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855A -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855A
KR20120014855A KR1020100114487A KR20100114487A KR20120014855A KR 20120014855 A KR20120014855 A KR 20120014855A KR 1020100114487 A KR1020100114487 A KR 1020100114487A KR 20100114487 A KR20100114487 A KR 20100114487A KR 20120014855 A KR20120014855 A KR 2012001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olenoid valve
beverage
water in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6774B1 (en
Inventor
쓰성-흐시 리우
Original Assignee
쓰성-흐시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성-흐시 리우 filed Critical 쓰성-흐시 리우
Publication of KR2012001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7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PURPOSE: A beverage making machine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uperior flavor of beverage because a concentration of beverage is changed by adding a particular amount of water to the beverage by users. CONSTITUTION: A beverage making machine comprises a brewing solenoid valve(30), a preparing container(21), a liquid dispenser(20),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60), a hot water inlet pipe(61), and a preheating and circulating pipeline(33). A container for manufacture contains a composition of beverage.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opened, the liquid dispenser transfers the mixed water to the container for manufacture.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closed, the liquid dispenser transfers the mixed water to the hot water inlet pipe. When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opened, the mixed water is directly added to the beverage.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and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are closed, the hot water inside a heat exchanger(11) is evaporated. The hot water preheats liquid dispenser through the preheating and circulating pipeline and is returned to the heat exchanger.

Description

음료 제공 장치{BEVERAGE PREPARING APPARATUS}Beverage Serving Device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원은 2010년 8월 10일에 출원된 대만 특허 출원 제 099126586 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Taiwan Patent Application No. 099126586, filed August 10, 2010.

본원 발명은 음료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여러 가지 타입의 음료를 다양한 온도 및 농도로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types of beverages at various temperatures and concentrations.

일반적으로, 음료 제공 장치는 커피, 차 또는 기타 음료를 우려내기 위해서(brewing; 이하, '브루잉') 사용된다. 통상적인 음료 제공 장치는 도 17을 참조하면, 물 펌프(80), 메인 보일러(81), 열 교환기(82) 및 액체 분배기(83)를 포함한다. 물 펌프(80)는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메인 보일러(8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메인 보일러(81)의 수위가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물 펌프(80) 그리고 개방되고 차단되는 메인 보일러(81)의 물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95)를 제어하기 위해서 수위 탐지기(84)가 제공되고; 히터(86)를 개방 또는 차단되게 제어하기 위해서 그리고 메인 보일러(81)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메인 보일러(81)를 소정 증기 압력 범위(또는 소정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증기 압력 탐지기(85)가 제공된다. Generally, a beverage providing device is used for brewing coffee, tea or other beverages. A typical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referring to FIG. 17, includes a water pump 80, a main boiler 81, a heat exchanger 82, and a liquid distributor 83. The water pump 80 is provided for supplying water to the main boiler 81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The water level detector 84 is provided to control the water pump 80 and the water inlet solenoid valve 95 of the main boiler 81 which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main boiler 81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Provided; Steam pressure detector 85 to control the heater 86 to open or shut off and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main boiler 81 to maintain the main boiler 81 within a predetermined steam pressure range (or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 Is provided.

음료 제공 프로세스에서, 물 펌프(80) 및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87)가 개방되어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저온수 공급 파이프, 일방향 압력 릴리프 밸브(89) 및 유량계(90)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고, 물을 메인 보일러(81)의 열 교환기(82)로 전달하며, 열 교환기(82)에 수용된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메인 보일러(81) 내의 고온의 물 및 증기를 이용하고, 고온의 물이 고온 물 공급 파이프(91)로부터 액체 분배기(83)로 유동하고, 개방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87)를 통과하고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조용 컨테이너(preparing container; 92)로 하향 유동된다. 브루잉된 음료가 음료 수용 컵(94)으로 유동한다. 유량계(90)에 의해서 측정된 소정량의 물이 유동하였다면,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87) 및 물 펌프(80)가 즉시 차단되고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에서의 물 유동을 완료하게 될 것이다. In the beverage delivery process, the water pump 80 and the brewing solenoid valve 87 are opened to supply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hrough the cold water supply pipe, the one-way pressure relief valve 89 and the flow meter 90, and the water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82 of the main boiler 81, and hot water in the main boiler 81 to generate hot water by heat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housed in the heat exchanger 82; For production using steam, hot water flows from the hot water supply pipe 91 to the liquid distributor 83, passes through the open brewing solenoid valve 87 and comprises a beverage composition for brewing the beverage. Downflow into a preparing container 92. The brewed beverage flows into the beverage receiving cup 94. If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flow meter 90 has flowed, the brewing solenoid valve 87 and the water pump 80 will shut off immediately and complete the water flow in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만약 통상적인 음료 제공 장치가 공회전된다면, 열 교환기(82) 내의 고온의 물이 증발 열에 의해서 증기로 증발될 것이고, 증기는 고온수 공급 파이프(91)를 통과하여 액체 분배기(83)로 전달될 것이다. 공회전 단계에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87)가 차단되기 때문에, 증기 유동과 액체 분배기(83)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액체 분배기(83)가 작동 온도까지 예열된 후에, 액체 분배기(83)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증기가 물로 응축되고, 응축된 물이 복귀 파이프(93)로부터 열 교환기(82)로 유동하여 예열 순환을 구성한다. If the conventional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is idling, the hot water in the heat exchanger 82 will evaporate into steam by the heat of evaporation and the steam will pass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91 to the liquid distributor 83. . Since the brewing solenoid valve 87 is shut off in the idling stage,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vapor flow and the liquid distributor 83. After the liquid distributor 83 is preheated to an operating temperature, steam condenses into water by heat exchange with the liquid distributor 83, and the condensed water flows from the return pipe 93 to the heat exchanger 82 to form a preheating circulation. do.

전술한 통상적인 음료 제공 장치는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서 액체 분배기로 하나의 온도로만 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음료의 온도 및 농도가 일정하며, 그에 따라 개인적인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온도 및 농도로 음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각화된 음료 시장의 실질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everage providing device can provide water only at one temperature to the liquid dispenser for brewing the beverage,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provided is constant, and thus various temperatures to satisfy the personal taste And do not serve beverages in concentrations and meet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the diversified beverage market.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현재의 음료 제조기들은 브루잉된 음료에 고온의 물, 저온의 물 및/또는 얼음을 수동적으로 부가함으로써 온도 및 농도를 변화시키고 있으나, 그러한 수동적인 프로세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음료의 최상의 품질 및 풍미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오랜 기다림과 낮은 음료 품질로 인해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In general, most current beverage makers are changing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by manually adding hot water, cold water and / or ice to the brewed beverage, but such a manual process is not only time consuming. However, the user may not be able to maintain the best quality and flavor of the beverage, or the long wait and low quality of the beverage may reduce the user's satisfaction.

