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983A - 고탄력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고탄력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983A
KR20120016983A KR1020100138674A KR20100138674A KR20120016983A KR 20120016983 A KR20120016983 A KR 20120016983A KR 1020100138674 A KR1020100138674 A KR 1020100138674A KR 20100138674 A KR20100138674 A KR 20100138674A KR 20120016983 A KR20120016983 A KR 20120016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ra
strap
shoulder strap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킷링
Original Assignee
선킷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킷링 filed Critical 선킷링
Priority to PCT/KR2010/0096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23673A1/ko
Publication of KR2012001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탄력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원단을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하되, 조직의 변화를 주면서 신축률과 신축방향에 따라 여러부분으로 나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브래지어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가 등부분, 어깨부분 또는 겨드랑이부분에서 느낄 수 있는 압박감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이 매우 좋은 고탄력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탄력 브래지어{HIGH ELASTICITY BRASSIERE}
본 발명은 고탄력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원단을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하되, 조직의 변화를 주면서 신축률과 신축방향에 따라 여러부분으로 나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브래지어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가 등부분, 어깨부분 또는 겨드랑이부분에서 느낄 수 있는 압박감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이 매우 좋은 고탄력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프랑스어의 브라시에르에서 파생된 것으로, 브라(BRA), 업리프트(UPLIFT), 벤도(BANDEAU)라고도 불리우며, 유방을 받쳐주고 보호하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해서 상의의 이상적인 실루엣을 조성해 주는 것이다.
종래의 브래지어는 한 쌍의 컵이 형성되고, 컵과 컵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컵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등끈이 형성되고, 상기 컵과 등끈을 연결하여 고정시켜주는 어깨끈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지어는 탈착용의 편의를 위해 전방개방형과 후방개방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전방개방형은 컵과 컵의 가운데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가운데를 나누어서 고리 형상의 고정부재(F)를 형성한 형태이고, 상기 후방개방형은 등끈의 가운데를 나누어서 고리 형상의 고정부재(B)를 형성한 형태이다.
상기 브래지어는 후방개방형이 주로 사용되고, 전방개방형은 크게 선호하지 않는데, 이는 전방개방형의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부재(F)가 커서 부담스럽고, 착용후 심한 움직임에 의해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브래지어에 대한 다양한 착용방법이 유행하고 있는데, 착용자의 상의의 어깨부분이 드러나는 경우에는 어깨끈을 제거하고 브래지어를 착용하거나, 브래지어를 속옷으로 생각하는 것에서 벗어나 어깨끈 또는 컵의 일측을 외부로 드러내는 착용방법이 유행하고 있다.
종래의 브래지어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557770호, 제90-127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래지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신축성이 적은 원단과 고무줄 밴드로 형성된 등끈으로 인해서 착용자는 착용시 옆구리부분에 심한 압박감을 느낀다.
(2) 컵의 상단과 등끈을 연결하는 어깨끈이 늘어나는 부위가 자연스럽지 못하여 착용시 어깨부분에 심한 압박감을 느낀다.
(3)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자국이 남거나, 겉옷에 드러나서 외관상 좋지 못하다.
(4) 옆구리부분의 등끈의 상하단이 말려들어가서 불편하다.
(5) 컵과 컵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컵의 측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재봉할 때 늘어나는 길이가 달라서 생산이 까다롭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전방개방형)은 한 쌍의 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컵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컵의 상단과 등끈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이 형성되고, 상기 컵과 컵 사이에는 고정부재(F)가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끈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 컵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등끈은 가운데에 중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의 양측에 탄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탄력부의 측면에 기능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기능부의 측면에는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부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가 각 컵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기능부의 상단에는 어깨끈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후방개방형)로는 한 쌍의 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컵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컵의 상단과 등끈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이 형성되고, 상기 등끈의 가운데에는 고정부재(B)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끈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 컵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등끈은 가운데에 고정부재(B)가 형성된 중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의 양측에 탄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탄력부의 측면에 기능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기능부의 측면에는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부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가 각 컵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기능부의 상단에는 어깨끈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탄력 브래지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등끈과 어깨끈의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고, 서로 상호작용하여 자유롭게 늘어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다.
(2) 등끈의 기능부와 어깨끈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조절장치와 같은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서 착용 후 착용자의 피부에 자국이 남거나, 겉옷에 드러나지 않는다.
