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828A -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828A
KR20120017828A KR1020100080688A KR20100080688A KR20120017828A KR 20120017828 A KR20120017828 A KR 20120017828A KR 1020100080688 A KR1020100080688 A KR 1020100080688A KR 20100080688 A KR20100080688 A KR 20100080688A KR 20120017828 A KR20120017828 A KR 2012001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nvironment
environment image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홍 치앙
Original Assignee
앤-홍 치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홍 치앙 filed Critical 앤-홍 치앙
Priority to KR102010008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7828A/ko
Publication of KR2012001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어레이, 영상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카메라 어레이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각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다수 개의 영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카메라 어레이로부터 입력받은 다수 개의 영상에 대하여 물체 식별 작업을 진행하되 물체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환경 재생을 진행하여 물체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는 물체 디스플레이 정보를 입력받아 단일 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카메라는 2렌즈 카메라 또는 3 렌즈 카메라가 될 수 있는데, 원근(遠近) 시차의 2 영상 또는 고저(高低) 시차의 영상을 생성하여, 컴퓨터 시스템에서 물체와의 거리이나 물체의 높이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복잡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안전 운행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차량 운전자, 비행기 조종사 또는 안전 감시 단위에 제공하여 주변 환경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Webcam surveillance camera system}
본 발명은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각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다수 개의 영상을 하나의 종합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행 차량의 안전성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줄곧 당업계가 주력하는 기술의 연구방향이 되고 있다. 많은 당업계의 업자들은 적외선, 초음파 레이더, 마이크로파,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주행 차량의 주변 장애물을 탐지하고, 탐지된 도로의 상황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대표적인 예로 앞차와의 충돌 경고를 해주는 도요타(TOYATA) Camery 계열의 ACC(차간거리제어)시스템이나, 회전시 레이더 센서를 통해 차량의 후방 및 측면을 모니터해주는 아우디(AUDI) 계열의 사이드 어시스트 시스템(Side Assist System)이 있다.
그러나, 적외선이나 초음파 레이더는 탐지범위가 작고 거리가 짧아 간섭 받기가 쉬우며, 반면 마이크로파나 무선전파는 탐지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을 때 발사출력을 향상시켜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웹캠 감시 카메라는 시장에서 저렴하게 거래되는 CCD/CMOD 카메라 설비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에너지파 또는 방사물질이 없음), 에너지와 전기를 절약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효과적인 감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밖에, 현재 비교적 기술적으로 발달해 있는 차량의 중앙제어시스템은 운전석의 오른쪽 전방 방향에서 전, 후, 좌, 우의 영상을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주행차량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운전자는 동시에 3개의 백미러와 하나의 스크린을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에, 반응이 느린 운전자라면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기 어렵고, 주행에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종합한 단일의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백미러를 살펴볼 필요가 없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주변 환경의 물체를 종합하여 단일 화면으로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어레이, 영상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카메라 어레이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각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다수 개의 영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카메라 어레이로부터 입력받은 다수 개의 영상에 대하여 물체 식별 작업을 진행하되 물체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환경 재생을 진행하여 물체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는 물체 디스플레이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까지 투사하여 영상을 재생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카메라는 2렌즈 카메라 또는 3 렌즈 카메라가 될 수 있는데, 2 렌즈 카메라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2 렌즈를 구비하여 원근(遠近) 시차의 2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에서 물체의 거리를 판단하도록 한다. 반면, 3 렌즈 카메라 3 렌즈를 구비하는데, 2 렌즈 카메라의 수평 배치된 2 렌즈 이외에, 수직배치되는 렌즈를 구비하여, 고저(高低) 시차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에서 물체의 높이를 판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각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다수 개의 영상을 단일의 종합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되, 사용자가 주의해야 하는 물체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중요하지 않은 영상 정보는 생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복잡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주변의 환경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 운행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차량 운전자나 비행기 조종사에게 제공하게 되며, 또는 주변 물체의 원, 근, 고, 저 정보를 건축물, 광장, 또는 고속도로의 안전 감시 단위나 해안 순찰대에게 제공하여 운행의 안전성과 보호감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설비, 자동차, 선박, 비행기, 기차, 대단위 감시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감옥, 광장, 고속도로, 해안 등에 사용되어 완전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종합된 단일 화면을 통해 즉시 주변의 동태 환경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기능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중 디스플레이부의 단일화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중 디스플레이부의 또 다른 단일화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응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의한 단일 화면 설명도이다.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어레이(10), 영상처리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 어레이(10)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각기 다른 방향에서 주변의 환경을 촬영하여 다수 개의 환경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처리부(20)는 제 1 전송매체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환경 영상을 받아 물체 식별 작업을 진행하되, 물체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환경 재생을 진행하여 환경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제 2 전송매체를 통해서 상기 환경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종합하여 단일의 영상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제 1 전송매체(41) 및 제 2 전송매체(42)는 유선 전송매체 또는 무선 전송매체가 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유선 전송매체로는 RS232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또는 이더넷(Ethernet)이 포함되며, 상기 무선 전송매체로는 적외선 통신 협회(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협정 또는 무선 주파수(RF)의 블루투스(Bluetooth) 협정 또는 WIFI/WIMAX/3G/LTE가 포함된다.
