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098A -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 Google Patents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098A
KR20120014098A KR1020100076170A KR20100076170A KR20120014098A KR 20120014098 A KR20120014098 A KR 20120014098A KR 1020100076170 A KR1020100076170 A KR 1020100076170A KR 20100076170 A KR20100076170 A KR 20100076170A KR 20120014098 A KR20120014098 A KR 20120014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nut
support
inser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이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민 filed Critical 이재민
Priority to KR102010007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098A/ko
Publication of KR2012001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을 포함하는 공사중에 못으로 고정되지 않아도 안정성 있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배관을 위하여 천정이나 바닥 슬라브에 매설되는 인서트 너트로; 철근지지대가 철근지지대이동홀에 결합 된 철근지지거치대를 철근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거푸집 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스프링의 압력으로 인하여 연결너트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너트지지보호캡이 구비된 연결너트의 벌림음부가 철근지지거치대의 연결너트이동홀에 삽입되고, 와샤걸림턱이 와샤에 삽입되면서 기계에 의하여 벌림음부가 벌어져 철근지지거치대를 결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거푸집 위에 연결너트를 지지해주는 너트지지보호캡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후 철골구조물을 형성하는 철근을 오려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가변 되는 철근지지대 구조임으로 철골구조물을 형성하는 철근을 올려놓는 간소한 작업만으로도 철골구조물 전체에 대한 균일한 받침을 보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거푸집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철근지지대를 별도로 설치할지 않아도 되며, 철근의 배열과 인서트 앙카의 설치 배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품질의 향상 및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steel rest including insert nu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슬라브에 배관용 파이프나 환기구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거푸집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설되는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 타설을 포함하는 공사 중에 슬라브의 바닥면에는 전산볼트나 일반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연결너트부가 형성되고, 슬라브의 중간층에는 다수의 결속된 철근을 지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철근받침대가 형성된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 형식에 있어서, 철근콘크리트 공법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철근 간의 간격이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철근 받침대가 사용된다. 한편, 건물 층의 천장에서 천장 마감재, 배관, 공조시설 등을 지지하기 위한 달대(행거, 전산볼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인서트 앙카가 각층 슬라브에 매설되거나 별도로 삽입된다.
선행출원 중에도 인서트 앙카와 철근 받침대를 일체로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23410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경우 바닥면에 인서트용 구멍이 형성된 하부체와; 철근이 안착된는 상체부와; 상기 상부체와하부체 사이에 인서트의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중간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인서트용 구멍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하부체의 바닥면에 스폰지 부칙포식 양면테이프가 더 붙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23410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기술은 중간 몸체부 둘레를 따라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바다면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지 거푸집의 바닥에 설치되는 철근의 크기와 각종 형태와 높이 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인서트 너트(앙카)의 내부로 흡입되는 콘크리트의 흡입 방지에 관한 기술에 중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하여 철근을 배열할 경우, 거푸집의 높이가 일정하다고는 하나, 철근의 변형으로 인하여 거푸집과 철근과의 높이가 다른 경우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형상은 콘크리트 타설로 어느 정도 고정이 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그 형상으로 보아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내구성을 유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결국 콘크리트 타설로 인서트의 견고한 고정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연결너트 또한 구조물의 설치시 내구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7308의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경우 내부에 공간을 갖는 것으로 바닥면으로 체결볼트의 일단이 삽입통과되는 케이스와; 개방된 상부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되고, 바닥면에는 과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탄성체의 지지력을 받으며 인서트용 버링 너트가 형성된 바닥판 및 이 바닥판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굽힙 연장되어 그 일단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그 상단부가 철근을 지지하는 측판으로 된 브라켓트로 구성된다.
