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136A -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136A
KR20120015136A KR1020100077401A KR20100077401A KR20120015136A KR 20120015136 A KR20120015136 A KR 20120015136A KR 1020100077401 A KR1020100077401 A KR 1020100077401A KR 20100077401 A KR20100077401 A KR 20100077401A KR 20120015136 A KR20120015136 A KR 20120015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lay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활
박동현
임진성
김석원
박대출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136A/ko
Publication of KR2012001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83Mirror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복합 도광판은 광을 안내하여 면광원을 형성하며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진 도광판과, 도광판의 하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도광판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으로 재입사시키는 반사미러와, 도광판의 상부에 일체로형성되며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이 도광판 내부로 재반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 투과율을 높여주는 광 반사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Integrated light guide pannel and back light unit containing with i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에 사용되는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액정(Liquid Crystal)을 주입해 전원공급 시 액정분자의 배열 변화로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장치(LCD)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 발광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nic Luminescent Display) 등과는 달리 별도의 발광수단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화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유지할 수 있는 면광원 형태의 백라이트 장치를 필요로 한다.
도 1 은 종래 액정표시장치(LCD)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종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11), 반사시트(12), 도광판(13), 확산시트(14), 제1, 제2 프리즘시트(15, 16), 광 휘도 증가필름(17), 보호필름(18)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11)은 GaAlAs계, AlGain계, AlGainP계, AlGainPAs계, 또는 GaN계 엘이디(LED)나 방전램프의 일종인 냉음극선관 램프(CCFL)이다. 도광판(13)은 광원(11)으로부터의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들어 준다. 확산시트(14)는 도광판(13)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반사시트(12)는 도광판(13)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광판(13)의 저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13)으로 재입사시킨다. 제1, 제2 프리즘시트(15, 16)는 서로 직교되게 배치되며, 확산시트(14)를 통과한 광을 집광한다. 광 휘도 증가필름(17)은 제1, 제2 프리즘시트(15, 16)에 의해 집광된 광의 휘도를 향상시켜준다.
그런데, 종래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3)과 반사시트(12)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존재하여, 광원(11)에서 발생되는 내부열과 외부 습도 환경에 의해서 반사시트(12)에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슬림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 역시 기존보다 더 얇게 구현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도광판의 두께가 얇고, 도광판을 통과하는 광의 투과율이 높은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습성이 뛰어난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합 도광판은, 광을 안내하여 면광원을 형성하며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진 도광판과, 도광판의 하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도광판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으로 재입사시키는 반사미러와, 도광판의 상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이 도광판 내부로 재반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 투과율을 높여주는 광 반사반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복합 도광판은, 도광판의 유리기판은 그 두께가 0.65㎜ 이상, 2.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복합 도광판은, 반사미러가 도광판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과, 도광판에 하부에 형성되며 반사층과 도광판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버퍼층과, 반사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을 유리기판으로 구현하고, 반사미러가 도광판에 일체로 코팅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에 광 반사반지층이 일체로 코팅되도록 구현함으로써,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이 도광판 내부로 재반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 투과율을 높여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미러와 도광판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없고, 또한 반사미러에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다습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습성을 갖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액정표시장치(LCD)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도 3b 는 도 2에 따른 복합 도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a, 도 3b 는 도 2에 따른 복합 도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복합 도광판(21)과, 확산시트(22)와, 프리즘시트(23)와, 광 휘도 증가시트(24)를 포함한다.
복합 도광판(21)은 광원으로부터의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들어 주며, 면광원을 확산시트(22)로 출사한다. 도 3a,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복합 도광판(21)은 도광판(211)과 도광판(211) 하부에 일체로 코팅되는 반사미러(212)와 도광판(211) 상부에 일체로 코팅되는 광 반사방지층(213)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도광판(211)은 광원으로부터의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안내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형성한다. 도광판(211)은 유리기판으로 구현된다. 도광판(211)의 유리기판은 그 두께가 0.65㎜ 이상, 2.8㎜ 이하로 구현된다.