또한, 여러 가지 타입의 음료(예를 들어, 커피, 녹차, 및 홍차)에 대한 최적의 브루잉 온도는 다양할 것이다. 비록, 통상적인 음료 제공 장치가 둘 또는 셋 이상의 액체 분배기 및 제조용 컨테이너 세트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나, 고온수 공급 시스템은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의 실행을 위해서 각 액체 분배기 및 제조용 컨테이너로 일정한 온도로만 고온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그 장치는 동일한 타입의 음료를 브루잉하도록 미리 설정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을 "단일 음료 제공 장치"라고 지칭한다. 시장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음료가 요구되는 음료 제조기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타입의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서로 상이한 음료 제공 장치가 요구된다. 이는, 장비 비용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불편한 작업 및 낮은 설비 이용률이라는 단점을 초래하기도 한다. In addition, the optimal brewing temperature for various types of beverages (eg coffee, green tea, and black tea) will vary. Although a conventional beverage delivery device may have two or three or more liquid distributors and a set of manufacturing containers, the hot water supply system may only have hot water at a constant temperature into each liquid distributor and manufacturing container for the execution of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May be supplied, and thus the device is preset to brew a beverage of the same type, generally referred to as a "single drink providing device". With regard to beverage makers which require several different beverages on the market, several different beverage providing devices are required to brew various types of beverages. This not only increases equipment costs but also results in disadvantages of inconvenient work and low equipment utilization.

그에 따라, 본원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 후에,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특정한 양의 물이 음료로 첨가되어 음료의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음료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신속하고도 편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음료의 최상의 품질 및 풍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ly,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in which after a beverage brewing process, a certain amount of water set by the user can be added to the beverage to change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for a quick and convenient operation, but also maintains the best quality and flavor of the beverage.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충진(filling) 단계가 음료의 온도 및/또는 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고온수 및/또는 저온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wherein the filling step of water comprises providing hot water and / or cold water to change the temperature and / or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브루잉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고온수를 특정량의 저온수와 혼합하여 음료 브루잉에 가장 적합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생성하고, 액체 분배기가 혼합된 물을 음료 브루잉을 위한 제조용 컨테이너로 전달하는 음료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혼합된 물을 이용하는 전술한 브루잉 방법은 보일러의 작동 효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저온수의 유동을 조절하고 혼합된 물 유동을 서로 다른 온도에서 서로 다른 액체 분배기로 전달하기 위해서 둘 이상의 액체 분배기 및 제조용 컨테이너의 세트를 음료 제공 장치에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음료를 브루잉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음료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원 발명의 음료 제공 장치는 둘 또는 셋 이상의 타입의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둘 또는 셋 이상의 액체 분배기 및 제조용 컨테이너 세트를 수반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와 관련하여, 본원 발명은 설비 비용 절감, 편리한 작업 환경 제공, 그리고 설비 이용률 개선이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x hot wat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quired brewing temperature with a certain amount of cold water to produce a mixed water flow at a temperature most suitable for beverage brewing, and to drink water with a liquid distributor. It is to provide a beverage providing device for delivery 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for brewing. The above-described brewing method using mixed water not only improves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boiler, but also regulates the flow of cold water and transfers the mixed water flow to different liquid distributors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It is to provide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brewing various types of beverage by installing a set of manufacturing containers in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s such,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volve two or three or more liquid distributors and sets of containers for manufacturing for brewing two or three or more types of beverages. With regard to beverage mak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dvantages of reducing equipment costs, providing a convenient working environment, and improving equipment utilization.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 분배기의 예열 효과를 보장하기 위한 예열 순환 경로를 추가로 제공하는 음료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which further provides a preheating circulation path for ensuring the preheating effect of the liquid distributo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은 음료 제공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음료 제공 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 범위까지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고온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물을 과열 온도 값까지 가열하기 위해서 보일러 내에 설치된 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고온수 파이프;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저온수 스로틀 밸브를 통과하며, 저온수 및 고온수가 적절한 온도의 물 유동으로 혼합되도록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는 저온수 파이프; 고온수 파이프 내의 물 유동이 저온수 파이프내로 반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온수 파이프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 상기 고온수 파이프로부터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된 액체 분배기; 상기 액체 분배기와 조립되고, 내부에 수용된 음료 조성물을 구비하는 제조용 컨테이너; 상기 액체 분배기를 통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는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 상기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가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그리고 상기 액체 분배기에 설치되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액체 분배기가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제조용 컨테이너로 전달하여 음료 조성물에 의해서 음료를 생성하고,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액체 분배기가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로 전달하고 혼합된 물을 음료에 첨가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 boiler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therein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 hot water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passing through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boiler to heat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pipe to an overheat temperature value; A cold water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passing through a cold water throttle valve to regulate the flow,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such that the cold and hot water are mixed into a suitable temperature water flow;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cold water pipe to prevent reverse flow of water in the hot water pipe back into the cold water pipe; A liquid distributor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o receive water flow from the hot water pipe; A manufacturing container assembled with the liquid dispenser and having a beverage composition contained therein; A hot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hrough the liquid distributor;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hot water inlet pipe to open or shut off; And a brewing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liquid dispenser, wherein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opened, the liquid dispenser delivers a mixed water flow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a manufacturing container to produce a beverage by the beverage composition,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are opened, the liquid distributor delivers the mixed water flow o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o the hot water inlet pipe and adds the mixed water to the beverag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제공 장치는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의 일단부는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액체 분배기를 직접적으로 통과하고 열 교환기에 연결되며, 그에 따라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었을 때, 열 교환기 내의 고온수가 증발되고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을 통과하여 액체 분배기를 예열하고, 이어서 열 교환기로 복귀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directly to the liquid distributor and to the heat exchanger, thus When the brew solenoid valv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are shut off, the hot water in the heat exchanger is evaporated and passed through the preheat circulation pipeline to preheat the liquid distributor and then return to the heat exchanger.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제공 장치는 외부의 물 공급원과 연결된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 및 상기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가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며, 그에 따라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외부의 저온수가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를 통과하게 되어 저온수를 음료에 첨가하게 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cold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the cold water inlet pipe to be opened or shut off, and thus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When is opened, the external cold water is passed through the cold water inlet pipe to add cold water to the beverag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온수 파이프는 고온수 파이프가 액체 분배기로 도입되기 전에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ld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before the hot water pipe is introduced into the liquid distributor.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온수 파이프는 액체 분배기를 통해서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ld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via a liquid distributor.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제공 장치는 3개 이상의 수동 제어 키이 및 4개 이상의 자동 제어 키이를 구비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 제어 키이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각 수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자동 제어 키이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들의 조합을 각각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제공되고 미리 설정된다(preset).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panel having at least three manual control keys and at least four automatic control keys, wherein the manual control keys comprise a brewing solenoid valve, a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and a hot water. It is provided to manually control each of the inlet solenoid valves, and the automatic control key is provided and preset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brewing solenoid valve,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and a combination thereof, respectively. ).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제공 장치는 저온수 파이프, 저온수 스로틀 밸브, 고온수 파이프 및 액체 분배기의 둘 이상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온수 스로틀 밸브는 다양한 저온수 유동을 저온수 파이프로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고온수 파이프 세트 내의 고온수가 혼합되어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형성하고 그러한 혼합된 물 유동은 액체 분배기로 전달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sets of cold water pipes, cold water throttle valves, hot water pipes and liquid distributors, wherein the cold water throttle valves provide various cold water flows to the cold water pipes. And hot water in the hot water pipe set is mixed to form a mixed water flow of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mixed water flow is delivered to the liquid distributor.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상에 설치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installed on the hot water inlet pip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었을 때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이 액체 분배기의 물 공급 통로 내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물 배출 통로로 통과하도록,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제조용 컨테이너 내로 유동하도록,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이 물 공급 통로를 통과하도록, 이어서 개방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물 공급 분지(branch) 통로를 통과하도록, 그리고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 내로 유동하도록 상기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액체 분배기 상에 설치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ater outlet passage through the open brewing solenoid valve is such that,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open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shut off, the mixed water flow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liquid distributor. Such that the mixed water flow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shut off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opened, so as to flow in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to carry out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installed on the liquid distributor to flow through the water supply branch passage through an open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and to flow into the hot water inlet pipe.