(3) 등끈의 옆구리고정부의 상하단에 셋팅부가 형성되어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착용시 옆구리부분이 편안하고 상하단이 말려들어가지 않는다.
(4) 컵과 컵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부재(F)를 재봉할 때 미리 늘어나지 않는 소재를 안쪽에 접합하기 때문에 봉재작업이 편리하다.
(5) 등끈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재(B)의 길이조절을 위한 위치조절구가 필요하지 않아서 매우 얇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착용시 고정부재(B)가 겉옷에 드러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착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등끈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등끈부분을 펼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연결부과 고정부재(F)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고정부재(F)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의 작업 개념도.
도 6은 종래의 전방개방형 브래지어의 고정부재(F)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의 작업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등끈부분을 펼친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후방개방형)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등끈부분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재(B)를 분리한 전개도.
도 9는 종래의 후방개방형 브래지어의 고정부재(B)를 나타낸 전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방개방형)는
한 쌍의 컵(1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컵(1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끈(100)이 형성되며, 상기 각 컵(10)의 상단과 등끈(100)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30)이 형성되고, 상기 컵(10)과 컵(10) 사이에는 고정부재(F)(25)가 형성된 연결부(20)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30)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 컵(10)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에 중심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50)의 양측에 탄력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각 탄력부(140)의 측면에 기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측면에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부(120)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110)가 각 컵(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상단에는 어깨끈(30)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컵(10)과 컵(10) 사이의 연결부(20)에 고정부재(F)(25)가 형성되는 전방개방형 또는 등끈(100)의 중심부(150)의 가운데에 고정부재(B)(155)가 형성되는 후방개방형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F)(25)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의 일반적인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각 컵(10)의 일측에 형성된 각 연결부(20)의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각 연결부(20)는 전체 브래지어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고정부재(F)(25)의 일측을 고정한다.
종래의 연결부(20)를 형성할 때(도 6참조), 브래지어가 잘 늘어나는 소재 즉 탄성이 좋은 소재일 경우, 잘 늘어나는 소재의 원단을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한 연결부원단(20c)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원단(20c)을 접었을 때 그 내부에 잘 늘어나지 않는 소재의 고정원단(20d)을 삽입한 후에 주연부를 박음질하여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방개방형 브래지어에서 채용되는 연결부(20)는 도 5와 같이, 잘 늘어나는 연결부원단(20a)을 한겹으로 형성하고, 일측에 늘어나지 않는 소재의 고정원단(20d)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후면에 부착한 후 연결부원단(20a)의 주연부를 약 2mm씩 후면으로 접어서 접착제로 접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각각의 어깨끈(30)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측은 컵(1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등끈(100)의 기능부(130)에 고정된다.
상기 어깨끈(30)이 조절장치없이 자동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이유는 어깨끈(30)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어 탄력이 좋을 뿐만 아니라, 기능부(130)의 탄력과 연동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조절장치 없이도 길이조절이 자동으로 가능하다.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 컵(10)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등끈(100)은 나일론(nylon)과 스판텍스(spantex) 섬유사를 스타킹의 제조방법과 같이 연속으로 짜는 것으로, 각각의 부분 즉, 중심부(150), 탄력부(140), 기능부(130), 완충부(120) 및 옆구리고정부(110)를 부위별로 원사의 조직과 밀도를 다르게 짠다.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에 중심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50)의 일측에 탄력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탄력부(140)의 측면에 기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기능부(130)의 측면에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120)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150)는 등끈(100)의 가운데에 형성되는데, 폭을 좁게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는 잘 늘어나지 않으면서 폭방향으로는 다소 늘어나도록 형성하여 가장 안정되게 짜진 조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 탄력부(140)는 중심부(15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데, 폭이 넓은 기능부(130)에서 폭이 좁은 중심부(150)로 급격하게 폭이 좁아지도록 연결하는 부분으로, 길이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나도록 짜진 조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 탄력부(140)의 측면에는 기능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기능부(130)는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모두 다 잘 늘어날 수 있도록 가장 신축성이 좋게 짜진 조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능부(130)는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가장 많이 늘어나도록 형성되되, 양측면에 형성된 완충부(120)와 탄력부(140)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늘어난다.
상기 기능부(130)는 어깨끈(30)에 의해서 등끈(100)이 당겨질 때 등끈(100)의 하단은 자연스럽게 고정되고, 상단으로 일정길이 늘어나서 착용자의 등의 곡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나므로 착용감이 좋다.
