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726A -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726A
KR20120016726A KR1020100079125A KR20100079125A KR20120016726A KR 20120016726 A KR20120016726 A KR 20120016726A KR 1020100079125 A KR1020100079125 A KR 1020100079125A KR 20100079125 A KR20100079125 A KR 20100079125A KR 20120016726 A KR20120016726 A KR 2012001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camera module
touch screen
bracket
optica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702B1 (ko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702B1/ko
Priority to PCT/KR2011/005230 priority patent/WO2012023706A2/en
Priority to US13/808,018 priority patent/US8976156B2/en
Priority to TW100127928A priority patent/TWI574194B/zh
Publication of KR201200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8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sensing at the edges of the touch surface the interruption of optical paths, e.g. an illumination plane,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may be virtu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2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계단부 및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계단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 Camera module and optical touch screen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에는 크게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기(Electromagnetic) 방식, 벡터힘(Vector Force) 방식 등이 있는데 각 방식마다 각기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저항막 방식은 두 개의 기판 사이의 투명도전막이 접촉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나온 터치스크린 방식 중에 가장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고 성능이 뛰어나지만, 기계적 및 환경적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방식 역시 광센서방식과 비슷하게 음파발생 소자와 음파인식 소자 사이의 음파 경로가 차단될 때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공장의 소음 또는 노이즈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전자기 방식은 패러데이 법칙의 자석과 기전력 발생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써, 각기 위치별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판단하여 좌표를 계산한다. 코일에 교류의 신호를 인가해야 하므로 특수 전용펜을 필요로 한다.
정전용량 방식은 센서전극과 손가락 사이에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여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노이즈 신호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나, 환경적 신뢰성에 강하고 상부 베리어층(Barrier Layer)을 변경함에 따라 기계적 신뢰성도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광학방식은 원리적으로 터치 인식을 위한 필름(Film)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투과율은 100%이다. 또한 다른 방식의 터치패널을 부착시 나타나는 반사 및 휘도의 저하, 표시의 번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에서 투과율과 휘도의 유지는 품질의 중요한 인자가 되는바, 이러한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구성에 적합하다.
또한 광학방식 터치패널은 좌표의 검출방식이 빛을 막는 방식이기 때문에, 물리적 접촉 및 전기적 접촉에 의한 검출이 아니므로 센서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높아 공장 감시나 각종 자동화기기 및 금융 단말기 등에 이용되며, 필름이나 ITO보호막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처나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커서 오작동 등의 에러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빛샘을 방지하여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계단부 및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계단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홀더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홀더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홀더는 일측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과 제 2 홈들을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에 대물 렌즈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에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홈이 폐색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홀더에 부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는 글래스에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 물질이 코팅되어 구현된다.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어 조립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조립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계단부 및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계단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터치 스크린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 1과 2 고정부들과; 상기 제 1과 2 고정부들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의 전면에 적외선 통과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는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제 1 적외선 통과 필터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하는 적외선을 통과시켜 상기 개구로 전달하는 제 2 적외선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또, 상기 브라켓의 연결부에는 제 1과 제 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외선 통과 필터는 상기 제 1 통로에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 2 적외선 통과 필터는 상기 제 2 통로에 정렬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과 제 2 통로 사이의 상기 브라켓의 연결부에는 빛샘 방지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빛샘 방지용 돌출부는 상기 계단부에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어 조립된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케이스는 사각 링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의 3개의 내측 모서리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의 1개의 내측 모서리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더미(dummy)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들 사이의 케이스 내측면에 재귀 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홀더의 계단부에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장착하고, 홀더의 개구를 통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도록 이미지 센서를 위치시킴으로써,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이미지 센서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터치 스크린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브라켓에 조리개를 형성하여, 조리개 구조물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브라켓의 연결부에 빛샘 방지용 돌출부를 형성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는 계단부에 빛샘 방지용 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카메라 모듈과 브라켓을 체결함으로써,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이미지 센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리니어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체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브라켓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통과 필터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브라켓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은 카메라 모듈(160)과 