이는 철근의 높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므로 철골 구조물에 안정된 지지력을 보장할 수 있어 시공 품질의 향상 및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산업상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7308의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경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 구조와 버링 너트가 형성된 브라켓트 구조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중량물을 설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는 프래스 기계에 의하여 브라켓트의 일부를 들어올리는 드로잉하여, 그곳에 볼트를 체결하는 나사산을 내서 구조물을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구조로 케이스의 측면 부분이 걸림 및 고정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양생시 브라켓트의 측판으로만 배관용 파이프나, 천정 설치용 에어컨, 환기용 닥트 및 공조기 등의 설치, 중량 구조물을 견디어야 하는 구조로 내구성이 취약한 것이 단점으로 보여 진다.
또한, 구조물의 설치시 그 높이를 일치하기 위하여 또는, 교차되는 구조물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인서트된 연결용 너트의 깊이가 조절 가능한 범위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의 두 기술은 인서트된 연결용 너트의 구조 또한, 연결용 너트의 깊이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하여 철근을 배열할 경우 철근의 변형으로 인하여 거푸집과 철근과의 높이가 다른 경우 스프링에 의하여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며, 콘크리트 타설로 인서트의 견고하게 고정하려 주며 연결너트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내구성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 구조와 버링 너트가 형성된 브라켓트 구조로 형성되는 구조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양생 및 적층을 도와주는 바블레이타의 진동으로부터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가 제 기능을 수행하고, 중량물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철근의 교차지점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가로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대와 세로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지지거치대를 가짐으로 철근의 배열을 규격화하여 시공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연결너트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구조물의 설치시 그 높이를 일치하기 위하여 또는, 교차되는 구조물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인서트된 연결용 너트의 깊이가 조절 가능한 범위로 형성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가로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대가 철근지지거치대의 철근지지대이동홀에 결합 된 세로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거치대를 철근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스프링의 압력으로 인하여 거푸집에서 연결너트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너트지지보호캡이 구비된 연결너트가 연결너트의 벌림음부가 철근지지거치대의 연결너트이동홀에 삽입되고, 와샤걸림턱이 와샤에 삽입되면서 기계에 의하여 벌림음부가 벌어져 철근지지거치대를 결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설치된 거푸집 위에 철근 지지대를 설치하고 철근을 배열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 후, 슬라브 바닥면에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에 셋트앙카나, 스트롱앙카를 설치하게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앙카를 거푸집에 배열하고 철근 받침대를 이용하여 철근을 배열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거푸집 위에 철근받침대를 배열하 듯 시공하는 과정으로 인서트앙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견고하게 타설하기 위하여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이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 가능하도록 철근지지대의 철근거치구와 철근지지거치대에 철근지지거치구를 갖고, 철근과 거푸집과 철근 간의 균일화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철근지지거치대를 항상 위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인서트 앙카 겸용 철근받침대가 견고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철근지지거치대에 콘크리트걸림구를 별도로 가짐으로 인하여 거푸집이 제거되어도 콘크리트에서 인서트 앙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균일한 배열과 공기층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발브레이타 진동시 연결너트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의 너트지지보호캡이 이 연결너트의 입구를 견고하게 막아주고 스프링에 의하여 연결너트가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너트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들은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거푸집 위에 연결너트를 지지해주는 너트지지보호캡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후 철골구조물을 형성하는 철근을 오려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가변되는 철근지지대 구조임으로 철골구조물을 형성하는 철근을 올려놓는 간소한 작업만으로도 철골구조물 전체에 대한 균일한 받침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거푸집에 올려놓는 작업만으로도 별도의 철근지지대가 필요 없이 철근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철근을 항상 들어올려 줌으로 인하여 거푸집의 바닥면이 일정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철근의 휨이 발생하여도 철근이 공중에 부상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인서트 앙카(현재 슬라브에 매설되어 배관이나 기타 천정구조물을 