본원 발명의 음료 제공 장치는, 다양화된 음료 시장의 실제 요구에 맞춰서 농축된 커피(차), 가벼운 음료(차), 고온 커피(차), 따뜻한 커피(차), 및 냉커피(냉차)와 같은 다양한 온도 및 농도로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브루잉된 음료의 온도 및 농도를 전술한 소정의 설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as concentrated coffee (tea), light beverage (tea), hot coffee (tea), hot coffee (tea), and cold coffee (cold tea) to meet the actual needs of the diversified beverage market.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brewed beverag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settings described above to make the beverage at various temperatures and concentrations.

그리고 본원 발명은 동일한 음료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음료를 브루잉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음료 제조업자는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그리고 편리한 작업 및 높은 설비 이용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purpose of brewing a variety of different drinks using the same beverage providing device, so that beverage manufacturers can reduce equipment costs, and can achieve convenient operation and high equipment utilization will be.

본원 발명 및 본원 발명의 많은 이점들은 이하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 내에 설치되는 저온수(고온수) 유입구 스로틀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에 의해서 실시되는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에서의 물 유동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에 의해서 실시되는 고온수 충진 프로세스에서의 물 유동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에 의해서 실시되는 저온수 충진 프로세스에서의 물 유동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에 의해서 실시되는 예열 순환 프로세스에서의 물 유동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원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음료 제공 장치 내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와 유사한 다른 부분 확대도로서, 다른 단면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통상적인 음료 제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invention and many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mor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3.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inlet throttle connector installed in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irection in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performed by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shown in FIG. 3.
FIG. 8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irection in the hot water filling process performed by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shown in FIG. 3.
FIG. 9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irection in the cold water filling process performed by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shown in FIG. 3.
FIG. 10 is a view showing a water flow direction in a preheating circul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shown in FIG. 3.
11 is a plan view showing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liquid dispenser installed in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shown in FIG. 14.
FIG. 16 is another enlarged view similar to FIG. 14 and shown in another cross-sectional direc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본원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에 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료 제공 장치는 고온수 파이프(31)로부터의 고온수를 저온수 파이프(35)로부터의 특정량의 저온수와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을 생성하고, 그리고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를 구비하는 액체 분배기(20)를 이용하며,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음료 조성물로부터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음료 조성물을 수용하고 있고 그리고 음료가 음료 컵(22)으로 유동할 수 있게 허용하는 제조용 컨테이너(21) 내로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을 선택하여 전달하고; 또는 혼합된 물을 직접적으로 음료 컵(22)으로 첨가하여 음료 컵 내의 음료의 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을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로 선택하여 전달한다. 1 and 2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the specific amount of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pipe (31) from the cold water pipe (35) Mixed with cold water to produce mixed wat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using a liquid dispenser 20 having a brewing solenoid valve 30, wherein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draws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mposition. Selecting and delivering the mixed temperature of appropriate temperature in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21 containing the beverage composition to provide and allowing the beverage to flow into the beverage cup 22; Alternatively, the mixed water is added directly to the beverage cup 22 to select and deliver the mixed temperature o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o the hot water inlet pipe 61 to change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up.

음료 제공 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 범위까지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0);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그리고 고온수 파이프(31)를 통과하는 물 유동을 과열 온도 값까지 가열하기 위해서 상기 보일러(10) 내에 설치된 열 교환기(11)를 통과하는 고온수 파이프(31);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저온수 스로틀 밸브(36)를 통과하며, 그리고 저온수 및 고온수가 적절한 온도의 물 유동으로 혼합되도록 고온수 파이프(31)에 연결되는 저온수 파이프(35); 고온수 파이프(31) 내의 물 유동이 저온수 파이프(35) 내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저온수 파이프(35)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37); 상기 고온수 파이프(31)로부터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31)에 연결된 액체 분배기(20); 상기 액체 분배기(20)와 조합되고, 그리고 내부에 음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조용 컨테이너(21); 상기 액체 분배기(20)를 통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31)에 연결되는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 상기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를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 상에 설치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 그리고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로서,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액체 분배기(20)가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제조용 컨테이너(21)로 전달하여 음료 조성물로부터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차단되었을 때, 상기 액체 분배기(20)가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을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가 개방되었을 때, 혼합된 물 유동이 음료 내로 직접적으로 첨가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분배기(20)에 설치되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포함한다.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boiler 10 for heating water stored therein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 hot water pipe 31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passing through a heat exchanger 11 installed in the boiler 10 for heating the water flow through the hot water pipe 31 to a superheated temperature value; A cold water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passed through a cold water throttle valve 36 to regulate the flow,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1 to mix the cold and hot water in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water flow. (35); A check valve (37) installed in the cold water pipe (35) to prevent the water flow in the hot water pipe (31) from returning into the cold water pipe (35); A liquid distributor (20)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1) for receiving water flow from the hot water pipe (31); A manufacturing container 21 combined with the liquid distributor 20 and containing a beverage composition therein; A hot water inlet pipe (61)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1) through the liquid distributor (20);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installed on the hot water inlet pipe (61) to control the hot water inlet pipe (61) to be opened or shut off; And as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is opened, the liquid distributor 20 delivers a mixed water flow of suitable temperature 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21 to drink from the beverage composition. And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is shut off, the liquid distributor 20 can deliver the mixed temperature of suitable temperature to the hot water inlet pipe 61, and the hot water inlet When the solenoid valve 60 is open, it includes a brewing solenoid valve 30 installed in the liquid distributor 20 so that the mixed water flow can be added directly into the beverage.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온수 파이프(35)는 고온수 파이프(31)가 액체 분배기(20) 내로 도입되기에 앞서서 고온수 파이프(31)로 연결된다. In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the cold water pipe 35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1 before the hot water pipe 31 is introduced into the liquid distributor 20.

