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446A - Wall structure of hanok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of hano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4446A KR20120014446A KR1020100076518A KR20100076518A KR20120014446A KR 20120014446 A KR20120014446 A KR 20120014446A KR 1020100076518 A KR1020100076518 A KR 1020100076518A KR 20100076518 A KR20100076518 A KR 20100076518A KR 20120014446 A KR20120014446 A KR 201200144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hanok
- drying panel
- shaft structure
-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옥의 축부(기둥과 벽체로 이루어짐)를 구성하는 한옥 축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풍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한옥 축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ok shaft structure constituting the shaft portion (consisting of pillars and walls) of the hanok.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hanok shaft structure that can prevent drafts and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최근 건강한 삶에 대한 추구와 친환경 건축 그리고 우리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증대 등으로 인해서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한옥의 현대화를 위한 설계와 시공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hanok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pursuit of healthy life, eco-friendly architecture, and new awareness of Korean culture. In this social atmosphere, various attempts and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design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modernizing Hanok.
한옥은 외관상 하부의 속하는 기단부, 기둥과 벽체로 이루어지는 축부, 공포부 및 기둥부로 이루어진다. 이들 요소 중 축부는 단열성과 기밀성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축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와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The hanok is composed of the proximal end belonging to the lower part, the shaft part consisting of the pillar and the wall, the horror part and the pillar part. Among these factors, the shaft part is recognized as a problem in heat insulation and airtightness, and researches on new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haft part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도 1은 종래 한옥 축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축부는 초석(10)과 고막이(11), 기둥(12)과 창방(13), 수장재(14), 창호(15, 도 1에서는 창호를 도시하고 있으나 창호 대신에 벽체가 형성될 수 있음) 및 머름(16) 등으로 구성된다. 고막이(11)는 인접한 기둥(12)사이의 하인방(14c) 아래 초석(10)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흙이나 벽돌, 돌 등으로 쌓아 막은 부분이다. 기둥(12) 상부에 수평으로 건너지른 창방(13)은 기둥(12)과 기둥(12) 사이를 도리방향으로 결속시켜 줌으로써 기둥(12) 상부가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수장재(14)는 기둥(12)과 기둥(12) 사이에 벽을 치거나 창호(또는 벽체)(15)를 설치하기 위한 틀을 형성하는 부재인 인방(14a, 14b, 14c)과 벽선(14d), 문선(14e)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인방(14a, 14b, 14c)은 위치에 따라서 상인방(14a), 중인방(14b) 및 하인방(14c)으로 구분된다. 벽선(14d)은 흙벽의 옆면을 막아대기 위해서 수직으로 세운 수장재이며, 문선(14e)은 창호(15)를 설치하기 위해 수직으로 세운 수장재이다. 머름(16)은 창을 설치하는 경우 창 아래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는 것으로 창턱에 해당한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anok shaft structure. The shaft portion is the
이러한 종래 한옥 축부구조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점 중 하나는 외풍이 심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목재로 구성되는 기둥(12)과 수장재(14) 또는 창방(13)과 수장재(14)의 결구를 맞댄 구조를 만들었을 경우, 목재의 수축과 뒤틀림 변형으로 인해서 부재 사이에 틈이 생기고 그 사이로 심한 외풍이 들어오게 된다. 또한 수장재(14)와 흙벽 사이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여 외풍이 심하게 된다. One of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hanok shaft structure is that the draft is seve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aking a structure for the
그리고 한옥의 벽체는 습식공법으로 이루어지는 흙벽치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흙벽치기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공사비가 상승되고 시공질의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흙벽치기란 벽체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수장재(14)를 조립하고, 벽체의 뼈대를 형성하는 외엮기를 한 후에 흙을 쳐서 흙벽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흙벽치기는 초벽치기와 재벽치기, 정벌바름의 순서로 진행한다. 초벽에는 진흙과 강회, 석비례에 짚은 잘라 섞어 물에 버무린 것을 사용하여 외엮기를 한 한쪽 면에 흙벽을 친다(홑벽치기). 홑벽이 어느 정도 마르면 반대편에서 다시 흙벽을 친다(맞벽치기). 그리고 초벽이 어느 정도 마른 다음에는 갈라진 틈을 메우고 재벽치기를 하고, 마지막으로 마감에 해당하는 정벌바름을 한다. 이러한 습식공법은 목재의 부식 및 변형의 원인이 되며, 또한 이전단계에서 친 흙벽이 마르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And the wall of the hanok is made through the soil wall chuck made by the wet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quality is lowered by using the soil wall chuck. The earth wall chuck is to assemble the decorative material (14) constituting the edge of the wall, and to make a soil wall by hitting the soil after weaving to form the skeleton of the wall. Specifically, the earth wall chuck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first wall chuck, re-wall chop, and punishment. On the first wall, mud, lime, and straw are cut and mixed with water. If a single wall dries to some extent, hit the earth wall from the other side again. After the first wall is dry to some extent, fill in the cracks and re-challenge, and finally finish the punishment corresponding to the finish. This wet method causes corrosion and deformation of wood, and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lengthen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wait for the drywall to dry in the previous step.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한옥 축부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외풍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한옥 축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hanok shaft structur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hanok shaft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draft and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s.