상기 기능부(130)의 탄력은 어깨끈(30)의 탄력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늘어나므로, 어깨끈(30)에 길이조절을 위한 조절장치가 없어도 비슷한 사이즈의 여성이라면 길이조절 없이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부(130)의 상단에는 각각 어깨끈(30)이 고정되는데, 상기 어깨끈(30)을 재봉할 때 박음질이 매우 촘촘히 형성된다.
상기 각 기능부(130)의 측면에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완충부(120)는 기능부(130)가 늘어나는 정도를 조절해주기 위해서 길이방향으로는 잘 늘어나지 않도록 짜진 조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옆구리고정부(110)는 완충부(120)의 측면에 넓은 면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컵(10)의 일측에 고정되는데, 길이방향으로는 거의 늘어나지 않고, 폭방향으로는 자연스럽게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능부(130)와 완충부(120)는 상하단에 각각 3~10mm의 셋팅부(115)가 형성되는데, 상기 셋팅부(115)는 폭방향으로 거의 늘어나지 않는 조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셋팅부(115)는 기능부(130)와 완충부(120)가 착용에 의해서 상하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후방개방형)는
한 쌍의 컵(1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컵(1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끈(100)이 형성되며, 상기 각 컵(10)의 상단과 등끈(100)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30)이 형성되고, 상기 등끈(100)의 가운데에는 고정부재(B)(155)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30)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각의 컵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에 고정부재(B)(155)가 형성된 중심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50)의 양측에 탄력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각 탄력부(140)의 측면에 기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측면에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부(120)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110)가 각 컵(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상단에는 어깨끈(30)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B)(155)는 각 중심부(150)의 끝단에 박음질로 고정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종래의 고정부재(B)(155)는 도 9와 같이 등끈(10)이 잘 늘어나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가슴둘레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의 위치조절구(155a)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부재(B)(155)는 잘 늘어나는 탄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므로 위치조절구(155a)가 존재하지 않고, 하나의 고리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는 다단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고탄력 브래지어의 제작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컵(10)과 어깨끈(30)은 모두 나일론 섬유사 91%와 스판텍스 섬유사 9%가 혼합되어 짜진 원단을 사용하고, 컵(10)의 내부에는 스펀지 등의 보형재를 형성한다.
상기 각각의 컵(10)의 대응되는 측면에는 고정부재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연결부(20)에 고정부재(F)(25)를 고정한 후에 폭이 긴쪽으로 컵(10)에 고정한다.
상기 연결부(20)는 잘늘어나는 연결부원단(20a)을 전면에 형성하고, 일측에 늘어나지 않는 고정원단(20d)을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후면에 부착한 후에 연결부원단(20a)의 주연부를 약 2mm씩 후면으로 접어서 접착제로 접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20)를 컵(10)에 부착할 때 고정원단(20d)에 의해서 늘어나지 않으므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등끈(100)은 스타킹을 짜는 틀에 각각의 부분 즉, 중심부(150), 탄력부(140), 기능부(130), 완충부(120) 및 옆구리고정부(110)의 기능에 따라서 부위별로 밀도와 조직을 다르게 짠다.
이때, 각각의 부분은 스판텍스와 나일론의 양을 적절히 조합하고, 원사의 조직과 밀도 등을 조절하면서 한꺼번에 전체적으로 짜서 제작한다.
상기 등끈(100)의 기능부(130)의 상단에는 각각 어깨끈(30)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끈(30)은 각 컵(10)의 상단에 고정한다.
상기 기능부(130)에 의해서 어깨끈(30)이 매우 부드럽게 고정되는데, 기능부(130)의 도움으로 어깨끈(30)에는 조절장치가 없어도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어 착용시 압박감이 없이 매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옆구리고정부(110)가 셋팅부(115)에 의해서 말려 올라가지 않으므로 모양의 틀어짐 없이 착용감이 매우 좋다.
상기 고정부재(F)(B)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봉제가 간단해져 생산성이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컵 20 : 연결부
30 : 어깨끈 100 : 등끈
110 : 옆구리고정부 120 : 완충부
130 : 기능부 140 : 탄력부
150 : 중심부

Claims (5)

  1. 한 쌍의 컵(1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컵(1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끈(100)이 형성되며, 상기 각 컵(10)의 상단과 등끈(100)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30)이 형성되고, 상기 컵(10)과 컵(10) 사이에는 고정부재(F)(25)가 형성된 연결부(20)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30)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 컵(10)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에 중심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50)의 양측에 탄력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각 탄력부(140)의 측면에 기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측면에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부(120)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110)가 각 컵(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상단에는 어깨끈(30)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브래지어.