카메라 어레이(10)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11), 제 2 카메라(12), 제 3 카메라(13) 및 제 4 카메라(14)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4개 방향의 환경을 촬영하는데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이 될 수 있고, 상기 다수 개의 카메라는 각각 분리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이 한데 모여 단일 모듈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레이(10)는 진일보하게 제 5 카메라(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방의 환경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제 5 카메라(15)가 하방에 창작되어, 하방의 환경을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 기체의 복부 하방에 장착되어 지면의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동시에, 카메라 어레이(10)는 지지부(또는 베이스부)(18) 상에 장착될 수도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차, 선박, 비행기, 건축물, 광장 또는 도로 입구와 같이 필요로 하는 곳에 쉽게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어레이(10)를 형성하는 카메라 각각은,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1)는 제 1 렌즈(51)와 제 2 렌즈(5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렌즈(51)와 제 2 렌즈(52)는 수평배치되되, 각각 촬영하여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제 2 렌즈 환경 영상을 생성하는데,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상기 제 2 렌즈 환경 영상 사이에는 수평 시차가 생기게 된다. 이 때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제 2 렌즈 환경 영상 중의 특정 물체를 식별하되 카메라 어레이(10)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로 판단한다.
도 4는 다른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제 1 카메라(11)는 진일보하게 제 3 렌즈(53)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렌즈는 상기 제 1 렌즈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 3 렌즈 환경 영상을 생성한다.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제 3 렌즈 환경 영상 사이에는 수직 시차가 생기게 되는데, 상기 수직 시차는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상기 제 3 렌즈 환경 영상 중의 특정 물체에 대한 수직 높이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착될 경우 교량 하부에 있는 도로의 통행 높이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카메라는 진일보하게 어안렌즈(Fish-eye lens)를 더 부가하여 탐지의 범위를 더 넓힐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40도 심지어 180도까지 시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줌 렌즈(Zoom Lens) 또는 장초점 렌즈(Long Lens)를 부가하여 탐지거리를 넓힐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의 기능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20)는 다수 개의 물체식별부(62), 물체 데이터 베이스(64) 및 환경재생부(66)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체식별부(62) 각각은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에 연결되어 카메라가 생성하는 환경 영상을 입력받아, 물체 식별 처리과정을 진행하여, 하나 이상의 물체를 식별하되, 상기 물체의 종류, 방향, 거리 또는 높이를 판단하며, 동시에 상기 물체의 종류, 방향, 거리 또는 높이에 대한 물체 정보를 생성한다.
그 밖에, 물체식별부(62)가 물체 식별 처리과정을 진행할 때, 저장된 데이터 정보에 따라 물체에 대한 여과 과정을 걸치게 되며,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불필요한 물건은 생략하고, 고려해야 하는 물체만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차량 웹캠 레이더를 사용할 때, 차량 주행과 무관한 멀리 떨어진 물체 또는 새나 비행기 같은 공중물체는 제외시키고, 차량, 행인, 교통표지, 장애물 등에 집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만일 비행기에 장착하여 비행 중에 웹캠 레이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비행기, 유도탄, 높은 산만을 분석하고, 조류나 구름은 제외시킬 수 있다. 감독관이 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람만을 선택하고, 기타 불필요한 물체는 생략할 수 있다.
