 것이다.
참조문헌 JP-U-60 14351은 다수의 환형주름들을 구비하고 환형주름의 내부는 급속히 마스카라로 채워져 거기에 쌓여 상기 주름이 변형하지 못하게 하는 단점이 있는 마스카라 용기 어셈블리로 의도된 이런 타입의 링거의 예를 기술하고 있다. 링거는 침적된 마스카라로 인해 막히게 되어 작동을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링깅수단을 갖는 유체제품 패키징 어셈블리에서, 침적된 제품으로 인한 이 클로깅(clogging) 현상은 또한 넥(neck)에서 발생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도포구 헤드가 용기에 재도입될 때 링거의 상부가 도포구 헤드를 상대적으로 크게 압박하여 용기의 넥에 제품을 침적하게 하기 때문이다. 링거의 상부와 넥을 클로깅하는 이런 기타 경로는 특히 제품수명에 해로운데, 이는 결국 더 이상 넥이 적절히 밀봉되지 않고 제품 품질이 실질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캡을 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당 타입의 링거는 하나의 환형주름을 갖고, 제 3 내접 원직경이 제 2 내접 원직경보다 더 크다.
이 명세서에서, "내접 원직경"이란 용어는 통로를 이루는 벽의 내면에 내접한 원직경, 또는, 다시 말하면, 이 통로의 횡단면 내에 일치할 수 있는 최대 원의 직경을 의미한다. 해당 통로가 원 횡단면을 가지면, 이는 통로의 내직경과 정확히 일치한다.
상술한 제 4 내접 원직경은 임의의 고체 물체가 상기 환형주름이 좁아짐으로 방해받지 않는 링깅위치의 환형주름에서 통로를 이루는 벽의 내면에 대한 내접 원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내접 원직경의 개념이 여기서 사용되는데, 이는 몇몇 실시예에서, 브러쉬 및/또는 링거 및/또는 원드(wand)가 비원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링거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음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 하부는 상기 제 2 내접 원직경을 이루는 하단을 향해 수렴한다;
- 하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를 갖는다;
- 중간부의 원형 주름은 적어도 2개의 측면개구를 갖는다;
- 환형주름의 측면개구는 중앙 스로트에서 최대 폭을 갖는다;
- 제 3 내접 원직경은 제 1 내접 원직경 보다 작다;
- 하부는 제 1 내접 원직경보다 더 큰 외부 폭을 갖는, 중간부에 인접한, 상부를 갖는다;
- 중간부의 환형주름은 링깅위치에서 서로 가압하는 외부 돌출부를 중앙 스로트의 각 측면에 외부 돌출부를 갖는다;
- 링거는 적어도 하나의 합성재료로 된 단일 피스로서 사출 몰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상태(액체 또는 페이스트)로 제품을 도포하도록 설계된 도포구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품을 담으며 넥을 구비하는 용기와,
용기의 넥에 상부가 고정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링거와,
용기의 넥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설계된 캡과, 상기 캡이 넥에 장착될 경우 링거를 통해 캡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원드(wand)와, 제 2 내접 원직경보다 더 크고, 용기를 나가 링거를 지날 때, 제 2 내접 원직경보다 더 큰 폭을 갖고 용기를 떠나 링거를 지날 때 중간부의 환형주름을 축방향으로 압박하고 링깅위치에 배치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힘을 링거의 하부에 가하도록 설계된 도포구 헤드를 구비하는 도포구를 포함하는 유체상태의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의 도포구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로, 다음 수단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 기껏해야 제 2 내접 원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원드;
- 도포구 헤드가 하부를 지나 용기를 나갈 때 자체에 접히지 않도록 충분히 단단한 링거의 하부; 및
용기에 포함된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아이 새도우, 또는 미용 케어제품들 가운데 선택된 하나인 제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도포구 어셈블리.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특히, 속눈썹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사용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하기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거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링거가 휴지위치에 있는 도 1의 용기 어셈블리의 링거의 길이방향 횡단면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링거뿐만 아니라 링거가 휴지위치에 있는 도 1의 용기 어셈블리의 도포구의 원드와 브러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휴지위치에 있는 도 2 및 도 3의 링거의 위에서 본 3/4 사시도이다.