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을 따라서 쌍장부홈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기둥; 상기 두 개의 기둥에 형성된 쌍장부홈에 쌍장부결합되어 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건조패널 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장재; 벽체의 실내측에 벽체의 테두리를 따라서 수장재와 단차를 형성하면서 고정되는 고정용각재; 상기 고정용각재와 상기 수장재가 형성하는 단차와, 상기 수장재의 결합홈에 끼워지면서 결합하여 상기 두 개의 기둥 사이를 채워 벽체를 형성하는 건조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수장재와 기둥이 쌍장부결합하고, 건조패널이 고정용각재와 수장재가 형성하는 단차 및 수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 결합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며 충분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wo pillars are formed with a double-coated groo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Sujangjae coupled to the pair of long grooves formed in the two pillars to form a border of the wall,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the side of the drying panel to be described later; A fixing angle member fixed to the interior side of the wall while forming a stepped material and a step along the edge of the wall; And a drying panel for forming a wall by filling the gap between the two pillars by being fitted to the step formed by the fixing angle member and the decorative material and being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decorative material.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easy to install because the storage material and the pillar is coupled to the pair and the drying panel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tep and the storage material formed by the fixed angle member and the decorative material. Sufficient airtightness can be ensured, and as a result, the draf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벽체의 실내측에서 상기 고정용각재와 상기 건조패널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 및 벽체의 실외측에서 상기 수장재와 상기 건조패널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을 따라서 고정용쫄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용각재와 건조패널 및 수장재와 건조패널 사이에 고정용쫄대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건조패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한옥의 유지와 보수에 편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line formed by combining the fixing angular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on the interior side of the wall and the fixing line along the bonding line formed by combining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on the outdoor side of the wall The ch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using a fixing bar between the fixing angle member and the drying panel, and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it ensures airtightness and can easily replace the drying panel, thus providing convenienc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hano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상기 고정용각재와 상기 건조패널 사이, 그리고 상기 수장재와 상기 건조패널 사이에 틈새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듯 고정용각재와 건조패널 사이 및 수장재와 건조패널 사이에 틈새를 둠으로 인해서 고정용각재 또는 수장재의 변형에 의해서 건조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angle member and the drying panel, and between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As such, the gap between the fixing angle member and the drying panel and between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prevents the drying panel from being dama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ixing angle member or the decorative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에서, 상기 고정용각재는 실내측에서 상기 건조패널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서 실내측에서 내부로 튀어나오는 부분을 없앰으로써 깔끔한 실내 벽의 마감이 가능하며, 미감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i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yongja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the same surface as the drying panel on the indoor side. By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interior wall neatly by eliminating the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inside to the inside, and improve the aesthetic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에서, 상기 수장재 중 상기 두 개의 기둥사이를 가로질러 벽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인방과 창방은 서로 쌍장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인방과 창방 사이에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tel and the window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across the two pillars of the decorativ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each other. Therefore, confidentiality can be secured between the lintel and the window.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에서 상기 건조패널은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3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ying panel i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trength, it may also be made of three layers.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모든 부재를 기성품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기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since all members can be manufactured with ready-made produ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한옥 벽체의 단열 성능과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airtight performance of the hanok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한옥의 축부에 시공하는 공정을 건식공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formation of wood because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shaft portion of the hanok can be performed by a dry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시공시 기둥과 동시에 수장재 및 벽체를 일괄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the pillars and walls at the same time during the construction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도 1은 종래 한옥 축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취선에 따른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절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anok shaft structure.