물체 데이터 베이스(64)는 각기 다른 종류의 물체에 대한 상관 정보, 예를 들어 외관 형상의 특징과 대표도면을 저장할 수 있는데, 환경재생부(66)가 참고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관 정보는 기차, 자동차, 트럭, 대중버스, 트랙터의 길이, 폭, 높이, 비례 및 상기 기차, 자동차, 트럭, 대중버스, 트랙터에 대한 상관된 대표도면을 포함한다. 환경재생부(66)는 물체식별부(62)가 생성하는 물체 정보를 입력받아, 물체 데이터 베이스(64)의 상관 정보를 참고하여, 모든 물체를 환경 중에 결합시켜, 환경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투명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단일 화면은 원형 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원형화면은 4개의 분할화면으로 분할되되, 제 1 분할화면, 제 2 분할화면, 제 3 분할화면 및 제 4 분할화면을 포함하는데, 각각 상기 원형화면의 우상방, 우하방, 좌하방 및 좌상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체가 소재하는 위치의 방향과 원근거리를 아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특징을 충분히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자동차에 장착되어 실제 작동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어레이(10)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카메라는 모두 자동차의 상부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전, 후, 좌, 우를 촬영하거나, 또는 카메라 각각을 자동차의 내부나 자동차 외부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에 장착하여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의 환경을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
물체식별기(62)가 식별하는 물체는 자동차, 행인, 전동차, 자전거, 대중버스, 트럭, 건축물, 가로등, 신호등, 도로표지, 보도, 안전난간, 도로섬 또는 바리케이드와 같은 도로 상에 위치하여 차량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체식별기(62)는 디지털 신호처리용 마이크로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시스템 단일 칩(System On Chip, SOC)이 구축하는 삽입식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벨 회사(Marvell Technology Group Ltd.) 또는 프리스케일 반도체 회사(Freescale Semiconductor Inc.) 또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회사(Texas Instrument Limited)가 제공하는 삽입식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물체식별기(62)는 또한 카메라 어레이(10)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와 함께 단일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환경재생부(66)는 물체식별부(62)가 생성한 물체 정보 중 물체의 종류를, 물체 데이터 베이스(64)에 저장된 외관 형상의 특징과 서로 대비하여, 가장 적합한 물체 도면, 예를 들어 자동차 도면, 트럭 도면, 기차 도면 또는 행인 도면을 선택하고, 동시에 상기 물체의 방향, 거리 또는 높이 자료를 종합하여 환경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환경 영상 정보는 환경 중의 물체 및 상기 물체의 방향, 거리 또는 높이를 포함하는데, 상기 물체의 상대적인 방향, 위치 또는 상대 높이를 숫자와 부호로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중 디스플레이부의 단일화면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자동차(70)에 장착되었고, 상기 자동차(70)는 일반통행 도로의 제 2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고, 제 1 차로에는 자동차(70)의 좌전방 10미터에서 트럭(81)이 달리고 있고, 전방 40미터에 자동차(82)가 있으며, 제 3 차로에는 우전방 25미터에서 자전거(83)가 달리고 있으며, 우전방 70미터에 30미터 높이의 건축물(84)이 위치해 있고, 우방 30미터에 행인(85)이 걸어가고 있으며, 후방 15미터에는 대중버스(86)가 달리고 있다. 그 밖에, 일방통행 도로임을 알려주는 도로표지(90)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고정물체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이동물체 사이의 상대위치가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단일 화면은 운전자에게 유용하며 간단하게 도로의 상태를 명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주행 차량의 안전을 확보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중 디스플레이부의 또 다른 단일화면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 화면은 4개로 분할된 원형도에 물체를 표시하고 있는데, 도로 중에 위치하는 물체가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같은 도형으로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중심에 위치한 도형은 해당 자동차(70)를 대표하고, 기타 다른 물체와의 상대 거리가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전방 40미터에 위치하고 있는 자동차(82)는 「40m」의 숫자와 단위 표시로 나타냄으로써, 자동차 운전자가 다른 물체와의 상대 위치와 원근거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단일 화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 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단일 화면은 삼각형, 다변형, 동심원, 부채꼴형, 기타 다른 대표성을 갖는 도형 등 다른 적당한 부호로 물체를 표시하거나, 색채의 농담으로 원근거리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진행 중인 차량(70)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물체들의 상대위치는 변동될 수 있고, 따라서 거리를 표시하는 숫자는 갱신될 수 있고, 고정된 물체는 차량(70)의 전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만일 자동차가 전도된 경우라면, 고정된 물체는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고, 따라서 자동차의 운전자는 본 발명의 단일 화면이 디스플레이 하는 식별물체의 위치를 통해서 동태적인 도로의 교통상황이나 환경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건축물의 4개 측변에 