도광판(211)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도트(211a)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도트(211a) 패턴은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을 산란 및 난반사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광판(211)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구조(211b)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구조(211b)는 건식 또는 습식 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구조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요철구조(211b)는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을 산란 및 난반사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광판(211)은 일정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원판에 자외선 경화수지를 도포 후 요철형상이 새겨진 마스터를 위에서 누른 다음, 자외선을 일정 조건에서 조사함으로써 아크릴 수지 원판에 요철형상이 새겨진 도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광판(211)은 요철형상이 새겨진 마스터를 롤 표면에 부착시키거나 롤에 요철형상을 직접 가공한 마스터를 이용해 일정 두께의 아크릴계 도광판 수지 원판에 열 압출하여 수지 표면에 요철형상이 새겨진 도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광판(211)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PC)로 이루어진 판상 재료 하부에 광 확산 물질로 도트 패턴(dot pattern)을 인쇄한 도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반사미러(212)는 도광판(211)의 하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도광판(211)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211)으로 재입사시킨다. 종래 반사시트(도 1의 참조부호 12)는 반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현되나, 본 발명의 반사미러(212)는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예컨대, 스퍼터링(Sputtering), 전자빔증착(E-beam evaporation), 열증착(Thermal evaporation), 분자빔증착(Molecular Beam Epitaxy), 수소기상증착(Hydride Vapor Phase Epitaxy) 등에 의해 박막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반사미러(212)는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예컨대, 유기금속기상증착(MOCVD),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대기압 화학기상증착(APCVD), 저압화학기상증착(LPCVD), 초고진공 화학기상증착(Ultra High Vacuum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에 의해 박막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미러(2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212a)과 반사층(212b)과 보호층(212c)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버퍼층(212a)은 도광판(211)의 하부에 코팅되며, 반사층(212b)과 도광판(211)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준다. 버퍼층(212a)은 티탄(Ti) 또는 티탄(Ti)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층(212b)은 도광판(211)의 하부를 통과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211)으로 재입사시킨다. 반사층(212b)은 금속물질로 구현되며, 일례로, 금속물질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금(Au)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층(212b)은 그 두께가 100nm 이상, 200nm 이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212b)은 가시광 및 적외선 영역에서 90% 이상의 반사율을 보여준다.
보호층(212c)은 반사층(212b)의 하부에 형성되며, 반사층(212b)이 외부의 환경변화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보호층으로 사용된다. 일례로 보호층(212c)은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오산화니오브(Nb2O5), 산화알루미늄(Al2O3)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복합 도광판(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11)과 반사미러(212)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없는 슬림한 구조로 형성되며, 반사미러(212)에 반사층(212b)을 보호하는 보호층(212c)을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다습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습성을 갖는다.
광 반사방지층(213)은 도광판(211)의 상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반사미러(212)에서 반사된 광이 도광판(211) 내부로 재반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 투과율을 높여준다. 광 반사방지층(213)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굴절률이 2.0 이상, 3.5 이하인 고굴절층과, 굴절률이 1.1 이상, 1.5 이하인 저굴절층이 반복 적층된 다층 박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고굴절층은 산화 니오브(Nb2Ox), ITO(Indium Tin Oxide), TiO2, ZrO2 같은 무기물로 구현되고, 저굴절층은 불소계투명 고분자수지, 불화마그네슘, 실리콘계수지, 산화규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 반사방지층(213)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광판(211) 상부에 코팅되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하드 코팅층과, 하드 코팅층 위에 코팅되며 굴절률이 1.1 이상, 1.65 미만인 저굴절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코팅 방법은 다이코터, 스프레이, 스핀코팅, 그라비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저굴절층은 불소계투명 고분자수지, 불화마그네슘, 실리콘계수지, 산화규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확산시트(22)는 복합 도광판(2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일례로, 확산시트(22)는 베이스필름과, 베이스필름 상부면에 코팅된 확산층(diffusing layer)과, 베이스필름 하부면에 코팅된 안티 블럭킹층(anti-blocking layer)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필름으로는 폴리머 계열의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PC),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등과 같은 물질을 사용한다. 확산층(diffusing layer)과 안티 블럭킹층(anti-blocking layer) 내에는 광확산 비즈(Beads)가 분산된다. 여기서, 확산층(diffusing layer)은 분산된 광확산 비즈(Beads)의 크기 및 조밀도에 따라 입사량 및 확산율이 다르게 된다. 반면에, 안티 블럭킹층(anti-blocking layer)은 분산된 광확산 비즈(Beads)의 크기가 균일하며 조밀도가 적어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낮추고, 하부에 위치하는 복합 도광판(21)을 보호하며, 정전기에 의한 이물 흡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시트(23)는 확산시트(22)를 통과한 광을 집광시킨다. 프리즘시트(23)는 베이스필름과, 베이스필름 상부면에 요철 형상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된다. 베이스필름으로는 폴리머 계열의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PC),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등과 같은 물질을 사용한다.