본원 발명은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보일러(10)로 공급하기 위한 물 펌프(12), 보일러(1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소정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물 펌프(12) 및 물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14)를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수위 탐지기(13), 보일러(10) 내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소정 증기 압력 범위(그리고 소정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6)의 온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증기 압력 탐지기(15)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mp 12 for supplying water to the boiler 10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he water pump 12 and the water inlet solenoid valve so that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in the boiler 10 can b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range. A level detector 13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r shutting of the water 14, and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heater 16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iler 10 can be heat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team pressure range (an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It further comprises a vapor pressure detector (15) for.

물 펌프(12)가 켜졌을 때,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물 유입구 파이프(17) 내로 펌핑되도록, 물 펌프(12)가 물 유입구 파이프(17)에 연결된다. 물 유입구 파이프(17)는 일방향 압력 릴리프 밸브(18) 및 유량계(19)를 연속적으로 포함하고, 그리고 물 유입구의 단부들이 고온수 파이프(31) 및 저온수 파이프(35)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고온수 파이프(31) 및 저온수 파이프(35)로 물을 공급한다. When the water pump 12 is turned on, the water pump 12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pipe 17 so that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is pumped into the water inlet pipe 17. The water inlet pipe 17 comprises a one-way pressure relief valve 18 and a flow meter 19 continuously, and the ends of the water inlet ar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5 respectively so that the external water Water is supplied from the source to the hot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5.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 교환기(11)는 듀얼(dual) 보일러 타입 열 교환re기이나, 그러한 열 교환기는 단일 보일러 타입의 열 교환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다른 타입의 열 교환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heat exchanger 11 as shown in the figure is a dual boiler type heat exchanger, but such a heat exchanger may be a single boiler type heat exchanger or another type of heat exchanger. .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액체 분배기(20) 상에 설치되고, 그리고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는 3방향, 2-위치 솔레노이드 밸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 brewing solenoid valve 30 is installed on the liquid distributor 20, and the brewing solenoid valve may be a three-way, two-position solenoid valve.

음료 제공 장치는 또한 액체 분배기(20)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의 일 단부는 고온수 파이프(31)에 연결되고 그리고 어떠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도 없이 직접적으로 액체 분배기(20)를 통과하고, 그리고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의 타 단부는 열 교환기(11)에 연결된다. 스로틀 커넥터(38)는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 및 액체 분배기(20)가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스로틀 커넥터(38)는 또한 스로틀 밸브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everage delivery device further includes a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33 for preheating the liquid distributor 20, one end of the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33 being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1 and which solenoid Directly through the liquid distributor 20 without the control of the valve, and the other end of the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33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11. The throttle connector 38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reheat circulation pipeline 33 and the liquid distributor 20 are connected, and the throttle connector 38 may also be replaced by a throttle valve.

본원 발명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에 관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 및 도 4는,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음료 제공 장치가 외부 물 공급원에 연결된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51) 및 상기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51) 상에 설치되어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51)가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추가로 포함하며, 그에 따라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가 개방되었을 때, 외부 저온수로부터의 물이 음료 컵(22)으로 직접적으로 첨가되어 컵 내의 음료의 온도 및 농도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3 and 4 of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the cold water inle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ource of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It further comprises a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installed on the pipe 51 and the cold water inlet pipe 51 to control the cold water inlet pipe 51 to open or shut off, and thus the cold water inlet. When solenoid valve 50 is opened, water from external cold water is added directly to beverage cup 22 to change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in the cup, as shown in FIGS. 1 and 2. Substantially the same.

본원 발명의 음료 제공 장치에 대한 도 5를 참조하면, 음료 제공 장치는 음료 제공 장치의 케이싱에 설치된 제어 패널(65), 상기 제어 패널(65)에 설치된 3개 이상의 수동 제어 키이(E1, E2, E3) 및 4개 이상의 자동 제어 키이(A1, A2, B1, B2, C1, C2, D1, D2)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수동 제어 키이(E1, E2, E3)는 사용자가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 중 하나가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제공된다. 각각의 자동 제어 키이(A1, A2, B1, B2, C1, C2, D1, D2)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 및 이들의 임의 조합이 개방 또는 차단될 수 있게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미리 설정되고, 그리고 각각의 자동 제어 키이(A1, A2, B1, B2, C1, C2, D1, D2)는 제조업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공장 디폴트 설정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음료 제공 장치의 최종 제품이 공장에서 출하된 후에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변경한 설정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공장 디폴트 설정으로 설정하는 방식은 회로 디자인에 관한 종래 기술에 해당될 것이며, 그에 따라 이에 대해서는 본원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ure 5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is a control panel 65 installed in the casing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three or more manual control keys (E1, E2, E3) and four or more automatic control keys A1, A2, B1, B2, C1, C2, D1, D2. Each manual control key (E1, E2, E3) allows the user to manually control one of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to open or shut off. Provided to do so. Each automatic control key (A1, A2, B1, B2, C1, C2, D1, D2) has a brewing solenoid valve 30, a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and these Any combination of is preset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opened or shut off, and each automatic control key (A1, A2, B1, B2, C1, C2, D1, D2) is factory preset by the manufacturer. It may have a setting, or may have a setting or change set by the user after the final product of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is shipped from the factory, where the way to set the factory default setting will correspond to the prior art of the circuit design Therefore, this is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각각의 수동 제어 키이(E1, E2, E3) 및 자동 제어 키이(A1, A2, B1, B2, C1, C2, D1, D2)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흐름도를 이용하였다:The following flow chart was used to describe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manual control keys (E1, E2, E3) and automatic control keys (A1, A2, B1, B2, C1, C2, D1, D2):

키이 E1: 음료의 브루잉을 위해서 출력되는 고온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수동적으로 제어.Key E1: The user manually controls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adjust the amount of hot water output for brewing of the beverage.

키이 E2: 출력되는 저온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수동적으로 제어.Key E2: User manually controls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to adjust the amount of cold water output.

키이 E3: 출력되는 고온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를 수동적으로 제어.Key E3: User manually controls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to adjust the amount of hot water output.

키이 A1: 이 키이는 한 컵의 농축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50cc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량으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A1: This key automatically controls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open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according to a preset value, for example 50 cc, for brewing a cup of concentrated beverage.

키이 A2: 이 키이는 예를 들어 2컵에 해당하는 100cc와 같은 농축된 2컵의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서 100cc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다른 소정 유동량으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Key A2: This key allows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be opened at a different predetermined flow rate according to a preset value, such as 100 cc, for brewing two cups of concentrated beverage, such as 100 cc corresponding to two cups. Control automatically.

키이 B1: 이 키이는 360cc(80 cc의 음료 및 같은 온도의 280 cc의 고온수 포함)의 고온의 가벼운(light)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그리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B1: This key is a predetermined flow according to a preset value of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produce a hot light beverage of 360 cc (including 80 cc of beverage and 280 cc of hot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with the desired flow.