도 5는 휴지위치에 있는 도 2 내지 도 4의 링거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브러쉬가 컨테이너 어셈블리 용기를 나갈 때 링깅위치에서 링거를 도시한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7은 링깅위치에서 링거를 도시한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8은 링깅위치에서 링거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길이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링깅위치에서 링거의 평면도이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유체제품(액체 또는 페이스트), 특히, 속눈썹 마스카라로 의도된 카스카라와 같은 미용제품용 컨테이너 어셈블리(1)를 나타낸 것으로, 이 어셈블리(1)는
-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내부중앙개구(6)를 이루는 넥(5)과 하단(4) 사이에서 중심축(X)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측면 환형측벽(3)을 구비하는 용기(2)와,
- 도포구(7)를 구비한다.
도포구(7)는
- 넥(5)에 서로 탈착식으로 나사고정되거나 부착되는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료로 제조된 캡(8)과,
-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캡(8)에 의해 지지되는 원드(9)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원드(9)는 소정의 직경(d)(원드가 실린더형이 아닌 경우 원드의 횡단면에 외접한 원의 직경)을 가지며 도포구 헤드(10), 예컨대, 저장용기(2)에 담긴 마스카라(M)에 침지되는 가요성 합성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 브러쉬를 갖는 자유단부 아래로 용기(2)내에 축(X)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포구 헤드(10)는 폭(D)을 가지며, 특히 외직경(D)은 d보다 크다(D는 헤드가 실린더형이 아닌 경우 헤드(10)의 횡단면의 외경계 주위에 외접한 원의 직경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링거(11)는 단일피스 합성재료로 몰딩되고 축(X)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환형 슬리브 형태이다. 링거(11)는 가령 하나의 재료 또는 여러 재료로부터 사출 몰딩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종래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링거(11)를 구성하는 합성재료 또는 재료들은 예컨대 액체 실리콘, 폴리올레핀, 폴라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다. 링거용으로 가능한 재료들의 예로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SEBS, 폴리에틸렌, 산토프렌(Santoprene), 하이트렐(Hytrel), 에보프렌(Evoprene)이 있다. 단일 재료를 이용한 특히 이점적인 예는 45 Shore A 경도의 SEBS이다.
링거(11)는 3개의 연속부들, 즉,
- 용기의 넥(5)에 상호연동함으로써 고정되도록 설계된 상부(12)와,
- 단일 내부 돌출 환형주름(14)을 형성하는 중간부(13)와,
- 용기(2)로 뻗어 있는 자유 하부(15)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거의 상부(2)는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실린더형 환형 측벽(16)을 가질 수 있어, 넥(5)의 개구(6)에 단단한 상호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측벽(16)의 상부는 예컨대 넥(5)의 개구단부에 배열된 카운터싱크(18)에 끼워짐으로써 용기의 넥(5)의 개구단부와 축방향 접촉을 할 수 있는 칼라(17)로서 반경방향 외부로 뻗어있을 수 있다.
넥(5)의 중앙 개구(6)와 상부(12)의 측벽(16)의 외부면은 넥(5) 내에 상부(12)와 더 단단히 부착하도록 각각 상호연동함으로써 함께 끼워지는 상보적인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12)의 측벽(16)은 넥(5)의 내부에 환형주름(20)에 끼워지는 외부 환형리브(19)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의 넥(5)에 상부(12)의 부착을 기여하도록 측벽(16)의 외부면에 스터드가 또한 있을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의 상부(12)는 축(X) 주위로 정확한 원형 실린더를 이루는 내부통로를 이루며, 제 1 내직경(D1)을 갖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부(12)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 통로는 축(X) 주위로 정확한 원이 아닌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제 1 직경(D1)은 상기 내부 통로에 대한 내접 원직경일 수 있다. 직경(D1)은 예컨대 도포구 헤드(10)의 직경(D)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더 클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의 하부(15)는 용기(2) 안쪽 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넥(5)과 접촉하지 않게 뻗어 있다. 하부(15)는 절단된 원뿔을 닯은 하방수렴 벽(22)에서 용기(2)로 뻗어 있는 축(X)에 중심을 둔 실린더형 환형 벽(21)을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형 벽(21)의 내직경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상술한 제 1 직경(D1)과 동일할 수 있고, 실린더형 벽(21)의 외직경(D5)(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하부(15)의 상단 폭)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간부(13)의 환형주름(14)을 압박함으로써 두 단면들이 서로 이동될 경우 하부(15)가 축방향으로 상부(12)와 접하도록 제 1 직경(D1)보다 더 크다.