재귀 반사판(170)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60)은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재귀 반사판(170)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IR pass filter)(130)와;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에서 통과된 적외선이 입사로 터치된 영역을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Linear sensor)(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에서 통과된 적외선을 집광시키는 대물렌즈(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광은 렌즈(110)를 통하여 출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귀 반사판(170)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상기 적외선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60)의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는 적외선을 출사하고, 상기 출산된 적외선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재귀 반사판(170)에서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60)의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로 입사된다.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는 상기 재귀 반사판(170)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통과시키고,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를 통과한 적외선은 상기 리니어 센서(150)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보다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특정 영역을 손(250)의 손가락으로 터치하게 되면, 상기 터치된 영역에서 상기 적외선이 차단되고, 상기 리니어 센서(150)에 검정 스팟(Spot)이 맺히게 되어, 상기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재귀 반사판(170) 사이의 하부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리니어 센서(150)에서 검출된 좌표에 해당되는 구동신호가 발생되어 화면 변경, 음량 조절, 화면 이동, 화면 확대 및 축소 등이 포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전자 종이 표시 패널 중 하나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리니어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광학 터치 스크린의 카메라 모듈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2개 또는 3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과 2 카메라 모듈(161a,161b)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2개의 모서리 영역(211,21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소정 영역(250)이 터치되면, 터치된 소정 영역(250)은 적외선이 차단되고, 상기 제 1과 2 카메라 모듈(161a,161b) 각각의 리니어 센서에는 검정 스팟이 맺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 센서는 상기 검정 스팟의 위치로 상기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과 2 카메라 모듈(161a,161b)의 리니어 센서들(150a,150b) 각각은, 도 3a와 도 3b에 되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소정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 중 하나의 센싱 픽셀에 검정 스팟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과 2 카메라 모듈(161a,161b)의 리니어 센서(150a,150b)는 상기 터치된 영역으로부터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검정 스팟이 맺힌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161a)의 리니어 센서(150a)의 센싱 픽셀과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161b)의 리니어 센서(150b)의 센싱 픽셀들은 위치가 다를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도 3a와 같이,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161a)의 리니어 센서(150a)에는 제 2 센싱 픽셀(152)에 검정 스팟(251)이 맺히게 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161b)의 리니어 센서(150b)에는 제 4 센싱 픽셀(154)에 검정 스팟(251)이 맺히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을 x방향으로 정의하고, 세로 방향을 y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터치된 영역(250)에서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161a)의 리니어 센서(150a)까지 연결선(S1)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θ1), 상기 터치된 영역(250)에서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161b)의 리니어 센서(150b)까지 연결선(S2)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θ2) 및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알면, 상기 터치된 영역(250)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된 영역(2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각(θ1) 및 제 2 각(θ2)이 변화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리니어 센서(150a,150b)의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은 세분화되어 있다.
즉, 상기 리니어 센서(150a,150b)의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 각각은 상기 변화된 제 1 각(θ1) 및 제 2 각(θ2)에 대응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과 2 카메라 모듈(161a,161b)의 리니어 센서(150a,150b)의 상기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 중 하나의 센싱 픽셀에 검정 스팟이 맺히면 상기 제 1 각(θ1) 및 제 2 각(θ2)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터치된 영역(250)의 좌표(x,y)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소정 영역(250)이 터치되면, 전술된 방법 또는 다른 방법으로 터치된 영역(250)의 좌표(x,y)를 실시간 추출할 수 있는 좌표 추출 연산부가 광학 터치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체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케이스(Case)(300)에 장착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00)는 케이스탑(Case top)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00)는 사각 링 형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링 내측면에는 재귀 반사판(170)이 장착되고, 2개 또는 3개의 사각 링 모서리에 카메라 모듈들(161a,161b,161c)이 장착되어 조립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들(161a,161b,161c)은 브라켓들(271,272,273)에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들(271,272,273) 각각을 상기 케이스(300)의 상기 3개의 사각 링 모서리에 장착하는 것이다.
또, 나머지 1개의 사각 링 모서리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지 않은 더미(dummy) 브라켓(280)을 장착한다.
즉, 광학 터치 스크린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장착되어 조립되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의 모서리에 조립된 브라켓들과; 상기 브라켓들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이 장착되어 있지 않는 더미 브라켓이다.
또, 상기 브라켓들 사이의 케이스(300) 내측면에는 재귀 반사판(17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재귀 반사판(170)은 상기 더미 브라켓(280)에도 장착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터치 스크린의 조립 방법은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300)를 준비한다.
그 다음, 상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300)의 3개의 내측 모서리에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이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들(271,272,273)을 고정시키고, 상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300)의 1개의 내측 모서리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더미 브라켓(280)을 고정시킨다.(도 6b)
상기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이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들(271,272,273)은 상기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에서 적외선이 출사되고, 재귀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이 입사될 수 있는 개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더미 브라켓(280)은 상기 개구가 필요하지 않다.