  2. 한 쌍의 컵(1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컵(1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끈(100)이 형성되며, 상기 각 컵(10)의 상단과 등끈(100)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30)이 형성되고, 상기 등끈(100)의 가운데에는 고정부재(B)(155)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30)은 조절장치 없이 스타킹 형태의 조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각각의 컵의 측면에 부착되는 곳까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등끈(100)은 가운데에 고정부재(B)(155)가 형성된 중심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50)의 양측에 탄력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각 탄력부(140)의 측면에 기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측면에는 완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부(120)의 측면에는 옆구리고정부(110)가 각 컵(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기능부(130)의 상단에는 어깨끈(30)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브래지어.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130)는 각 부위중 가장 많이 늘어나도록 형성되되, 양측면에 형성된 완충부(120)와 탄력부(140)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늘어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브래지어.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130)와 완충부(120)의 상하단에는 각각 3~10mm의 셋팅부(1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브래지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는 잘 늘어나는 연결부원단(21a)을 전면에 형성하고, 후면에 늘어나지 않는 고정원단(21d)을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부착한 후에 연결부원단(21a)의 주연부를 2mm씩 후면으로 접어서 접착제로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브래지어.
KR1020100138674A 2010-08-17 2010-12-30 고탄력 브래지어 KR20120016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9639 WO2012023673A1 (ko) 2010-08-17 2010-12-31 고탄력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507 2010-08-17
KR1020100079507 2010-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983A true KR20120016983A (ko) 2012-02-27

Family

ID=4583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674A KR20120016983A (ko) 2010-08-17 2010-12-30 고탄력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69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17B1 (ko) * 2013-04-17 2014-11-10 엠코르셋 주식회사 착용감이 우수한 브래지어
KR101460216B1 (ko) * 2013-04-17 2014-11-10 엠코르셋 주식회사 기능성 브래지어
KR101460215B1 (ko) * 2013-04-17 2014-11-10 엠코르셋 주식회사 밴드자국이 남지 않는 기능성 브래지어
WO2017069380A1 (ko) * 2015-10-21 2017-04-27 이은성 브래지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17B1 (ko) * 2013-04-17 2014-11-10 엠코르셋 주식회사 착용감이 우수한 브래지어
KR101460216B1 (ko) * 2013-04-17 2014-11-10 엠코르셋 주식회사 기능성 브래지어
KR101460215B1 (ko) * 2013-04-17 2014-11-10 엠코르셋 주식회사 밴드자국이 남지 않는 기능성 브래지어
WO2017069380A1 (ko) * 2015-10-21 2017-04-27 이은성 브래지어
US10609965B2 (en) 2015-10-21 2020-04-07 Eunsung Lee Brassie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978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JP5007859B2 (ja) 背筋強化ハーフトップ
JP6081649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150115814A (ko) 지지 뷔스티에 의복
WO2014122697A1 (ja) ブラジャーのカップ及びブラジャ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20016983A (ko) 고탄력 브래지어
EP230988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thing
JP4355184B2 (ja) 伸びる部分を持ったボーン
CN104305542A (zh) 自由裁文胸及其制造方法
JP5894690B1 (ja) ブラジャー
JP2005154972A (ja) ブラジャー
KR20140124671A (ko) 밴드자국이 남지 않는 기능성 브래지어
JP6351894B1 (ja) ブラジャー
KR200366768Y1 (ko) 브래지어 구조
KR101416436B1 (ko) 가슴 보정 기능이 있는 브래지어
JP4388003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女性用下着
JP3150196U (ja) 補形機能付ブラジャー
CN213785401U (zh) 一种正反两穿双领美背背心
JP3858926B2 (ja) 女性用下着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960464U (zh) 一种发育期调整型少女文胸
CN212971680U (zh) 美体内衣
CN212488516U (zh) 一种新型夹克
JP5645727B2 (ja) ブラジャー及びシート生地
KR200326326Y1 (ko) 몰딩 컵을 갖는 기능성 브래지어
JP2905463B2 (ja) ウェストニ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01

Effective date: 201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