2 is a view showing a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 축부구조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초석(110)의 상부에 두 개의 기둥(120)이 설치되며, 이들 두 개의 기둥(120) 사이에 벽체(200)가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벽체(200)는 건조패널(230)과, 이 건조패널(230)을 감싸면서 건조패널(230)을 기둥(120)에 지지하기 위한 수장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 2, the hanok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기둥(12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을 따라서 쌍장부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쌍장부홈(121)에는 수장재(210)가 쌍장부결합을 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쌍장부결합'이란,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 두 개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쌍장부홈과, 다른 부재에 위 쌍장부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쌍장부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결합을 말한다. 이러한 쌍장부결합에 의하면 두 개의 부재가 결합선이 여러번 꺾여지게 되기 때문에 기밀성이 확보된다.As shown in FIG. 3, the
수장재(2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에서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하인방(211)과, 중간부에서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중인방(212), 상부에서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상인방(213)을 포함한다. 또한 수장재(210)는 하인방(211)과 중인방(212) 사이에서 기둥(120)을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주선(또는 벽선)(214) 및 중인방(212) 및 상인방(213)의 사이에서 기둥(120)을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주선(또는 벽선)(2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장재(210)는 상인방(2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창방(215)을 포함한다.The
이러한 수장재(210)는 기둥(120)과 쌍장부 결합을 행함으로써 기둥과의 사이에 기밀성이 확보한다. 그 결과, 수장재(210)와 기둥(120) 사이를 통해서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둥(120)과의 쌍장부 결합을 위해서 수장재(210)는, 기둥(120)과의 결합면에 기둥(120)에 형성된 쌍장부홈(121)에 대응하는 쌍장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수장재(210)인 주선(214)에서 기둥(120)과 결합되는 결합면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쌍장부돌기(214a)가 형성된다. Such a
또한 수장재(210)인 하인방(211), 중인방(212), 상인방(213) 및 창방(214)의 경우 두 개의 기둥(120) 사이에 가로질러 걸쳐지게 되므로, 각각의 양측 단부에 주선(214)의 쌍장부돌기(214a)와 동일한 형상의 쌍장부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Also, in the case of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선(214)은, 쌍장부돌기(214a)가 형성된 단부와 반대측 단부에는 결합홈(2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214b)에는 후술하는 건조패널(230)이 끼워져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장재(210)가 형성하는 벽체(200)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내 측에 고정용각재(220)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둥(120)과 주선(214)이 쌍장부 결합하는 경우, 기둥(120)과 주선(210)의 두께 차이로 인해서 실내 측에 단턱이 형성되는데, 단턱이 형성된 공간에 고정용각재(220)가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인방(211), 중인방(212) 및 상인방(213)에도 벽체(200)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내 측에 고정용각재(220)가 고정되어 있다.2 to 4, the fixing
이 고정용각재(220)는 수장재(210)의 폭 보다는 작은 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벽체(20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수장재(210)에 고정되게 되면 수장재(210)와 단차(221)를 형성하게 된다. 수장재(210)와 고정용각재(220)가 이루는 단차(221)에는 후술하는 건조패널(230)의 단부가 결합된다.The fixing
건조패널(230)은 수장재(210)가 형성하는 벽체(200)의 테두리가 이루는 공간을 채우게 된다. 건조패널(230)은 황토 등으로 제작되며, 미리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습기로 인해서 수장재(210) 및 고정용각재(220)에 변형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drying
도 3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조패널(230)에서 수장재(210)와 결합하는 단부에는 수장재(210)에 형성된 결합홈(214b)에 대응하는 결합돌기(231)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패널(230)에서 고정용각재(220)와 결합하는 단부에는 위 단차(211)에 대응하는 단차돌기(232)가 형성되어 있다. 건조패널(230)은 결합돌기(231) 및 단차돌기(232)가 각각 고정용각재(220)의 단차(221) 및 수장재(210)의 결합홈(214b)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다.As shown in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3, a
또한, 건조패널(230)의 단차돌기(232)와 고정용각재(220)의 단차(221)와의 결합 및 건조패널(230)의 결합돌기(231)와 수장재(210)의 결함홈(214b)과의 결합으로 인해서 전체적인 두께방향으로의 결합선이 여러 번 꺾여지게 됨으로 인해서 기밀성이 확보되며, 이로 인해서 외풍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ped
그리고, 건조패널(230)의 단차돌기(232)와 고정용각재(220)의 단차(221)와의 사이에는 틈새(S)가 형성되어 있으며, 건조패널(230)의 결합돌기(231)와 수장재(210)의 결함홈(214b)과의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틈새(S)는 목재로 제작되는 수장재(210) 및 고정용각재(220)가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서 수장재(210) 및 고정용각재(220)의 변형에 의해서 건조패널(2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stepped
건조패널(23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측 건조패널(230a), 실외측 건조패널(230c) 및 중간 건조패널(230b)에 의해서 3겹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측 건조패널(230a) 및 실외측 건조패널(230c)은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며, 중간 건조패널(230b)은 복수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패널사이에 목재로 형성된 보강부재(233)가 설치된다. 보강부재(233)는 건조패널(230)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조패널(230)을 3겹으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한 한 겹 또는 두 겹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ying