장착되어 안전위원이나 경비원들에게 감독용의 단일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단일 화면은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의 주변 물체를 종합하여 단일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되, 단일 화면의 영상에서 건축물 자체가 중심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화면의 상방, 하방, 좌방 및 우방은 각각 건축물의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에 대응되어, 사용자가 쉽게 환경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범법자가 침입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각기 다른 화면이나 분할화면을 통해 상황을 파악해야 하고 동시에 각기 다른 화면을 통해서 실제위치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위원이나 경비원들이 빠르게 상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본 발명은 하나의 카메라 어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일보하게 다수 개의 카메라 어레이를 포함하여 비교적 큰 범위의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3개의 카메라 어레이(101, 102, 103)는 도로를 따라 배치되되 이들의 탐지범위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어레이(101)는 2개의 물체(1011, 1012)를 탐지하고, 카메라 어레이(102)는 3개의 물체(1021, 1022, 1023)를 탐지하며, 카메라 어레이(103)는 2개의 물체(1031, 1032)를 탐지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물체는 도로의 각기 다른 차선에서 주행하는 각기 다른 차량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물체는 개별적인 환경재생부를 통해 정보가 종합된 후에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도 9에 도시된 단일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에 따라 도로 감독자는 상기 단일 화면을 통해서 큰 범위의 도로를 감시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무선전송방식을 통해서 카메라 어레이(102)로부터 환경 상황이나 전체 도로의 상황을 입력받아 물체(1021)(즉,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의 상황을 종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부호를 사용하여 식별한 물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실제 촬영한 영상을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물체식별능력을 구비하여 초기 단계에서 중요하지 않은 물체나 잘못된 영상을 걸러내어, 사용자가 인식해야 하는 중요한 물체를 쉽게 파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감독관에게 중요하지 않은 고양이, 개, 새 등 작은 동물을 사전에 배제시켜 단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전체적인 감독의 효율을 상승시킨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 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카메라 어레이 11 : 제 1 카메라 12 : 제 2 카메라
13 : 제 3 카메라 14 : 제 4 카메라 15 : 제 5 카메라
18 : 지지부(베이스부) 20 : 영상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1 : 제 1 전송매체 42 : 제 2 전송매치 51 : 제 1 렌즈
52 : 제 2 렌즈 53 : 제 3 렌즈 62 : 물체식별부재
64 : 물체데이터베이스 66 : 환경재생부 70 : 자동차
81 : 트럭 82 : 자동차 83 : 자전거
84 : 건축물 85 : 행인 86 : 관용차
90 : 도로표지 101,102,103 : 카메라 어레이
1011,1012 : 물체 1021,1022,1023 : 물체 1031, 1032 : 물체

Claims (6)

  1.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이를 종합하여 단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다수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 개의 카메라를 분리 배치하거나 또는 이를 한데 모아 단일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카메라 각각이 다른 방향에서 주변 환경을 촬영하도록 하여, 다수 개의 환경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카메라 어레이;
    다수 개의 물체식별부, 물체 데이터 베이스 및 환경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제 1 전송매체가 상기 다수 개의 환경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다수 개의 물체식별부 각각이 상기 카메라 어레이가 촬영한 서로 대응되는 환경 영상을 입력받아 물체의 식별 처리과정을 진행하여, 서로 대응되는 환경 영상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물체와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해 내어, 이들 물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물체 데이터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물체와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정보는 상기 물체의 외관 형상 특징 및 대표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재생부는 상기 카메라 어레이가 촬영한 상기 다수 개의 환경 영상을 받고 상기 물체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참고하여 환경 영상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영상처리부; 및