절단된 원뿔을 닯은 벽(22)의 환형 하단(23)은 제 1 직경(D1)보다 작은 제 2 직경(D2)을 갖는 원형 하부통로를 이룬다. 이는 하단(23)에 의해 이루어진 개구가 원이 아닐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직경(D2)은 이 개구내 내접 원직경일 수 있다. 제 2 직경(D2)은 실질적으로 원드(9)의 직경(d)과 일치하거나 이 직경(d)보다 아주 약간 더 크며 상기 제 2 직경(D2)은 모든 경우에서 도포구 헤드(10)의 직경(D)보다 작다. D2/D 비(比)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이다. 본 발명의 링거는 다양한 범위의 값들에 걸쳐 링깅 능력을 변하도록 할 수 있는, 특히, D2/D 비(比)가 낮을 때 더 큰 링깅 능력을 갖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거는 도포구 헤드의 형태와 무관하게 "블레이드(blade)" 타입 링거의 링깅 능력과 유사한 링깅 능력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소정의 링깅 능력을 달성하면서 쉽게 중앙 스로트(26)의 형태를 도포구 헤드의 형태로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링거는, 구조와 사용된 재료의 타입이 무엇일지라도, 특히, 유체상태(액체 또는 페이스트)의 제품 및 더 특별하게는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아이 새도우과 같은 미용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 또는 특히 눈 주위용 케어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임의의 타입의 링깅가능한 도포구 헤드의 형태와 호환될 수 있다.
이점적으로, 링거의 하부(15)는 축(X) 주위로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으로 분포된 하나 이상의 개구(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측면개구(24)는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개수가 4이다.
이들 측면개구(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린더형 측벽(21)에 배열될 수 있고 이점적으로 절단된 원뿔부(22)로 뻗을 수 있어, 하부(15)의 개구하단(23)에 접근한다.
측면개구(24)는 링깅 동안 용기(2)로 마스카라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하부(15)의 상단을 하부의 하단(23)에 연결하고 하부(15) 형태의 보전을 보장하는 저항컬럼을 이루는 고체부(24a)가 상기 측면개구(24a) 사이에 있다. 이를 위해, 하부(15)의 재료 타입, 컬럼(24a)의 폭, 하부(15)의 벽 두께(이 두께는 가능하게는 상술한 측벽(16)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중간벽(13)의 두께보다 더 큼)는 도포구 헤드가 용기(2)를 나갈 때 하부(15)가 상방으로 그 자체에서 뒤로 접히지 않도록 한다.
중간부(13)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X) 주위로 대칭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개구(25)를 구비한다. 이들 개구(25)는 또한 상기 축(X) 주위로 비대칭으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 개구(25)는 또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들 측면개구(25)는 개수가 4개이며, 실질적으로 마름모꼴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측면개구(25)는 각각, 예컨대, 실질적으로 중간부(13)의 전체 높이를 따라 각각 환형주름(14)의 중앙 스로트(26) 레벨에서 최대 수평폭을 가질 수 있고 상하방으로 더 좁아진다.
개구(25)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휴지위치에서 링깅위치로 이동할 때 환형주름(14)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중앙 스로트(26)에서 최대 폭을 갖는다.
따라서, 개구(25)의 분포와 각 개구(25)의 형태는 소정의 형태, 예컨대, 도시된 예에서 원과 같은 중앙 스로트를 얻도록 환형주름(14)에서 중간부(13)의 변형을 가이드한다.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 또는 삼각형과 같은 규칙적 다각형이 바람직하다.
이들 측면개구(25)는 상부(12)의 측벽(16) 하단을 하부(15)의 실린더벽(21) 상단에 각각 연결하는 수직암(27)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수직암(27) 각각은 상부의 측벽(16) 하단과 하부(15)의 실린더형 벽(21) 상단 각각으로부터 중앙 스로트(26)를 향해 안쪽으로 수렴하는 제 1 및 제 2 부(28,29)를 구비한다.
4개 수직암(27) 세트는 실질적으로 벽의 수렴/발산 시스템을 형성하며,암(27)의 제 1 부 세트는 실질적으로 하방 수렴하는 절단된 원뿔형인 벽을 형성하고, 암(27)의 제 2 부(29) 세트는 실질적으로 상방 수렴하는 절단된 원뿔형인 벽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암(27)의 제 1 및 제 2 부(28,29)는 중앙 스로트(26)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앙 주름(14)이 상부(12) 및 하부(15)를 함께 가까이 오게 함으로써 가압 받을 때 서로에 대해 접하도록 형성되는 외부 환형 리브(30)를 구비한다. 휴지위치로 링거의 복귀는 브러쉬가 링거에 더 이상 있지 않을 때 자동으로 발생한다.