키이 B2: 이 키이는 360cc(음료 컵(22)에 포함된 220 cc의 얼음, 80 cc의 음료 및 얼음의 일부를 녹이기 위한 동일 온도의 60 cc의 고온수 포함)의 냉각된(iced) 가벼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그리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B2: This key is an iced light beverage of 360 cc (including 220 cc of ice contained in the beverage cup 22, 80 cc of beverage and 60 cc of hot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to melt some of the ic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to a predetermined flow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to open to a predetermined flow.

키이 C1: 이 키이는 360cc(80 cc의 음료 및 280 cc의 저온수 포함)의 낮은-온도의 가벼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그리고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가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C1: This key allows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open with a predetermined flow in accordance with a preset value to produce a low-temperature light beverage of 360 cc (including 80 cc of beverage and 280 cc of cold water)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with the desired flow.

키이 C2: 이 키이는 500cc(120 cc의 음료 및 380 cc의 저온수 포함)의 낮은-온도의 가벼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그리고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가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C2: This key allows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be opened with a predetermined flow according to a preset value to produce a low-temperature light beverage of 500 cc (including 120 cc of beverage and 380 cc of cold water)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with the desired flow.

키이 D1: 이 키이는 360cc(80 cc의 음료, 200 cc의 동일 온도의 고온수, 및 80 cc의 저온수 포함)의 따뜻한 가벼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그리고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가 특정 시간 동안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D1: This key is used by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a preset value to produce a warm light beverage of 360 cc (including 80 cc of beverage, 200 cc of hot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and 80 cc of cold water).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at a predetermined flow,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is opened for a certain time, so as to open with the desired flow.

키이 D2: 이 키이는 500cc(120 cc의 음료, 260 cc의 동일 온도의 고온수, 및 120 cc의 저온수 포함)의 따뜻한 가벼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른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소정 유동으로 개방되도록, 그리고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가 특정 시간 동안 개방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Key D2: This key is a preset value set by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o produce 500cc (including 120 cc of beverage, 260 cc of hot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and 120 cc of cold water) for a warm light beverage.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at a predetermined flow,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is opened for a certain time, so as to open with the desired flow.

도 6에서,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51)는 상기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51) 내로 첨가되는 첨가수의 물 유동을 조정하고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저온수 유입구 스로틀 커넥터(5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온수 유입구 스로틀 커넥터(52)는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와 일체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는 또한 고온수 유입구 스로틀 커넥터(62)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음). 2개의 스로틀 커넥터(52, 62) 역시 스로틀 밸브로 대체될 수 있다. In FIG. 6, the cold water inlet pipe 51 further includes a cold water inlet throttle connector 52 having a suitable diameter for adjusting and setting the water flow of the additive water added into the cold water inlet pipe 51. . The cold water inlet throttle connector 52 as shown in FIG. 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Similarly, hot water inlet pipe 61 also includes hot water inlet throttle connector 62 (as shown in FIGS. 1 and 2). Two throttle connectors 52, 62 may also be replaced by throttle valves.

본원 발명에 따라 음료를 브루잉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스는 고온수 첨가 단계, 저온수 첨가 단계, 따뜻한 물 첨가 단계, 및 예열 순환 단계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7-10 for a process of brewing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includes a hot water addition step, a cold water addition step, a warm water addition step, a preheat circulation step, and the like.

(1) 음료 브루잉 : 도 7에서, 물 펌프(12) 및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턴 온(turn on)하기 위해서 그리고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는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수동 제어 키이(E1) 또는 자동 제어 키이(A1, A2)(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음)가 사용된다. 이제, 물 펌프(12)에 의해서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도 7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물 유입구 파이프(17)를 통해서 고온수 파이프(31) 및 저온수 파이프(35)로 펌핑된다. 고온수 파이프(31) 내로 유동하는 물이 열 교환기(11)에 의해서 과열된 고온수로 가열되고, 저온수 파이프(35) 내로 유동하는 물의 양이 저온수 스로틀 밸브(36)에 의해서 조정되고 그리고 고온수 파이프(31) 내로 유동되고, 그리고 고온수 파이프(31) 내의 과열된 고온수와 혼합되어 음료를 브루잉하기에 가장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생성한다. 액체 분배기(20) 내로 유입되고 그리고 개방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과하는 혼합된 물 유동이 음료 브루잉을 위한 음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조용 컨테이너(21)로 전달되고, 그리고 제공 준비가 된 음료가 최종적으로 음료 컵(22)으로 유동한다. (1) Beverage Brewing : In FIG. 7, to turn on the water pump 12 and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In order to keep) in a blocked state, manual control keys E1 or automatic control keys A1 and A2 (as shown in Fig. 5) are used. Now,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is pumped by the water pump 12 into the hot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5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7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pipe 31 is heated with the hot water superheated by the heat exchanger 11,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cold water pipe 35 is adjusted by the cold water throttle valve 36 and It is flowed into the hot water pipe 31 and mixed with the superheated hot water in the hot water pipe 31 to produce a mixed water flow at a temperature most suitable for brewing the beverage. Mixed water flow into the liquid distributor 20 and through the open brewing solenoid valve 30 is delivered to a manufacturing container 21 containing a beverage composition for beverage brewing and ready to serve. The beverage finally flows into the beverage cup 22.

(2) 고온수 첨가: 도 8에서,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음료에 고온수를 직접 첨가하는 것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브루잉 프로세스 동안에 수동 제어 키이(E3) 또는 자동 제어 키이(B1, B2)(도 5 참조)를 눌러 물 펌프(12)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를 턴 온 시키고, 그리고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차단시킨다. 이제,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물 펌프(12)에 의해서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물 유입구 파이프(17)를 통해서 고온수 파이프(31) 및 저온수 파이프(35)로 펌핑된다. 고온수 파이프(31) 내로 유동하는 물이 열 교환기(11)에 의해서 과열된 고온수로 가열되고 그리고 저온수 파이프(35) 내로 유동하는 물의 양이 저온수 스로틀 밸브(36)에 의해서 조정되고, 고온수 파이프(31) 내로 유입되며, 그리고 고온수 파이프(31) 내의 과열된 고온수와 혼합되어 음료를 브루잉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생성한다. 적절한 온도의 물 유동이 액체 분배기(20)로 유입될 때,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차단되며, 그에 따라 물 유동이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 내로 안내되고, 개방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를 통과하고, 그리고 음료 컵(22) 내로 직접 충진되어 음료의 온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음료의 농도를 낮춘다. (2) Hot Water Addition: In FIG. 8, after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is completed, if the user wants to choose to add hot water directly to the beverage, the user can manually remove the manual control key E3 or the automatic control key during the brewing process. Press (B1, B2) (see FIG. 5) to turn on the water pump 12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and shut off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Let's do it.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is now pumped by the water pump 12 into the hot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5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7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8.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pipe 31 is heated with the hot water superheated by the heat exchanger 11 and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cold water pipe 35 is adjusted by the cold water throttle valve 36, It is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pipe 31 and mixed with the superheated hot water in the hot water pipe 31 to produce a mixed water flow at a temperature most suitable for brewing the beverage. When an appropriate temperature of water flow enters the liquid distributor 20,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is shut off, so that the water flow is guided into the hot water inlet pipe 61 and the open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Pass 60 and fill directly into beverage cup 22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without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3) 저온수 첨가: 도 9에서,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음료에 저온수를 직접 첨가하는 것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브루잉 프로세스 동안에 수동 제어 키이(E2) 또는 자동 제어 키이(C1, C2)(도 5 참조)를 눌러 물 펌프(12) 및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를 턴 온 시키고, 그리고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를 차단시킨다. 이제,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물 펌프(12)에 의해서 도 9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서 물 유입구 파이프(17)를 통해서 저온수 파이프(51) 내로 펌핑되고, 개방된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를 통과하고, 그리고 음료 컵(22) 내로 직접적으로 충진되며, 그에 따라 음료의 농도 및 온도를 동시에 낮춘다. 저온수 첨가 프로세스 동안에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 모두가 차단되고, 그에 따라 고온수 파이프(31) 및 저온수 파이프(35) 내로 물이 실질적으로 유동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3) Adding Chilled Water : In FIG. 9, if the user wants to choose to add Chilled Water directly to the beverage after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is completed, the user may manually remove the manual control key E2 or the automatic control key during the brewing process. Press (C1, C2) (see FIG. 5) to turn on the water pump 12 and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and shut off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Let's do it. Now,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is pumped by the water pump 12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7 into the cold water pipe 51 along the direction shown in FIG. 9, and the open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 50) and is directly filled into the beverage cup 22, thereby simultaneously lowering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beverage. During the cold water addition process, both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are shut off, so that substantially no water flows into the hot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5. It is worth noting.