    제 2 전송매체가 상기 환경 영상 정보을 입력받아 상기 단일화면에 재생하는데, 여기서 상기 단일 화면은 상기 환경 영상 정보 중에 포함된 상기 물체를 도형에 의해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환경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물체의 도형을 상기 단일 화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단일 화면의 상방, 하방, 좌방 및 우방이 각각 촬영한 환경의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각각은 제 1 렌즈와 제 2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수평배치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각각 촬영하여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제 2 렌즈 환경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상기 제 2 렌즈 환경 영상 사이에는 수평 시차가 생기게 되는데, 상기 다수 개의 환경 영상 각각은 상기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상기 제 2 렌즈 환경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물체식별부에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물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는 상기 환경재생부의 환경 영상 정보로 가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어, 상기 단열 화면에서 상기 거리가 디스플레이 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각각은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수평배치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3 렌즈는 수직배치되는데,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가 각각 촬영하여 생성한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제 2 렌즈 환경 영상 사이에는 수평 시차가 생기게 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3 렌즈가 각각 촬영하여 생성한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제 3 렌즈 환경 영상 사이에는 수직 시차가 생기게 되는데, 상기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상기 제 2 렌즈 환경 영상은 상기 물체식별부에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물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렌즈 환경 영상과 상기 제 3 렌즈 환경 영상은 상기 물체식별부에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물체의 높이를 판단하는데, 상기 다수 개의 환경 영상 각각은 상기 제 1 렌즈 환경 영상, 상기 제 2 렌즈 환경 영상 및 상기 제 3 렌즈 환경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와 상기 높이는 상기 환경재생부의 환경 영상 정보로 가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어, 상기 단열 화면에서 상기 거리와 상기 높이가 디스플레이 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일 화면은 원형 화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화면은 4개의 분할화면으로 분할되되, 제 1 분할화면, 제 2 분할화면, 제 3 분할화면 및 제 4 분할화면을 포함하는데, 각각 상기 원형화면의 우상방, 우하방, 좌하방 및 좌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송매체 및 제 2 전송매체는 유선 전송매체 또는 무선 전송매체가 될 수 있는데, 상기 유선 전송매체는 RS232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또는 이더넷(Ethernet)이 포함되며, 상기 무선 전송매체는 적외선 통신 협회(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협정 또는 무선 주파수(RF)의 블루투스(Bluetooth) 협정 또는 WIFI/WIMAX/3G/LTE를 포함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투명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100080688A 2010-08-20 2010-08-20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20017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688A KR20120017828A (ko) 2010-08-20 2010-08-20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688A KR20120017828A (ko) 2010-08-20 2010-08-20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828A true KR20120017828A (ko) 2012-02-29

Family

ID=4583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688A KR20120017828A (ko) 2010-08-20 2010-08-20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8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7210B1 (en) Autonomous parking monitor
US9773413B1 (en) Autonomous parking monitor
KR102201290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US20190180624A1 (en) Pedestrian side collision warning systems and methods
CN203134149U (zh) 基于不同波段成像融合图像处理的车辆辅助驾驶系统
US9875653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CN106167045A (zh) 驾驶人员辅助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786933A (zh) 一种全景影像驾驶辅助装置及方法
KR20190026773A (ko) 자기 차량의 주변 구역을 포착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KR102211552B1 (ko) 역주행 방지 방법 및 장치
US8325233B2 (en) Video radar display system
WO2021201946A2 (en) Lane detection and tracking techniques for imaging systems
CN109644251B (zh) 用于拍摄本车的环境区域的摄像装置及用于提供驾驶员辅助功能的方法
CN204667643U (zh) 一种用于弯道会车预警的预警系统
KR20210054107A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12140995A (zh) 一种基于网络云端的智能汽车安全驾驶系统
CN102348100A (zh) 视讯雷达显示系统
CN205039930U (zh) 三维行车影像提醒装置
WO2021131201A1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562061A (zh) 一种基于激光雷达图像的驾驶视觉增强的系统及方法
TW201434688A (zh) 影像產生裝置
KR20120017828A (ko) 웹캠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20220396148A1 (en) Dual-sided display for a vehicle
CN113421426A (zh) 预防鬼探头式过马路的方法及系统
KR20160050650A (ko)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