링거의 휴지위치에서, 환형주름(14)의 중앙 스로트(26)는 거의 훤횡단면을 갖고 제 3 내접 원직경(D3)을 갖는 중앙 통로를 이룬다. 제 3 내접 원직경(D3)은 제 2 내접 원직경(D2)보다 더 크고 일반적으로 제 1 내접 원직경(D1)보다 약간 더 작다.
링거의 중간부(13)는 일반적으로 상부(12) 및 하부(15)보다 두께가 작아 상부(12) 및 하부(15)가 축방향으로 함께 가까이 다가올 때 암(27)의 내측 벤딩을 용이하게 한다. 동일한 목적으로, 링거(11)가 여러 합성재료로 제조될 경우, 중간부(13)는 상부(12) 및 하부(15)보다 더 큰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게 할 수 있다.
기술된 컨테이너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마스카라(M)를 자신의 속눈썹에 도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31) 방향으로 용기(2)로부터 링거(11)를 통해 도포구 헤드(10)를 물러나게 한다.
이 동작 동안, 도포구 헤드(10)의 강모 또는 마디(nub)는 강모가 이동할 때 휘어지는 하부의 하단(23)을 지날 때, 하부(15)를 위쪽으로 밀고 중간부(13)의 환형주름(14)을 압박함으로써, 도 6 내지 도 9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링거위치에 링거(11)를 둔다.
이 링거위치에서, 환형주름(114)의 축방향 압박은 이 환형주름의 중앙 스로트(26)을 더 협소하게 하고 이 환형주름의 측면개구(25)를 닫게 한다. 그런 후, 중앙 스로트(26)는 상술한 제 2 내접 원직경(D2)보다 작은 제 4 내접 원직경(D4)을 갖는다. 중앙 스로트(26)의 형태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와 처럼 실질적으로 휴지위치 및 링거위치에서 원형일 수 있으나, 이 형태는 비원형, 예컨대, 실질적으로 다각형일 수 있으며, 특히, 환형주름(14)이 본 명세서에 고려된 예에서와 같이 서로 90°이격된 4개의 개구(25)를 구비할 경우 정사각형 형태로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형주름(14)의 횡단면은 도포구 헤드의 횡단면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예컨대, 도포구 헤드(10)는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갖는 실린더일 수 있고 환형주름(14)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링거의 상하부(12,15)는 원드(9)가 없는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함께 가까이 이동할 경우를 의미하는 자유 상태에서, 제 4 내접 원직경(D4)은 실질적으로 원드(9)의 직경(d)과 같을 수 있으나, 중앙 스로트(26)가 도포구 헤드(10)를 스크레이핑하고 도포구 헤드가 나갈 때 과잉 마스카라를 제거하도록 직경(d) 보다 밀리미터의 수십 분의 1 (예컨대, 1 내지 2 밀리미터 미만)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스크레이핑된 과잉 마스카라는 환형주름(14)으로부터 아래로 흘러 하부(15)의 개구(24) 및 상기 하부(15)의 개구 하단(23)을 통해 용기(2)로 다시 들어간다.
이 단계 동안, 하부(15)는 상방으로 자체에 뒤로 접히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형태의 보전을 보유하고, 이 하부(15)는 또한 상부(12)의 하단에 대해 다가오는 상기 하부(15)의 상단과 서로 접촉하고 반경방향면에 환형주름(14)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환형주름(14)상에 스톱(stops)으로서 작용하는 리브(30) 또는 다른 돌출부로 인해 축 평행이동에 의한 상부(12)의 내측 상승이 방지된다.
도포구 헤드(10)가 나간 후, 링거(11)는 탄성으로 인해 휴지위치로 되돌아오고, 사용자가 도포구(7)를 사용을 마치면, 사용자는 링거(11)를 통해 용기로 도포구 헤드(10)를 다시 삽입함으로써 용기(2)로 복귀시킨다. 도포구 헤드(10)가 재진입하면, 용기 내측을 향해 하부(23)를 바이어스시켜 중간부의 환형주름(14)이 실질적으로 상기 환형주름이 그다지 표명되지 않는 휴지위치를 유지한다. 이런 상황하에서, 도포구 헤드(10)는 링거(11)를 통해 용기로 지날 때 거의 전혀 링깅을 받지 않고, 또한, 휴지상태에서 링거(11)의 형태는 상기 도포구 헤드(10)가 용기로 다시 들어갈 때 링거의 내부 표면 클리닝에 기여하게 한다. 이들 배열들은 마스카라가 넥 또는 링거에 남이 있어 거기에서 굳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거는 다양한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제품의 전체 수명 내내 변함없는 링깅을 유지한다.