지지해지는 것을 통상으로 칭하는 용어)를 거푸집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철근지지대를 별도로 설치할지 않아도 되며, 철근의 배열과 인서트 앙카의 설치 배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품질의 향상 및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도로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도에서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구조 및 그 구성 부품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도에서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사용 예를 사시도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콘크리트 타설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도에서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가 슬라브 내에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도로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거푸집(40, 도 2 참조)에 일정간격으로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배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배열하는 간격은 슬라브의 타설시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배열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가 우선적으로 철근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철근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결너트(15)의 하부 외부면에 연결너트(15)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원추형의 넓은 너트지지보호캡(14)이 있어 연결너트(15)이 있어 연결너트(15)를 거푸집(40)에 서있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연결너트(15)와 너트지지보호캡(14)을 거푸집(40)에 수직으로 다시 밀어주는 스프링(13)이 연결너트(15)의 외부면과 철근지지거치구(12) 사이에 위치하여 너트지지보호캡(14)을 거푸집(4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연결너트(15)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연결너트(15)의 좌측면에 연결너트(15)를 세분화하여 도시하였다. 연결너트(15)의 구조는 연결너트(15)의 내부에 볼트나 전산볼트, 기타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는 암나사인 암나사(15e)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너트(15)의 상부 면에는 벌림음부(15b)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의 홀에 삽입 되어지면서 연결너트이동홀(12d)의 홀에서 관통되어 지나 이탈되지 못하도록 와샤걸림턱(15c)를 갖는다. 다시 벌림음부(15b)와 와샤걸림턱(15c) 사이의 원기둥이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의 홀에 삽입되면서, 이를 다시 와샤(11)가 감싸게 되고, 프래스나 각종 압력기계들을 이용하여, 벌림음부(15b)에 코킹을 하게 되면, 벌림음부(15b)가 벌어지면서 와샤(11)를 고정시키게 되어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에서 상하 이동을 하나 이탈은 되지 못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는 철근지지대(10)의 철근거치구(10a)에 거치되는 가로철근(20a)과 철근지지거치대(12)의 철근지지거치구(12c)에 거치되는 세로철근(20b)을 스프링(13)에 의하여 부상시켜주면서, 연결너트(15)를 거푸집(40)에 밀착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 받침대는 가로철근(20a)와 세로철근(20b)을 거푸집(40)의 위에서 일정하게 배열을 하면서 거푸집(40) 위에 타설될 콘크리트(30)이 사이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건축 시공의 품질을 높여 주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푸집(30)에 밀착 및 지지 되기 위하여 전산볼트(50)를 연결할 수 있는 암나사(15e)를 가진 연결너트(15)의 외부에는 콘크리트(30) 타설시 콘크리트(30)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결너트(15)를 서게 하면서 지지하여 주는 너트지지보호캡(14)이 구비되고, 너트지지보호캡(14)의 윗면에는 스프링(13) 구비되어 너트지지보호캡(14)을 항상 거푸집(40)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또한 너트지지보호캡(14)은 연결너트(15)의 하부에 설치된 걸림턱에 의하여 이탈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연결너트(15)와 너트지지보호캡(14), 스프링(13)의 이탈을 방지하고,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결너트(15)의 상부면에 구성된 와샤걸림턱(15c)이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에 삽입된 후, 연결너트(15)의 와샤걸림턱(15c)에 와샤(11)가 삽입되고, 연결너트(15)의 벌림음부(15b)가 기계의 힘에 벌어지면서 와샤(11)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므로 인하여 연결너트(15)는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에서 상하 이동은 가능하나 이탈이 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된다.
철근지지거치대(12)는 하부에는 연결너트(15)를 구성하면서 상부에는 철근지지대(10)를 철근지지대이동홀(12b)에 철근지지대날개(10b)가 삽입되어, 철근지지대(10)의 철근거치구(10a)에는 가로철근(20a) 또는 세로철근(20b)이 거치되고, 철근지지거치대(12)의 철근지지거치구(12c)에도 가로철근(20a) 또는 세로철근(20b)이 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이 거치 되는 것은 연결너트(15)를 기준으로 철근지지거치대(12)가 회전함으로써, 십자로 거치 되는 철근에 적응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도 1에서는 도면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연결너트(15)를 의도적으로 분리하였다. 이는 연결너트(15)의 형상을 좀더 쉽게 이해하고 연결너트(15)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1의 연결너트(15) 구조는 하나의 구조이지만 연결너트외부형상(15a)과 연결너트내부형상(15d)으로 구분하여 놓았다. 또한 연결너트(15)의 내부에는 암나사(15e)가 구비되어 하부로부터 볼트나 전산볼트(50)가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연결너트(15)의 세부 구조는 도 2와 도 3에서 생략하였다.