또한, 고정용각재(220)는 실내측에서 건조패널(230)(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측 건조패널(230a))에 동일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용각재(220)는 실내측에서 건조패널(230)과 동일면을 유지하게 되면 실내 측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또한 벽체(200)의 실내측에서 고정용각재(220)와 건조패널(230)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 및 벽체(200)의 실외측에서 수장재(210)와 건조패널(230)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을 따라서 고정용쫄대(240)가 고정된다. 고정용쫄대(240)는 못 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용쫄대(240)에 의해서 건조패널(23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며, 또한 건조패널(230)이 손상되었을 때, 고정용쫄대(240)를 떼어낸 상태에서 건조패널(230)만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line formed by coupling the fixing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기둥사이를 가로질러 벽체(20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인방(213)과 창방(215)은 쌍장부결합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인방(213)과 창방(215)의 결합면 중 하나에는 쌍장부홈이, 그리고 다른 하나에는 쌍장부돌기가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이하, 이상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한옥 축부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석(110)의 상부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120) 사이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하인방(211)을 설치한다. 이때 하인방(211)의 양측 단부는 두 개의 기둥(120)과 쌍장부결합을 하게 된다. 이후 두 개의 기둥(120)의 세로방향을 따라서 주선(214)을 기둥(120)과 쌍장부결합시킨다. Hereinaft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hanok shaft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rst, the
이후, 하인방(211)과 주선(214)이 이루는 벽체(200)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내 측에 고정용각재(220)를 고정하고, 하인방(211)과 주선(214)에 형성된 결함홈과, 고정용각재(220)와 하인방(211) 및 주선(214)이 만드는 단차에 건조패널(230)을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실내측에서 고정용각재(220)와 건조패널(230)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 및 벽체(200)의 실외측에서 하인방(211) 및 주선(214)이 건조패널(230)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을 따라서 고정용쫄대(240)를 고정한다.Thereafter, the fixing
이후, 건조패널(230)의 상부에 중인방(212)을 설치하고, 위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인방(212)의 상부에 또 다른 건조패널(230)을 설치하고 상인방(213) 및 창방(215)을 설치하여 한옥 축부구조를 시공한다. 아울러 상인방(213)과 창방(215)을 쌍장부결합시킨다.Thereafter, the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하면, 조립공정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며, 건조패널을 사용하는 건식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습식방식과 같이 흙이 마르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시공시 기둥과 동시에 수장재 및 벽체를 일괄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imple because only the 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Since the dry method using the drying panel is use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without waiting for the soil to dry as in the conventional wet method.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ecause the building materials and walls can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lumns during construction.
110 : 초석 120 : 기둥
200 : 벽체 210 : 수장재
211 : 하인방 212 : 중인방
213 : 상인방 214 : 주선
215 : 창방 220 : 고정용각재
230 : 건조패널 240 : 고정용쫄대110: cornerstone 120: pillar
200: wall 210: decorative material
211: room 212: middle room
213: lintel 214: arrangement
215: window 220: fixed angle lumber
230: drying panel 240: fixing rod
Claims (7)
상기 두 개의 기둥에 형성된 쌍장부홈에 쌍장부결합되어 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건조패널 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장재,
벽체의 실내측에 벽체의 테두리를 따라서 수장재와 단차를 형성하면서 고정되는 고정용각재,
상기 고정용각재와 상기 수장재가 형성하는 단차와, 상기 수장재의 결합홈에 끼워지면서 결합하여 상기 두 개의 기둥 사이를 채워 벽체를 형성하는 건조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Two pillars each having a double-coated groove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torage material is coupled to the double-coated groove formed in the two pillars to form a border of the wall,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to the side of the drying panel to be described later,
Fixed angle material fixed while forming a step with the decorative material along the edge of the wall on the interior side of the wall,
Hanok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formed by the fixing angle member and the decorative material, and a drying panel that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decorative material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wo pillars to form a wall.