1. 컨테이너 어셈블리
2. 용기
3. 환형측벽
4. 하단
5. 넥
6. 내부중앙개구
7. 도포구
8. 캡
9. 원드
10. 도포구 헤드
11. 링거
14. 환형주름
15. 자유 하부
16. 환형측벽
17. 칼라
18. 카운터싱크
19. 환형리브
20. 환형주름
21. 실린더형 환형벽
22. 하방 수렴 벽
23. 하단
24. 측면개구
25. 개구
26, 중앙 스로트
27. 수직암
28. 제 1 부
29. 제 2 부
30. 외부 환형 리브

Claims (13)

  1. 제품 용기(2)의 넥에 상호연동함으로써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제 1 내접 원직경(D1)을 갖는 상부(12)와,
    상기 제 1 내접 원직경(D1)보다 작은 제 2 내접 원직경(D2)을 갖는 자유 하부(15)와,
    휴지위치에서 적어도 제 2 내접 원직경(D2)과 같은 제 3 내접 원직경(D3)을 갖는 중앙 스로트(26)를 이루는 내측 돌출 환형주름(14)을 형성하는 중간부(13)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주름(14)은 상부 및 하부(12,15) 사이에서 축방향 압박에 의해 상기 중앙 스로트(26)가 휴지위치에서보다 더 작은 링깅위치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스로트(26)는 상기 링깅위치에서 제 2 및 제 3 내접 원직경(D2,D3)보다 작은 제 4 내접 원직경(D4)을 가지며,
    단지 하나의 환형주름만 있고,
    제 3 내접 원직경(D3)이 제 2 내접 원직경(D2) 보다 더 큰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15)는 상기 제 2 내접 원직경(D2)을 이루는 하단(23)을 향해 수렴하는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15)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24)를 갖는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부의 환형주름(14)은 적어도 2개의 측면개구(25)를 갖는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5. 제 4 항에 있어서,
    환형주름의 측면개구(25) 각각은 중앙 스로트(26)에서 폭이 최대인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내접 원직경(D3)은 제 1 내접 원직경(D1) 보다 작은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15)는 제 1 내접 원직경(D1) 보다 외부 폭(D5)이 더 큰 중간부(13)에 인접한 상부(21)를 갖는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8.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부의 환형주름(14)은 링깅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접한 중앙 스로트의 각 측면에 외부 돌출부(30)를 구비하는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합성재료로 된 단일 피스로서 사출 몰딩된 환형 슬리브 형태의 링거.
  10. 제품을 담으며 넥(5)을 구비하는 용기(2)와,
    상부(12)가 용기의 넥(5)에 고정되는 제 1 항에 따른 링거(11)와,
    용기의 넥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설계된 캡(8)과, 상기 캡이 넥에 장착될 때 링거(11)를 통해 캡으로부터 뻗어 있는 원드(9)와, 제 2 내접 원직경(D2)보다 더 큰 폭(D)을 갖고 용기(2)를 떠나 링거(11)를 지날 때 중간부의 환형주름(14)을 축방향으로 압박하고 링깅위치에 배치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힘을 링거의 하부(15)에 가하도록 설계된 도포구 헤드(10)를 구비하는 도포구(7)를 구비하는 유체상태의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원드(9)는 제 2 내접 원직경(D2)과 거의 같은 직경(d)을 갖는 도포구 어셈블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용기(2)에 담긴 상기 제품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품은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아이 새도우, 또는 미용 케어 제품 가운데 선택되는 도포구 어셈블리.
  13.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특히 속눈썹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제 10 항에 따른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용도.