본 1도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이해하고 그의 바람직한 사용 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서 거푸집(40) 건축에서 이용하는 유로폼의 설치구조는 그림에서 생략하였다. 하나의 거푸집(40)를 기본으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설명한다.
건축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푸집(40)이 구성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40)위에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철근받침대를 이용하여 철근을 부양시키게 된다.
그러나 현대의 건물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거푸집(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건물의 아래층 천장이 되므로 인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인 스프링 쿨러 및 환기구 덕트, 천장 마감제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인서트 앙카를 설치하게 되어 있다. 통상의 거푸집(40)에 인서트 앙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30)가 양생된 후 거푸집이(40)을 걷어 내고, 콘크리트 드릴을 이용하여 일정 깊이의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셋트 앙카나 스트롱 앙카를 삽입하게 되어 있다. 그와 별도로 철근지지 받침대를 설치한 후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콘크리트(30)가 양생 된 후 거푸집(40)을 제거하면, 스트롱 앙카와 철근받침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거푸집(40)의 위에 철근지지대를 나열하듯 연결너트(15)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너트지지보호캡(14)로 인하여 밑면이 넓게 형성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의 교차지점에 배열한 후 철근지지거치구(12c)는 세로철근(20b)을 거치하게 되고 다시, 철근지지거치대(12)의 철근지지대이동홀(12b)에서 좌우로 유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철근지지대(10)의 철근거치구(10a)에는 가로철근(20a)가 거치 되므로 인하여 철근의 배열 및 그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철근지지거치대(12)가 세로철근(20b)을 거치하며, 철근지지대(10)는 가로철근(20a)을 거치하게 되어 철근을 십자로 배열함으로 인하여 철근 배열의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비숙련자도 손쉽게 균일한 철근의 배열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철근지지대(10)는 철근지지거치대(12)의 철근지지대이동홀(12b)에서 좌우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의 배열 작업시 철근의 휨이 발생하여도 변형된 철근에 적응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본 2도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설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30) 타설과 같이 결합하여,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콘크리트(30) 타설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가 거푸집(40)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후 너트지지보호캡(14)과 연결너트(15)에 의하여 연결너트(15)의 기울러 짐을 방지하면서 스프링(13)이 철근지지거치대(12) 다시 철근의 방향으로 들어올려 줌으로 인하여 가로철근(20a)과 세로철근(20b)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 시공된 철근을 중심으로 거푸집(40)에 도달하는 길이와 유사한 부분까지 콘크리트(30)를 타설하게 된다. 물론 이때 철근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생을 이용하여 철근을 결속하는 과정이 별도로 이루어지기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가 콘크리트(30)의 내부에서 안전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쇄기형 내지 박스형태를 벗어나 골격식의 구조를 갖추면서도 철근지지거치대(12)에는 콘크리트걸림구(12a)를 구비하면서 콘크리트(30)가 인서트 앙카 겸용 철근받침대를 감싸 안도록 철근지지대(10)가 구비되어 연결너트(15)에 전산볼트(50)가 체결되고, 전산볼트(50)에 과중한 구조물이 설비되더라도 내구성과 견고성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도록 창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는 철근지지대(10)가 철근지지대이동홀(12b)에 결합 된 철근지지거치대(12)의 하부에 철근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스프링(13)이 구비되고, 스프링(13)의 압력으로 인하여 연결너트(15)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너트지지보호캡(14)이 구비된 연결너트(15)가 연결너트(15)의 벌림음부(15b)가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에 삽입되고, 와샤걸림턱(15c)이 와샤(11)에 삽입되면서 기계에 의하여 벌림음부(15b)가 벌어져 철근지지거치대(12)를 결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철근지지거치대(12)의 철근지지대이동홀(12b)이 구비되어, 철근지지대(10)의 철근지지대날개(10b)가 삽입되어 좌우로 유격 이동하면서 십자로 교차하는 철근의 거치한 철근거치구(10a)가 이동함으로 휘어지거나 비직선으로 거치 되는 철근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철근지지대, 10a: 철근거치구, 10b: 철근지지대날개