벽체의 실내측에서 상기 고정용각재와 상기 건조패널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 및 벽체의 실외측에서 상기 수장재와 상기 건조패널이 결합하여 이루는 결합선을 따라서 고정용쫄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 The method of claim 1,
Hanok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ar is fixed along the coupling line formed by combining the fixing panel and the drying panel on the indoor side of the wall and the coupling line formed by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on the outdoor side of the wall. rescue.
상기 고정용각재와 상기 건조패널 사이, 그리고 상기 수장재와 상기 건조패널 사이에 틈새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The method of claim 1,
Hanok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angle member and the drying panel, and between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drying panel.
상기 고정용각재는 실내측에서 상기 건조패널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angle member is hanok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e same surface as the drying panel on the indoor side.
상기 수장재 중 상기 두 개의 기둥사이를 가로질러 벽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인방과 창방은 서로 쌍장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Hanok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tel and the window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across the two pillars of the decorative material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건조패널은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rying panel is hanok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trength.
상기 건조패널은 3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축부구조.The method of claim 6,
Hanok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panel consists of three lay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6518A KR101160203B1 (en) | 2010-08-09 | 2010-08-09 | Wall Structure of Hano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6518A KR101160203B1 (en) | 2010-08-09 | 2010-08-09 | Wall Structure of Hano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4446A true KR20120014446A (en) | 2012-02-17 |
KR101160203B1 KR101160203B1 (en) | 2012-06-27 |
Family
ID=4583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6518A KR101160203B1 (en) | 2010-08-09 | 2010-08-09 | Wall Structure of Hano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020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666B1 (en) * | 2017-07-17 | 2018-07-20 |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 The hanok with improved air tightness |
KR20200114782A (en) * | 2019-03-29 | 2020-10-07 | 최재복 | A prefabrication wall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and a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3139B1 (en) * | 2014-01-29 | 2015-09-14 | 박용주 | A prefabricated Korean style wall structure |
KR101563249B1 (en) | 2014-09-16 | 2015-10-2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Module Type Wall of Korean-style House with Insulation Effect and Method thereof |
KR102643608B1 (en) | 2022-05-23 | 2024-03-04 | 정강인 | Modular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146Y1 (en) | 2004-09-20 | 2004-12-03 | 김영복 | A Functional Partition Panel |
KR20080003257U (en) * | 2007-02-07 | 2008-08-12 | 김봉규 | Prefabricated wall structure |
KR20090000310U (en) * | 2007-07-06 | 2009-01-12 | 가평군산림조합 | Kit wall pannel having middle member receipt chamber |
KR101056186B1 (en) | 2008-10-02 | 2011-08-10 | 김인수 | Hanok wall |
-
2010
- 2010-08-09 KR KR1020100076518A patent/KR10116020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666B1 (en) * | 2017-07-17 | 2018-07-20 |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 The hanok with improved air tightness |
KR20200114782A (en) * | 2019-03-29 | 2020-10-07 | 최재복 | A prefabrication wall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and a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0203B1 (en) | 2012-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0203B1 (en) | Wall Structure of Hanok | |
KR101180075B1 (en)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
KR101209662B1 (en) | Steel frame for curved form construction of free from architecture building and method using it | |
KR101035973B1 (en) | Exterior insulation panel unit and exterior ins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US10753091B2 (en) | Hempcrete wall block panel | |
JP2010138662A (en) | Heat insulating panel | |
KR20140008144A (en) | Panel for prefabricated house,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prefabricated house including the same | |
KR100804088B1 (en) | Light weight insulation block | |
KR200411806Y1 (en) | a yellow earth-wall | |
ITMI20140071U1 (en) | WALL ELEMENT | |
KR102178070B1 (en) | Wood Wood Block and Wood Panel Using them | |
KR100911718B1 (en) | A wall structure of a wooden house | |
KR101132334B1 (en) | Construction with divided framework and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using the same | |
KR100804090B1 (en) | Light weight insulation block for construction | |
RU73359U1 (en) | PROFILED SELF-LOCKING BRUSH | |
RU152979U1 (en) | COMBINED WALL BUILDING ELEMENT FROM COMBINED LOG OR BAR | |
CN203808284U (en) | Stilted building outer wall | |
JP5123685B2 (en) | Building eaves structure | |
CN203795647U (en) | Internal wall body of stilted building | |
CN216713572U (en) | Assembly type light composite gypsum batten inner partition wall | |
JP5371334B2 (en) | building | |
RU2327558C2 (en) | Rounded log | |
RU219389U1 (en) | Knot of the corner connection of the cobbled walls of the building | |
KR100804091B1 (en) | Light weight insulation block for construction | |
FI119779B (en) | wall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