KR1020110084080A 2010-08-27 2011-08-23 제품 도포구용 링거, 그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으로 어셈블리의 용도 KR20120020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6828A FR2964022B1 (fr) 2010-08-27 2010-08-27 Essoreur pour applicateur de produit, ensemble d'application comprenant un tel essoreur,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1056828 2010-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060A true KR20120020060A (ko) 2012-03-07

Family

ID=4401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080A KR20120020060A (ko) 2010-08-27 2011-08-23 제품 도포구용 링거, 그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으로 어셈블리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26207B2 (ko)
JP (1) JP2012045390A (ko)
KR (1) KR20120020060A (ko)
CN (1) CN102379514A (ko)
DE (1) DE102011081267A1 (ko)
FR (1) FR2964022B1 (ko)
GB (1) GB2483150B (ko)
IT (1) ITMI20111534A1 (ko)
NL (1) NL20073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66B1 (ko) * 2016-07-01 2018-06-14 (주)연우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
WO2020097323A1 (en) * 2018-11-07 2020-05-14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container with a capped seal
US11234506B2 (en) 2020-04-30 2022-02-01 L'oreal Makeup applicator having a wiper with multiple wiping elements
FR3112068B1 (fr) * 2020-07-01 2023-11-10 Oreal APPLICATEUR DE MAQUILLAGE DOTé D’UN ESSUYEUR AVEC DE MULTIPLES éLéMENTS D’ESSUYAG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0704A1 (de) 1974-01-08 1975-07-17 Dahm Klaus Peter Kosmetischer stift, insbesondere lidschattenzeichner
US4241743A (en) * 1979-03-13 1980-12-30 Noxell Corporation Adjustable wiper container and applicator assembly for cosmetics and the like
US4390298A (en) 1981-10-21 1983-06-28 Carluccio John F Universal wiper plug for liquid cosmetic products
FR2515941A1 (fr) * 1981-11-06 1983-05-13 Oreal Ensemble de maquillage a organe d'essorage reglable
FR2545008A1 (fr) 1983-04-27 1984-11-02 Snap Duroc Sa Applicateur de produit fluide a essorage reglable
US5099584A (en) * 1990-11-05 1992-03-31 Williams John H Self wiping dipstick
FR2679425B1 (fr) 1991-07-25 1993-10-08 Lvmh Recherche Dispositif d'essorage d'une brosse ou analogue et recipient avec brosse pour le maquillage des cils, equipe de ce dispositif.
JP2512873Y2 (ja) 1991-08-20 1996-10-02 丸井産業株式会社 建設工事用吊足場の手摺りパイプ取付金具
FR2753058B1 (fr) 1996-09-10 1998-10-16 Oreal Ensemble d'application de produit liquide ou semi liquide
DE19744181B4 (de) * 1997-10-07 2014-02-06 Geka Gmbh Kosmetik-Einheit
US6010265A (en) * 1998-04-23 2000-01-04 Color Access, Inc. Unidirectional cosmetic wiper
FR2793218B1 (fr) * 1999-05-07 2001-07-13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un produit cosmetique
JP2004187878A (ja) 2002-12-10 2004-07-08 Kao Corp 液体化粧料容器
KR100514943B1 (ko) 2003-11-04 2005-09-15 임흥호 화장품 용기
DE102008052895B3 (de) * 2008-10-23 2010-02-04 Geka Brush Gmbh Kosmetikeinheit mit verstellbarem Abstrei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111534A1 (it) 2012-02-28
NL2007307A (nl) 2012-02-28
DE102011081267A1 (de) 2012-03-08
CN102379514A (zh) 2012-03-21
FR2964022A1 (fr) 2012-03-02
GB2483150B (en) 2015-03-11
GB201114381D0 (en) 2011-10-05
FR2964022B1 (fr) 2012-08-31
JP2012045390A (ja) 2012-03-08
US8926207B2 (en) 2015-01-06
GB2483150A (en) 2012-02-29
US20120048824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6484C2 (ru) Апплика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US8523469B2 (en)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EP2091383B1 (en) Wringing-out member and device comprising such a member
JP6183796B2 (ja) 液剤容器用キャップ
US20170311699A1 (en)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EP3107818B1 (en) Pouring spout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2012527305A (ja) 圧縮可能な化粧品アプリケータ
KR20120020060A (ko) 제품 도포구용 링거, 그런 링거를 포함한 도포 어셈블리, 및 화장품으로 어셈블리의 용도
EP2474482B1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system
KR102502981B1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EP2744723B1 (en) Product dispensing head for a container and associated dispensing device
CA3026629A1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US5782388A (en) Container including a dispensing orifice equipped with a closure system
JP2009201993A (ja) 化粧品製品を包装しかつ分与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7513707B2 (en) Fluid dispenser
US10455928B2 (en) Hair brush element and hair brush configurations
KR200466895Y1 (ko) 화장품 도포기
KR102610161B1 (ko) 마스카라
US11297926B2 (en) Kit for producing an assembly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KR101668060B1 (ko) 용기-화장솔 일체형 액상 화장 도구
JP2017145062A (ja) 液剤容器用キャップ
KR200478510Y1 (ko) 형상 변형이 가능한 화장용 도포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