(4) 따뜻한 물 첨가: 고온수 및 저온수가 전술한 각각의 고온수 및 저온수 첨가 프로세스들에 의해서 음료 컵(22) 내로 직접적으로 첨가되어 음료의 농도 및 온도를 동시에 낮춘다. (4) Hot Water Addition: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are added directly into the beverage cup 22 by the respective hot and cold water addition processes described above to simultaneously lower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beverage.

(5) 예열 순환: 도 10에서, 음료 제공 장치가 공회전될 때, 물 펌프(12),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차단되고, 그리고 열 교환기(11) 내의 고온수가 증발열에 의해서 증기로 증발되고, 그리고 증기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고온수 파이프(31)를 통해서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 내로 유동하고, 그리고 액체 분배기(20)와의 열 교환 실시를 위해서 액체 분배기(20)를 통과하며, 그에 따라 스로틀 커넥터(38)에 의해서 설정된 예열 증기의 유동이 액체 분배기(20)를 적절한 작업 온도까지 예열하고, 그리고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응축된 물이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을 통해서 열 교환기(11)로 복귀되어 예열 순환을 구성하게 된다. (5) Preheat circulation: In FIG. 10, when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is idle, the water pump 12,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50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 are Blocked, and the hot water in the heat exchanger 11 is evaporated to steam by the heat of evaporation, and the steam flows into the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33 through the hot water pipe 3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And a flow of preheated steam set by the throttle connector 38 to effect heat exchange with the liquid distributor 20, thereby preheating the liquid distributor 20 to an appropriate working temperature, After the heat exchange is performed, the condensed water is returned to the heat exchanger 11 through the preheat circulation pipeline 33 to form a preheat circulation.

본원 발명의 음료 제공 장치는 과열된 고온수를 저온수 스로틀 밸브(36)에 의해서 조정된 양의 저온수와 혼합하여 음료 브루잉에 가장 적합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생성하고, 그리고 혼합된 물은 액체 분배기(20)로 공급되고, 그리고 음료 브루잉을 위해서 제조용 컨테이너(21) 내로 전달되고 유입된다. 음료의 브루잉을 위해서 과열된 고온수를 저온수와 혼합하여 혼합된 물을 생성하는 이러한 혼합 방법은 보일러의 작동 효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저온수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혼합된 물 유동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변화시키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한다. 2 세트의 브루잉 유닛이 음료 제공 장치 내에 설치되는 도 11을 참조하면, 음료 제공 장치는: 2 세트의 유량계(19a, 19b); 열 교환기(11a, 11b); 고온수 파이프(31a, 31b); 저온수 파이프(35a, 35b); 저온수 스로틀 밸브(36a, 36b); 체크 밸브(37a, 37b); 액체 분배기(20a, 20b);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a, 30b); 및 제조용 컨테이너(21a, 21b)를 포함하며, 상기 각 세트는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그리고 2개의 저온수 스로틀 밸브(36a, 36b)는 동일한 음료 제공 장치에 의해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음료를 브루잉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2개의 액체 분배기(20a, 20b)로부터 따뜻한 물을 첨가함으로써 서로 다른 음료를 브루잉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브루잉 온도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저온수 유동으로 미리 설정된다.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ixes the superheated hot water with the amount of cold water adjusted by the cold water throttle valve 36 to produce a mixed water flow at a temperature most suitable for beverage brewing, and the mixed water Is supplied to the liquid distributor 20 and delivered and introduced in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21 for beverage brewing. This mixing method of mixing superheated hot water with cold water for brewing of the beverage to produce mixed water not only improves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boiler, but also changes the amount of pre-set cold water by changing the amount of pre-set cold water. One method of changing the temperatur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is provided. Referring to FIG. 11, in which two sets of brewing units are installed in the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the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includes: two sets of flow meters 19a and 19b; Heat exchangers 11a and 11b; Hot water pipes 31a and 31b; Cold water pipes 35a and 35b; Cold water throttle valves 36a and 36b; Check valves 37a and 37b; Liquid distributors 20a and 20b; Brewing solenoid valves 30a and 30b; And manufacturing containers 21a, 21b, each set operating independently, and the two cold water throttle valves 36a, 36b effect brewing different beverages by the same beverage providing device.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preset to various cold water flows to provide various brewing temperatures suitable for brewing different beverages by adding warm water from two liquid distributors 20a and 20b.