이어서, 상기 브라켓들(271,272,273,280) 사이의 케이스 내측면에는 재귀 반사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171)을 장착한다.(도 6c)
도 6c의 설명에서, 상기 브라켓들(271,272,273,280)은 상기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이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들(271,272,273)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더미 브라켓(280)을 지칭한다.
계속, 상기 프레임(171) 및 상기 더미 브라켓(280)에 재귀 반사판을 고정시킨다.(도 6d)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161a,161b,161c)이 장착되어 있는 상기 브라켓들(271,272,273)에도 상기 개구를 차폐시키지 않고, 상기 재귀 반사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도 6d의 조립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케이스(300)에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계단부(381) 및 개구(383)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380)와; 상기 계단부(381)에 장착되어 적외선(G1)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개구(383)를 통하여 적외선(G2)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계단부(381)는 상기 홀더(38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383)는 상기 홀더(38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계단부(381)와 상기 개구(383)는 상기 홀더(380)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G1)과 상기 개구(383)를 통하여 입사되는 적외선(G2)은 상호 간섭되지 않아, 상기 이미지 센서(150)로 입사되는 적외선에는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G1) 성분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홀더(380)의 계단부(381)에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를 장착하고, 홀더(380)의 개구(383)를 통하여 적외선(G2)을 감지하도록 이미지 센서(150)를 위치시킴으로써,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이미지 센서(15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2단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일례의 구조를,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제 1 홈(38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 2 홈(3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과 제 2 홈들(382,384)을 연결하는 개구(38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 상부에 계단부(381)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38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382)에 상기 대물 렌즈(14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384)에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1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홈(384)이 폐색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15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51)이 상기 홀더(380)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계단부(381)에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가 실장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1)는 글래스에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 물질이 코팅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계단부(381)에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가 실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방출된 적외선은 평판 디스플레이 상부로 진행된 후, 재귀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은 상기 대물 렌즈(140),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131)를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50)로 입사되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브라켓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브라켓(271)에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271)은 케이스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7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 1과 2 고정부들(271a,271c)과; 상기 제 1과 2 고정부들(271a,271c)에 연결된 연결부(27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이 통과되는 제 1 통로(273a)와; 상기 카메라 모듈로 입사되는 적외선이 통과되는 제 2 통로(27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10과 같이, 상기 제 2 통로(273b)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 입사되는 적외선의 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과 제 2 통로(273a,273b) 각각에는 제 1과 2 적외선 통과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통로(273b)에는 상기 제 2 적외선 통과 필터가 장착될 수 있는 홈(273c)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통로(273a)에는 상기 제 1 적외선 통과 필터가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출사된 적외선은 상기 브라켓(271)의 제 1 통로(273a)를 통하여 방출되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재귀 반사판에 반사되어 상기 브라켓(271)의 조리개 형상의 제 2 통로(273b)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로 입사되어, 터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개 형상의 제 2 통로(273b)의 크기로 입사되는 적외선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 2 통로(273b)의 크기가 큰 경우가 작은 경우보다 입사되는 적외선의 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터치 스크린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브라켓에 조리개를 형성하여, 조리개 구조물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통과 필터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브라켓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카메라 모듈은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에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에 전면에는 제 1과 2 적외선 통과 필터(410,42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적외선 통과 필터(4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의 제 1 통로(273a)에 정렬되고, 상기 제 2 적외선 통과 필터(420)는 제 2 통로(273b)에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의 제 1과 제 2 통로(273a,273b) 사이에는 빛샘 방지용 돌출부(273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에 장착될 때, 상기 빛샘 방지용 돌출부(273d)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가 장착되어 있는 계단부(381)에 안착되어,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방출된 적외선은 이미지 센서(150)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제 1 통로(273a)로만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과 2 적외선 통과 필터(410,420)가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에 장착하는 간단한 조립 공정으로 카메라 모듈과 광학적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271)의 연결부(271b)에 빛샘 방지용 돌출부(273d)를 형성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가 장착되어 있는 계단부(381)에 빛샘 방지용 돌출부(273d)가 안착되도록 카메라 모듈과 브라켓(271)을 체결함으로써,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이미지 센서(15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6)

  1. 계단부 및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계단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는,
    상기 홀더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홀더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측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과 제 2 홈들을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에 대물 렌즈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에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홈이 폐색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홀더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는,
    글래스에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 물질이 코팅되어 구현된 카메라 모듈.