11: 와샤
12: 철근지지거치대, 12a: 콘크리트걸림구, 12b: 철근지지대이동홀
12c: 철근지지거치구, 12d: 연결너트이동홀
13: 스프링, 14: 너트지지보호캡
15: 연결너트, 15a: 연결너트외부형상, 15b: 벌림음부
15c: 와샤걸림턱, 15d: 연결너트내부형상, 15e: 암나사
20a: 가로철근, 20b: 세로철근
30: 콘크리트, 40: 거푸집, 50: 전산볼트

Claims (2)

  1. 철근지지대(10)가 철근지지대이동홀(12b)에 결합 된 철근지지거치대(12)의 하부에 철근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스프링(13)이 구비되고,
    스프링(13)의 압력으로 인하여 연결너트(15)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너트지지보호캡(14)이 구비된 연결너트(15)가 연결너트(15)의 벌림음부(15b)가 철근지지거치대(12)의 연결너트이동홀(12d)에 삽입되고, 와샤걸림턱(15c)이 와샤(11)에 삽입되면서 기계에 의하여 벌림음부(15b)가 벌어져 철근지지거치대(12)를 결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철근지지거치대(12)의 철근지지대이동홀(12b)이 구비되어, 철근지지대(10)의 철근지지대날개(10b)가 삽입되어 좌우로 유격 이동하면서 십자로 교차하는 철근의 거치한 철근거치구(10a)가 이동함으로 휘어지거나 비직선으로 거치 되는 철근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KR1020100076170A 2010-08-08 2010-08-08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KR20120014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70A KR20120014098A (ko) 2010-08-08 2010-08-08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70A KR20120014098A (ko) 2010-08-08 2010-08-08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098A true KR20120014098A (ko) 2012-02-16

Family

ID=4583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70A KR20120014098A (ko) 2010-08-08 2010-08-08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862A (zh) * 2012-02-22 2012-07-04 中国新兴保信建设总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混凝土楼板钢筋预支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862A (zh) * 2012-02-22 2012-07-04 中国新兴保信建设总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混凝土楼板钢筋预支撑装置
CN102535862B (zh) * 2012-02-22 2014-03-12 中国新兴保信建设总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混凝土楼板钢筋预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81B1 (ko) 앵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KR101207921B1 (ko) 인서트 앙카 겸용 철근받침대
JP2017180058A (ja) インサートを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に取付け下部に下階の天井設備類を吊設支持する吊込構造体、及び前記インサートを用いた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下部の天井設備類取付方法。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2216256B1 (ko) 방호벽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슬래브로 제작된 교량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66661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20120014098A (ko) 인서트 너트 겸용 철근받침대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CA2508162A1 (en) Reinforcing steel support
KR101057167B1 (ko) 말뚝 두부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대 기초 시공 공법
KR101272189B1 (ko)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200419724Y1 (ko) 인서트
KR200418001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0466393Y1 (ko)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를 위한 프리셋팅장치
KR200323015Y1 (ko) 천정패널용 행거와 슬래브 철근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천정 시공 장치
KR200418000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CN215406821U (zh) 装配空心楼盖厚板肋梁定位装置
KR100583083B1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및 그 사용방법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CN219952391U (zh) 压型钢板组合楼板的管线支架的预埋装置及管线支架
JP6916694B2 (ja) 壁材の支持構造及び支持方法
KR200440585Y1 (ko) 거푸집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