본원 발명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가 도시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온수 파이프(31c)로부터의 과열된 고온수가 저온수 파이프(35c)로부터의 특정 량의 저온수와 혼합되어 액체 분배기(20c) 내에서 음료 브루잉에 가장 적합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생성하도록,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음료 제공 장치가 저온수 파이프(35c)를 액체 분배기(20c)를 통해서 고온수 파이프(21c)와 연결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c)는 액체 분배기(20c)와 저온수 스로틀 밸브(36c) 사이에서 저온수 파이프(35c)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차단되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c)가 개방되었을 때, 적합한 온도의 혼합된 물이 음료 컵(22) 내로 직접적으로 첨가되어 음료의 온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음료의 농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12 and 13, in which a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erheated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pipe 31c is the cold water pipe 35c. In order to mix with a certain amount of cold water from to produce a mixed water flow at a temperature most suitable for beverage brewing in the liquid distributor 20c,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of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is adapted to cool the cold water pipe 35c.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S. 3 and 4 except that it connects to the hot water pipe 21c via the liquid distributor 20c. The hot water inlet pipe 61c may b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35c between the liquid distributor 20c and the cold water throttle valve 36c, whereby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c is shut off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When the valve 60c is open, a suitable temperature of mixed water can be added directly into the beverage cup 22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without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본원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공 장치에 대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음료 제공 장치에서는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16d) 상에 최초로 설치되어 있던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d)의 위치를 액체 분배기(20) 상의 위치로 변화시켰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제, 액체 분배기(20d)의 구조의 일부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된다. 액체 분배기(20d)는 고온수 파이프(31d)로부터의 과열된 고온수를 저온수 파이프(35d)로부터의 특정량의 저온수와 혼합함으로써 생성되는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배플 베이스(baffle base; 23)를 포함한다.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d)가 개방되었을 때, 그리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d)가 차단되었을 때, 배플 베이스(23) 내의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이 물 공급 통로(24)로 유입되고, 개방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d)를 통해서 물 배출 통로(25)로 유입되며, 그리고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제조용 컨테이너(21) 내로 유동한다.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d)가 차단되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d)가 개방되었을 때, 배플 베이스(23) 내의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이 물 공급 통로(24) 및 물 공급 분지 통로(26) 내로 유입되고, 개방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d)를 통과하여 물 공급 통로(27)로 유입되고, 그리고 전술한 고온수 첨가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61d) 내로 유동한다.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30d)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60d) 모두가 차단되었을 때, 배플 베이스(23) 내에서 물이 실질적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음료 제공 장치가 공회전할 때,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33d) 및 액체 분배기(20d)를 통한 전술한 예열 순환을 실시하기 위해서 고온수가 증기로 증발된다. 14 to 16 of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is first installed on the hot water inlet pipe 16d in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S. 3 and 4, except that the position of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d which has been changed to the position on the liquid distributor 20. Now,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liquid distributor 20d is changed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liquid distributor 20d has a baffle base to accommodate the appropriate temperature mixed water flow produced by mixing the superheated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pipe 31d with a certain amount of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pipe 35d. (baffle base; 23).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d is open, and when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d is shut off, a mixed water flow of appropriate temperature in the baffle base 23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24, It enters the water discharge passage 25 through the open brewing solenoid valve 30d and flows in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21 to carry out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d is shut off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d is open, the mixed water flow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in the baffle base 23 causes the water supply passage 24 and the water supply basin passage 26 to flow. ) Flows into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d)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27), and flows into the hot water inlet pipe (61d) to perform the hot water addition process described above. When both the brewing solenoid valve 30d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60d are shut off, no water flows substantially in the baffle base 23. When the beverage providing device is idling, the hot water is evaporated into steam to effect the aforementioned preheating circulation through the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33d and the liquid distributor 20d.

본원 발명의 음료 제공 장치는, 다양화된 음료 시장의 실제 요구에 맞춰서 농축된 커피(차), 가벼운 음료(차), 고온 커피(차), 따뜻한 커피(차), 및 냉커피(냉차)와 같은 다양한 온도 및 농도로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브루잉된 음료의 온도 및 농도를 전술한 소정의 설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은 동일한 음료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음료를 브루잉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음료 제조업자는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그리고 편리한 작업 및 높은 설비 이용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ever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as concentrated coffee (tea), light beverage (tea), hot coffee (tea), hot coffee (tea), and cold coffee (cold tea) to meet the actual needs of the diversified beverage market.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brewed beverag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settings described above to make the beverage at various temperatures and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purpose of brewing a variety of different drinks using the same beverage providing device, so that beverage manufacturers can reduce the equipment cost, and achieve convenient operation and high equipment utilization rate There will be.

물론,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서도 본원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대해서 많은 변화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과학적 진보 및 유용한 기술의 진보를 위해서 개시되었고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even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for scientific and useful advances and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Claims (9)

내부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 범위까지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고온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물 유동을 과열 온도 값까지 가열하기 위해서 상기 보일러 내에 설치된 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고온수 파이프;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저온수 스로틀 밸브를 통과하며, 저온수 및 고온수가 적절한 온도의 물 유동으로 혼합되도록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는 저온수 파이프;
고온수 파이프 내의 물 유동이 저온수 파이프내로 반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저온수 파이프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
상기 고온수 파이프로부터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된 액체 분배기;
상기 액체 분배기와 조립되고, 내부에 수용된 음료 조성물을 구비하는 제조용 컨테이너;
상기 액체 분배기를 통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는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
상기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가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그리고 상기 액체 분배기에 설치되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액체 분배기가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제조용 컨테이너로 전달하여 음료 조성물에 의해서 음료를 생성하고,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액체 분배기가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로 전달하고 혼합된 물을 음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A boiler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therein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 hot water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passing through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boiler to heat the water flow through the hot water pipe to an overheat temperature value;
A cold water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passing through a cold water throttle valve to regulate the flow,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such that the cold and hot water are mixed into a suitable temperature water flow;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cold water pipe to prevent reverse flow of water in the hot water pipe back into the cold water pipe;
A liquid distributor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o receive water flow from the hot water pipe;
A manufacturing container assembled with the liquid dispenser and having a beverage composition contained therein;
A hot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hrough the liquid distributor;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hot water inlet pipe to open or shut off; And a brewing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liquid distributor,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open, the liquid distributor delivers a mixed water flow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to produce a beverage by the beverage composition, and the brewing solenoid valv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have been opened. When the liquid distributor delivers the mixed water flow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the hot water inlet pipe and adds the mixed water to the beverage.
제 1 항에 있어서,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의 일단부는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그리고 타단부는 액체 분배기를 직접적으로 통과하고 열 교환기에 연결되며,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었을 때 상기 열 교환기 내의 고온수가 증발되고 그리고 상기 예열 순환 파이프라인을 통과하여 액체 분배기를 예열하고, 이어서 열 교환기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one end of the preheating circulation pipelin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directly passing through the liquid distributor and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wherein the brewing solenoid valv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Hot water in the heat exchanger is evaporated when the valve is shut off and passes through the preheat circulation pipeline to preheat the liquid distributor and then return to the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물 공급원과 연결된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 및 상기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가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외부의 저온수가 상기 저온수 유입구 파이프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수가 음료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cold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the cold water inlet pipe to open or shut off, wherein when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opened, the external cold water is A beverage providing device, wherein the cold water is added to the beverage by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inle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 파이프는 상기 고온수 파이프가 액체 분배기로 도입되기 전에 상기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ld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before the hot water pipe is introduced into the liquid distribu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 파이프가 액체 분배기를 통해서 상기 고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ld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hrough a liquid distributor.
제 3 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수동 제어 키이 및 4개 이상의 자동 제어 키이를 구비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 제어 키이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각 수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자동 제어 키이는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 저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들의 조합을 각각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제공되고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 control panel having three or more manual control keys and four or more automatic control keys, wherein the manual control keys are configured to manually control the brewing solenoid valve, the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respectively. Wherein said automatic control key is provided and preset to automatically control a brewing solenoid valve, a cold water inlet solenoid valve, a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and a combination thereof,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저온수 파이프, 저온수 스로틀 밸브, 고온수 파이프 및 액체 분배기의 둘 이상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온수 스로틀 밸브는 다양한 저온수 유동을 저온수 파이프로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고온수 파이프 세트 내의 고온수가 혼합되어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을 형성하고 그러한 혼합된 물 유동이 액체 분배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wo or more sets of cold water pipes, cold water throttle valves, hot water pipes, and liquid distributors, wherein the cold water throttle valves provide various cold water flows to the cold water pipes, and the high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pipe sets. Wherein the water is mixed to form a mixed water flow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mixed water flow is passed to a liquid distribu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installed on the hot water inle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었을 때,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이 액체 분배기의 물 공급 통로 내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물 배출 통로로 통과하도록, 음료 브루잉 프로세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제조용 컨테이너 내로 유동하도록, 브루잉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고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적절한 온도의 혼합된 물 유동이 물 공급 통로를 통과하도록, 이어서 개방된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물 공급 분지 통로 내로 유동하도록, 그리고 고온수 유입구 파이프 내로 유동하도록, 상기 고온수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액체 분배기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open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shut off, the mixed water flow at the proper temperature flows through the open brewing solenoid valve to the water discharge passage so as to flow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liquid distributor. When the brewing solenoid valve is shut off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opened to flow into the manufacturing container to perform the beverage brewing process, the mixed water flow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n is opened. And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s installed on the liquid distributor to flow through the hot water inlet solenoid valve into the water supply basin passage and into the hot water inlet pipe.
KR1020100114487A 2010-08-10 2010-11-17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KR1011967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26586 2010-08-10
TW099126586A TW201136560A (en) 2010-04-16 2010-08-10 Beverage prepar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855A true KR20120014855A (en) 2012-02-20
KR101196774B1 KR101196774B1 (en) 2012-11-05