  6.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어 조립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조립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계단부 및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계단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터치 스크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 1과 2 고정부들과;
    상기 제 1과 2 고정부들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전면에 적외선 통과 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는,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제 1 적외선 통과 필터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하는 적외선을 통과시켜 상기 개구로 전달하는 제 2 적외선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광학 터치 스크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연결부에는,
    제 1과 제 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외선 통과 필터는,
    상기 제 1 통로에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 2 적외선 통과 필터는,
    상기 제 2 통로에 정렬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제 2 통로 사이의 상기 브라켓의 연결부에는,
    빛샘 방지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용 돌출부는,
    상기 계단부에 안착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어 조립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학 터치 스크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각 링 형상인 광학 터치 스크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의 3개의 내측 모서리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사각 링 형상인 케이스의 1개의 내측 모서리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더미(dummy)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들 사이의 케이스 내측면에 재귀 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는 광학 터치 스크린.















KR1020100079125A 2010-08-17 2010-08-17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10121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25A KR101210702B1 (ko) 2010-08-17 2010-08-17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PCT/KR2011/005230 WO2012023706A2 (en) 2010-08-17 2011-07-15 Camera module and optical touch screen using the same
US13/808,018 US8976156B2 (en) 2010-08-17 2011-07-15 Camera module and optical touch screen using the same
TW100127928A TWI574194B (zh) 2010-08-17 2011-08-05 攝影模組及使用其之光學觸控螢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25A KR101210702B1 (ko) 2010-08-17 2010-08-17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26A true KR20120016726A (ko) 2012-02-27
KR101210702B1 KR101210702B1 (ko) 2012-12-10

Family

ID=4560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125A KR101210702B1 (ko) 2010-08-17 2010-08-17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76156B2 (ko)
KR (1) KR101210702B1 (ko)
TW (1) TWI574194B (ko)
WO (1) WO20120237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79B1 (ko) * 2010-10-13 2012-06-22 액츠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8025B1 (ko) 2012-08-24 2013-03-04 김성한 광학식 터치스크린용 카메라 모듈
TWI489351B (zh) * 2013-02-08 2015-06-21 Pixart Imaging Inc 光學透鏡、攝像裝置以及光學觸控系統
US9658334B2 (en) * 2015-02-12 2017-05-2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Interior trim apparatuses for motor vehicles including one or more infrared emitting diodes and one or more infrared sensors
US11445094B2 (en) 2017-08-07 2022-09-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vision system assembly held by a self-aligning bracket assembly
US10268234B2 (en) * 2017-08-07 2019-04-23 Apple Inc. Bracket assembly for a multi-component vision system in an electronic device
US10999482B2 (en) * 2019-07-04 2021-05-04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Image capturing device
US20220345604A1 (en) * 2021-04-27 2022-10-27 Apple Inc. Camera integr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789352B2 (en) * 2021-11-01 2023-10-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mera system laminated into glass using microsensor and lens
CN113997868B (zh) * 2021-11-15 2023-07-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车载显示装置
US20230412907A1 (en) * 2022-05-20 2023-12-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Near infrared (nir)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460A (en) * 1995-06-02 1998-01-13 Avi Systems, Inc. Touch screen
JP2005276019A (ja) * 2004-03-26 2005-10-06 Canon Inc 光学式座標入力装置
JP4429083B2 (ja) * 2004-06-03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遮光型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座標入力方法
US7538894B2 (en) * 2005-04-15 2009-05-26 Canon Kabushiki Kaisha Coordinate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TWI310906B (en) * 2006-09-27 2009-06-11 Asustek Comp Inc Image catching module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KR20090026957A (ko) 2007-09-11 2009-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090092878A (ko) * 2008-02-28 2009-09-02 (주)디지텍시스템스 적외선 터치스크린
KR20100056117A (ko) *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식 터치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6156B2 (en) 2015-03-10
TW201232366A (en) 2012-08-01
TWI574194B (zh) 2017-03-11
US20130106787A1 (en) 2013-05-02
WO2012023706A3 (en) 2012-04-12
WO2012023706A2 (en) 2012-02-23
KR101210702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02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20120012571A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12351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101706778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KR10115001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20120012572A (ko) 광학 터치 스크린
KR101209314B1 (ko) 광학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
KR101351420B1 (ko) 광학 센싱 프레임을 갖는 표시 장치
KR100868824B1 (ko) 광학방식 터치스크린
KR101760513B1 (ko) 광학 터치 스크린의 조립 방법
KR101612152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KR101612151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784517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668482B1 (ko) 광학 터치 시스템
KR10172732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101598634B1 (ko) 광학 터치 시스템
KR20120071142A (ko) 광학 센싱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KR20170072066A (ko) 터치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