광 휘도 증가시트(24)는 프리즘시트(23)를 통해 집광된 광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광 휘도 증가시트(24)는 3M사에서 제조되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와 BEF(Brightness Enhancement Fil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 복합 도광판
211: 도광판
211a: 도트
212: 반사미러
212a: 버퍼층 212b: 반사층
212c: 보호층
13: 광 반사반지층
22: 확산시트
23: 프리즘시트
24: 광 휘도 증가시트

Claims (15)

  1. 광을 안내하여 면광원을 형성하며,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진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상기 도광판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으로 재입사시키는 반사미러; 및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일체로 코팅되며, 상기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재반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 투과율을 높여주는 광 반사반지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유리기판은 그 두께가 0.65㎜ 이상, 2.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반지층은,
    굴절률이 2.0 이상, 3.5 이하인 고굴절층과, 굴절률이 1.1 이상, 1.5 이하인 저굴절층이 반복 적층된 다층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반지층은,
    상기 도광판에 상부에 코팅되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하드 코팅층 위에 형성되며, 굴절률이 1.1 이상, 1.65 미만인 저굴절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미러가:
    상기 도광판에 하부에 코팅되는 버퍼층;
    상기 버퍼층에 코팅되며, 상기 도광판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으로 재입사시키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티탄(Ti) 또는 티탄(Ti)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복합 도광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물질은 적어도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금(Au)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복합 도광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두께는 100nm 이상, 2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복합 도광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 오산화니오브, 산화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도트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도트의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요철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구조는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요철구조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광판.
  15.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14 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00077401A 2010-08-11 2010-08-11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20015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01A KR20120015136A (ko) 2010-08-11 2010-08-11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01A KR20120015136A (ko) 2010-08-11 2010-08-11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136A true KR20120015136A (ko) 2012-02-21

Family

ID=4583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401A KR20120015136A (ko) 2010-08-11 2010-08-11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1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3396A (zh) * 2015-08-25 2015-11-25 靖江市永盛光电科技有限公司 扩散膜入光侧降噪结构
CN105093395A (zh) * 2015-08-25 2015-11-25 靖江市永盛光电科技有限公司 扩散膜反入光侧降噪结构
US9279929B2 (en) 2014-02-20 2016-03-08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02644B2 (en) 2014-06-19 2018-02-27 Corning Incorporated Aluminosilicate glasses
US20180235498A1 (en) * 2017-02-17 2018-08-23 Sangmyu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brain-heart connectivity by using pupillary vari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9929B2 (en) 2014-02-20 2016-03-08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02644B2 (en) 2014-06-19 2018-02-27 Corning Incorporated Aluminosilicate glasses
US10173920B2 (en) 2014-06-19 2019-01-08 Corning Incorporated Aluminosilicate glasses
US11001521B2 (en) 2014-06-19 2021-05-11 Corning Incorporated Aluminosilicate glasses
CN105093396A (zh) * 2015-08-25 2015-11-25 靖江市永盛光电科技有限公司 扩散膜入光侧降噪结构
CN105093395A (zh) * 2015-08-25 2015-11-25 靖江市永盛光电科技有限公司 扩散膜反入光侧降噪结构
US20180235498A1 (en) * 2017-02-17 2018-08-23 Sangmyu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brain-heart connectivity by using pupillary vari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0606A (ko)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6038193B2 (ja) 指向性バックライトを使用したベゼルフリーディスプレイ装置
JP4487629B2 (ja) 面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1653015B1 (ko) 광원장치용 도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2447931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20019758A1 (en) Display device
JP2005221619A (ja) 光学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並びに液晶表示装置
US2005026471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ide backlight unit, lamp reflector and reflection member
US11056661B2 (en) Color conversion lay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TW200925509A (en) Back-light portion
JP2009169409A (ja)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70254947A1 (e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KR20110000503A (ko) 백라이트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30170246A1 (en) Backlight Unit Integrally Formed with Conductive, Chemically Toughened Glas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15136A (ko) 복합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W201636662A (zh) 前光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JP2013178572A (ja) 正面輝度が改善された長手方向ウェーブパターンのプリズム山を持つプリズムシート、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該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0231103A (ja) 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
JPWO2005083474A1 (ja) 光学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KR20120035062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719156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9122645A (ja)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10071037A (ko) 광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807505B (zh) 光重導向膜、偏光板以及含該偏光板之顯示器
KR20190053099A (ko) 편광판용 보호시트,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