Family

ID=4583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87A KR101196774B1 (en) 2010-08-10 2010-11-17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035040A (en)
KR (1) KR101196774B1 (en)
DE (1) DE202011050945U1 (en)
TW (1) TW20113656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9005B (en) * 2012-02-02 2014-06-25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99004A (en) * 2012-02-02 2013-08-07 Kraft Foods R & D Inc Clamping mechanism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9878893B2 (en) * 2012-07-27 2018-01-30 Huang-Han Chen Water dispenser
KR101297834B1 (en) 2013-02-01 2013-08-20 남기윤 Coffee machine
DE102014104907A1 (en) * 2014-04-07 2015-10-08 Melitta Professional Coffee Solutions GmbH & Co. KG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ffeinated hot beverage
CN104188519B (en) * 2014-08-18 2017-10-27 群韵饮料机械(上海)有限公司 A kind of boiler for coffee maker structure
KR101693377B1 (en) * 2015-09-18 2017-01-17 (주)구츠 Dringking water supply device
ITUB20155210A1 (en) 2015-10-21 2017-04-21 La Marzocco Srl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system for cleaning the exhaust and coffee dispensing system
ITUB20155938A1 (en) * 2015-11-26 2017-05-26 Vibiemme Srl BREWING GROUP FOR HOT DRINKS, PARTICULARLY FOR COFFEE? ESPRESSO, AND COFFEE MACHINE? INCLUDING THE SUPPLY GROUP
TWM527737U (en) * 2016-05-27 2016-09-01 Chouki Internat Company Ltd Steam-jetting performance apparatus of beverage machine
CN115067744A (en) * 2016-12-20 2022-09-20 广东世纪丰源饮水设备制造有限公司 Quick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flow warm water dispenser for campus
CN109820421A (en) * 2017-11-23 2019-05-31 德隆奇电器单一股东有限责任公司 It is used to prepare th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beverage
CN109984602B (en) * 2018-01-02 2023-12-12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water dispenser
IT201900001623A1 (en) 2019-02-05 2020-08-05 La Marzocco Srl Coffee grinder machine with improved dosing system and relative method
JP7085234B2 (en) * 2020-09-28 2022-06-16 パーパス株式会社 Water server, its water supply method, and its water supply treatment program
CN113768364A (en) * 2021-09-16 2021-12-10 上海谊帅实业有限公司 Novel electric heating drinking wat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744A (en) 1988-01-20 1988-11-08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brewer and hot water dispenser
JPH0956596A (en) * 1995-08-30 1997-03-04 Hoshizaki Electric Co Ltd Potable liquid supplying device
JP3886282B2 (en) 1999-01-27 2007-02-2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equipment
FI115753B (en) 2002-11-29 2005-07-15 Paloheimo Raija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beverages
ATE515220T1 (en) * 2008-07-24 2011-07-15 Gruppo Cimbali Spa DEVICE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POT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BASED BEVERAGES
US20100018407A1 (en) * 2008-07-25 2010-01-28 Tsung-Hsi Liu Thermostatic brewing mechanism with a structure for adjusting volume or concentration of a beverage obtained thereby
WO2011130903A1 (en) * 2010-04-19 2011-10-27 Liu Tsung-Hsi Beverage brewing and cooking mechanism with adjustable temeperature and concen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774B1 (en) 2012-11-05
JP2012035040A (en) 2012-02-23
DE202011050945U1 (en) 2012-02-09
TW201136560A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774B1 (en)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US20110252976A1 (en)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US7814824B2 (en) Coffee machine having a dispenser with independent heating
RU2746713C2 (en) Device for preparing and filling beverages
CN102217900B (en) Drink preparation device
EP2050368B1 (en) Coffee machine with dispenser of a ready prepared chocolate-based beverage
US20110113970A1 (en) Volume Measuring Water Supply Device of Beverage Brewing Machine
JP2008264486A (en) Beverage feeder
US20100018407A1 (en) Thermostatic brewing mechanism with a structure for adjusting volume or concentration of a beverage obtained thereby
EP2910156B1 (en) Improved supply group for infusion preparation, in particular for espresso coffee preparation and machine comprising the group
US20140183220A1 (en) Multi-beverage vending machine
US8973487B2 (en) Beverage machine
WO2011050546A1 (en) Volume-gauging and water-supplementing device for beverage boiling device
CN201668300U (en) Uniform temperature type beverage brewing device
WO2017181300A1 (en) Beverage maker with constant-temperature water supply
CN217013604U (en) Instant drinking water way and instant drinking water machine
WO2012022114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US20130259995A1 (en) Coffee machine
US11358104B2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WO2011130903A1 (en) Beverage brewing and cooking mechanism with adjustable temeperature and concentration
TWM527289U (en) Beverage machine with water supplied at constant temperature
GB2457282A (en) Domestic appliance
EP2471421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beverages from soluble material
TW201736783A (en) Beverage machine with constant-temperature water supply capable of prevent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a beverage-making water flow from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weather factors, and providing hot water at a constant temperature for making a beverage
TWI535404B (en) Overheated constant temperature water supply beverage br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